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2114B1 - 차량, 항공기 또는 선박 내에 현수 배치된 안전 시트 - Google Patents

차량, 항공기 또는 선박 내에 현수 배치된 안전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114B1
KR101062114B1 KR1020067004400A KR20067004400A KR101062114B1 KR 101062114 B1 KR101062114 B1 KR 101062114B1 KR 1020067004400 A KR1020067004400 A KR 1020067004400A KR 20067004400 A KR20067004400 A KR 20067004400A KR 101062114 B1 KR101062114 B1 KR 101062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vehicle
harness
passenger
aircr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4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4452A (ko
Inventor
홀거 한젠
Original Assignee
아우토플루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플루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아우토플루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054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4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60N2/4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ver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specially constructed for use on tractors or like off-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7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permanently locking the retractor during the wearing of the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5/00Emergency apparatus o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25/02Supports or holding means for living bodies
    • B64D25/06Harn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7/00Armoured or armed vehicles
    • F41H7/02Land vehicles with enclosing armour, e.g. tanks
    • F41H7/04Armour construction
    • F41H7/046Shock resilient mounted seats for armoured or fight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2Underrun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Woven Fabr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차량, 항공기 또는 선박용 안전 시트는, 차량의 고정점에 현수되며 승객을 지지하는 하니스(10)로 구성되고, 하니스(10)로부터 직물 지지 벨트들(17, 19, 21, 23)은, 부착된 상기 지지 벨트들(17, 19, 21, 23)을 각각 권취 방향으로 예비 인장하며 차량의 고정점에 배치된 벨트 리트랙터들(18, 20, 22, 24)까지 안내된다. 이 경우 승객이 작동시킬 수 있는 스위치 장치(25, 26)가 제공되며, 상기 장치에 의해 벨트 리트랙터들(18, 20, 22, 24)은 권취 방향으로 사전 설정된 예비 응력에 대항해서 밸트 스트랩이 자유롭게 배출될 수 있는 자유 진행 상태로, 또는 벨트 권취 방향 및 벨트 배출 방향으로 벨트 샤프트가 각각 완전히 로킹되는 로킹 상태로, 또는 벨트 배출 방향으로만 벨트 리트랙터가 로킹되는 위치 설정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Figure R1020067004400
하니스, 벨트 리트랙터, 스위치 장치, 종방향 벨트, 지지 벨트, 후면 벨트

Description

차량, 항공기 또는 선박 내에 현수 배치된 안전 시트{SAFETY SEAT THAT IS SUSPENDED IN LAND VEHICLES, AIRCRAFT OR SEA VESSELS}
본 발명은 차량, 항공기 및 선박용 안전 시트에 관한 것이며, 시트 상에서 수송될 승객들은 특히 차량이 가속화될 때 상기 안전 시트에 의해 안전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유형의 안전 시트, 특히 항공기 분야에 적용되는 안전시트는 국제 공개 공보 제WO 98/47762호와 이 공개 공보에 설명된 다른 문헌들에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유형의 안전 시트는 일반적으로 부동의 시트면을 포함하며, 이 시트면은 상응하는 버팀대(strut)에 의해서 차량의 차체(corpus)에, 특히 차량 바닥에 연결된다. 할당된 하니스는 일반적으로 2개의 숄더 벨트와 2개의 랩 벨트(lap belt)로 이루어지고, 랩 벨트의 단부는 차량에 고정되며 그 다른 단부는 수송될 승객의 몸 앞에 배치된 중앙의 버클 내로 삽입 결합된다.
특히 장갑(armour-plated) 차량에 사용될 경우, 차량 바닥 아래에서 지뢰가 폭발함으로써 일어나는 가속의 결과에 대해서, 시트 위에 앉은 사람을 보호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때 일반적으로 차량 전체가 바닥으로부터 상승할 뿐만 아니라 차량 바닥도 안쪽으로 매우 심하게 휜다. 차체에 고정 연결된 안전 시트는, 주행 작동시 발생하는 충격과 진동을 승객에게 전달할 뿐만 아니라, 바닥이 융기하는 것에 대해서도 승객을 충분히 보호하지 않기 때문에 상응하는 안전상의 위험을 갖는다.
대안으로서, 해당 차량의 지붕에 적절한 안전 시트를 현수 배치하는 것은 이미 공지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유형의 시트는 일반적으로 매우 무겁고 따라서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단점을 가지며, 이와 동시에 차량 바닥에 대해서 현저한 간격을 유지해야 하므로 시트를 설치하기 위한 필요 공간이 더욱 커진다.
마지막으로, 안전 시트는 모든 시트 유형의 경우 차량에 내장된 고정물이며, 이는 차량에 앉은 승객, 특히 군사 분야에서 상응하는 업무를 실행하는 승객의 운동의 자유도를 심하게 제한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승객의 다양한 신체 사이즈에 안전 시트를 적응시키는 것도 제공되지 않는다.
승객의 신체를 등과 측방향으로는 머리 높이 넘어서까지 둘러싸며 입구(access)를 포함하는 직물 케이싱으로 이루어진 안전 시트가 독일 특허 제43 03 719 A1호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며, 안전 시트의 상부와 하부는 케이싱에 부착된 지지 벨트에 의해서 차량의 바닥과 지붕 영역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독일 특허 제101 30 631호에는 지뢰 방지용 차량에 내장되며 안전 벨트가 제공된 차량 시트가 제시되고, 이는 차량 시트를 차량 바닥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에 의해서 차량 측벽의 상부 영역에 현수된다.
미국 특허 제5 642 916호도 차량 내에 내장된 시트를 대상으로 하며, 그 기본 프레임은 시트면의 운동을 허용하고, 시트면은 벨트 리트랙터(belt retractor)에 지지된 지지 벨트에 의해 차량에 고정된다.
미국 특허 제4 909 499호에 설명된 차량 시트에는 차량이 가속될 때, 차량 승객의 머리를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한 벨트 장치가 제공된다.
마지막으로 독일 특허 제199 57 814 A1호에는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 리트랙터가 설명되며, 상기 벨트 리트랙터는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는 로킹 장치 및 전자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이들은 벨트 리트랙터의 다양한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내에 공간 절약 방식으로 장착되고 이와 동시에 차량 내에서 작업을 수행할 때 승객의 운동 자유도를 최대한으로 보장하는, 보편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안전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바람직한 실시예와 변형예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후속되는 청구범위의 내용으로부터 달성된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차량의 고정점에 현수되며 고정된 장착품 없이 승객의 신체에 연결되어 승객을 지지하는 하니스로 구성된 차량, 항공기 및 선박용 안전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며, 하니스로부터 직물 지지 벨트들은, 연결된 상기 지지 벨트들을 각각 권취 방향으로 예비 인장하며 차량의 고정점에 배치된 벨트 리트랙터들까지 안내된다. 이 경우 승객이 작동시킬 수 있는 스위치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스위칭 장치에 의해 벨트 리트랙터들은 권취 방향으로 사전 설정된 예비 응력에 대항해서 밸트 스트랩이 배출될 수 있는 자유 진행 상태로, 또는 벨트 권취 방향 및 벨트 배출 방향으로 벨트 샤프트가 각각 완전히 로킹되는 로킹 상태로, 또는 벨트 배출 방향으로만 벨트 리트랙터가 로킹되는 위치 설정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고정 장착품을 생략한 채, 승객의 몸에 연결된 하니스에만 안전 시트를 연결하고, 차량에 고정되게 배치된 벨트 리트랙터에 하니스를 지지 벨트에 의해 현수해서, 승객의 신체에 맞춰진 시트와 함께 차량 승객을, 벨트 리트랙터에 의해 형성된 고정점들 사이에 카르단식으로 현수하는 원리에 기초한다. 그러나 차량의 특정 주행 상태의 경우, 또는 특정 작업 운동의 경우 시트의 소정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우선 벨트 리트랙터는 권취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지지 벨트에 가해지는 예비 응력을 받으며 또한 차량 승객에 의해 조작될 스위치 장치에 의해 다양한 작동 상태들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제1 스위치 상태는 정리되지 않은 벨트 리트랙터로부터 지지 벨트가 배출될 수 있고 자동으로 다시 권취될 수 있는 벨트 리트랙터의 자유 진행(free-running)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하니스를 사용하여 벨트 리트랙터에 연결된 승객은 고정점들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지지 벨트의 권취 방향으로 형성된 예비 응력으로 인해 지지 벨트의 각각의 자유로운 벨트 길이는 방지된다. 제2 스위치 상태는 벨트 스트랩 배출과 벨트 스트랩 인입에 대항해서 벨트 리트랙터를 완전히 로킹하며, 이 스위치 위치에서 지지 벨트는 인장되지만,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차량 승객은 고정점들 사이에 고정되며 이로써 더 큰 운동 가능성 없이 고정된다. 제3 스위치 상태에서는 벨트 스트랩 인입만이 전적으로 가능한 반면, 벨트 스트랩 배출은 로킹됨으로써, 리와인딩 로킹 방식이 구현되고 즉, 그러한 범주 내에서 차량 승객의 운동에 의해 릴리스된 지지 벨트의 벨트 길이가 인입되지만, 차량 승객은 마지막으로 취한 위치에 고정되므로 위치 설정 상태가 구현된다.
이와 같은 스위치 장치에 의거해, 한편으로 차량 승객의 운동의 최대한의 자유도가 주어지는 반면, 다른 한편으로는 차량 내의 임의의 위치 내에 차량 승객이 안전하게 지지되고 고정되며, 이는 장갑 차량 내의 부하 프로파일에 의거해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하니스는, 상반신을 따라 연장된 2개의 종방향 벨트들을 구비하며 승객의 둔부를 아래에서 둘러싸는 벨트 슬링(belt sling)과, 승객의 등 뒤에서 종방향 벨트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면 벨트와, 종방향 벨트들로부터 시작되며 승객의 어깨 위로 안내되는 2개의 숄더 벨트와, 종방향 벨트에 연결된 2개의 랩 벨트들로 구성된다. 이 경우 숄더 벨트들과 랩 벨트들의 자유 단부들은 중앙 버클에서 서로 삽입 결합된다.
보충적으로, 하니스의 종방향 벨트는 지지 벨트가 연장되면서, 차량 승객의 상부에 부착된 각각 하나의 벨트 리트랙터에 대해서 안내되며 추가의 2개의 지지 벨트들은 차량 승객의 골반 영역에서 버클에 연결되어 시트 방향으로 차량 승객 앞에 부착된 각각 하나의 벨트 리트랙터로 안내되므로, 차량 승객을 지지하는 하니스는 각각 서로 떨어져 있는 적어도 4개의 벨트 리트랙터에 현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차량 승객의 가능한 시트 위치와 관련해서 소위 메모리 기능을 수행하도록 준비된다. 따라서 차량의 특정한 사용 조건 하에서 차량 승객은 최상단 위치로부터 시작해서 한편으로 매우 신속하게 차량 내의 최하단 위치를 취할 수 있으며,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매우 신속하게 차량 내의 사전 설정된 작업 위치를 바로 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벨트 리트랙터로 각각 안내된 지지 벨트는 루프형으로 통과하게 하니스에 지지되며, 하니스로부터 추가의 벨트 리트랙터로 계속해서 안내되므로, 각각의 지지 벨트는 통과 루프의 양측으로 하니스에 위치한 2개의 단부들에서 각각 하나의 벨트 리트랙터에 연결되며, 다른 벨트 리트랙터들은 각각 자유 진행 상태, 로킹 상태, 및 위치 설정 상태의 기능을 갖는 추가의 스위치 장치들에 연결된다. 추가의 제2 스위치 장치는 메모리 기능에 사용되며, 상기 장치에 의해서 제어된 추가의 4개의 벨트 리트랙터들과의 상호 작용 하에, 차량 승객이 사전 설정된 시트 위치를 신속하게 다시 취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이와 관련해서, 지지 벨트의 길이는 모든 벨트 리트랙터로부터 벨트 스트랩이 완전히 배출될 때 안전 시트의 최하단 위치가 형성되도록 책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앞서 설명한 메모리 기능은 벨트 리트랙터가 각각 개별적으로 상응하게 형성됨으로써 제공될 수 있으므로, 많은 수의 벨트 리트랙터들은 필요하지 않다. 또한 이미 사용되는 벨트 리트랙터가 상기 메모리 기능을 위해서도 쓰여져야 하는 한, 지지 벨트 각각은 루프 형태로 통과하게 하니스에 고정되며 통과 루프의 양측으로 하니스에 위치한 2개의 단부들은 해당 벨트 리트랙터에 연결되고, 모든 벨트 리트랙터들에는 자유 진행 상태, 로킹 상태 및 위치 설정 상태의 기능들을 가지며 분리되어 작동될 스위치 장치들이 할당되며 스위치 장치들 각각은, 벨트 리트랙터에 연결된, 해당 지지 벨트의 2개의 단부들 중 각각 하나의 단부의 운동 상태를 제어한다.
하니스를 착용한 승객이 벨트 리트랙터에 고정되는 것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우선, 차량 승객의 둔부를 아래에서 감싸는 벨트 슬링에, 차량의 바닥 영역에 부착된 벨트 리트랙터로 안내되는 지지 벨트가 고정된다. 또한 하니스의 후면 벨트에, 차량 내 승객의 후면 영역에 부착된 하나의 벨트 리트랙터로 연장된 지지 벨트가 고정될 수 있다.
하니스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하니스의 종방향 벨트에, 골반 영역과 숄더 영역 내의 2개의 후면 벨트가 부착되고 지지 벨트가 숄더 영역 내에서 연장된 후면 벨트에 연결될 때, 승객의 신체에 더 잘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벨트 슬링이, 인접한 종방향 벨트 섹션과, 골반 영역에 배치된 후면 벨트와 함께, 직물 시트면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되거나 종방향 벨트 및 후면 벨트가 직물 등받이에 의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지지 벨트가 하니스의 해당 벨트 섹션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특히 차량 내에 올라탈 때 차량 승객의 운동의 자유도가 개선되는 장점이 생기는데, 이는 차량 승객이 차량 외부에서 하니스를 착용해서, 차량에 승차한 후 해당 지지 벨트에 연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승객의 신체에 위치한 하니스로부터 지지 벨트가 분리될 수 있음으로써, 하니스의 상기 영역은 승객이 착용한 의복 내에 통합되어 의복에 연결될 수 있다. 종종 승객이 상응하는 저항력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 작업복을 착용하는 한, 상응하는 벨트가 이 작업복 내에 포함될 수 있으므로, 해당 지지 벨트가 작업복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벨트 리트랙터의 구성 및 제어와 관련해서 본 발명에 따라, 3개의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스위치 레버를 갖는 스위치 박스가 승객의 활동 범위 내에서 차량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스위치 박스로부터 각각 설치된 벨트 리트랙터까지 안내되는 제어 라인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벨트 권취 방향으로 작용하는 예비 응력이 스프링력에 의해 벨트 리트랙터에서 발생되거나, 이와 달리 벨트 권취 방향으로 작용하는 예비 응력이 벨트 샤프트를 위해서 활성화된 구동기가 연결됨으로써 벨트 리트랙터에서 발생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위치 설정 상태에서 벨트 배출 방향으로의 벨트 리트랙터의 로킹은 래치가 연결됨으로써 야기될 수 있다.
추후에 설명될 실시예들이 도면에 도시된다.
도1은 지지 벨트를 이용해서 해당 벨트 리트랙터에 연결된 하니스를, 벨트 리트랙터에 할당된 스위치 장치와 함께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2a 내지 도2c는 추가의 스위치 장치에 의해 조정될 작업 위치에 대해 메모리 기능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a는 하니스의 최하단 위치에 있는 차량 승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b는 하니스의 중간 작업 위치에 있는 차량 승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c는 하니스의 최상단 위치에 있는 차량 승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하니스(10)는 우선, 도시되지 않은 승객의 둔부를 아래에서 둘러싸며 상반신을 따라 위쪽으로 연장된 2개의 종방향 벨트들(12)을 구비한 벨트 슬링(11)으로 구성되며, 도시된 실시예에서 종방향 벨트(12)는 승객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2개의 후면 벨트들(13, 13a)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고, 하나의 후면 벨트(13)는 숄더 영역에 그리고 다른 후면 벨트(13a)는 골반 영역에 배치된다. 하니스(1)는, 종방향 벨트(12)로부터 시작되며 승객의 어깨 위로 안내된 2개의 숄더 벨트(14) 및 종방향 벨트(12)에 연결된 2개의 랩 벨트(15)에 의해서 완전해지며, 숄더 벨트(14)와 랩 벨트(15)의 자유 단부들은 중앙 버클(16) 내로 서로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더 이상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하니스(10)의 부품들이 각각 종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으므로, 이들은 차량 승객의 신체 부분들에 맞게 적응된다.
앞서 설명한 하니스(10)는 뒤따라 설명될 지지 벨트에 의해, 차량에 고정 부착된 벨트 리트랙터에 부착되므로, 하니스(10)는 고정점들을 형성하는 벨트 리트랙터 사이에 현수된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니스(10)의 종방향 벨트(12)는 지지 벨트(17)가 연장되면서, 차량 승객의 상부에 각각 부착된 벨트 리트랙터(18)로 안내되고, 추가의 2개의 지지 벨트들(19)은 차량 승객의 골반 영역에서 벨트 슬링(11)에 고정되어, 시트 방향으로 차량 승객 앞에 부착된 벨트 리트랙터(20)로 각각 연장되므로, 차량 승객의 체중을 지지하는 하니스(10)의 부품들 즉, 벨트 슬링(11) 또는 랩 벨트(15) 및 종방향 벨트(12)는 각각 서로 간격을 갖는 적어도 4개의 벨트 리트랙터(18, 20)에 현수된다.
안전 시트를 형성하는 하니스(10)를 더욱 안정화하기 위해, 추가의 지지 벨트(21)는 차량 승객의 둔부를 아래에서 둘러싸는 벨트 슬링(11)으로부터, 차량의 바닥 영역에 부착된 벨트 리트랙터(22)까지 안내되며, 추가의 지지 벨트(23)는 숄더 영역 내에서 연장된 후면 벨트(13)로부터, 차량에서 승객의 등(후면) 영역에 부착되는 벨트 리트랙터(24)까지 안내된다.
시트 방향으로 차량 승객 앞에는 3개의 지점들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스위치 박스(25)의 스위치 레버(26)가 차량의 범주 내에 부착되며, 이 경우 스위치 박스(25)로부터는 설치된 벨트 리트랙터들(18, 20, 22, 24) 각각으로 제어 라인(27)이 안내된다. 추후의 기능 설명 부분의 이해를 돕기 위해, 스위치 박스(25) 내에서 조정될 스위치 위치들은 다음과 같이 특징화된다:
위치 I: 벨트 스트랩 배출과 벨트 스트랩 인입이 자유로운 자유 진행(자유 진행 상태)
위치 II: 벨트 스트랩 배출 및 벨트 스트랩 인입에 대해서 모든 벨트 리트랙터가 완전히 로킹(로킹 상태)
위치 III: 벨트 스트랩 인입이 자유로우며, 벨트 스트랩 배출에 대해서는 벨트 스트랩 리트랙터가 로킹(위치 설정 상태)
차량 승객이 차량 내에 승차한 후, 차량 내에 배치된 하니스(10)를 착용하거나, 또는 차량 승객이 차량 외부에서 이미 그 몸에 착용한 하니스(10)를 갖고, 지지 벨트(17, 19, 21, 23)를 하니스(10)에 연결하기 위해 차량에 타면, 스위치 레버(26)는 위치 I에 있으며, 이 스위치 위치 I에서 스위치 레버(26)는 예컨대 무기 시스템들이 탑재되고 조작되는 경우와 같이 차량 승객의 자유로운 운동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도 그대로 유지된다. 또한 스위치 위치 I에서는 차량 승객이 차량 내에서 소정의 시트 위치에 올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장갑 차량 내에서 그 작업 위치 또는 주행 위치에 있으며 차량의 승강구로부터 머리 또는 상반신이 돌출해 있는 운전자에게도 적용되고, 상기 위치에 도달한 후 스위치 레버는 추가의 벨트 스트랩 인입 및 벨트 스트랩 배출에 대해서도 벨트 리트랙터가 로킹된 스위치 위치 II에 있으므로, 하니스(10)를 착용한 차량 승객은 벨트 리트랙터들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 스위치 위치에서 하니스(10)는 안정적인 안전 시트로서 작용한다.
예컨대 운전자가 자신의 시트 위치를 아주 신속하게 바꾸어야 하거나 운전자가 운전자의 상반신 또는 머리가 승강구 영역으로부터 빠져나오도록 시트 위치를 변경해야 하는 위험 상황에 갑작스럽게 처하게 되면, 스위치 레버(26)는 지지 벨트(17, 19, 21, 23)가 릴리스되는 스위치 위치 I로 오므로, 승객은 더 낮은 시트 위치로 곧바로 떨어진다. 스위치 레버(26)가 스위치 위치 III에 있으면, 벨트 리트랙터(18, 20, 22, 24)가 각각 신체 이동에 의해서 릴리스된 길이의 지지 벨트들을 인입하지만, 리와인딩 로킹의 유형에 따라 벨트 스트랩은 릴리스되지 않으므로, 스위치 레버(26)의 스위치 위치 III에서 차량 승객이 이동하는 동안 심한 차량 가속에 대해 승객이 지속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승객은 소정의 시트 위치에 더 가까이 갈 수 있다.
도2a 내지 도2c에 도시된 실시예는 우선 도1에 설명된 실시예를 근거로 하며, 도1에 설명된 바와 같이 각각의 지지 벨트(17, 19)의 하나의 단부가 해당 벨트 리트랙터(18 또는 20)에 지지되는 것이 상이하다. 단순함을 위해, 도2a 내지 도2c에는 전체 벨트 구성 중 각각 하나의 지지 벨트(17, 19)만이 도시된다. 도1에 따라 하니스(10)의 벨트 슬링(11)에 고정 연결되는 것 대신에, 도2a 내지 도2c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각각의 지지 벨트(17 또는 19)는 해당 버클(30)에 의해서 분리 가능하게 벨트 슬링(11)에 연결된다. 각각의 지지 벨트(17 또는 19)는 루프 형태로 버클(30)을 통과해서, 추가로 배치된 벨트 리트랙터(18a 또는 20a)까지 계속해서 안내되어 그 다른 단부로써 추가의 벨트 리트랙터(18a 또는 20a)에 고정되므로, 차량 승객을 지지하는 하니스는 도1에 따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적어도 4개의 벨트 리트랙터에 현수되는 대신에 이제 8개의 벨트 리트랙터에 현수된다. 추가의 벨트 리트랙터(18a 또는 20a)는 추가의 제어 라인(27a)에 의해서, 추가의 다른 스위치 장치(25a)에 연결되고 이 스위치 장치는 마찬가지로 도1에서 설명한 위치 I-II-III로 조정될 수 있는 스위치 레버(26)를 포함한다.
도2a 내지 도2c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능은 이하와 같이 진행된다: 하니스(10)를 착용한 후 차량 승객은 2개의 스위치 장치들(25, 25a)을 위치 I로 전환하며, 이 위치에서 지지 벨트는 벨트 리트랙터(18, 18a, 20, 20a)로부터 완전히 배출되고 하니스(10)에 현수된 차량 승객은 도2a에 도시된 최하단 위치를 취하며 이 위치에서는, 도1에 도시된 차량의 기능에서 차량 승객이 승강구(31) 아래에 위치하므로 보호될 수 있다. 하니스의 사용을 준비하기 위해, 이제 스위치 장치(25)는 이 스위치 장치(25)에 연결된 벨트 리트랙터(18, 20)가 완전히 로킹된 위치 II로 전환되므로, 벨트 리트랙터(18, 20)로부터의 지지 벨트(17, 19)의 완전한 배출 길이가 유지된다. 이제 제2 스위치 장치(25a)는 위치 III로 오고, 이 위치에서는 자유로운 벨트 스트랩 인입이 가능하며, 이 스위치 상태에서 차량 승객은 도2b에 도시된 작업 위치를 취하고, 이 작업 위치에서 차량 승객은 승강구(31) 아래에 있지만, 예컨대 코너 반사경(32)에 의해서 시선을 맞춘다. 이 위치에서 스위치 장치(25a)는 마찬가지로, 연결된 벨트 리트랙터(18a, 20a)가 완전히 로킹되는 위치 II로 전환된다. 이제 도2c에 도시된 차량 승객의 최상단 위치에, 승강구(31)를 통해서 도달하기 위해, 스위치 장치(25)는 이제 벨트 스트랩 인입이 자유로운 위치 III로 전환되며, 차량 승객은 최상단 위치(도2c)를 취한다. 그 후 스위치 장치(25)는 마찬가지로, 연결된 벨트 리트랙터가 로킹된 위치 II로 온다.
이제 운전자가 차량의 승강구(31)로부터 머리 또는 상반신이 빠져나온 그 최상단 시트 위치에 있고 갑작스러운 위험 상황에서 가시 보조 수단(32)에 의해서 차량이 제어될 수 있는 중간 작업 위치에 운전자가 오도록 시트 위치를 신속하게 바꾸어야 하거나 변경해야 하는 경우, 스위치 장치(25)가 위치 I-자유 진행 상태-에 오는 것만이 요구되므로, 지지 벨트(17, 19)는 벨트 리트랙터(18 또는 20)로부터 갑작스럽게 릴리스된다. 메모리 기능을 갖는 스위치 장치(25)에 의해 규정된 지지 벨트(17, 19)의 벨트 배출 길이로 지지 벨트(17, 19)가 추가의 벨트 리트랙터(18a 또는 20a)로부터 부분 배출됨으로써, 하니스(10)는 "승강구 아래"의 위치로만 낮춰진다(도2b). 스위치 장치(25)는 위치 II-로킹 상태-에 올 수 있으므로, 상기 작업 위치는 영구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추가의 위험 상황이 발생하면, 2개의 스위치 장치들(25, 25a)은 최하단 시트 위치(도1a)가 자동으로 취해지는 위치 I로 올 수 있다. 이어서, 작업 위치를 "승강구 아래"로 조정하는 것이 재차 필요하다.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바와 같이, 벨트 리트랙터(18 또는 20)는 도2a 내지 도2c에 설명된 실시예의 경우, 상응하는 메모리 기능이 상기 안전 시트 벨트 리트랙터 내에 통합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지지 벨트들(17, 19) 중 하나에 연결된 안전 벨트 리트랙터 각각은 하니스(10)를 통과하는 루프형 지지 벨트(17 또는 19)의 2개의 단부들을 수용하기 위해 정렬될 수 있으며, 하나의 지지 벨트의 2개의 단부들 각각은 벨트 리트랙터에 분리되어 연결된 스위치 장치들(25 또는 25a)에 의해서 그 운동 상태에서 제어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앞서 설명한 메모리 기능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으나, 필요한 벨트 리트랙터의 수만이 줄어든다.
마찬가지로 도시되지 않은 바와 같이, 승객의 신체에 위치한 하니스(10)의 부품들은 예컨대 승객이 착용한 작업복 내에 포함될 수 있으므로, 작업복을 착용한 승객은 차량 내에서 자신의 위치를 취할 때, 지지 벨트(17 또는 19)의 분리 가능한 단부들에 연결된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요약서 및 도면에 공지된 본원의 대상의 특징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서로 개별적으로, 또한 임의의 결합 형태로 다양한 실시예가 될 수 있다.

Claims (18)

  1. 차량의 고정점들에 현수되고 고정된 장착품 없이 차량 승객의 신체에 부착되어 차량 승객을 지지하는 하니스(10)로 구성된 차량, 항공기 또는 선박용 안전 시트이며, 상기 하니스(10)로부터 직물 지지 벨트들(17, 19, 21, 23)은, 연결된 상기 지지 벨트들(17, 19, 21, 23)을 각각 권취 방향으로 예비 인장하며 차량의 고정점들에 배치된 벨트 리트랙터들(18, 20, 22, 24)까지 안내되며, 승객이 작동시킬 수 있는 스위치 장치(25, 25a)가 제공되며, 상기 스위치 장치에 의해 벨트 리트랙터들(18, 20, 22, 24)은 권취 방향으로 사전 설정된 예비 응력에 대항해서 밸트 스트랩이 자유롭게 배출될 수 있는 자유 진행 상태로, 또는 벨트 권취 방향 및 벨트 배출 방향으로 벨트 샤프트가 각각 완전히 로킹되는 로킹 상태로, 또는 벨트 배출 방향으로만 벨트 리트랙터가 로킹되는 위치 설정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차량, 항공기 또는 선박용 안전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니스(10)는, 승객의 상반신을 따라 연장된 2개의 종방향 벨트들(12)을 구비하며 승객의 둔부를 아래에서 둘러싸는 벨트 슬링(11)과, 승객의 등 뒤에서 종방향 벨트(12)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면 벨트(13)와, 상기 종방향 벨트들(12)로부터 시작되며 승객의 어깨 위로 안내되는 2개의 숄더 벨트(14)와, 종방향 벨트(12)에 연결된 2개의 랩 벨트들(15)로 구성되며, 숄더 벨트들(14)과 랩 벨트들(15)의 자유 단부들은 중앙 버클(16)로 서로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차량, 항공기 또는 선박용 안전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니스(10)의 종방향 벨트(12)는 지지 벨트(17)로서 연장되어 차량 승객의 상부에 각각 제공된 벨트 리트랙터(18)로 안내되고, 다른 2개의 지지 벨트들(19)은 차량 승객의 골반 영역에서 벨트 슬링(11)에 연결되어, 시트 방향으로 차량 승객 앞에 부착된 각각 하나의 벨트 리트랙터(20)로 안내되므로, 차량 승객을 지지하는 하니스(10)가 각각 서로 간격을 갖는 적어도 4개의 벨트 리트랙터(18, 20)에 현수되는 차량, 항공기 또는 선박용 안전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벨트(17, 19)가 하니스(10)의 해당 벨트 섹션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차량, 항공기 또는 선박용 안전 시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벨트 리트랙터(18, 20)로 각각 안내된 지지 벨트(17, 19)는 루프형으로 통과하게 하니스(10)에 지지되며, 하니스(10)로부터 추가의 벨트 리트랙터(18a, 20a)로 계속해서 안내되므로, 각각의 지지 벨트(17, 19)는 통과 루프의 양측으로 하니스(10)에 위치한 2개의 단부들에서 각각 하나의 벨트 리트랙터(18, 18a; 20, 20a)에 연결되며, 추가의 벨트 리트랙터들(18a, 20a)은 각각 자유 진행 상태, 로킹 상태, 위치 설정 상태 기능을 갖는 추가의 스위치 장치(25a)에 연결되는 차량, 항공기 또는 선박용 안전 시트.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벨트(17, 19) 각각은 루프 형태로 통과하게 하니스(10)에 고정되며 통과 루프의 양측으로 하니스(10)에 위치한 2개의 단부들은 해당 벨트 리트랙터(18, 20)에 연결되고, 모든 벨트 리트랙터들(18, 20)에는 자유 진행 상태, 로킹 상태 및 위치 설정 상태의 기능을 갖는, 별도로 작동될 스위치 장치들(25, 25a)이 할당되며 스위치 장치들(25, 25a) 각각은, 벨트 리트랙터(18, 20)에 연결된, 해당 지지 벨트(17, 19)의 2개의 단부들 중 각각 하나의 단부의 운동 상태를 제어하는 차량, 항공기 또는 선박용 안전 시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벨트(17, 19)의 길이는 모든 벨트 리트랙터들(18, 18a; 20, 20a)로부터 벨트 스트랩이 완전히 배출될 때 안전 시트의 최하단 위치가 형성되도록 책정되는 차량, 항공기 또는 선박용 안전 시트.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 승객의 둔부를 아래에서 감싸는 벨트 슬링(11)에, 차량의 바닥 영역에 부착된 벨트 리트랙터(22)로 안내되는 지지 벨트(21)가 고정되는 차량, 항공기 또는 선박용 안전 시트.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니스(10)의 후면 벨트(13)에, 차량 내 승객의 후면 영역에 부착된 하나의 벨트 리트랙터(24)로 연장된 지지 벨트(23)가 연결되는 차량, 항공기 또는 선박용 안전 시트.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니스(10)의 종방향 벨트(12)에, 골반 영역과 숄더 영역 내의 2개의 후면 벨트(13, 13a)가 부착되고 지지 벨트(23)가 숄더 영역 내에서 연장된 후면 벨트(13)에 연결되는 차량, 항공기 또는 선박용 안전 시트.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슬링(11)이, 인접한 종방향 벨트 섹션(12)과, 골반 영역에 배치된 후면 벨트(13a)와 함께, 직물 시트면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차량, 항공기 또는 선박용 안전 시트.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종방향 벨트(12)와 후면 벨트들(13, 13a)이 직물 등받이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차량, 항공기 또는 선박용 안전 시트.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벨트(21, 23)가 상기 하니스(10)의 해당 벨트 섹션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차량, 항공기 또는 선박용 안전 시트.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벨트(21, 23)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하니스(10)의 벨트 섹션은 승객이 착용할 의복 내에 통합되어 의복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공기 또는 선박용 안전 시트.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3개의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스위치 레버(26)를 갖는 스위치 장치(25, 25a)는 승객이 닿을 수 있는 영역 내에서 차량에 부착되고, 상기 스위치 장치(25, 25a)로부터 각각의 설치된 벨트 리트랙터(18, 18a; 20, 20a; 22, 24)까지 안내되는 제어 라인들(27, 27a)이 배치되는 차량, 항공기 또는 선박용 안전 시트.
  1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력에 의해 벨트 권취 방향으로 작용하는 예비 응력이 상기 벨트 리트랙터(18, 18a; 20, 20a; 22, 24)에서 발생하는 차량, 항공기 또는 선박용 안전 시트.
  1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벨트 권취 방향으로 작용하는 예비 응력이, 벨트 샤프트를 위해서 활성화된 구동기가 연결됨으로써 벨트 리트랙터들(18, 18a; 20, 20a; 22, 24)에서 발생될 수 있는 차량, 항공기 또는 선박용 안전 시트.
  1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 설정 상태에서 벨트 배출 방향으로의 벨트 리트랙터(18, 18a; 20, 20a; 22, 24)의 로킹은 래치가 연결됨으로써 야기될 수 있는 차량, 항공기 또는 선박용 안전 시트.
KR1020067004400A 2003-09-05 2004-08-07 차량, 항공기 또는 선박 내에 현수 배치된 안전 시트 KR1010621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41483.5 2003-09-05
DE10341483A DE10341483B3 (de) 2003-09-05 2003-09-05 In einem Land-, Luft- oder Seefahrzeug hängend angeordneter Sicherheitssitz
PCT/EP2004/008885 WO2005028245A1 (de) 2003-09-05 2004-08-07 In einem land-, luft- oder seefahrzeug hängend angeordneter sicherheitssitz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452A KR20060054452A (ko) 2006-05-22
KR101062114B1 true KR101062114B1 (ko) 2011-09-02

Family

ID=34202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4400A KR101062114B1 (ko) 2003-09-05 2004-08-07 차량, 항공기 또는 선박 내에 현수 배치된 안전 시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13558B2 (ko)
EP (1) EP1660344B1 (ko)
KR (1) KR101062114B1 (ko)
AT (1) ATE374706T1 (ko)
DE (2) DE10341483B3 (ko)
ES (1) ES2294527T3 (ko)
WO (1) WO20050282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31216A1 (de) 2005-09-15 2007-03-22 Autoflug Gmbh In einem textilen stützrahmen aufgehängter textiler sitz
DE102005056869B4 (de) * 2005-11-29 2010-05-27 Isringhausen Gmbh & Co. Kg Sitzrückhaltesystem
IL182081A (en) 2007-03-21 2013-08-29 Plasan Sasa Ltd Method and device for hanging an item in a vehicle
DE102007023568B3 (de) * 2007-05-21 2008-12-11 Komatsu Ltd. Bedienpersonsitz für eine Baumaschine und damit versehene Kabine und Baumaschine
DE102007043965B3 (de) * 2007-09-14 2009-02-12 Autoflug Gmbh Fußstütze für einen Sicherheitssitz
DE102007048486B3 (de) * 2007-10-09 2008-10-23 Schroth Safety Products Gmbh Sitzanordnung für ein Land-, See- oder Luftfahrzeug
FR2932428B1 (fr) * 2008-06-13 2010-08-20 Nexter Systems Siege pour vehicule blinde.
DE102008028872A1 (de) * 2008-06-17 2009-12-24 Krauss-Maffei Wegmann Gmbh & Co. Kg Sitzsystem für ein Fahrzeug, insbesondere ein Kampffahrzeug
US7815255B1 (en) * 2008-07-18 2010-10-1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Seat for combat vehicle
DE102008063804A1 (de) * 2008-12-19 2010-07-01 Rheinmetall Landsysteme Gmbh System zur minensicheren Integration von handelsüblichen Sitzeinrichtungen
CA2779676C (en) * 2009-11-11 2015-02-24 Bell Helicopter Textron Inc. Mobile energy attenuating seat and safety harness for aircraft
US8414026B1 (en) 2010-03-17 2013-04-09 Armorworks Enterprises LLC Mobile crew restraint and seating system
WO2011130263A1 (en) * 2010-04-13 2011-10-20 Jessup Chris P Blast mitigation seat for a land vehicle
DE102010018136A1 (de) 2010-04-24 2011-10-27 Rheinmetall Landsysteme Gmbh Transporttasche insbesondere für den Fahrzeugeinbau
US8550553B1 (en) 2010-10-19 2013-10-08 Armorworks Enterprises LLC Side mounted energy attenuating vehicle seat
US8678465B1 (en) 2011-07-21 2014-03-25 Armorworks Enterprises LLC Vehicle seat with multi-axis energy attenuation
DE102011053156B4 (de) 2011-08-31 2017-02-02 Schroth Safety Products Gmbh Sicherheitssitz
JP5771639B2 (ja) * 2013-03-15 2015-09-02 富士重工業株式会社 4点式シートベルト装置
DE102014204311B4 (de) 2013-03-15 2020-08-06 Subaru Corporation Vierpunkt-Sicherheitsgurtvorrichtung
US9132753B1 (en) 2013-05-29 2015-09-15 Armorworks Enterprises LLC Energy attenuating seat and seat extension
DE102013112889A1 (de) * 2013-11-21 2015-05-21 Krauss-Maffei Wegmann Gmbh & Co. Kg Aufhängbarer Gurtsitz für ein Fahrzeug
US10857970B2 (en) * 2019-02-06 2020-12-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restraint system
JP7255381B2 (ja) * 2019-06-14 2023-04-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吊り型シー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3227A (en) 1977-12-09 1979-07-03 Ara Inc Impacttproof seat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0412A (en) * 1944-09-15 1955-01-25 Evans Prod Co Troopship type airplane seat structure
US2829702A (en) * 1955-10-27 1958-04-08 Charles E Keating High strength safety seat
US3314720A (en) * 1965-02-11 1967-04-18 Millington Ralph Safety troop seat
US3954280A (en) * 1974-10-15 1976-05-04 Roberts Verne L Child auto restraint harness
US4474347A (en) * 1977-12-09 1984-10-02 Ara, Inc. Crashworthy seat
US4299406A (en) * 1980-01-21 1981-11-10 Thomas Warren R Motorcycle safety system
DE3306839A1 (de) * 1983-02-26 1984-09-06 Autoflug Gmbh, 2084 Rellingen Sicherheits- und rettungsgurtzeug
US4563023A (en) * 1983-12-21 1986-01-07 Clarkson Larry E Ambulance safety stabilizer harness for para-medics
US4679840A (en) * 1983-12-30 1987-07-14 Fry Steven A Seat for a truck bed
DE3519866A1 (de) * 1984-06-05 1986-01-02 Mario Brescia Vinai Mit einem anzug o.dgl. kleidungsstueck einteiliges gurtwerk
US5046687A (en) * 1988-07-22 1991-09-10 The Boeing Company Adaptive torso restraint system
US4923147A (en) * 1988-09-27 1990-05-08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Head support/spine offloading ejection seat insert
US4909459A (en) * 1988-11-03 1990-03-2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Helmet-mounted head restraint
US4909499A (en) 1988-12-28 1990-03-20 Pitney Bowes Inc. Mail singulating apparatus
JPH03202059A (ja) * 1989-12-28 1991-09-03 Yoshio Asakawa 医療用ベッド装置
DE4303719A1 (de) * 1993-02-09 1994-08-11 Autoflug Gmbh Textiler Sicherheitssitz
US5579785A (en) * 1995-07-10 1996-12-03 Bell; Bruce W. CPR safety device
US5642916A (en) * 1995-08-22 1997-07-01 Alliedsignal Inc. Locking and tensioning for a slidable seat
US5806910A (en) * 1996-04-30 1998-09-15 Chrysler Corporation Vehicle adjustable sling seat
DE19716215A1 (de) 1997-04-18 1998-10-22 Autoflug Gmbh Sicherheitssitz für Land-, Luft- und Seefahrzeuge
US6554343B2 (en) * 1999-05-21 2003-04-29 Iwao Sugiyama Safety seat for a baby
DE19957814C2 (de) 1999-12-01 2003-07-31 Trw Automotive Electron & Comp Gurtaufrollersystem
US6446910B1 (en) * 2000-09-25 2002-09-10 East/West Industries, Inc. Seat with self-adjusting shoulder harness
DE10130631B4 (de) * 2001-06-26 2010-10-28 Sieghard Schneider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in einem minengeschützten Kraftfahrzeug
WO2007031216A1 (de) * 2005-09-15 2007-03-22 Autoflug Gmbh In einem textilen stützrahmen aufgehängter textiler sitz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3227A (en) 1977-12-09 1979-07-03 Ara Inc Impacttproof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28245A1 (de) 2005-03-31
DE502004005161D1 (de) 2007-11-15
ES2294527T3 (es) 2008-04-01
KR20060054452A (ko) 2006-05-22
EP1660344A1 (de) 2006-05-31
EP1660344B1 (de) 2007-10-03
US20080246317A1 (en) 2008-10-09
DE10341483B3 (de) 2005-03-17
ATE374706T1 (de) 2007-10-15
US7513558B2 (en) 2009-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2114B1 (ko) 차량, 항공기 또는 선박 내에 현수 배치된 안전 시트
US7100991B2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an occupant of a vehicle
US3471197A (en) Passenger restraining system
US6409243B1 (en) Safety seat for land, air and sea vehicles
JP4621281B2 (ja) シートベルトプリテンショナー
EP2734445B1 (en) Safety restraint protection for aircraft occupants seated facing the side of the aircraft
US8672347B2 (en) Integrated airbag restraint
US20100084897A1 (en) Soldier Platform System
US2864437A (en) Safety harness
JP5389545B2 (ja) 全方位型シートベルト装置
US8317262B2 (en) Seat assembly for a land vehicle, sea vessel, or aircraft
JP2010179705A (ja) 車両のシートベルト装置
US20140159350A1 (en) Belt integrated airbag
EP2022685B1 (en) Airbag apparatus
US6179329B1 (en) Vehicle occupant restraint harness
US20110291454A1 (en) Soldier Platform System
US20160318612A1 (en) Two point lap belt
CN211684990U (zh) 用于控制乘员下肢运动的膝部约束装置
DK2758271T3 (en) MINI-SAFE SEAT FITTING
JP5952680B2 (ja) エアバッグ装置
CN110027713B (zh) 用于在需要时提供氧气面罩的设备
US6126200A (en) Buckle arrangement
JP2022049857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KR100471040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높이조절 장치
KR200143429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