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837B1 - 다단 터널식 구조를 갖는 반송계용 리프트 - Google Patents

다단 터널식 구조를 갖는 반송계용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837B1
KR101058837B1 KR1020100132129A KR20100132129A KR101058837B1 KR 101058837 B1 KR101058837 B1 KR 101058837B1 KR 1020100132129 A KR1020100132129 A KR 1020100132129A KR 20100132129 A KR20100132129 A KR 20100132129A KR 101058837 B1 KR101058837 B1 KR 101058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bar
display panel
frame
lift
tu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2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훈
Original Assignee
(주)에스티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티엔아이 filed Critical (주)에스티엔아이
Priority to KR1020100132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8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7Sheet handling, means, e.g. manipulators, devices for turning or tilting sheet glas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01L21/6874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characterised by a lifting arrangement, e.g. lift pi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 터널식 구조를 갖는 반송계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목 적>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반송계용 리프트의 터널식 구조에 의한 다단 반송을 도모하기 위함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실린더에 의해 상향 리프팅되도록 하는 사각프레임의 골조 상부에 다수개의 프로파일과 이들을 잇는 랙바를 설치하여 한장의 디스플레이패널이 일차적으로 로울러에 의해 인입되면 상기 랙바는 실린더로 하여금 상향 로딩되고, 이후 다른 한장의 디스플레이패널이 상기 로딩되어 있는 랙바와 프로파일 사이 공간에 인입되어 터널 구조에 의한 다단식 반송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반송 로딩주기 단축에 의한 효율성과 생산성이 개선되는 특징이 있다.
<구 성>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골조로 이루어진 사각함체 형상의 본체(10) 하부에 리프트(20)가 형성되어 다수개의 로울러(30)를 통해 인입된 디스플레이패널(40)을 상향 로딩시킨 후 반송로봇(50)에 의해 후발공정으로 반송하도록 하는 반송계(L)를 구성하되, 상기 리프트(20)는 상하방향으로 업다운 구동되는 다수개의 메인실린더(100)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실린더(100)의 상부에는 사각 프레임으로 형성된 골조(200)가 형성되고, 상기 골조(20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프로파일(300)이 등간격으로 기립되되, 상기 프로파일(300)은 서로 대향되는 타측 프로파일(300-1)과 서로 연결되도록 랙바(400)가 형성되며, 상기 랙바의 상면에는 핀 브라켓(500)에 고정된 랙핀(600)이 형성되어 1차 디스플레이패널(D1)의 인입 후 상기 랙바(400)가 메인실린더(100)에 의해 상향 로딩시키면 이후 2차 디스플레이패널(D2)이 랙바(400)와 프로파일(300)로 형성된 터널 내부로 인입되어 반송로봇(50)으로 하여금 다단식 반송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효 과>
따라서, 본 발명은 프로파일들에 결합된 랙바로 하여금 복수 이상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터널식 또는 사다리식 구조로 다단 동시 반송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공정 주기가 단축되어 반송 효율 및 생산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단 터널식 구조를 갖는 반송계용 리프트{A lift for roader with structrue of tunnel or ladder type}
본 발명은 반송계용 리프트의 터널식 구조에 의한 다단 반송을 도모하기 위함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실린더에 의해 상향 리프팅되도록 하는 사각프레임의 골조 상부에 다수개의 프로파일과 이들을 잇는 랙바를 설치하여 한장의 디스플레이패널이 일차적으로 로울러에 의해 인입되면 상기 랙바는 실린더로 하여금 상향 로딩되고, 이후 다른 한장의 디스플레이패널이 상기 로딩되어 있는 랙바와 프로파일 사이 공간에 인입되어 터널 구조에 의한 다단식 반송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반송 로딩주기 단축에 의한 효율성과 생산성이 개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터널식 구조를 갖는 반송계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패널(평판표시패널용 기판이라고도 함)을 제조하는 작업 라인에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소정의 위치로 옮기기 위하여 기판 반송장치(일명 반송계라고 함)가 설치된다.
이에, 종래의 기판 반송장치는 기판의 반송 방향에 따라 수평 이송 방식과 수직 이송 방식으로 크게 구별된다.
이때, 수평 이송 방식의 기판 반송장치는 다수개의 로울러 즉, 롤-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된 디스플레이패널이 리프트 상면에 도달하면(센서에 의해 제어), 리프트의 하부에 형성된 실린더로 하여금 랙바가 일정 높이로 상향 승강하게 되면서 디스플레이패널을 로울러로부터 이격시키고, 이후 반송로봇이 디스플레이패널을 흡착 또는 기타 동등한 물리적인 방법으로 떠내어 후발 공정 또는 소정의 작업구간으로 반송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수평 이송 방식은 디스플레이패널을 오로지 한 장씩만 반송할 수 있도록 구조화되어 있어서, 반송 효율의 저하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어 왔다.
한편, 최근에는 상술한 수평식 이송 방식의 기판 반송장치에 대한 대체를 위해 작업 라인에서 점유하는 면적을 줄인 상태로 기판의 이송이 가능한 수직 이송 방식의 반송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직 이송 방식의 기판 반송장치는 업/다운 이동이 가능한 카세트 내부에 여러 장의 기판을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카세트의 리프팅 동작에 의해 일괄 이동시키는 구조가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카세트형의 수직 반송장치는 작업장 내에서 카세트 전체가 업/다운 이동되기 위한 별도의 리프팅 공간을 확보해야 하므로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기 어렵다.
그리고, 부피가 큰 카세트 전체를 업/다운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모터나 실린더와 같은 구동원과 레일 등을 추가로 설치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 및 유지 보수에 과다한 비용이 소요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카세트에 기판들을 수납한 상태로 업/다운 동작에 의해 일괄 이동시키는 반송 방식으로는 기판의 연속적인 수직 반송을 구현할 수 없으므로, 기판 반송시 과다한 홀딩 시간이 발생하여 만족할 만한 기판 반송 효율을 기대할 수 없으며, 기판 제조시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반송계용 리프트의 터널식 구조에 의한 다단 반송을 도모함에 있어서, 실린더에 의해 상향 리프팅되도록 하는 사각프레임의 골조 상부에 다수개의 프로파일과 이들을 잇는 랙바를 설치하여 한장의 디스플레이패널이 일차적으로 로울러에 의해 인입되면 상기 랙바는 실린더로 하여금 상향 로딩되고, 이후 다른 한장의 디스플레이패널이 상기 로딩되어 있는 랙바와 프로파일 사이 공간에 인입되어 터널 구조에 의한 다단식 반송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반송 로딩주기 단축에 의한 효율성과 생산성이 개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터널식 구조를 갖는 반송계용 리프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골조로 이루어진 사각함체 형상의 본체(10) 하부에 리프트(20)가 형성되어 다수개의 로울러(30)를 통해 인입된 디스플레이패널(40)을 상향 로딩시킨 후 반송로봇(50)에 의해 후발공정으로 반송하도록 하는 반송계(L)를 구성하되, 상기 리프트(20)는 상하방향으로 업다운 구동되는 다수개의 메인실린더(100)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실린더(100)의 상부에는 사각 프레임으로 형성된 골조(200)가 형성되고, 상기 골조(20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프로파일(300)이 등간격으로 기립되되, 상기 프로파일(300)은 서로 대향되는 타측 프로파일(300-1)과 서로 연결되도록 랙바(400)가 형성되며, 상기 랙바의 상면에는 핀 브라켓(500)에 고정된 랙핀(600)이 형성되어 1차 디스플레이패널(D1)의 인입 후 상기 랙바(400)가 메인실린더(100)에 의해 상향 로딩시키면 이후 2차 디스플레이패널(D2)이 랙바(400)와 프로파일(300)로 형성된 터널 내부로 인입되어 반송로봇(50)으로 하여금 다단식 반송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리프트는 프로파일(300,300-1)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하나 이상의 랙바(400)를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복수 이상의 디스플레이패널을 터널식 또는 사다리식 구조로 상향 로딩 후 반송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프로파일들에 결합된 랙바로 하여금 복수 이상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터널식 또는 사다리식 구조로 다단 동시 반송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공정 주기가 단축되어 반송 효율 및 생산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송계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일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의 요부 일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의 랙바 상세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예시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골조로 이루어진 사각함체 형상의 본체(10) 하부에 리프트(20)가 형성되어 다수개의 로울러(30)를 통해 인입된 디스플레이패널(40)을 상향 로딩시킨 후 반송로봇(50)에 의해 후발공정으로 반송하도록 하는 반송계(L)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리프트(20)는 상하방향으로 업다운 구동되는 다수개의 메인실린더(100)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실린더(100)의 상부에는 사각 프레임으로 형성된 골조(200)가 형성되고, 상기 골조(20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프로파일(300)이 등간격으로 기립되되, 상기 프로파일(300)은 서로 대향되는 타측 프로파일(300-1)과 서로 연결되도록 랙바(400)가 형성되며, 상기 랙바의 상면에는 핀 브라켓(500)에 고정된 랙핀(600)이 형성되어 1차 디스플레이패널(D1)의 인입 후 상기 랙바(400)가 메인실린더(100)에 의해 상향 로딩시키면 이후 2차 디스플레이패널(D2)이 랙바(400)와 프로파일(300)로 형성된 터널 내부로 인입되어 반송로봇(50)으로 하여금 다단식 반송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리프트는 메인실린더(100)를 고정 지지하도록 하는 테이블(110)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블(110)을 본체 내부에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테이블 상면에는 4면 각 단부에 상기 메인실린더가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메인실린더의 실린더 로드는 사각 프레임으로 된 골조(200)의 저면과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설정된 제어값에 따라 상하향 승강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골조는 일종의 사각면을 연결한 것으로, 상기 사각면 중 일측 및 타측에는 상부로 기립한 프로파일(300)이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맞은편 프로파일(300-1)들과 2개 1조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2개 1조로 형성된 프로파일(300,300-1)들 사이에는 이들을 연결하는 랙바가 형성되어 실린더에 의해 골조가 승강하면 일종의 사각 터널(하부가 개구된 잔넬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랙바의 상단부에는 디스플레이패널을 리프팅시킬 때 디스플레이패널과 직접 맞닿으며 패널을 보호하도록 하는 랙핀이 핀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일차적으로 디스플레이패널이 인입된 후 실린더에 의해 골조가 상향 리프팅(로딩)되면, 상기 프로파일과 랙바가 승강하면서 일차로 인입된 디스플레이패널을 상향 로딩시키고, 이후 상향 로딩으로 인해 형성된 터널식 공간(들어올려진 프로파일과 랙바 사이 공간)으로 2차 디스플레이패널이 인입되면 반송로봇이 다단 구조의 디스플레이패널을 반송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리프트는 프로파일(300,300-1)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하나 이상의 랙바(400)를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복수 이상의 디스플레이패널을 터널식 또는 사다리식 구조로 상향 로딩 후 반송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골조에 기립된 프로파일을 길이방향으로 연장시켜 랙바를 다층으로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사다리식 구조를 통해 복수 이상의 디스플레이패널을 한번에 반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본체 20 ... 리프트
30 ... 로울러 40 ... 디스플레이패널(D1,D2)
50 ... 반송로봇
100 ... 메인실린더 200 ... 골조
300 ... 프로파일 400 ... 랙바
500 ... 핀 브라켓 600 ... 랙핀

Claims (3)

  1. 골조로 이루어진 사각함체 형상의 본체(10) 하부에 리프트(20)가 형성되어 다수개의 로울러(30)를 통해 인입된 디스플레이패널(40)을 상향 로딩시킨 후 반송로봇(50)에 의해 후발공정으로 반송하도록 하는 반송계(L)를 구성하되,
    상기 리프트(20)는 상하방향으로 업다운 구동되는 다수개의 메인실린더(100)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실린더(100)의 상부에는 사각 프레임으로 형성된 골조(200)가 형성되고, 상기 골조(20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프로파일(300)이 등간격으로 기립되되, 상기 프로파일(300)은 서로 대향되는 타측 프로파일(300-1)과 서로 연결되도록 랙바(400)가 형성되며, 상기 랙바의 상면에는 핀 브라켓(500)에 고정된 랙핀(600)이 형성되어 1차 디스플레이패널(D1)의 인입 후 상기 랙바(400)가 메인실린더(100)에 의해 상향 로딩시키면 이후 2차 디스플레이패널(D2)이 랙바(400)와 프로파일(300)로 형성된 터널 내부로 인입되어 반송로봇(50)으로 하여금 다단식 반송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터널식 구조를 갖는 반송계용 리프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는
    프로파일(300,300-1)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하나 이상의 랙바(400)를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복수 이상의 디스플레이패널을 터널식 또는 사다리식 구조로 상향 로딩 후 반송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터널식 구조를 갖는 반송계용 리프트.
  3. 삭제
KR1020100132129A 2010-12-22 2010-12-22 다단 터널식 구조를 갖는 반송계용 리프트 KR101058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129A KR101058837B1 (ko) 2010-12-22 2010-12-22 다단 터널식 구조를 갖는 반송계용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129A KR101058837B1 (ko) 2010-12-22 2010-12-22 다단 터널식 구조를 갖는 반송계용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8837B1 true KR101058837B1 (ko) 2011-08-23

Family

ID=44933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2129A KR101058837B1 (ko) 2010-12-22 2010-12-22 다단 터널식 구조를 갖는 반송계용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88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4648A (ja) 2000-11-15 2002-05-28 Fuji Photo Film Co Ltd 基板カセット
JP2004075203A (ja) 2002-08-09 2004-03-11 Dainippon Printing Co Ltd バッファ装置
JP2007273854A (ja) 2006-03-31 2007-10-18 Shinko Electric Co Ltd 基板搬入出装置及び基板の搬入出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4648A (ja) 2000-11-15 2002-05-28 Fuji Photo Film Co Ltd 基板カセット
JP2004075203A (ja) 2002-08-09 2004-03-11 Dainippon Printing Co Ltd バッファ装置
JP2007273854A (ja) 2006-03-31 2007-10-18 Shinko Electric Co Ltd 基板搬入出装置及び基板の搬入出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41726B (zh) 全自动镀膜机
KR20090130038A (ko) 기판 반송장치
JP6179729B2 (ja) コンテナ昇降搬送装置
CN106364887A (zh) 流水线及采用该流水线的传送系统
WO2015190394A1 (ja) コンテナ昇降搬送装置
WO2015190396A1 (ja) コンテナ昇降搬送装置
JP2012510941A (ja) ガラスシートを高速で輸送する方法及び装置
WO2015190387A1 (ja) コンテナ昇降搬送装置
KR101422748B1 (ko) 예비타이어 적재장치
JP2020507534A (ja) 基板トレイ返送装置、基板トレイ返送方法及び全自動塗布機
KR101199778B1 (ko) 기판처리장치 및 기판처리방법
KR20110013713A (ko) 팔레트 수하물 센터링 머신
KR101058837B1 (ko) 다단 터널식 구조를 갖는 반송계용 리프트
CN209226033U (zh) 一种全自动物料输送线
JP5070243B2 (ja) 板ガラス用ゲートコンベア
CN211970884U (zh) 一种翻面装置
CN111846791B (zh) 一种顶升搬运线
CN201214125Y (zh) 导轨自动校直传输线
WO2015170427A1 (ja) 多段式加熱装置、および多段式加熱炉に対するワーク搬入搬出方法
ITMO20010058A1 (it) Apparecchiatura per il carico e lo scarico di piastrelle da box a rulli
JP2011111273A (ja) 物品位置決め装置および物品位置決め方法
KR100708216B1 (ko) 기판 적재 장치
CN220181901U (zh) 缓存流转线
JPS5937312Y2 (ja) 搬送装置
KR101207095B1 (ko) 자동화 장비의 트레이 로딩기용 로딩 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