KR101062603B1 - 사막기후 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사막기후 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603B1
KR101062603B1 KR1020110022269A KR20110022269A KR101062603B1 KR 101062603 B1 KR101062603 B1 KR 101062603B1 KR 1020110022269 A KR1020110022269 A KR 1020110022269A KR 20110022269 A KR20110022269 A KR 20110022269A KR 101062603 B1 KR101062603 B1 KR 101062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hamber
storage tank
pipe
s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일
이범수
정인성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22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6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603B1/ko
Priority to PCT/KR2012/001778 priority patent/WO2012124952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7/0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 G01N17/002Test chamb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H02S50/10Testing of PV devices, e.g. of PV modules or single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막기후 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먼지 또는 모래 등을 포함한 입자를 태양광모듈을 포함한 대상물로 분사하는 분사부를 통해 태양광모듈을 포한한 대상물 주변환경을 사막기후와 같은 환경으로 보다 용이하게 조성할 수 있음은 물론 이 상태에서 특히 태양광모듈로 먼지를 분사하여 먼지에 따른 태양광모듈의 전기발생성능을 보다 용이하게 시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양광모듈로 모래를 분사하여 태양광모듈의 강도 등을 포함한 내구성을 보다 용이하게 시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막기후 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DURABILITY TE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DESERT CLIMATE, ENVIRONMENT}
본 발명은 먼지 또는 모래 등을 포함한 입자를 태양광모듈을 포함한 피대상물로 분사하는 분사부를 통해 태양광모듈을 포한한 피대상물 주변환경을 사막기후와 같은 환경으로 보다 용이하게 조성할 수 있음은 물론 이 상태에서 특히 태양광모듈로 먼지를 분사하여 먼지에 따른 태양광모듈의 전기발생성능을 보다 용이하게 시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양광모듈로 모래를 분사하여 태양광모듈의 강도 등을 포함한 내구성을 보다 용이하게 시험할 수 있는 사막기후 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모듈은 반도체의 성질을 이용하여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로써 태양광모듈에서 생상되는 직류전류를 교류로 변화시켜 가정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한편, 상기 태양광모듈은 널리 상용화되어 있으나 주변환경에 따른 상기 태양광모듈의 내구성 및 전기발생량을 시험할 수 있는 장비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자는 먼지 또는 모래 등을 포함한 입자를 태양광모듈을 포함한 피대상물로 분사하는 분사부를 통해 태양광모듈을 포함한 피대상물 주변환경을 사막기후와 같은 환경으로 보다 용이하게 조성할 수 있음은 물론 이 상태에서 특히 태양광모듈로 먼지를 분사하여 먼지에 따른 태양광모듈의 전기발생성능을 보다 용이하게 시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양광모듈로 모래를 분사하여 태양광모듈의 강도 등을 포함한 내구성을 보다 용이하게 시험할 수 있는 사막기후 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먼지 또는 모래 등을 포함한 입자를 태양광모듈을 포함한 피대상물로 분사하는 분사부를 통해 태양광모듈을 포한한 피대상물 주변환경을 사막기후와 같은 환경으로 보다 용이하게 조성할 수 있음은 물론 이 상태에서 특히 태양광모듈로 먼지를 분사하여 먼지에 따른 태양광모듈의 전기발생성능을 보다 용이하게 시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양광모듈로 모래를 분사하여 태양광모듈의 강도 등을 포함한 내구성을 보다 용이하게 시험할 수 있는 사막기후 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대상물이 내부에 수용되고, 먼지 또는 모래를 포함한 입자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하부에 형성되는 챔버와; 상기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챔버의 내부에 수용된 피대상물이 일정높이로 거치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피대상물로 먼지 또는 모래를 포함한 입자를 분사하는 분사부와; 상기 분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막기후 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챔버의 내부에 상기 거치부에 일정높이로 거치된 피대상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가 구비되고, 상기 피대상물은 태양광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대상물을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측과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가 지지하는 상기 피대상물을 위치고정시키는 고정지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지지대는 상기 챔버의 내부에 수직구비되는 하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의 상부에 하부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피대상물을 일정높이로 지지하고, 상기 고정지그가 일측과 타측에 구비되는 상부지지대와; 상기 상부지지대의 상하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모터 또는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챔버내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항온항습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분사부는 상기 피대상물로 분사될 먼지 또는 모래를 포함한 입자가 저장되고, 하부에 먼지 또는 모래를 포함한 입자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의 배출구가 배출하는 먼지 또는 모래를 포함한 입자를 상기 피대상물로 공급하는 분사관과; 상기 저장탱크의 배출구와 상기 분사관이 연통되도록 상기 저장탱크의 배출구와 상기 분사관을 연결시키는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을 통해 상기 분사관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공급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분사부의 분사관을 통해 상기 피대상물로 분사되는 먼지 또는 모래를 포함한 입자의 분사속도를 조절하는 분사속도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분사속도조절부는 상기 분기관을 개폐하는 개폐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분사관의 상하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챔버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먼지 또는 모래를 포함한 입자를 상기 분사부로 공급하는 공급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공급부가 상기 챔버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먼지를 포함한 입자를 상기 분사부로 공급하는 경우, 상기 공급부는 상기 챔버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먼지를 포함한 입자가 저장되고, 하부에 먼지를 포함한 입자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의 배출구가 배출하는 먼지를 포함한 입자를 상기 분사부로 공급하는 공급관과; 상기 저장탱크의 배출구와 상기 공급관이 연통되도록 상기 저장탱크의 배출구와 상기 공급관을 연결시키는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을 통해 상기 공급관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공급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분사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분사부의 상부에 상기 공급관과 연결되는 사이클론부가 구비되고, 상기 사이클론부의 내주면에 상기 공급관을 통해 상기 사이클론부의 내부로 공급된 먼지를 포함한 입자가 함유된 압축공기를 선회시켜 압축공기에서 먼지를 포함한 입자를 원심분리시키는 나선형의 선회블레이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사이클론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사이클론부의 상부에 먼지를 포함한 입자가 원심분리된 압축공기를 내부로 흡입한 후 상기 사이클론부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흡입관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관의 내부에 흡입팬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공급부가 상기 챔버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모래를 포함한 입자를 상기 분사부로 공급하는 경우, 상기 공급부는 상기 챔버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모래를 포함한 입자를 상기 분사부로 이송하는 수직이송스크류와; 상기 수직이송스크류로 상기 챔버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모래를 포함한 입자를 이송하는 수평이송스크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공급부가 상기 챔버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모래를 포함한 입자를 상기 분사부로 공급하는 경우, 상기 공급부는 상기 챔버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모래를 포함한 입자를 상기 분사부로 공급하는 버켓컨베이어와; 상기 버켓컨베이어로 상기 챔버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모래를 포함한 입자를 상기 버켓컨베이어로 공급하는 컨베이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분사부의 저장탱크는 상기 피대상물로 분사될 먼지를 포함한 입자가 저장되는 먼지저장탱크와; 상기 피대상물로 분사될 모래를 포함한 입자가 저장되는 모래저장탱크;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먼지저장탱크의 하부에 형성되는 먼지배출구와; 상기 모래저장탱크의 하부에 형성되는 모래배출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챔버의 내부에 2개 이상의 상기 거치부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2개 이상의 상기 거치부에 각각 서로 다른 피대상물이 일정높이로 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먼지 또는 모래 등을 포함한 입자를 태양광모듈을 포함한 피대상물로 분사하는 분사부를 통해 태양광모듈을 포한한 피대상물 주변환경을 사막기후와 같은 환경으로 보다 용이하게 조성할 수 있음은 물론 이 상태에서 특히 태양광모듈로 먼지를 분사하여 먼지에 따른 태양광모듈의 전기발생성능을 보다 용이하게 시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양광모듈로 모래를 분사하여 태양광모듈의 강도 등을 포함한 내구성을 보다 용이하게 시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사막기후 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일부확대우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거치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고,
도 4는 공급부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분사부의 상부에 사이클론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단면도이고,
도 6은 공급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고,
도 7은 공급부의 또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고,
도 8은 분사부의 저장탱크가 먼지저장탱크와 모래저장탱크로 구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고,
도 9는 챔버의 내부에 2개 이상의 거치부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사막기후 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사막기후 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챔버(10), 거치부(20), 분사부(3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챔버(10)는 사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챔버(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101)에는 피대상물(5)이 수용된다.
상기 챔버(10)의 수용공간(101)의 개폐를 위해 상기 챔버(10)의 타측면은 공지된 여닫이식도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챔버(10)의 하부 중심부에는 먼지 또는 모래 등을 포함한 입자를 상기 챔버(10)의 하부 외부방향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구(1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챔버(10)의 수용공간(101) 하측에는 상기 배출구(110)로 먼지 또는 모래 등을 포함한 입자를 안내하는 안내판(120)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안내판(120)을 통해 상기 배출구(110)로 먼지 또는 모래 등을 포함한 입자가 상기 배출구(110)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안내판(120)의 하부에는 상기 안내판(120)으로 진동을 전달하는 전기식 바이브레이터, 유압식 바이브레이터 등을 포함한 진동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안내판(120)은 일측 안내판(121)과 타측 안내판(1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안내판(121)은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배출구(110)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타측 안내판(122)은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배출구(110)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거치부(20)는 상기 챔버(10)의 수용공간(101)의 하측에 형성된 상기 안내판(120)의 타측 안내판(122)의 상부면에 구비된다.
상기 거치부(20)의 상부에는 상기 챔버(10)의 내부에 수용된 피대상물(5)이 일정높이로 거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분사부(30)는 상기 챔버(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거치부(20)의 상부에 일정높이로 거치된 피대상물(5)로 먼지 또는 모래 등을 포함한 입자를 분사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분사부(30)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상기 챔버(10)의 내부 상측 중심부 내주면에 반사갓(102)의 상측이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반사갓(102)의 좌우폭은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질 수 있다.
상기 반사갓(102)의 내부에는 발광램프 등을 포함한 광원부(51)가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51)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거치부(20)에 일정높이로 거치된 피대상물(5)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피대상물(5)은 특히, 태양광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상기 분사부(30)가 상기 태양광모듈로 먼지를 분사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광원부(51)가 상기 태양광모듈로 빛을 조사하게 되면, 상기 태양광모듈은 상기 광원부(51)가 조사하는 빛을 집광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태양광모듈에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태양광모듈이 집광하는 빛의 양을 감지하는 공지된 광량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버(미도시)는 상기 광량센서가 감지한 빛의 양을 근거로 상기 태양광모듈이 발생시키는 전기에너지양을 자동연산하는 연산부가 내장될 수 있고, 상기 연산부가 자동연산한 전기에너지양은 상기 챔버(10)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는 컴퓨터 모티터 등을 포함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숫자 등으로 화면출력될 수 있다.
상기 분사부(30)가 상기 태양광모듈로 먼지를 분사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광원부(51)가 상기 태양광모듈로 빛을 조사하게 됨에 따라 먼지에 따른 상기 태양광모듈의 전기발생성능을 보다 용이하게 시험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2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일부확대우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20)는 지지대(210)와 고정지그(2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10)는 상기 챔버(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101)의 하측에 형성된 상기 안내판(120)의 타측 안내판(122)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을 일정높이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지그(220)는 상기 지지대(2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지그(220)의 내측에는 상기 지지대(210)가 지지하는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상기 피대상물(5)의 상하측이 각각 수용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지그(220)는 상기 지지대(210)의 일측에 일체형성되는 '┏' 형상의 일측고정지그(221)와, 상기 지지대(210)의 타측에 분리가능하게 하단부가 볼트고정되는 ' ┓'형상의 타측고정지그(2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고정지그(221)와 타측고정지그(222)는 상기 지지대(21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일측고정지그(221)의 상단부와 타측고정지그(222)의 상단부는 각각 상기 일측고정지그(221)와 타측고정지그(222)의 내측방향으로 수평으로 각각 절곡될 수 있다.
상기 고정지그(220)에 의해 상기 지지대(210)가 안착지지하는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이 견고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대(210)는 특히, 하부지지대(211), 상부지지대(212) 및 각도조절부(21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대(211)는 상기 챔버(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101)의 하측에 형성된 상기 안내판(120)의 타측 안내판(122)의 상부면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대(211)의 상부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고정축(211a)이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지지대(212)의 하부 중심부에 수직형성되는 지지축(212a)의 하측은 상기 하부지지대(211)의 고정축(211a)의 상단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지지대(212)는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을 일정높이로 안착지지한다.
상기 상부지지대(212)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기 고정지그(2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213)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상부지지대(212)의 상하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213)를 통해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과 함께 상기 상부지지대(212)의 상하각도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각도조절부(213)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터(213a)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모터(213a)는 상기 하부지지대(211)의 고정축(211a)의 후측면 상측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213a)의 구동축(213a1)은 상기 하부지지대(211)의 고정축(211a) 상단부를 관통한 상태로 베어링고정될 수 있다.
상기 모터(213a)의 구동축(213a1)에는 상기 상부지지대(212)의 지지축(212a)의 하측이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모터(213a)의 구동축(213a1)이 정역회전함에 따라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과 함께 상기 상부지지대(212)의 상하각도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1의 거치부(20)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일부확대정면도이다.
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부(213)는 실린더(213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린더(213b)의 하측은 상기 하부지지대(211)의 일측면 상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213b)의 로드(213b1)의 상측은 상기 상부지지대(212)의 하부면 일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실린더(213b)의 로드(213b1)의 길이가 신장됨에 따라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과 함께 상기 상부지지대(212)의 상하각도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모터(213a) 또는 상기 실린더(213b)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각도조절부(213)를 통해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과 함께 상기 상부지지대(212)의 상하각도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챔버(10)의 상측 내주면 타측에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챔버(10)내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공지된 항온항습부(도 1의 50)가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챔버(10)내에는 상기 챔버(10)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챔버(10)내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입력된 온도설정값과 상기 온도센서가 측정한 온도측정값을 비교 및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입력된 습도설정값과 상기 습도센서가 측정한 습도측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챔버(10)내의 온도와 습도가 각각 희망하는 수치가 되도록 상기 항온항습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항온항습부(50)를 통해 상기 챔버(10)내의 온도수치와 습도수치를 희망하는 수치로 조절하여 피대상물(5) 중 특히 태양광모듈의 전기발생성능을 온도, 습도에 따라 시험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사부(30)는 저장탱크(310), 분사관(320), 분기관(330) 및 압축공기공급부(34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310)는 상기 챔버(10)의 일측면 상측에 용접 또는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310)의 내부에는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로 분사될 먼지 또는 모래를 포함한 입자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310)의 하부 중심부에는 먼지 또는 모래를 포함한 입자를 상기 저장탱크(310)의 하부방향으로 배출하는 배출구(3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310)의 하부 일측면과 하부 타측면은 각각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배출구(311)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저장탱크(310)의 내부에 저장된 먼지 또는 모래를 포함한 입자가 상기 배출구(311)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저장탱크(310)의 하부 일측면 또는 하부 타측면에는 상기 저장탱크(310)로 진동을 전달하는 전기식 바이브레이터, 유압식 바이브레이터 등을 포함한 진동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저장탱크(310)의 하부에는 상기 배출구(311)와 연통되는 배출관(312)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312)에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배출관(312)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전자식 개폐밸브(312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사관(320)은 상기 챔버(10)의 일측 내부 상측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사관(320)은 상기 저장탱크(310)의 배출구(311) 및 배출관(312)이 배출하는 먼지 또는 모래를 포함한 입자를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분기관(330)은 상기 저장탱크(310)의 배출구(311)와 상기 분사관(320)이 연통되도록 상기 저장탱크(310)의 배출구(311)와 상기 분사관(32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분기관(330)은 상기 저장탱크(310)의 하부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분기관(330)은 수직관(331)과 수평관(3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관(331)의 상측은 상기 저장탱크(310)의 배출관(312)의 하측에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관(332)의 중심부 상부에는 상기 수직관(331)의 하측이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310)의 배출구(311)와 상기 분사관(320)이 연통되도록 상기 수평관(332)의 타측에는 상기 분사관(320)의 일측이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압축공기공급부(340)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분기관(330)을 통해 상기 분사관(320)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압축공기공급부(340)는 공지된 컴프레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압축공기공급부(340)와 상기 분기관(330)의 수평관(332)은 연결관(3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350)의 일단부는 상기 압축공기공급부(340)에 기밀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관(350)의 타단부는 상기 수평관(332)의 일측에 기밀하게 연결된다.
상기 압축공기공급부(340)가 상기 연결관(350)으로 공급하는 압축공기는 상기 연결관(350) → 상기 분기관(330)의 수평관(332) → 상기 분사관(320) 순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312)을 통해 상기 분기관(330)의 수평관(332)내로 배출된 먼지 또는 모래 등을 포함한 입자는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분사관(320) 내부를 지나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로 분사공급될 수 있다.
압축공기공급부(340)가 상기 분사관(320)으로 공급하는 압축공기에 의해 먼지 또는 모래가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상기 피대상물(5)로 보다 용이하게 일정압력으로 분사공급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분사부(30)의 분기관(330)의 수평관(332)의 일측에는 상기 분사부(30)의 분사관(320)을 통해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로 분사되는 먼지 또는 모래 등을 포함한 입자의 분사속도를 조절하는 분사속도조절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분사속도조절부(60)는 상기 분기관(330)의 수평관(332)의 일측을 개폐하는 전자식 개폐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상기 전자식 개폐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분사속도조절부(60)가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분기관(330)의 수평관(332)의 일측을 부분개방할 시 상기 수평관(332)내를 통과하는 압축공기량은 적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분사관(320)을 통해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로 먼지 또는 모래 등을 포함한 입자가 저속으로 분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자식 개폐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분사속도조절부(60)가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분기관(330)의 수평관(332)의 일측을 완전개방할 시 상기 수평관(332)내를 통과하는 압축공기량은 많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분사관(320)을 통해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로 먼지 또는 모래 등을 포함한 입자가 고속으로 분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분사속도조절부(60)를 통해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로 분사되는 먼지 또는 모래 등을 포함한 입자의 분사속도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모래 등을 포함한 입자의 분사속도를 조절하여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의 강도 등을 포함한 내구성 시험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사관(320)의 상하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사관(320)은 일측분사관(321), 주름관(322) 및 타측분사관(3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분사관(321)의 일측은 상기 분기관(330)의 수평관(332)의 타측에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주름관(322)의 일측은 상기 일측분사관(321)의 타측에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타측분사관(323)의 일측은 상기 주름관(322)의 타측에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70)는 실린더(7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린더(710)의 하단부는 상기 챔버(10)의 일측 내주면 상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710)의 로드(711)의 상단부는 상기 분사관(320)의 타측분사관(323)의 하부면 중심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실린더(710)의 로드(711)의 길이가 신장됨에 따라 상기 분사관(320)의 타측분사관(323)의 상하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4는 공급부(80)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챔버(10)의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되는 먼지 또는 모래를 포함한 입자를 상기 분사부(30)의 저장탱크(310)로 공급하는 공급부(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80)를 통해 상기 챔버(10)의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되는 먼지 또는 모래를 포함한 입자를 상기 분사부(30)의 저장탱크(310)로 보다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특히 상기 공급부(80)가 상기 챔버(10)의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되는 먼지 등을 포함한 입자를 상기 분사부(30)의 저장탱크(310)로 공급하는 경우, 상기 공급부(80)는 저장탱크(810), 공급관(820), 분기관(830) 및 압축공기공급부(84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810)는 상기 챔버(10)의 배출구(110)와 연통되도록 상기 챔버(10)의 하부면 중심부에 상측이 용접 또는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810)의 내부에는 상기 챔버(10)의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되는 먼지 등을 포함한 입자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810)의 하부 중심부에는 먼지 등을 포함한 입자를 상기 저장탱크(810)의 하부방향으로 배출하는 배출구(8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810)의 하부 일측면과 하부 타측면은 각각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배출구(811) 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저장탱크(810)의 내부에 저장된 먼지 등을 포함한 입자가 상기 배출구(811)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저장탱크(810)의 하부 일측면 또는 하부 타측면에는 상기 저장탱크(810)로 진동을 전달하는 전기식 바이브레이터, 유압식 바이브레이터 등을 포함한 진동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저장탱크(810)의 하부에는 상기 배출구(811)와 연통되는 배출관(812)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812)에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배출관(812)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전자식 개폐밸브(812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관(820)은 상기 저장탱크(810)의 배출구(811)가 배출하는 먼지 등을 포함한 입자를 상기 분사부(30)의 저장탱크(310)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공급관(820)의 일측은 상기 분사부(30)의 저장탱크(310)와 연통되도록 상기 저장탱크(310)의 일측면 상부에 기밀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분기관(830)은 상기 저장탱크(810)의 배출구(811)와 상기 공급관(820)이 연통되도록 상기 저장탱크(810)의 배출구(811)와 상기 공급관(82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분기관(830)은 상기 저장탱크(810)의 하부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분기관(830)은 수직관(831)과 수평관(8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관(831)의 상측은 상기 저장탱크(810)의 배출관(812)의 하측에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관(832)의 중심부 상부에는 상기 수직관(831)의 하측이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810)의 배출구(811)와 상기 공급관(820)이 연통되도록 상기 수평관(832)의 일측에는 상기 공급관(820)의 타측이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압축공기공급부(840)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분기관(830)을 통해 상기 공급관(820)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압축공기공급부(840)는 공지된 컴프레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압축공기공급부(840)와 상기 분기관(830)의 수평관(832)은 연결관(8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850)의 타단부는 상기 압축공기공급부(840)에 기밀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850)의 일단부는 상기 수평관(832)의 타측에 기밀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압축공기공급부(840)가 상기 연결관(850)으로 공급하는 압축공기는 상기 연결관(850) → 상기 분기관(830)의 수평관(832) → 상기 공급관(820) 순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812)을 통해 상기 분기관(830)의 수평관(832)내로 배출된 먼지 등을 포함한 입자는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공급관(820) 내부를 지나 상기 분사부(30)의 저장탱크(31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압축공기공급부(840)가 상기 공급관(820)으로 공급하는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저장탱크(810)의 배출구(811)가 배출하는 먼지 등을 포함한 입자가 상기 분사부(30)의 저장탱크(310)로 보다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5는 분사부(30)의 상부에 사이클론부(90)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사부(30)의 저장탱크(310)와 연통되도록 상기 분사부(30)의 저장탱크(310)의 상부 중심부에 상기 공급관(820)과 연결되는 사이클론부(90)가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론부(90)는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좌우폭이 점차좁아지는 원추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론부(90)의 일측면 상부에는 상기 공급관(820)의 일측이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론부(90)의 내주면에는 나선형의 선회블레이드(910)가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회블레이드(910)는 상기 공급관(820)을 통해 상기 사이클론부(90)의 내부로 공급된 먼지 등을 포함한 입자가 함유된 압축공기를 선회시켜 압축공기에서 먼지 등을 포함한 입자를 원심분리시킬 수 있다.
압축공기에서 원심분리된 먼지 등을 포함한 입자는 상기 사이클론부(90)의 내주면을 따라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상기 분사부(30)의 저장탱크(310)내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론부(90)를 통해 압축공기에 함유된 먼지 등을 포함한 입자를 보다 용이하게 원심분리시켜 상기 분사부(30)의 저장탱크(310)내로 수용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사이클론부(90)와 연통되도록 상기 사이클론부(90)의 상부 중심부에는 상측이 외부로 노출되는 흡입관(100)이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관(100)의 하측은 상기 사이클론부(90)의 내부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상하연장될 수 있다.
상기 흡입관(100)은 먼지 등을 포함한 입자가 원심분리된 압축공기를 내부로 흡입한 후 상기 사이클론부(9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흡입팬(200)은 상기 흡입관(100)의 상측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흡입팬(200)은 상기 사이클론부(90)내의 먼지 등을 포함한 입자가 원심분리된 압축공기를 상기 흡입관(100)내로 흡입시킬 수 있다.
상기 흡입관(100)내로 원심분리된 먼지 등을 포함한 입자는 흡입되지 않고 압축공기만 흡입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흡입팬(200)은 저속으로 정역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관(100)과 흡입팬(200)을 통해 먼지 등을 포함한 입자가 원심분리된 압축공기를 상기 사이클론부(90)의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6은 공급부(80)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공급부(80)가 상기 챔버(10)의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되는 모래 등을 포함한 입자를 상기 분사부(30)의 저장탱크(310)로 공급하는 경우, 상기 공급부(8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이송스크류(860)와 수평이송스크류(87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사부(30)의 저장탱크(310)의 일측면 상부에는 투입구(3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사부(30)의 저장탱크(310)의 일측에는 수직몸체(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직몸체(300)의 타측면 상부는 상기 분사부(30)의 저장탱크(310)의 일측면과 접한 상태로 용접고정 또는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직몸체(300)의 타측면 상부에는 상기 분사부(30)의 투입구(313)와 연통되는 배출구(3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챔버(10)의 하부에는 수평몸체(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평몸체(400)의 상부면 중심부는 상기 챔버(10)의 배출구(110)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수평몸체(400)의 일측은 상기 수직몸체(300)의 하부 타측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수직이송스크류(860)는 상기 수직몸체(300)내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이송스크류(860)의 하측은 각각 상기 수직몸체(300)의 내부 하측에 각각 베어링고정된 상태로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몸체(330)의 상부에는 모터 등을 포함한 구동부재(302)가 수직으로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모터 등을 포함한 구동부재(302)의 구동축은 상기 수직이송스크류(860)의 상측과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부재(302)는 상기 수직이송스크류(860)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수직이송스크류(860)는 상기 챔버(10)의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되는 모래 등을 포함한 입자를 상기 배출구(301)와 투입구(313)를 통해 상기 분사부(30)의 저장탱크(310)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수평이송스크류(870)는 상기 수평몸체(400)내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평몸체(400)의 타측면에는 모터 등을 포함한 구동부재(401)가 수평으로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모터 등을 포함한 구동부재(401)의 구동축은 상기 수평이송스크류(870)의 타측과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부재(401)는 상기 수평이송스크류(870)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수평이송스크류(870)는 상기 수직이송스크류(860)로 상기 챔버(10)의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되는 모래를 포함한 입자를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수직이송스크류(860)와 수평이송스크류(870)로 구성되는 상기 공급부(80)를 통해 상기 챔버(10)의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되는 모래 등을 포함한 입자를 상기 분사부(30)의 저장탱크(310)로 보다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7은 공급부(80)의 또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공급부(80)가 상기 챔버(10)의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되는 모래 등을 포함한 입자를 상기 분사부(30)의 저장탱크(310)로 공급하는 경우, 상기 공급부(8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버켓컨베이어(880)와 컨베이어(890)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버켓컨베이어(880)는 상기 수직몸체(300)의 내부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버켓컨베이어(880)는 상기 챔버(10)의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되는 모래 등을 포함한 입자를 상기 배출구(301)와 투입구(313)를 통해 상기 분사부(30)의 저장탱크(310)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890)는 상기 수평몸체(400)의 내부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890)는 상기 챔버(10)의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되는 모래 등을 포함한 입자를 상기 버켓컨베이어(880)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890)의 컨베이어벨트(891)의 상부면에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턱(89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돌출턱(892)으로 인해 상기 챔버(10)의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되는 모래 등을 포함한 입자를 상기 버켓컨베이어(880)로 보다 더욱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버켓컨베이어(880)와 컨베이어(890)로 구성되는 상기 공급부(80)를 통해서도 상기 챔버(10)의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되는 모래 등을 포함한 입자를 상기 분사부(30)의 저장탱크(310)로 보다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8은 분사부(30)의 저장탱크(310)가 먼지저장탱크(310a)와 모래저장탱크(310b)로 구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사부(30)의 저장탱크(310)는 먼지저장탱크(310a)와 모래저장탱크(310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먼지저장탱크(310a)는 상기 챔버(10)의 일측면 상측에 용접 또는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먼지저장탱크(310a)의 내부에는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로 분사될 먼지 등을 포함한 입자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먼지저장탱크(310a)의 상부 중심부에 상기 사이클론부(90)가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래저장탱크(310b)는 상기 먼지저장탱크(310a)의 일측면에 용접 또는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래저장탱크(310b)의 내부에는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로 분사될 모래 등을 포함한 입자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311)는 먼지배출구(310a1)와 모래배출구(310b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먼지배출구(310a1)는 상기 먼지저장탱크(310a)의 하부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래배출구(310b1)는 상기 모래저장탱크(310b)의 하부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311)와 연통되는 상기 배출관(312)은 'Y' 또는 'T'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312)을 개폐하는 상기 전자식 개폐밸브(312a)는 일측 전자식 개폐밸브(312a1)와 타측 전자식 개폐밸브(312a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전자식 개폐밸브(312a1)는 'Y' 또는 'T'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배출관(312)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배출관(312)의 상부 일측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일측 전자식 개폐밸브(312a1)에 의해 상기 모래저장탱크(310b)내에 저장된 모래 등을 포함한 입자가 상기 배출관(312)의 상부 일측을 통과 및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 타측 전자식 개폐밸브(312a2)는 'Y' 또는 'T'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배출관(312)의 상부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배출관(312)의 상부 타측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타측 전자식 개폐밸브(312a2)에 의해 상기 먼지저장탱크(310a)내에 저장된 먼지 등을 포함한 입자가 상기 배출관(312)의 상부 타측을 통과 및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 챔버(10)의 하부에는 상기 챔버(10)의 배출구(110)와 연결되는 별도의 분기관(5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기관(500)은 수직관(501), 일측경사관(502), 타측경사관(50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관(501)의 상측은 상기 챔버(10)의 배출구(110)의 하측에 기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일측경사관(502)의 하단부는 상기 수평몸체(400)의 상부 타측에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일측경사관(502)의 상단부는 상기 수직관(501)의 하부 일측에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일측경사관(502)은 하단부에서 상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수직관(501)의 하부 일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일측경사관(502)에는 상기 제어부(502)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일측경사관(502)을 개폐하는 일측 전자식 개폐밸브(502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경사관(503)의 하단부는 상기 공급부(80)의 저장탱크(810)의 상부 중심부에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타측경사관(503)는 상단부는 상기 수직관(501)의 하부 타측에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타측경사관(503)은 하단부에서 상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수직관(501)의 하부 타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타측경사관(503)에는 상기 제어부(502)의 제어에 의해 상기 타측경사관(503)을 개폐하는 타측 전자식 개폐밸브(503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에는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모드설정부가 누름식 버튼 또는 다이얼 버튼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드설정부는 제 1모드설정부와 제 2모드설정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제 1모드설정부를 ON상태로 설정한 경우,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로 먼지 등을 포함한 입자가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타측 전자식 개폐밸브(312a2, 503a)를 개방하고, 상기 일측 전자식 개폐밸브(312a1, 502a)를 폐쇄하게 된다.
작업자가 상기 제 2모드설정부를 ON상태로 설정한 경우,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로 모래 등을 포함한 입자가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타측 전자식 개폐밸브(312a2, 503a)를 폐쇄하고, 상기 일측 전자식 개폐밸브(312a1, 502a)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 먼지저장탱크(310a)와 모래저장탱크(310b) 및 상기 모드설정부를 통해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로 먼지 또는 모래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분사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9는 챔버(10)의 내부에 2개 이상의 거치부(20)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챔버(10)의 내부에는 2개 이상의 상기 거치부(20)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2개 이상의 상기 거치부(20)에는 서로 다른 피대상물(5)이 일정높이로 거치되로 수 있다.
가령, 2개 이상의 상기 거치부(20) 중 어느 하나의 거치부(20)에는 태양광모듈 등이 일정높이로 거치될 수 있고, 나머지 다른 하나의 거치부(20)에는 전자부품 등이 거치될 수 있다.
2개 이상의 상기 거치부(20)에 서로 다른 피대상물(5)을 일정높이로 거치시킨 상태에서 서로 다른 피대상물(5)의 성능 및 강도 등을 포함한 내구성을 한번에 시험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먼지 또는 모래 등을 포함한 입자를 태양광모듈을 포함한 피대상물(5)로 분사하는 분사부(30)를 통해 태양광모듈을 포한한 피대상물(5) 주변환경을 사막기후와 같은 환경으로 보다 용이하게 조성할 수 있음은 물론 이 상태에서 특히 태양광모듈로 먼지를 분사하여 먼지에 따른 태양광모듈의 전기발생성능을 보다 용이하게 시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양광모듈로 모래를 분사하여 태양광모듈의 강도 등을 포함한 내구성을 보다 용이하게 시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챔버, 20; 거치부,
30; 분사부, 40; 제어부.

Claims (18)

  1. 피대상물(5)이 내부에 수용되고, 먼지 또는 모래를 포함한 입자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110)가 하부에 형성되는 챔버(10)와;
    상기 챔버(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챔버(10)의 내부에 수용된 피대상물(5)이 일정높이로 거치되는 거치부(20)와;
    상기 거치부(20)에 거치된 피대상물(5)로 먼지 또는 모래를 포함한 입자를 분사하는 분사부(30)와;
    상기 분사부(3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챔버(10)의 내부에 상기 거치부(20)에 일정높이로 거치된 피대상물(5)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51);가 구비되고,
    상기 피대상물(5)은 태양광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막기후 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20)는 상기 챔버(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대상물(5)을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대(210)와;
    상기 지지대(210)의 일측과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210)가 지지하는 상기 피대상물(5)을 위치고정시키는 고정지그(2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막기후 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10)는 상기 챔버(10)의 내부에 수직구비되는 하부지지대(211)와;
    상기 하부지지대(211)의 상부에 하부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피대상물(5)을 일정높이로 지지하고, 상기 고정지그(220)가 일측과 타측에 구비되는 상부지지대(212)와;
    상기 상부지지대(212)의 상하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21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막기후 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213)는 모터(213a) 또는 실린더(213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막기후 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챔버(10)내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항온항습부(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막기후 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30)는 상기 피대상물(5)로 분사될 먼지 또는 모래를 포함한 입자가 저장되고, 하부에 먼지 또는 모래를 포함한 입자를 배출하는 배출구(311)가 형성되는 저장탱크(310)와;
    상기 저장탱크(310)의 배출구(311)가 배출하는 먼지 또는 모래를 포함한 입자를 상기 피대상물(5)로 공급하는 분사관(320)과;
    상기 저장탱크(310)의 배출구(311)와 상기 분사관(320)이 연통되도록 상기 저장탱크(310)의 배출구(311)와 상기 분사관(320)을 연결시키는 분기관(330)과;
    상기 분기관(330)을 통해 상기 분사관(320)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공급부(3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막기후 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30)의 분사관(320)을 통해 상기 피대상물(5)로 분사되는 먼지 또는 모래를 포함한 입자의 분사속도를 조절하는 분사속도조절부(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막기후 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속도조절부(60)는 상기 분기관(330)을 개폐하는 개폐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막기후 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관(320)의 상하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7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막기후 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10)의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되는 먼지 또는 모래를 포함한 입자를 상기 분사부(30)로 공급하는 공급부(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막기후 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80)가 상기 챔버(10)의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되는 먼지를 포함한 입자를 상기 분사부(30)로 공급하는 경우,
    상기 공급부(80)는 상기 챔버(10)의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되는 먼지를 포함한 입자가 저장되고, 하부에 먼지를 포함한 입자를 배출하는 배출구(811)가 형성되는 저장탱크(810)와;
    상기 저장탱크(810)의 배출구(811)가 배출하는 먼지를 포함한 입자를 상기 분사부(30)로 공급하는 공급관(820)과;
    상기 저장탱크(810)의 배출구(811)와 상기 공급관(820)이 연통되도록 상기 저장탱크(810)의 배출구(811)와 상기 공급관(820)을 연결시키는 분기관(830)과;
    상기 분기관(830)을 통해 상기 공급관(820)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공급부(8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막기후 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30)와 연통되도록 상기 분사부(30)의 상부에 상기 공급관(820)과 연결되는 사이클론부(90)가 구비되고,
    상기 사이클론부(90)의 내주면에 상기 공급관(820)을 통해 상기 사이클론부(90)의 내부로 공급된 먼지를 포함한 입자가 함유된 압축공기를 선회시켜 압축공기에서 먼지를 포함한 입자를 원심분리시키는 나선형의 선회블레이드(9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막기후 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부(90)와 연통되도록 상기 사이클론부(90)의 상부에 먼지를 포함한 입자가 원심분리된 압축공기를 내부로 흡입한 후 상기 사이클론부(9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흡입관(100)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관(100)의 내부에 흡입팬(2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막기후 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80)가 상기 챔버(10)의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되는 모래를 포함한 입자를 상기 분사부(30)로 공급하는 경우,
    상기 공급부(80)는 상기 챔버(10)의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되는 모래를 포함한 입자를 상기 분사부(30)로 이송하는 수직이송스크류(860)와;
    상기 수직이송스크류(860)로 상기 챔버(10)의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되는 모래를 포함한 입자를 이송하는 수평이송스크류(8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막기후 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80)가 상기 챔버(10)의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되는 모래를 포함한 입자를 상기 분사부(30)로 공급하는 경우,
    상기 공급부(80)는 상기 챔버(10)의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되는 모래를 포함한 입자를 상기 분사부(30)로 공급하는 버켓컨베이어(880)와;
    상기 버켓컨베이어(880)로 상기 챔버(10)의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되는 모래를 포함한 입자를 상기 버켓컨베이어(880)로 공급하는 컨베이어(89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막기후 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16.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30)의 저장탱크(310)는 상기 피대상물(5)로 분사될 먼지를 포함한 입자가 저장되는 먼지저장탱크(310a)와;
    상기 피대상물(5)로 분사될 모래를 포함한 입자가 저장되는 모래저장탱크(310b);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구(311)는 상기 먼지저장탱크(310a)의 하부에 형성되는 먼지배출구(310a1)와;
    상기 모래저장탱크(310b)의 하부에 형성되는 모래배출구(310b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막기후 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10)의 내부에 2개 이상의 상기 거치부(20)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2개 이상의 상기 거치부(20)에 각각 서로 다른 피대상물(5)이 일정높이로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막기후 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18. 삭제
KR1020110022269A 2011-03-14 2011-03-14 사막기후 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KR101062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269A KR101062603B1 (ko) 2011-03-14 2011-03-14 사막기후 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PCT/KR2012/001778 WO2012124952A2 (ko) 2011-03-14 2012-03-12 사막기후 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269A KR101062603B1 (ko) 2011-03-14 2011-03-14 사막기후 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2603B1 true KR101062603B1 (ko) 2011-09-06

Family

ID=44956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269A KR101062603B1 (ko) 2011-03-14 2011-03-14 사막기후 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62603B1 (ko)
WO (1) WO2012124952A2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306B1 (ko) * 2012-01-26 2013-10-0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전지의 시뮬레이션 장치
KR101483098B1 (ko) 2013-06-27 2015-01-16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수분 침식 특성 테스트 장치
KR20150140427A (ko) * 2014-06-03 2015-12-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전지 모듈의 먼지시험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73201A (ko) * 2014-12-16 2016-06-24 한국기계연구원 날림 모래 및 먼지 시험 장비의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658983B1 (ko) * 2015-06-11 2016-09-30 한국기계연구원 가변형 유로를 갖는 날림 모래 및 먼지 시험 장비 및 그 제어 방법
KR101753202B1 (ko) * 2016-09-09 2017-07-03 피엔케이피부임상연구센타 주식회사 화장품의 항더스트 성능 테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능 테스트 방법
KR101766671B1 (ko) * 2015-12-23 2017-08-09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 고정 장치
KR101784873B1 (ko) * 2015-06-11 2017-10-16 한국기계연구원 온도조절 기능을 갖는 날림 모래 및 먼지 시험 장비 및 그 제어 방법
WO2020054986A1 (en) * 2018-09-13 2020-03-19 Oatc Inc. Anti-dust performance test apparatus and method
CN112525729A (zh) * 2020-12-04 2021-03-19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风力土壤应力测试仪及其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60385B2 (ja) * 2013-06-05 2017-01-18 スガ試験機株式会社 耐候性試験機および耐候性試験方法
CN108923747B (zh) * 2018-07-13 2024-03-22 南京朗伯尼特新能源有限公司 一种光伏组件pid效应的室外检测系统及其检测方法
CN109540777A (zh) * 2019-01-09 2019-03-29 山东路达试验仪器有限公司 一种风沙环境下工程材料受侵蚀试验装置
CN110987702B (zh) * 2019-12-20 2022-06-17 常州大学 含砂条件下模拟地热井筒冲刷腐蚀的实验装置及测试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8790A (ja) 1996-07-17 1998-02-13 Suga Test Instr Co Ltd 汚染試験方法及び汚染試験機
KR100803893B1 (ko) * 2006-10-31 2008-02-15 주식회사 케피코 혼합식 먼지시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203B1 (ko) * 2009-02-19 2011-03-1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광 추적 발전 모의 실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8790A (ja) 1996-07-17 1998-02-13 Suga Test Instr Co Ltd 汚染試験方法及び汚染試験機
KR100803893B1 (ko) * 2006-10-31 2008-02-15 주식회사 케피코 혼합식 먼지시험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306B1 (ko) * 2012-01-26 2013-10-0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전지의 시뮬레이션 장치
KR101483098B1 (ko) 2013-06-27 2015-01-16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수분 침식 특성 테스트 장치
KR20150140427A (ko) * 2014-06-03 2015-12-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전지 모듈의 먼지시험 장치 및 그 방법
KR101588212B1 (ko) * 2014-06-03 2016-01-2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전지 모듈의 먼지시험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73201A (ko) * 2014-12-16 2016-06-24 한국기계연구원 날림 모래 및 먼지 시험 장비의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640878B1 (ko) * 2014-12-16 2016-07-29 한국기계연구원 날림 모래 및 먼지 시험 장비의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658983B1 (ko) * 2015-06-11 2016-09-30 한국기계연구원 가변형 유로를 갖는 날림 모래 및 먼지 시험 장비 및 그 제어 방법
KR101784873B1 (ko) * 2015-06-11 2017-10-16 한국기계연구원 온도조절 기능을 갖는 날림 모래 및 먼지 시험 장비 및 그 제어 방법
KR101766671B1 (ko) * 2015-12-23 2017-08-09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 고정 장치
KR101753202B1 (ko) * 2016-09-09 2017-07-03 피엔케이피부임상연구센타 주식회사 화장품의 항더스트 성능 테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능 테스트 방법
WO2018048263A1 (ko) * 2016-09-09 2018-03-15 피엔케이피부임상연구센타 주식회사 화장품의 항더스트 성능 테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능 테스트 방법
WO2020054986A1 (en) * 2018-09-13 2020-03-19 Oatc Inc. Anti-dust performance test apparatus and method
CN112525729A (zh) * 2020-12-04 2021-03-19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风力土壤应力测试仪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24952A2 (ko) 2012-09-20
WO2012124952A3 (ko) 2012-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2603B1 (ko) 사막기후 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KR101062523B1 (ko) 기상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KR102162366B1 (ko) 퓸 제거 장치
US2009017829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containers for beverages
KR101215962B1 (ko) Efem의 버퍼 스토리지 박스
KR102056955B1 (ko) 색채 선별기
JP2007292765A (ja) 水分重量測定のための測定装置
KR102294732B1 (ko) 콤바인
US20190084780A1 (en) Feeding method for providing granular material to a hopper
WO2013121632A1 (ja) ショット処理装置及びショット処理方法
JP5714766B1 (ja) 組合せ秤
CN107703338B (zh) 智能电量变送器的制作方法
CN108163563A (zh) 吸附二恶英的称重式活性炭智能加料方法及其加料系统
CN110732488B (zh) 一种五金连接器的自动检测筛分系统
KR101315306B1 (ko) 태양전지의 시뮬레이션 장치
JP7253133B2 (ja) 穀粒乾燥機
CN214792410U (zh) 一种聚丙烯酰胺装置后处理工序除湿设备
CN208249234U (zh) 垫片上料装置
CN105652026A (zh) 试剂检测条的推送装置及具有该装置的全自动检测设备
CN113008590B (zh) 一种用于雾化片的雾化检测设备及其检测方法
KR102167666B1 (ko) 0점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충진장치
KR20190100592A (ko) 회전형 에어컨 청소로봇
CN215727749U (zh) 木地板检测装置
JP6858169B2 (ja) 分析装置及び分析装置の制御方法
KR102118690B1 (ko) 작업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