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2523B1 - 기상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기상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523B1
KR101062523B1 KR1020110022261A KR20110022261A KR101062523B1 KR 101062523 B1 KR101062523 B1 KR 101062523B1 KR 1020110022261 A KR1020110022261 A KR 1020110022261A KR 20110022261 A KR20110022261 A KR 20110022261A KR 101062523 B1 KR101062523 B1 KR 101062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unit
pipe
chamb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일
이범수
김진현
정인성
한수용
정진수
이경원
이우진
강성환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22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5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H02S50/10Testing of PV devices, e.g. of PV modules or single PV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7/0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 G01N17/002Test cha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상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눈, 우박, 물 중 선택된 1종을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로 분사하는 분사부를 통해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 주변환경을 눈이 내리는 기후, 우박이 내리는 기후 및 비가 내리는 기후 등과 같은 환경으로 보다 용이하게 조성할 수 있음은 물론 이 상태에서 특히 태양광모듈의 전기발생성능 및 태양광모듈의 강도 등을 포함한 내구성을 보다 용이하게 시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상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DURABILITY TESTING DEVICE ACCORDING TO WEATHER CONDITIONS}
본 발명은 눈, 우박, 물 중 선택된 1종을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로 분사하는 분사부를 통해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 주변환경을 눈이 내리는 기후, 우박이 내리는 기후 및 비가 내리는 기후 등과 같은 환경으로 보다 용이하게 조성할 수 있음은 물론 이 상태에서 특히 태양광모듈의 전기발생성능 및 태양광모듈의 강도 등을 포함한 내구성을 보다 용이하게 시험할 수 있는 기상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모듈은 반도체의 성질을 이용하여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로써 태양광모듈에서 생상되는 직류전류를 교류로 변화시켜 가정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한편, 상기 태양광모듈은 널리 상용화되어 있으나 주변환경에 따른 상기 태양광모듈의 내구성 및 전기발생량을 시험할 수 있는 장비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자는 눈, 우박, 물 중 선택된 1종을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로 분사하는 분사부를 통해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 주변환경을 눈이 내리는 기후, 우박이 내리는 기후 및 비가 내리는 기후 등과 같은 환경으로 보다 용이하게 조성할 수 있음은 물론 이 상태에서 특히 태양광모듈의 전기발생성능 및 태양광모듈의 강도 등을 포함한 내구성을 보다 용이하게 시험할 수 있는 기상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눈, 우박, 물 중 선택된 1종을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로 분사하는 분사부를 통해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 주변환경을 눈이 내리는 기후, 우박이 내리는 기후 및 비가 내리는 기후 등과 같은 환경으로 보다 용이하게 조성할 수 있음은 물론 이 상태에서 특히 태양광모듈의 전기발생성능 및 태양광모듈의 강도 등을 포함한 내구성을 보다 용이하게 시험할 수 있는 기상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대상물이 내부에 수용되고, 눈, 우박, 물 중 선택된 1종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하부에 형성되는 챔버와; 상기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챔버의 내부에 수용된 피대상물이 일정높이로 거치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피대상물로 눈, 우박, 물 중 선택된 1종을 분사하는 분사부와; 상기 분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챔버의 내부에 상기 거치부에 일정높이로 거치된 피대상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가 구비되고, 상기 피대상물은 태양광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대상물을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측과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가 지지하는 상기 피대상물을 위치고정시키는 고정지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지지대는 상기 챔버의 내부에 수직구비되는 하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의 상부에 하부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피대상물을 일정높이로 지지하고, 상기 고정지그가 일측과 타측에 구비되는 상부지지대와; 상기 상부지지대의 상하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각도조절부는 모터 또는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챔버내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항온항습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챔버의 내부에 2개 이상의 상기 거치부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2개 이상의 상기 거치부에 각각 서로 다른 피대상물이 일정높이로 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분사부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피대상물로 눈을 분사할 경우, 상기 분사부는 하부에 눈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제설기와; 상기 제설기의 배출구가 배출하는 눈을 상기 피대상물로 분사하는 분사관과; 상기 제설기의 배출구와 상기 분사관이 연통되도록 상기 제설기의 배출구와 상기 분사관을 연결시키는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을 통해 상기 분사관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공급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사부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피대상물로 우박을 분사할 경우, 상기 분사부는 하부에 얼음으로 이루어지는 우박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제빙기와; 상기 제빙기의 배출구가 배출하는 얼음으로 이루어지는 우박을 상기 피대상물로 분사하는 분사관과; 상기 제빙기의 배출구와 상기 분사관이 연통되도록 상기 제빙기의 배출구와 상기 분사관을 연결시키는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을 통해 상기 분사관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공급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사부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피대상물로 물을 분사할 경우, 상기 분사부는 상기 피대상물로 분사될 물이 내부에 저장되고, 하부에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의 배출구가 배출하는 물을 상기 피대상물로 분사하는 분사관과; 상기 저장탱크의 배출구와 상기 분사관이 연통되도록 상기 저장탱크의 배출구와 상기 분사관을 연결시키는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을 통해 상기 분사관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공급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분사부의 분사관의 분사속도를 조절하는 분사속도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분사속도조절부는 상기 분기관을 개폐하는 개폐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분사관의 상하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챔버의 내부 하측에 히터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챔버의 배출구와 상기 분사부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공급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공급부는 상기 챔버의 배출구와 상기 분사부에 각각 양단부가 연결되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에 구비되는 펌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챔버의 내부 하측에 눈, 우박, 물 중 선택된 1종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사부는 상기 피대상물로 눈을 분사하는 눈분사부와; 상기 피대상물로 얼음으로 이루어지는 우박을 분사하는 우박분사부와; 상기 피대상물로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눈, 우박, 물 중 선택된 1종을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로 분사하는 분사부를 통해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 주변환경을 눈이 내리는 기후, 우박이 내리는 기후 및 비가 내리는 기후 등과 같은 환경으로 보다 용이하게 조성할 수 있음은 물론 이 상태에서 특히 태양광모듈의 전기발생성능 및 태양광모듈의 강도 등을 포함한 내구성을 보다 용이하게 시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기상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일부확대우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거치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고,
도 4는 챔버의 내부에 2개 이상의 거치부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눈을 분사하는 분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고,
도 6은 우박을 분사하는 분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고,
도 7은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고,
도 8은 눈분사부, 우박분사부 및 물분사부로 구성되는 분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기상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험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크게, 챔버(10), 거치부(20), 분사부(3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챔버(10)는 사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챔버(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101)에는 피대상물(5)이 수용된다.
상기 챔버(10)의 수용공간(101)의 개폐를 위해 상기 챔버(10)의 타측면은 공지된 여닫이식도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챔버(10)의 하부 중심부에는 눈, 우박, 물 중 선택된 1종을 상기 챔버(10)의 하부 외부방향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구(110)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110)로 눈, 우박, 물 중 선택된 1종을 안내판(120)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안내판(120)을 통해 상기 배출구(110)로 눈, 우박, 물 중 선택된 1종이 상기 배출구(110)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안내판(120)의 하부에는 상기 안내판(120)으로 진동을 전달하는 전기식 바이브레이터, 유압식 바이브레이터 등을 포함한 진동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안내판(120)은 일측 안내판(121)과 타측 안내판(1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안내판(121)은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배출구(110)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타측 안내판(122)은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배출구(110)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거치부(20)는 상기 챔버(10)의 수용공간(101)의 하측에 형성된 상기 안내판(120)의 타측 안내판(122)의 상부면에 구비된다.
상기 거치부(20)의 상부에는 상기 챔버(10)의 내부에 수용된 피대상물(5)이 일정높이로 거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분사부(30)는 상기 챔버(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거치부(20)의 상부에 일정높이로 거치된 피대상물(5)로 눈, 우박, 물 중 선택된 1종을 분사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분사부(30)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상기 챔버(10)의 내부 상측 중심부 내주면에 반사갓(102)의 상측이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반사갓(102)의 좌우폭은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질 수 있다.
상기 반사갓(102)의 내부에는 발광램프 등을 포함한 광원부(51)가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51)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거치부(20)에 일정높이로 거치된 피대상물(5)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피대상물(5)은 특히, 태양광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상기 분사부(30)가 상기 태양광모듈로 눈, 우박, 물 중 선택된 1종을 분사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광원부(51)가 상기 태양광모듈로 빛을 조사하게 되면, 상기 태양광모듈은 상기 광원부(51)가 조사하는 빛을 집광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태양광모듈에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태양광모듈이 집광하는 빛의 양을 감지하는 공지된 광량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버(미도시)는 상기 광량센서가 감지한 빛의 양을 근거로 상기 태양광모듈이 발생시키는 전기에너지양을 자동연산하는 연산부가 내장될 수 있고, 상기 연산부가 자동연산한 전기에너지양은 상기 챔버(10)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는 컴퓨터 모티터 등을 포함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숫자 등으로 화면출력될 수 있다.
상기 분사부(30)가 상기 태양광모듈로 눈, 우박, 물 중 선택된 1종을 분사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광원부(51)가 상기 태양광모듈로 빛을 조사하게 됨에 따라 눈, 우박, 물 중 선택된 1종에 따른 상기 태양광모듈의 전기발생성능을 보다 용이하게 시험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2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일부확대우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20)는 지지대(210)와 고정지그(2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10)는 상기 챔버(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101)의 하측에 형성된 상기 안내판(120)의 타측 안내판(122)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을 일정높이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지그(220)는 상기 지지대(2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지그(220)의 내측에는 상기 지지대(210)가 지지하는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상기 피대상물(5)의 상하측이 각각 수용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지그(220)는 상기 지지대(210)의 일측에 일체형성되는 '┏' 형상의 일측고정지그(221)와, 상기 지지대(210)의 타측에 분리가능하게 하단부가 볼트고정되는 ' ┓'형상의 타측고정지그(2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고정지그(221)와 타측고정지그(222)는 상기 지지대(21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일측고정지그(221)의 상단부와 타측고정지그(222)의 상단부는 각각 상기 일측고정지그(221)와 타측고정지그(222)의 내측방향으로 수평으로 각각 절곡될 수 있다.
상기 고정지그(220)에 의해 상기 지지대(210)가 안착지지하는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이 견고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대(210)는 특히, 하부지지대(211), 상부지지대(212) 및 각도조절부(21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대(211)는 상기 챔버(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101)의 하측에 형성된 상기 안내판(120)의 타측 안내판(122)의 상부면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대(211)의 상부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고정축(211a)이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지지대(212)의 하부 중심부에 수직형성되는 지지축(212a)의 하측은 상기 하부지지대(211)의 고정축(211a)의 상단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지지대(212)는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을 일정높이로 안착지지한다.
상기 상부지지대(212)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기 고정지그(2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213)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상부지지대(212)의 상하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213)를 통해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과 함께 상기 상부지지대(212)의 상하각도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각도조절부(213)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터(213a)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모터(213a)는 상기 하부지지대(211)의 고정축(211a)의 후측면 상측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213a)의 구동축(213a1)은 상기 하부지지대(211)의 고정축(211a) 상단부를 관통한 상태로 베어링고정될 수 있다.
상기 모터(213a)의 구동축(213a1)에는 상기 상부지지대(212)의 지지축(212a)의 하측이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모터(213a)의 구동축(213a1)이 정역회전함에 따라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과 함께 상기 상부지지대(212)의 상하각도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1의 거치부(20)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다.
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부(213)는 실린더(213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린더(213b)의 하측은 상기 하부지지대(211)의 일측면 상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213b)의 로드(213b1)의 상측은 상기 상부지지대(212)의 하부면 일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실린더(213b)의 로드(213b1)의 길이가 신장됨에 따라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과 함께 상기 상부지지대(212)의 상하각도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모터(213a) 또는 상기 실린더(213b)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각도조절부(213)를 통해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과 함께 상기 상부지지대(212)의 상하각도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챔버(10)의 상측 내주면 타측에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챔버(10)내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공지된 항온항습부(도 1의 50)가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챔버(10)내에는 상기 챔버(10)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챔버(10)내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입력된 온도설정값과 상기 온도센서가 측정한 온도측정값을 비교 및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입력된 습도설정값과 상기 습도센서가 측정한 습도측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챔버(10)내의 온도와 습도가 각각 희망하는 수치가 되도록 상기 항온항습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항온항습부(50)를 통해 상기 챔버(10)내의 온도수치와 습도수치를 희망하는 수치로 조절하여 피대상물(5) 중 특히 태양광모듈의 전기발생성능을 온도, 습도에 따라 시험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4는 챔버(10)의 내부에 2개 이상의 거치부(20)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챔버(10)의 내부에는 2개 이상의 상기 거치부(20)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2개 이상의 상기 거치부(20)에는 서로 다른 피대상물(5)이 일정높이로 거치되로 수 있다.
가령, 2개 이상의 상기 거치부(20) 중 어느 하나의 거치부(20)에는 태양광모듈 등이 일정높이로 거치될 수 있고, 나머지 다른 하나의 거치부(20)에는 전자부품 등이 거치될 수 있다.
2개 이상의 상기 거치부(20)에 서로 다른 피대상물(5)을 일정높이로 거치시킨 상태에서 서로 다른 피대상물(5)의 성능 및 강도 등을 포함한 내구성을 한번에 시험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5는 눈을 분사하는 분사부(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분사부(30)가 상기 거치부(20)에 거치된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로 눈을 분사할 경우,
상기 분사부(3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설기(310), 분사관(320), 분기관(330) 및 압축공기공급부(34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설기(310)는 상기 챔버(10)의 일측면 상측에 용접 또는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설기(310)는 인공눈을 제조하는 것으로써, 이는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설기(310)의 하부 중심부에는 눈을 상기 제설기(310)의 하부방향으로 배출하는 배출구(3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설기(310)의 하부 일측면과 하부 타측면은 각각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갈수로 상기 배출구(311) 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설기(310)가 제조한 눈이 상기 배출구(311)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설기(310)의 하부 일측면 또는 하부 타측면에는 상기 제설기(310)로 진동을 전달하는 전기식 바이브레이터, 유압식 바이브레이터 등을 포함한 진동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설기(310)의 하부에는 상기 배출구(311)와 연통되는 배출관(311a)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311a)에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배출관(311a)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전자식 개폐밸브(311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사관(320)은 상기 챔버(10)의 일측 내부 상측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사관(320)은 상기 제설기(310)의 배출구(311) 및 배출관(311a)이 배출하는 눈을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로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분기관(330)은 상기 제설기(310)의 배출구(311)와 상기 분사관(320)이 연통되도록 상기 제설기(310)의 배출구(311)와 상기 분사관(32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분기관(330)은 상기 제설기(310)의 하부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분기관(330)은 수직관(331)과 수평관(3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관(331)의 상측은 상기 제설기(310)의 배출관(311a)의 하측에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관(332)의 중심부 상부에는 상기 수직관(331)의 하측이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설기(310)의 배출구(311)와 상기 분사관(320)이 연통되도록 상기 수평관(332)의 타측에는 상기 분사관(320)의 일측이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압축공기공급부(340)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분기관(330)을 통해 상기 분사관(320)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압축공기공급부(340)는 공지된 컴프레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압축공기공급부(340)와 상기 분기관(330)의 수평관(332)은 연결관(3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350)의 일단부는 상기 압축공기공급부(340)에 기밀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관(350)의 타단부는 상기 수평관(332)의 일측에 기밀하게 연결된다.
상기 압축공기공급부(340)가 상기 연결관(350)으로 공급하는 압축공기는 상기 연결관(350) → 상기 분기관(330)의 수평관(332) → 상기 분사관(320) 순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311a)을 통해 상기 분기관(330)의 수평관(332)내로 배출된 눈은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분사관(320)의 내부를 지나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로 분사될 수 있다.
압축공기공급부(340)가 상기 분사관(320)으로 공급하는 압축공기에 의해 눈이 상기 피대상물(5)로 보다 용이하게 일정압력으로 분사공급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6은 우박을 분사하는 분사부(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분사부(30)가 상기 거치부(20)에 거치된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로 우박을 분사할 경우,
상기 분사부(3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빙기(312), 분사관(320), 분기관(330) 및 압축공기공급부(34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빙기(312)는 상기 챔버(10)의 일측면 상측에 용접 또는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기(312)는 얼음조각을 제조하는 것으로써, 이는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빙기(312)의 하부 중심부에는 눈을 상기 제설기(310)의 하부방향으로 배출하는 배출구(3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빙기(312)의 하부 일측면과 하부 타측면은 각각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갈수로 상기 배출구(313) 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빙기(312)가 제조한 얼음조각이 상기 배출구(313)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빙기(312)의 하부 일측면 또는 하부 타측면에는 상기 제빙기(312)로 진동을 전달하는 전기식 바이브레이터, 유압식 바이브레이터 등을 포함한 진동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빙기(312)의 하부에는 상기 배출구(313)와 연통되는 배출관(313a)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313a)에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배출관(313a)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전자식 개폐밸브(313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사관(320)은 상기 챔버(10)의 일측 내부 상측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사관(320)은 상기 제빙기(312)의 배출구(313) 및 배출관(313a)이 배출하는 얼음조각을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로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분기관(330)은 상기 제빙기(312)의 배출구(313)와 상기 분사관(320)이 연통되도록 상기 제빙기(312)의 배출구(313)와 상기 분사관(32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분기관(330)은 상기 제빙기(312)의 하부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분기관(330)은 수직관(331)과 수평관(3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관(331)의 상측은 상기 제빙기(312)의 배출관(313a)의 하측에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관(332)의 중심부 상부에는 상기 수직관(331)의 하측이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빙기(312)의 배출구(313)와 상기 분사관(320)이 연통되도록 상기 수평관(332)의 타측에는 상기 분사관(320)의 일측이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압축공기공급부(340)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분기관(330)을 통해 상기 분사관(320)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압축공기공급부(340)는 공지된 컴프레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압축공기공급부(340)와 상기 분기관(330)의 수평관(332)은 연결관(3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350)의 일단부는 상기 압축공기공급부(340)에 기밀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관(350)의 타단부는 상기 수평관(332)의 일측에 기밀하게 연결된다.
상기 압축공기공급부(340)가 상기 연결관(350)으로 공급하는 압축공기는 상기 연결관(350) → 상기 분기관(330)의 수평관(332) → 상기 분사관(320) 순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313a)을 통해 상기 분기관(330)의 수평관(332)내로 배출된 얼음조각으로 이루어진 우박은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분사관(320)의 내부를 지나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로 분사될 수 있다.
압축공기공급부(340)가 상기 분사관(320)으로 공급하는 압축공기에 의해 얼음조각으로 이루어지는 우박이 상기 피대상물(5)로 보다 용이하게 일정압력으로 분사공급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7은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분사부(30)가 상기 거치부(20)에 거치된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로 물을 분사할 경우,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사부(30)는 저장탱크(314), 분사관(320), 분기관(330) 및 압축공기공급부(34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314)는 상기 챔버(10)의 일측면 상측에 용접 또는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314)의 내부에는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로 분사될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314)의 하부 중심부에는 물을 상기 저장탱크(314)의 하부방향으로 배출하는 배출구(3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314)의 하부 일측면과 하부 타측면은 각각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배출구(315)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저장탱크(314)의 내부에 저장된 물이 상기 배출구(315)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저장탱크(314)의 하부 일측면 또는 하부 타측면에는 상기 저장탱크(314)로 진동을 전달하는 전기식 바이브레이터, 유압식 바이브레이터 등을 포함한 진동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저장탱크(314)의 하부에는 상기 배출구(315)와 연통되는 배출관(315a)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315a)에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배출관(315a)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전자식 개폐밸브(315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사관(320)은 상기 챔버(10)의 일측 내부 상측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사관(320)은 상기 저장탱크(314)의 배출구(315) 및 배출관(315a)이 배출하는 물을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분기관(330)은 상기 저장탱크(314)의 배출구(315)와 상기 분사관(320)이 연통되도록 상기 저장탱크(314)의 배출구(315)와 상기 분사관(32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분기관(330)은 상기 저장탱크(314)의 하부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분기관(330)은 수직관(331)과 수평관(3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관(331)의 상측은 상기 저장탱크(314)의 배출관(315a)의 하측에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관(332)의 중심부 상부에는 상기 수직관(331)의 하측이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314)의 배출구(315)와 상기 분사관(320)이 연통되도록 상기 수평관(332)의 타측에는 상기 분사관(320)의 일측이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압축공기공급부(340)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분기관(330)을 통해 상기 분사관(320)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압축공기공급부(340)는 공지된 컴프레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압축공기공급부(340)와 상기 분기관(330)의 수평관(332)은 연결관(3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350)의 일단부는 상기 압축공기공급부(340)에 기밀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관(350)의 타단부는 상기 수평관(332)의 일측에 기밀하게 연결된다.
상기 압축공기공급부(340)가 상기 연결관(350)으로 공급하는 압축공기는 상기 연결관(350) → 상기 분기관(330)의 수평관(332) → 상기 분사관(320) 순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315a)을 통해 상기 분기관(330)의 수평관(332)내로 배출된 물은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분사관(320) 내부를 지나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로 분사공급될 수 있다.
압축공기공급부(340)가 상기 분사관(320)으로 공급하는 압축공기에 의해 물이 상기 피대상물(5)로 보다 용이하게 일정압력으로 분사공급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분사부(30)의 분기관(330)의 수평관(332)의 일측에는 상기 분사부(30)의 분사관(320)을 통해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로 분사되는 눈, 우박, 물 중 선택된 1종의 분사속도를 조절하는 분사속도조절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분사속도조절부(60)는 상기 분기관(330)의 수평관(332)의 일측을 개폐하는 전자식 개폐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상기 전자식 개폐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분사속도조절부(60)가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분기관(330)의 수평관(332)의 일측을 부분개방할 시 상기 수평관(332)내를 통과하는 압축공기량은 적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분사관(320)을 통해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로 눈, 우박, 물 중 선택된 1종이 저속으로 분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자식 개폐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분사속도조절부(60)가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분기관(330)의 수평관(332)의 일측을 완전개방할 시 상기 수평관(332)내를 통과하는 압축공기량은 많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분사관(320)을 통해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로 눈, 우박, 물 중 선택된 1종이 고속으로 분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분사속도조절부(60)를 통해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로 분사되는 눈, 우박, 물 중 선택된 1종의 분사속도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하여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의 강도 등을 포함한 내구성 시험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사관(320)의 상하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사관(320)은 일측분사관(321), 주름관(322) 및 타측분사관(3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분사관(321)의 일측은 상기 분기관(330)의 수평관(332)의 타측에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주름관(322)의 일측은 상기 일측분사관(321)의 타측에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타측분사관(323)의 일측은 상기 주름관(322)의 타측에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70)는 실린더(7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린더(710)의 하단부는 상기 챔버(10)의 일측 내주면 상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710)의 로드(711)의 상단부는 상기 분사관(320)의 타측분사관(323)의 하부면 중심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실린더(710)의 로드(711)의 길이가 신장됨에 따라 상기 분사관(320)의 타측분사관(323)의 상하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챔버(10)의 내부 하측에 형성된 상기 안내판(120)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열을 발산하는 히터부(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부(90)를 통해 눈, 우박 물 중 선택된 1종 특히 눈, 우박을 보다 용이하게 가열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특히, 상기 챔버(10)의 배출구(110)로 배출될 눈, 우박이 녹아 물로 보다 용이하게 변환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챔버(10)의 배출구(110)와 상기 분사부(30)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공급부(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80)는 공급관(810)과 펌프(8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관(810)은 상기 분사부(30)의 제설기(310)가 눈을 제조하는 데 필요한 물을 상기 제설기(310)로 공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공급관(810)은 상기 분사부(30)의 제빙기(312)가 얼음조각을 제조하는데 필요한 물을 상기 제빙기(312)로 공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공급관(810)는 상기 분사부(30)의 저장탱크(314)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공급관(810)의 일단부는 상기 분사부(30)의 제설기(310)의 상부 일측 또는 상기 분사부(30)의 제빙기(312)의 상부 일측 또는 상기 분사부(30)의 저장탱크(314)의 상부 일측에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급관(810)의 타단부는 상기 챔버(10)의 배출구(110)에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펌프(820)는 상기 공급관(810)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흡입하여 상기 공급관(810)을 통해 상기 분사부(30)의 제설기(310) 또는 상기 분사부(30)의 제빙기(312) 또는 상기 분사부(30)의 저장탱크(314)로 토출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80)를 통해 상기 챔버(10)의 배출구(110)로 배출되는 물을 상기 분사부(30)로 보다 용이하게 순환공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챔버(10)의 내부 하측에는 눈, 우박, 물 중 선택된 1종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1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위감지센서(100)는 상기 챔버(10)의 하부 일측 내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위감지센서(100)는 상기 챔버(10)의 내부 하측에 일정높이로 수용되는 눈, 우박, 물 중 선택된 1종의 수위를 감지하되, 특히 눈, 우박은 상기 히터부(90)에 의해 물로 변환된 상태이다.
상기 수위감지센서(100)는 빛을 발광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가 발광하는 빛을 수광하는 수광소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수위감지센서(100)가 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공급부(80)의 펌프(820)를 구동시키고,
상기 수위감지센서(100)가 감지신호를 출력하지 않게 되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공급부(80)의 펌프(820)의 구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도 8은 눈분사부(31), 우박분사부(32) 및 물분사부(33)로 구성되는 분사부(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사부(30)는,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피대상물(5)로 눈을 분사하는 눈분사부(31)와;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피대상물(5)로 얼음조각으로 이루어지는 우박을 분사하는 우박분사부(32)와;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피대상물(5)로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부(3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눈분사부(31)는 상기 제설기(3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우박분사부(32)는 상기 제빙기(3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물분사부(33)는 상기 저장탱크(3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설기(310)는 상기 챔버(10)의 일측면 상측에 용접 또는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기(312)는 상기 제설기(310)의 일측면에 용접 또는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314)는 상기 제빙기(312)의 일측면에 용접 또는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설기(310)의 배출관(311a)의 하측은 상기 분기관(330)의 수직관(331)의 타측면에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빙기(312)의 배출관(313a)의 하측은 상기 분기관(330)의 수직관(331)의 상부에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314)의 배출관(315a)의 하측은 상기 분기관(330)의 수직관(331)의 일측면에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80)의 공급관(810)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설기(310), 상기 제빙기(312) 및 상기 저장탱크(314)와 각각 연결되는 분기관(8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기관(830)은 제 1분기관(831), 제 2분기관(832) 및 제 3분기관(8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분기관(831)은 상기 공급관(810)과 연통되도록 상기 공급관(810)의 일측 하부면에 상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분기관(831)의 하단부는 상기 제설기(310)의 상부면 중심부에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분기관(832)은 상기 공급관(810)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 1분기관(831)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공급관(810)의 일측 하부면에 상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분기관(832)의 하단부는 상기 제빙기(312)의 상부면 중심부에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3분기관(833)은 상기 공급관(810)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 2분기관(832)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공급관(810)의 일측 하부면에 상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3분기관(833)의 하단부는 상기 저장탱크(314)의 상부면 중심부에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분기관(831), 제 2분기관(832) 및 제 3분기관(833)에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1분기관(831), 제 2분기관(832) 및 제 3분기관(833)을 각각 개폐하는 전자식 개폐밸브(831a, 832a, 833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에는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모드설정부가 누름식 버튼 또는 다이얼 버튼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드설정부는 제 1모드설정부, 제 2모드설정부 및 제 3모드설정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제 1모드설정부를 ON상태로 설정한 경우,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로 눈이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 1분기관(831)의 전자식 개폐밸브(831a), 상기 제설기(310)의 전자식 개폐밸브(311b)를 개방하고,
상기 제 2분기관(832)의 전자식 개폐밸브(832a), 상기 제빙기(312)의 전자식 개폐밸브(313b), 상기 제 3분기관(833)의 전자식 개폐밸브(833a), 상기 저장탱크(314)의 전자식 개폐밸브(315b)를 폐쇄하게 된다.
작업자가 상기 제 2모드설정부를 ON상태로 설정한 경우,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로 얼음조각으로 이루어진 우박이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 2분기관(832)의 전자식 개폐밸브(832a), 상기 제빙기(312)의 전자식 개폐밸브(313b)를 개방하고,
상기 제 1분기관(831)의 전자식 개폐밸브(831a), 상기 제설기(310)의 전자식 개폐밸브(311b), 상기 제 3분기관(833)의 전자식 개폐밸브(833a), 상기 저장탱크(314)의 전자식 개폐밸브(315b)를 폐쇄하게 된다.
작업자가 상기 제 3모드설정부를 ON상태로 설정한 경우,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로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 3분기관(833)의 전자식 개폐밸브(833a), 상기 저장탱크(314)의 전자식 개폐밸브(315b)를 개방하고,
상기 제 1분기관(831)의 전자식 개폐밸브(831a), 상기 제설기(310)의 전자식 개폐밸브(311b), 상기 제 2분기관(832)의 전자식 개폐밸브(832a), 상기 제빙기(312)의 전자식 개폐밸브(313b)를 폐쇄하게 된다.
상기 눈분사부(31), 우박분사부(32) 및 물분사부(33)로 구성되는 상기 분사부(30)를 통해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로 눈, 우박 물 중 선택된 1종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분사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눈, 우박, 물 중 선택된 1종을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로 분사하는 상기 분사부(30)를 통해 태양광모듈 등을 포함한 피대상물(5) 주변환경을 눈이 내리는 기후, 우박이 내리는 기후 및 비가 내리는 기후 등과 같은 환경으로 보다 용이하게 조성할 수 있음은 물론 이 상태에서 특히 태양광모듈의 전기발생성능 및 태양광모듈의 강도 등을 포함한 내구성을 보다 용이하게 시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챔버, 20; 거치부,
30; 분사부.

Claims (18)

  1. 피대상물(5)이 내부에 수용되고, 눈, 우박, 물 중 선택된 1종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110)가 하부에 형성되는 챔버(10)와;
    상기 챔버(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챔버(10)의 내부에 수용된 피대상물(5)이 일정높이로 거치되는 거치부(20)와;
    상기 거치부(20)에 거치된 피대상물(5)로 눈, 우박, 물 중 선택된 1종을 분사하는 분사부(30)와;
    상기 분사부(3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챔버(10)의 내부에 상기 거치부(20)에 일정높이로 거치된 피대상물(5)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51)가 구비되고,
    상기 피대상물(5)은 태양광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20)는 상기 챔버(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대상물(5)을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대(210)와;
    상기 지지대(210)의 일측과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210)가 지지하는 상기 피대상물(5)을 위치고정시키는 고정지그(2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10)는 상기 챔버(10)의 내부에 수직구비되는 하부지지대(211)와;
    상기 하부지지대(211)의 상부에 하부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피대상물(5)을 일정높이로 지지하고, 상기 고정지그(220)가 일측과 타측에 구비되는 상부지지대(212)와;
    상기 상부지지대(212)의 상하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21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213)는 모터(213a) 또는 실린더(213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챔버(10)내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항온항습부(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10)의 내부에 2개 이상의 상기 거치부(20)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2개 이상의 상기 거치부(20)에 각각 서로 다른 피대상물(5)이 일정높이로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30)가 상기 거치부(20)에 거치된 피대상물(5)로 눈을 분사할 경우,
    상기 분사부(30)는 하부에 눈이 배출되는 배출구(311)가 형성되는 제설기(310)와;
    상기 제설기(310)의 배출구(311)가 배출하는 눈을 상기 피대상물(5)로 분사하는 분사관(320)과;
    상기 제설기(310)의 배출구(311)와 상기 분사관(320)이 연통되도록 상기 제설기(310)의 배출구(311)와 상기 분사관(320)을 연결시키는 분기관(330)과;
    상기 분기관(330)을 통해 상기 분사관(320)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공급부(3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30)가 상기 거치부(20)에 거치된 피대상물(5)로 우박을 분사할 경우,
    상기 분사부(30)는 하부에 얼음으로 이루어지는 우박이 배출되는 배출구(313)가 형성되는 제빙기(312)와;
    상기 제빙기(312)의 배출구(313)가 배출하는 얼음으로 이루어지는 우박을 상기 피대상물(5)로 분사하는 분사관(320)과;
    상기 제빙기(312)의 배출구(313)와 상기 분사관(320)이 연통되도록 상기 제빙기(312)의 배출구(313)와 상기 분사관(320)을 연결시키는 분기관(330)과;
    상기 분기관(330)을 통해 상기 분사관(320)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공급부(3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30)가 상기 거치부(20)에 거치된 피대상물(5)로 물을 분사할 경우,
    상기 분사부(30)는 상기 피대상물(5)로 분사될 물이 내부에 저장되고, 하부에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315)가 형성되는 저장탱크(314)와;
    상기 저장탱크(314)의 배출구(315)가 배출하는 물을 상기 피대상물(5)로 분사하는 분사관(320)과;
    상기 저장탱크(314)의 배출구(315)와 상기 분사관(320)이 연통되도록 상기 저장탱크(314)의 배출구(315)와 상기 분사관(320)을 연결시키는 분기관(330)과;
    상기 분기관(330)을 통해 상기 분사관(320)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공급부(3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10.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30)의 분사관(320)의 분사속도를 조절하는 분사속도조절부(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속도조절부(60)는 상기 분기관(330)을 개폐하는 개폐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12.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관(320)의 상하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7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10)의 내부 하측에 히터부(9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10)의 배출구(110)와 상기 분사부(30)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공급부(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80)는 상기 챔버(10)의 배출구(110)와 상기 분사부(30)에 각각 양단부가 연결되는 공급관(810)과;
    상기 공급관(810)에 구비되는 펌프(8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10)의 내부 하측에 눈, 우박, 물 중 선택된 1종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1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30)는 상기 피대상물(5)로 눈을 분사하는 눈분사부(31)와;
    상기 피대상물(5)로 얼음으로 이루어지는 우박을 분사하는 우박분사부(32)와;
    상기 피대상물(5)로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부(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18. 삭제
KR1020110022261A 2011-03-14 2011-03-14 기상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KR101062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261A KR101062523B1 (ko) 2011-03-14 2011-03-14 기상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261A KR101062523B1 (ko) 2011-03-14 2011-03-14 기상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2523B1 true KR101062523B1 (ko) 2011-09-06

Family

ID=44956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261A KR101062523B1 (ko) 2011-03-14 2011-03-14 기상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2523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306B1 (ko) * 2012-01-26 2013-10-0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전지의 시뮬레이션 장치
KR101517301B1 (ko) * 2013-11-21 2015-05-0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열진공 챔버 내 시험 대상물의 각도조절 장치
CN105334153A (zh) * 2015-11-23 2016-02-17 苏州莱测检测科技有限公司 一种耐腐蚀性检测装置
KR101852944B1 (ko) 2016-12-08 2018-04-27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투·보수블록 열섬저감 성능평가 장치, 설비 시스템 및 열섬저감 성능평가 방법
KR101914125B1 (ko) * 2017-05-02 2018-11-0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전지모듈 기계적 내구성 평가 장치
KR20200109693A (ko) * 2019-03-14 2020-09-23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블록의 증발성능 평가 방법
KR20210039510A (ko) * 2019-10-01 2021-04-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태양광 패널 수명 가속시험방법
KR20210085358A (ko) 2019-12-30 2021-07-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전지 셀 유닛의 내구성 시험 장치
KR20220006874A (ko) * 2020-07-09 2022-01-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태양광패널 출력 측정장치
KR20220150780A (ko) * 2021-05-04 2022-11-11 한국화학연구원 기후환경 모사를 이용한 미세플라스틱 물질 제조 방법 및 제조장치
KR102606408B1 (ko) * 2023-08-14 2023-11-24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융·제설 성능 평가 방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306B1 (ko) * 2012-01-26 2013-10-0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전지의 시뮬레이션 장치
KR101517301B1 (ko) * 2013-11-21 2015-05-0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열진공 챔버 내 시험 대상물의 각도조절 장치
CN105334153A (zh) * 2015-11-23 2016-02-17 苏州莱测检测科技有限公司 一种耐腐蚀性检测装置
KR101852944B1 (ko) 2016-12-08 2018-04-27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투·보수블록 열섬저감 성능평가 장치, 설비 시스템 및 열섬저감 성능평가 방법
KR101914125B1 (ko) * 2017-05-02 2018-11-0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전지모듈 기계적 내구성 평가 장치
KR102189720B1 (ko) 2019-03-14 2020-12-11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블록의 증발성능 평가 방법
KR20200109693A (ko) * 2019-03-14 2020-09-23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블록의 증발성능 평가 방법
KR20210039510A (ko) * 2019-10-01 2021-04-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태양광 패널 수명 가속시험방법
KR102307345B1 (ko) * 2019-10-01 2021-10-0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태양광 패널 수명 가속시험방법
KR20210085358A (ko) 2019-12-30 2021-07-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전지 셀 유닛의 내구성 시험 장치
KR20220006874A (ko) * 2020-07-09 2022-01-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태양광패널 출력 측정장치
KR102455447B1 (ko) * 2020-07-09 2022-10-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태양광패널 출력 측정장치
KR20220150780A (ko) * 2021-05-04 2022-11-11 한국화학연구원 기후환경 모사를 이용한 미세플라스틱 물질 제조 방법 및 제조장치
KR102477210B1 (ko) 2021-05-04 2022-12-12 한국화학연구원 기후환경 모사를 이용한 미세플라스틱 물질 제조 방법 및 제조장치
KR102606408B1 (ko) * 2023-08-14 2023-11-24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융·제설 성능 평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2523B1 (ko) 기상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KR101062603B1 (ko) 사막기후 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CN201522360U (zh) 淋雨滴雨合一的环境试验装置
CN207280921U (zh) 氙灯老化试验箱
JP2000209970A (ja) 立体式水耕栽培設備
CN113376084A (zh) 一种模拟极端气候环境的电缆测试监控方法
CN107328686B (zh) 一种多因素耦合作用下沥青与集料黏附性试验装置
KR102397540B1 (ko) 광조사면의 균일성을 개선한 내후성 시험기
CN105043717A (zh) 汽车后视镜除霜除雾性能检测系统及其检测方法
CN104235905B (zh) 一种易拆卸的集成灶
CN207300833U (zh) 一种稳态模拟和紫外老化一体式试验箱
CN215540963U (zh) 一种恒温恒湿试验箱
CN110186839A (zh) 一种沥青紫外光加速老化箱
CN208063648U (zh) 一种用于电气设备的冷却装置
CN107131472A (zh) 一种蓄电池内置的太阳能led路灯
KR101315306B1 (ko) 태양전지의 시뮬레이션 장치
CN201141900Y (zh) 一种老化测试系统
CN110670532B (zh) 防冻装置及防冻隧道
CN111157438A (zh) 综合环境试验设备
CN208187657U (zh) 一种空调压缩机缸体缸盖密封性检漏装置
CN111220534A (zh) 沥青混合料多因素耦合老化模拟装置
KR102557057B1 (ko) 재배 시스템
CN215448953U (zh) 一种电感耦合等离子体发射光谱仪用温控装置
CN204902411U (zh) 蒸汽杀菌冰箱
CN108562107A (zh) 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