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212B1 - 태양전지 모듈의 먼지시험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태양전지 모듈의 먼지시험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212B1
KR101588212B1 KR1020140067424A KR20140067424A KR101588212B1 KR 101588212 B1 KR101588212 B1 KR 101588212B1 KR 1020140067424 A KR1020140067424 A KR 1020140067424A KR 20140067424 A KR20140067424 A KR 20140067424A KR 101588212 B1 KR101588212 B1 KR 101588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solar cell
cell module
win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0427A (ko
Inventor
김경수
강기환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67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212B1/ko
Publication of KR20150140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0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H02S50/10Testing of PV devices, e.g. of PV modules or single PV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45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including thin film solar cells, e.g. single thin film a-Si, CIS or CdTe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전지 모듈의 먼지시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막 환경과 동일한 먼지 환경을 발생시켜 태양전지 모듈의 신뢰성을 테스트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막 환경에서 발생되는 모래 바람을 재현하는 모래 먼지 발생부; 태양전지 모듈이 상기 모래 바람에 다양한 각도로 노출되도록 거치하는 태양전지 모듈 거치부; 및 상기 모래 바람에 노출된 태양 전지 모듈의 성능을 측정하는 태양전지 모듈 검사부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의 먼지시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사막 환경에서 발생되는 모래 바람을 재현하는 모래 먼지 생성 단계; 태양전지 모듈이 상기 모래 바람에 다양한 각도로 노출되도록 거치하는 태양전지 모듈을 거치하여 테스트를 수행하는 사막 환경 시뮬레이션 단계; 및 상기 모래 바람에 노출된 태양 전지 모듈의 성능을 측정하는 태양전지 모듈 검사 단계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의 먼지시험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태양전지 모듈의 먼지시험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TESTING SOLAR CELL MODULE AT SANDY CONDI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태양전지 모듈의 먼지시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막 환경과 동일한 먼지 환경을 발생시켜 태양전지 모듈의 신뢰성을 테스트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래의 청정 에너지기술로 각광받고 있는 태양전지는 옥외에서 365일 가혹한 날씨 조건하에 노출되어 장기간 설치 및 운영됨에 따라 오랜 기간 동안 초기의 성능을 지속해주는 장기 안정성이 중요한 기술적 사안 중에 하나이다. 도 1은 통상적인 태양전지의 성능 열화 경향을 보인다. 이와 같은 열화 특성으로 인해 장기간의 사용이 필요한 태양전지에 대해서는 열화 테스트를 통해 개발 제품의 장기 안정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특히 태양전지 발전 시스템은 한번 옥외에 설치한 경우 최소 20년에서 25년 이상까지 지속적으로 사용을 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어 제품개발 초기에 그와 같은 장기 안정성을 테스트하는 것은 필수적인 사항이다.
20년 이후의 태양전지 성능을 확인하는 가장 신뢰성 있는 방법은 실제로 20년 경과 후에 성능저하를 측정하는 것이지만, 20년은 물리적으로 너무나 긴 시간이다. 특히 각 업체별, 기술별로 새로운 형태나 재료를 사용한 다양한 태양전지들이 나올 때마다 20년을 기다려 성능저하를 확인한 이후 출하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하므로 실제로 20년을 기다리지 않더라도 단시간에 동일한 열화 기간에 해당하는 성능저하를 예측할 수 있는 신뢰성이 있는 기법이 제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81053호(태양전지 열화 테스트 챔버 및 이를 이용한 테스트 방법)에서는 인조광을 이용한 태양전지 열화 테스트 챔버 및 테스트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최근 사막지역의 태양광발전에 대한 관심사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사막 환경에서의 태양전지 열화정도를 측정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막의 모래 환경을 재현하여 사막 환경에서의 태양전지 열화를 테스트할 수 있는 태양전지 모듈의 먼지시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모래 바람을 재현하는 모래 먼지 발생부; 태양전지 모듈이 상기 모래 바람에 노출되도록 거치하는 태양전지 모듈 거치부; 및 상기 모래 바람에 노출된 태양 전지 모듈의 성능을 측정하는 태양전지 모듈 검사부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의 먼지시험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모래 먼지 발생부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이 설치될 사막에서 채취한 테스트용 모래를 이용하여 상기 모래 바람을 재현한다.
상기 모래 먼지 발생부는 상기 테스트용 모래를 수용하는 모래 수용부; 상기 테스트용 모래를 굵기에 따라 분류하는 모래 필터부; 및 상기 모래 필터부에 의해 분류된 모래를 송풍하는 송풍팬을 포함한다.
상기 태양전지 모듈 검사부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 빛을 조사하는 테스트 광원; 상기 태양전지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전기적 특징을 측정하는 측정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태양전지 모듈 검사부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전기 발광(Electroluminescence)을 측정하는 EL 카메라를 더 포함한다.
한편, 태양전지 모듈의 먼지시험 장치는 각각의 사막 환경에서 발생되는 모래 바람 데이터를 저장하는 시뮬레이션 환경 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사막 환경 테스트를 수행한다.
상기 모래 먼지 발생부 및 상기 태양전지 모듈 거치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모래 먼지를 회수하는 모래 회수부가 구비된다.
상기 모래 먼지 발생부는 상기 모래 바람을 미리 정해진 온도가 되도록 가열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사막 환경에서 발생되는 모래 바람을 재현하는 모래 먼지 생성 단계; 태양전지 모듈이 상기 모래 바람에 다양한 각도로 노출되도록 거치하는 태양전지 모듈을 거치하여 테스트를 수행하는 사막환경 시뮬레이션 단계; 및 상기 모래 바람에 노출된 태양 전지 모듈의 성능을 측정하는 태양전지 모듈 검사 단계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의 먼지시험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모래 먼지 생성 단계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이 설치될 사막에서 채취한 테스트용 모래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 모듈 검사 단계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전기 발광(Electroluminescence)을 측정하는 EL 카메라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먼지시험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실제 사막 환경과 유사한 테스트 환경을 제공하므로 태양전지 모듈의 열화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테스트 결과를 이용하여 사막 환경에서 신뢰성을 가지는 태양전지 모듈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통상적인 태양전지의 성능 열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먼지시험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래 먼지 발생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먼지시험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먼지 시험 장치의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시험 장치(100)는 모래 먼지 발생부(110), 태양전지 모듈 거치부(120) 및 태양전지 모듈 검사부(130)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먼지 시험 장치(100)는 시뮬레이션 환경 저장부(미도시), 모래 회수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래 먼지 발생부(110)는 사막 환경에서 발생되는 모래 바람을 재현한다.
실시예에 따라 먼지 시험 장치(100)는 사막 환경에서 발생되는 모래 바람 데이터를 저장하는 시뮬레이션 환경 저장부에 기록된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사막 환경에서 발생되는 모래 바람을 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뮬레이션 데이터는 각 사막의 모래 바람 풍속, 모래의 굵기, 온도 및 일교차와 같은 기후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모래 먼지 발생부(110)는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사막의 모래 바람을 재현하게 된다.
모래 바람의 온도 변화를 위하여 모래 먼지 발생부(110)는 공기를 미리 정해진 온도가 되도록 가열하는 가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래 먼지 발생부(110)는 사막 환경을 재현하고자 하는 지역의 사막 모래를 사용하여 모래 바람을 재연할 수 있다.
태양전지 모듈 거치부(120)는 태양전지 모듈(200)을 거치한다. 실시예에따라 태양전지 모듈 거치부(120)는 상하 좌우 틸트 암을 더 포함하여 시뮬레이션 환경 저장부로부터 모래가 입사하는 각도를 전달받아 태양전지 모듈(200)과 모래 바람이 접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태양전지 모듈 검사부(130)는 태양전지 모듈(200)을 검사하여 태양전지 모듈(200)의 열화도를 측정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태양전지 모듈 검사부(130)는 테스트 광원(131), 측정기(132) 및 EL 카메라(133)를 포함한다.
테스트 광원(131)은 태양전지 모듈(200)의 전력 생산을 테스트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광원 또는 LED 광원등이 태양전지 테스트 광원(131)으로 사용될 수 있다.
측정기(132)는 태양전지 모듈(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태양전지 모듈(200)의 전기적 특징을 측정한다.
EL 카메라(133)는 태양전지의 EL(Electro-Luminescence) 현상을 이용하여 태양전지 모듈(200)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것이다. EL 카메라(133)를 이용하여 테스트가 종료된 태양전지 모듈(200)을 구성하는 태양전지 셀의 균열 및 단선등과 같은 결함을 측정할 수 있다.
태양전지 모듈(200)은 일반 실리콘 계열, 박막계열이나 CIGS계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태양전지 모듈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먼지 시험 장치(100)는 사용된 모래의 회수를 위하여 모래 먼지 발생부(110) 및 태양전지 모듈 수용부(120)를 수용하는 하우징(미도시) 및 모래를 회수하는 모래 회수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래 먼지 발생부를 나타낸다.
모래 먼지 발생부(110)는 모래 수용부(111), 모래 필터부(112) 및 송풍팬(113)을 포함한다.
모래 수용부(111)는 테스트용 모래를 수용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모래 먼지 발생부(110)에는 한 개의 모래 수용부(111)가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모래 먼지 발생부(110)는 여러 개의 모래 수용부(111)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사막 환경을 재현하고자 하는 지역의 모래를 테스트용 모래로 사용할 수 있다.
모래 필터부(112)는 테스용 모래를 필터링 하여 모래 바람을 이루는 모래 입자의 굵기를 조절할 할 수 있다.
모래 필터부(112)는 간격이 각각 다른 복수개의 그물(제1 그물, 제2 그물... 및 제N 그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그물들의 조합에 의해 10㎛ 이하의 크기로부터 mm 단위의 크기까지 모래 입자의 굵기를 조절할 수 있다.
송풍팬(113)은 기류를 형성하여 모래 필터부(112)를 통과한 모래 입자가 모래 바람이 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먼지시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먼지 시험 장치(100)를 시계열적으로 구현한 경우에도 본 실시예에 해당하므로, 모래 먼지 발생부(110), 태양전지 모듈 거치부(120) 및 태양전지 모듈 검사부(130)에 대하여 설명된 부분은 본 실시예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먼지시험 방법은, 모래바람 생성 단계(S410), 사막환경 시뮬레이션 단계(S420) 및 태양전지 모듈 검사 단계(S430)를 포함한다.
S410 단계에서, 모래 먼지 발생부(110)는 사막 환경에서 발생되는 모래 바람을 생성한다.
S420 단계에서, 태양전지 거치 모듈(120)은 시뮬레이션 환경에 따라 거치된 태양전지 모듈(200)의 각도를 변화시키며 사막 환경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S430 단계에서, 태양전지 검사부(130)는 시뮬레이션이 완료된 태양전지 모듈(200)의 성능을 측정한다.
모래 먼지 발생부(110), 태양전지 거치 모듈(120) 및 태양전지 검사부(130)는 도 2 내지 도 3에서 설명되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200 : 태양전지 모듈
100 : 먼지시험 장치
110 : 모래 먼지 발생부 111 : 모래 수용부
112 : 모래 필터부 113 : 송풍 팬
120 : 태양전지 모듈 거치부
130 : 태양전지 모듈 검사부 131 : 테스트 광원
132 : 측정기 133 : EL 카메라

Claims (11)

  1. 모래 바람을 재현하는 모래 먼지 발생부;
    태양전지 모듈이 상기 모래 바람에 노출되도록 거치하는 태양전지 모듈 거치부;
    상기 모래 바람에 노출된 태양 전지 모듈의 성능을 측정하는 태양전지 모듈 검사부; 및
    모래 바람 데이터를 저장하는 시뮬레이션 환경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래 먼지 발생부가 테스트용 모래를 수용하는 모래 수용부, 상기 테스트용 모래를 굵기에 따라 분류하는 모래 필터부 및 상기 모래 필터부에 의해 분류된 모래를 송풍하여 모래 바람을 만드는 송풍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모래 먼지 발생부는 상기 송풍팬에서 나가는 모래 바람을 미리 정해진 온도가 되도록 가열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래먼지 발생부는 상기 시뮬레이션 환경 저장부에 기록된 각 사막의 모래 바람 풍속, 모래의 굵기, 온도 및 일교차를 포함하는 기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송풍팬과 상기 모래 필터부 및 상기 가열부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송풍팬에서 나가는 모래 바람의 풍속과 모래의 굵기 및 온도를 각 사막의 모래 바람과 같게 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의 먼지시험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모듈 검사부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 빛을 조사하는 테스트 광원;
    상기 태양전지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전기적 특징을 측정하는 측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의 먼지시험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모듈 검사부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전기 발광(Electroluminescence)을 측정하는 EL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의 먼지시험 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모듈은 실리콘계 태양전지 모듈 및 박막계열 태양전지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의 먼지시험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래 먼지 발생부 및 상기 태양전지 모듈 거치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모래 먼지를 회수하는 모래 회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의 먼지시험 장치.
  8. 삭제
  9. 모래 바람을 재현하기 위하여 테스트용 모래를 수용하는 모래 수용부, 상기 테스트용 모래를 굵기에 따라 분류하는 모래 필터부, 상기 모래 필터부에 의해 분류된 모래를 송풍하며 모래 바람을 만드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에서 나가는 모래 바람을 미리 정해진 온도가 되도록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모래 먼지 발생부, 태양전지 모듈을 상기 모래 바람에 노출되도록 거치하는 태양전지 모듈 거치부, 상기 모래 바람에 노출된 태양 전지 모듈의 성능을 측정하는 태양전지 모듈 검사부 및 모래 바람 데이터를 저장하는 시뮬레이션 환경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태양전지 모듈의 먼지시험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먼지시험 방법으로서,
    모래 바람을 재현하는 모래 먼지 생성 단계;
    상기 태양전지 모듈이 상기 모래 바람에 다양한 각도로 노출되도록 상기 태양전지 모듈을 거치하여 테스트를 수행하는 사막 환경 시뮬레이션 단계; 및
    상기 모래 바람에 노출된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성능을 측정하는 태양전지 모듈 검사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막 환경 시뮬레이션 단계는 상기 시뮬레이션 환경 저장부에 기록된 각 사막의 모래 바람 풍속, 모래의 굵기, 온도 및 일교차를 포함하는 기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송풍팬과 상기 모래 필터부 및 상기 가열부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송풍팬에서 나가는 모래 바람의 풍속과 모래의 굵기 및 온도를 각 사막의 모래 바람과 같게 재현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의 먼지시험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모래 먼지 생성 단계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이 설치될 사막에서 채취한 테스트용 모래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의 먼지시험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모듈 검사 단계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전기 발광(electroluminescence)을 측정하는 EL 카메라에 의해 수행되는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의 먼지시험 방법.
KR1020140067424A 2014-06-03 2014-06-03 태양전지 모듈의 먼지시험 장치 및 그 방법 KR101588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424A KR101588212B1 (ko) 2014-06-03 2014-06-03 태양전지 모듈의 먼지시험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424A KR101588212B1 (ko) 2014-06-03 2014-06-03 태양전지 모듈의 먼지시험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427A KR20150140427A (ko) 2015-12-16
KR101588212B1 true KR101588212B1 (ko) 2016-01-25

Family

ID=55080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424A KR101588212B1 (ko) 2014-06-03 2014-06-03 태양전지 모듈의 먼지시험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2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46252A (zh) * 2019-07-18 2019-10-18 华北电力大学(保定) 一种可视化太阳能光伏板积灰实验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29477A (ja) * 2009-07-28 2011-02-10 Aitesu:Kk 太陽光発電素子の検査装置
KR101062603B1 (ko) * 2011-03-14 2011-09-0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사막기후 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306B1 (ko) * 2012-01-26 2013-10-0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전지의 시뮬레이션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29477A (ja) * 2009-07-28 2011-02-10 Aitesu:Kk 太陽光発電素子の検査装置
KR101062603B1 (ko) * 2011-03-14 2011-09-0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사막기후 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427A (ko) 201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538391B (zh) 一种基于Yolov4和热红外图像的光伏缺陷检测方法
Schuss et al. Detecting defects in photovoltaic panels with the help of synchronized thermography
Owen-Bellini et al. Combined-accelerated stress testing for advanced reliability assessment of photovoltaic modules
Gabor et al. Mechanical load testing of solar panels—Beyond certification testing
CN105651681B (zh) 薄膜太阳能电池自然老化试验方法和装置
Park et al. Application of gamma process model to estimate the lifetime of photovoltaic modules
Corrado et al. Simulated hail impacts on flexible photovoltaic laminates: testing and modelling
KR20170042034A (ko) 태양광 모듈의 성능 평가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20140076400A1 (en) System for monitoring operating angle of solar tracker in real time
KR102523701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태양광 모듈의 품질 예측 장치 및 방법
KR101588212B1 (ko) 태양전지 모듈의 먼지시험 장치 및 그 방법
CN205160472U (zh) 光伏检测的装置
JP2016059164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検査方法
US20120160295A1 (en) Solar cell classification method
Bouaichi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potential induced degradation (PID) impact and recovery on crystalline photovoltaic systems
JP2017055657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検査装置およびその検査方法
Meena et al. Investigation of dominant degradation mode in field‐aged photovoltaic modules using novel differential current‐voltage analysis approach
KR101684248B1 (ko) 태양전지 모듈의 그늘 테스트 장치 및 그 방법
CN110414026B (zh) 一种光伏组件使用寿命的评估方法
KR20210067111A (ko) 이동형 태양광 모듈 검사차량 및 그 검사방법
Hacke et al. Acceleration Factors for Combined‐Accelerated Stress Testing of Photovoltaic Modules
Dobaria et al. Investigation of failure and degradation types of solar PV plants in a composite climate: Abstract after 4–6 years of field operation
US10931229B2 (en) Solar cell testing system and testing method thereof
KR102578001B1 (ko)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och et al. Prediction model for potential induced degradation effects on crystalline silicon ce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