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1364B1 - 팔레트를 위한 오토 랙장치 - Google Patents

팔레트를 위한 오토 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1364B1
KR101001364B1 KR1020100063448A KR20100063448A KR101001364B1 KR 101001364 B1 KR101001364 B1 KR 101001364B1 KR 1020100063448 A KR1020100063448 A KR 1020100063448A KR 20100063448 A KR20100063448 A KR 20100063448A KR 101001364 B1 KR101001364 B1 KR 101001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base
pallets
guide
auto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3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우성
Original Assignee
강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우성 filed Critical 강우성
Priority to KR1020100063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13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팔레트를 위한 오토 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고, 팔레트를 위한 이송수단과, 상기 팔레트의 이송방향을 따라 병진 운동하는 주동부와, 상기 주동부를 따라 이송방향으로 승하강하고, 상기 팔레트를 정위치에 배열시키기 위한 종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의 일측 배열된 위치결정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생산라인 공정에서 지게차와 같은 장비를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 팔레트의 랙 작업을 위하여 팔레트를 이송하고, 팔레트를 정위치에 정렬시키는 것이 위치결정유닛의 주동부와 이에 연동하는 종동부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가능하고, 또한 팔레트의 후단부를 직접 지지하는 종동부가 기구적으로 심플하게 구성됨과 동시에, 작동신뢰성이 높아 장치의 고장이나, 또는 작동 오류로 인한 불필요한 유지보수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비용을 절감하고, 아울러 주동부의 구동만으로 종동부의 구동이 가능하여 전력의 소모를 만큼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인 파급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팔레트를 위한 오토 랙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팔레트를 위한 오토 랙장치{AUTO RACK APPARATUS FOR PALLET}
본 발명은 생산라인 공정에서 지게차와 같은 장비를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 팔레트의 랙 작업을 위하여 팔레트를 이송하고, 팔레트를 정위치에 정렬시키는 것이 위치결정유닛의 주동부와 이에 연동하는 종동부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가능하고, 또한 팔레트의 후단부를 직접 지지하는 종동부가 기구적으로 심플하게 구성됨과 동시에, 작동신뢰성이 높아 장치의 고장이나, 또는 작동 오류로 인한 불필요한 유지보수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비용을 절감하고, 아울러 주동부의 구동만으로 종동부의 구동이 가능하여 전력의 소모를 만큼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인 파급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팔레트를 위한 오토 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품을 이송하기 위한 팔레트를 사용하는 경우 팔레트 선반에 적층하거나 또는 적재하는 경우 지게차나 이와 유사한 장비를 사용하여 작업을 하게 된다.
그러나 각 작업장에 환경에 따라서는 팔레트의 랙 작업을 위해 상기 지게차나 이와 유사한 장비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일정 이상의 무게를 갖는 팔레트를 작업자 수작업을 통하여 랙 작업을 수행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이러한 수작업 중에는 팔레트의 낙하 또는 추락으로 작업자의 부상을 당할 위험이 항상 존재하고,
아울러 이러한 작업은 노동 집약적이라는 점에서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생산라인 공정에서 지게차와 같은 장비를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 팔레트의 랙 작업을 위하여 팔레트를 이송하고, 팔레트를 정위치에 정렬시키는 것이 위치결정유닛의 주동부와 이에 연동하는 종동부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가능하고,
또한 팔레트의 후단부를 직접 지지하는 종동부가 기구적으로 심플하게 구성됨과 동시에, 작동신뢰성이 높아 장치의 고장이나, 또는 작동 오류로 인한 불필요한 유지보수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비용을 절감하고,
아울러 주동부의 구동만으로 종동부의 구동이 가능하여 전력의 소모를 만큼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인 파급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팔레트를 위한 오토 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를 위한 오토 랙장치는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각 고정플레이트의 내측에 배열된 한 쌍의 장착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각 고정플레이트에 구비되고, 팔레트를 위한 이송수단; 및 상기 팔레트의 이송방향을 따라 병진 운동하는 주동부와, 상기 주동부를 따라 이송방향으로 승하강하고, 상기 팔레트를 정위치에 배열시키기 위한 종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의 각 장착플레이트에 구비된 위치결정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위치결정유닛에는 상기 베이스의 각 장착플레이트 상부에 연결되고, 그 전단부가 경사진 안내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위치결정유닛의 종동부는 상기 주동부에 힌지 결합된 선회부재와, 상기 선회부재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안내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위치결정유닛의 주동부는 상기 베이스 상부에 연결된 구동실린더와, 상기 종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실린더에 의하여 병진 운동하는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를 위한 오토 랙장치는 생산라인 공정에서 지게차와 같은 장비를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 팔레트의 랙 작업을 위하여 팔레트를 이송하고, 팔레트를 정위치에 정렬시키는 것이 위치결정유닛의 주동부와 이에 연동하는 종동부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가능하고,
또한 팔레트의 후단부를 직접 지지하는 종동부가 기구적으로 심플하게 구성됨과 동시에, 작동신뢰성이 높아 장치의 고장이나, 또는 작동 오류로 인한 불필요한 유지보수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비용을 절감하고,
아울러 주동부의 구동만으로 종동부의 구동이 가능하여 전력의 소모를 만큼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인 파급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를 위한 오토 랙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를 위한 오토 랙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결정유닛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를 위한 오토 랙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명세서상에서 사용되는 엄밀하지 않은 방향기준을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특정하면,
팔레트가 이송수단으로 진입하는 초입부를 '전단부 또는 전방'이라 하고,
위치결정유닛의 선회부재가 위치하는 쪽을 '후단부 또는 후방이라 특정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를 위한 오토 랙장치는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11)와, 상기 각 고정플레이트(11)의 내측에 배열된 한 쌍의 장착플레이트(13)를 포함하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의 각 고정플레이트(11)에 구비되고, 팔레트(P)를 위한 이송수단(20); 및 상기 팔레트(P)의 이송방향을 따라 병진 운동하는 주동부(31)와, 상기 주동부(31)를 따라 이송방향으로 승하강하고, 상기 팔레트(P)를 정위치에 배열시키기 위한 종동부(35)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10)의 각 장착플레이트(13)에 구비된 위치결정유닛(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를 위한 오토 랙장치에서, 상기 베이스(10)는
이송수단(20)의 장착시키기 위한 고정플레이트(11)와, 위치결정유닛(30)의 장착을 위한 장착플레이트(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10)에서 상기 고정플레이트(11)와 장착플레이트(13)는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10) 양측에는 각각 하나의 고정플레이트(11)와 장착플레이트(13)가 인접하여 배열되어 상호 대칭된 형태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플레이트(11)와 장착플레이트(13)에 장착되는 이송수단(20)과 위치결정유닛(30) 역시 대칭하는 형태로 한 쌍으로 이루도록 구비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11)와 장착플레이트(13)에 의하여 고정 지지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를 위한 오토 랙장치에서, 상기 이송수단(20)은
상기 베이스(10)의 고정플레이트(11) 상부에 장착되어, 팔레트(P)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수단(20)은 팔레트(P)의 이송이 보다 안정적이고,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팔레트(P)의 하면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1 이송부(21)와,
상기 팔레트(P)의 양측면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2 이송부(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수단(20)에서 상기 제1 이송부(21)는 상기 각 고정플레이트(11)의 상면부에 배열되어 팔레트(P)의 하면부를 가이드하게 되는데,
상기 제1 이송부(21)는 상호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각 고정플레이트(11)에 연결된 제1 고정블록(22)과,
상기 각 제1 고정블록(22)과 연결되고, 가이드롤(23a)이 배열된 한 쌍의 제1 이송가이드(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 공정에서 작업을 거친 자동차의 바디나, 패널 등을 적재한 팔레트(P)가 상기 제1 이송가이드(23)의 가이드롤(23a) 상부에 얹히게 되고,
이 경우 작업자 수동으로 팔레트(P)를 밀거나, 또는 자동화 라인을 통하여 공급되는 팔레트(P)가 가이드롤(23a)을 타고 안정적이면서 신속하게 이송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1 고정블록(22)은 상기 고정플레이트(11)에 연결되는 고정체(22a)와, 상기 고정체(22a) 상부에 이격 배열된 이동체(2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체(22a)와 이동체(22b)에는 상기 제1 이송가이드(23)의 높이를 일정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HCM)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높이조절수단(HCM)은 상기 고정체(22a)와 이동체(22b)에 상호 대응하도록 조절공(22c)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22a)의 조절공(22c)에는 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각 조절공(22c)에 삽입되는 조절볼트(22d)와,
상기 조절볼트(22d)에 체결되고, 상기 이동체(22b)의 상부 및 하부에 배열되어 이동체(22b)를 설정된 높이에서 고정시키기 위한 조절너트(22e)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높이조절수단(HCM)은 고정체(22a) 및 이동체(22b)의 양측에 배열되고, 또한 상기 각 조절공(22c)은 고정체(22a)와 이동체(22b)의 일측에 복수의 개수로 구비되며,
상기 각 조절공(22c)에는 조절볼트(22d)와 조절너트(22e)가 각각 구비되어 고정체(22a)에 대하여 상기 이동체(22b)의 높이를 조절한 후, 설정된 높이에서 이동체(22b)를 고정시켜 상기 이동체(22b) 상부에 연결되는 제1 이송가이드(2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로 이송되는 팔레트(P)가 적정한 높이와 위치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수단(20)에서 상기 제2 이송부(24)는 상기 베이스(10)의 각 고정플레이트(11) 상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이송부(21) 외측에 배열되어 팔레트(P)의 양측면을 가이드하게 되는데,
상기 제2 이송부(24)는 상기 베이스(10)의 각 고정플레이트(11) 상면부 양측에 연결되는 제2 고정블록(25)과,
상기 각 제2 고정블록(25)에 연결되고, 가이드롤(26a)이 구비된 한 쌍의 제2 이송가이드(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경우 각 제2 고정블록(25)에 상부에 연결된 제2 이송가이드(26)는 상기 제1 이송가이드(23)의 설정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야 하며,
이는 상기 제2 이송가이드(26)는 팔레트(P)의 양측면을 가이드하여야 하고, 따라서 팔레트(P)의 하면부를 가이드하기 위한 제1 이송가이드(23)보다 상기 제2 이송가이드(26)의 높이가 높게 설정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제2 이송가이드(26)의 가이드롤(26a)은 수평축을 회전 중심축으로 공회전하는 제1 이송가이드(23)의 가이드롤(23a)과 달리,
팔레트(P)의 양측면을 가이드하게 되므로 수직축을 회전 중심축으로 공회전하여 팔레트(P)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이송부(24)는 이송수단(20)으로 진입하는 팔레트(P)의 유동이나, 떨림을 방지하여 팔레트(P)가 정위치를 벗어나거나 또는 장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송수단(20)은 상기 제1 및 제2 이송부(21)(24)에 의하여 팔레트(P)가 정위치를 벗어남 없이 정확한 위치로의 이송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작업량을 줄이고, 작업성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킬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이송수단, 즉 상기 제1 및 제2 이송부 각각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제1 이송부의 제1 고정블록과, 상기 제2 이송부를 제2 고정블록을 각각 상기 베이스의 고정플레이트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베이스의 고정플레이트 자체를 분체 형태로 형성하여 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특히 팔레트의 양측면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2 이송부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팔레트에 의하여 이송되는 각 제품의 사이즈에 따라 팔레트의 사이즈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1 이송부는 팔레트의 하면부를 지지하게 되므로 그 사이 간격의 조절 필요성은 크지 않으나,
상기 제2 이송부의 경우에는 팔레트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수단(20)에서 상기 제2 이송부(24)의 제2 이송가이드(26)는 각각 그 전단부가 외측 방향으로 벌어진 진입유도부(27)가 형성되어 있어
팔레트(P)가 일정 범위 내에서 정위치를 벗어나 이송수단(20)으로 진입하는 경우에도 상기 진입유도부(27)에 의하여 팔레트(P)의 벗어난 위치를 교정하여 이송하게 되므로
작업의 정확성을 높이고, 불필요한 교정 작업이 필요치 않아 작업 능률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를 위한 오토 랙장치에서, 상기 위치결정유닛(30)은
상기 팔레트(P)의 이송방향을 따라 병진 운동하는 주동부(31)와, 상기 주동부(31)를 따라 이송방향으로 승하강하고, 상기 팔레트(P)를 정위치에 배열시키기 위한 종동부(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결정유닛(30)에 상기 주동부(31)는 상기 베이스(10)의 각 장착플레이트(13)의 상면부, 즉 상기 이송수단(20)의 제1 이송부(21) 사이에 배열되는 구동실린더(32)와,
상기 종동부(35)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실린더(32)에 의하여 병진 운동하는 지지체(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주동부(31)는 상기 구동실린더(32)의 실린더로드(32a)에는 중계부재(34)가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로드(32a)가 연결되는 중계부재(34)의 반대편에는 상기 지지체(33)가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로드(32a)의 작동 시 상기 중계부재(34)와 지지체(33)가 함께 연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체(33) 하면부에는 LM 가이드와 같은 구동지지체가 구비되어 주동부의 구동 시 안정적인 작동성능을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중계부재(34)에는 상기 지지체(33)와 연결되고, 걸림홈(34b)이 형성되는 연결부(34a)와,
상기 연결부(34a)의 걸림홈(34b)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구동실린더(32)의 실린더로드(32a)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체(34d)와,
상기 연결부(34a) 전방에 이격 배열되고, 상기 연결체(34d)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홀(34f)을 갖는 이격체(34e)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이격체(34e)에는 체결공(34g)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34a)에는 상기 체결공(34g)에 대응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대응체결공(34c)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34g)에 삽입되는 조절볼트(34h)가 상기 대응체결공(34c)에 체결됨으로써 연결부(34a)와 이격체(34e)를 연결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조절볼트(34h)에는 그 외측을 감싸는 탄성부재(34i), 즉 코일스프링 구비되어 있어 연결부(34a)와 이격체(34e)를 탄성 지지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조절볼트(34h)를 조절하여 상기 연결부(34a)와 이격체(34e) 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지지체(33)를 전방으로 당기거나, 또는 후방으로 밀어 그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위치결정유닛(30)의 배열 위치를 조절하여 팔레트(P)의 진입 정도를 제어함으로써 팔레트(P)가 정확한 위치에 배열될 수 있게 하여 작업 능률 및 작업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주동부(31)의 지지체(33)는 그 후단부가 절곡되고, 절곡된 상단부에는 종동부(35)의 선회부재(36)와 연결되는 힌지결합부(33a)가 연결되어 종동부(35)의 선회부재(36)를 축 지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결정유닛(30)에는 상기 베이스(10)의 각 장착플레이트(13)에 연결되고, 상기 위치결정유닛(30)의 후방부 일측에 안내부재(38)가 구비되며,
상기 안내부재(38)는 그 전단부가 아랫방향으로 향해 경사진 승하강유도부(38a)와, 상기 승하상유도부(38a)가 수평하게 연장된 수평이동부(38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위치결정유닛(30)에서 상기 종동부(35)는
상기 주동부(31), 즉 상기 힌지결합부(33a)에 힌지 결합되는 선회부재(36)와,
상기 선회부재(36)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안내부재(38)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부재(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선회부재(36)는 상기 힌지결합부(33a)와 선회축(36b)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선회부재(36) 전단부에는 선회부재(36)의 무게중심이 전단부에 위치하도록 일정한 하중을 선회부재(36) 전단부에 인가하는 하중인가부재(36a)가 연결되어
상기 위치결정유닛(30)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선회부재(36)가 상기 안내부재(38)의 승하강유도부(38a)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특히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그 자중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아랫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부재(37)는 상기 안내부재(38)를 따라 이동하면서 선회부재(36)의 승하강 및 직선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데,
상기 가이드부재(37)는 상기 선회부재(36)의 일측에 연결되는 지지블록(37a)과,
상기 지지블록(37a)과 연결되고, 상기 안내부재(38)를 따라 회전 운동하는 안내롤(37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가이드부재(37)는 상기 주동부(31)가 전후진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부재(37)의 안내롤(37b)이 안내부재(38)의 수평이동부(38b)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는 선회부재(36)가 상기 가이드부재(37)를 따라 연동하여 직선 운동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부재(37)의 안내롤(37b)이 상기 안내부재(38)의 승하강유도부(38a)룰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선회부재(36)는 가이드부재(37)와 함께 연동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주동부(31)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선회부재(36)가 자중에 의하여 상기 승하강유도부(38a)를 따라 자연스럽게 하강하게 되고,
다음으로 상기 주동부(31)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선회부재(36)가 상기 승하강유도부(38a)를 타고 자연스럽게 상승하게 된다.
즉 상기 이송수단(20)을 따라 팔레트(P)가 후방으로 투입되는 초기에는 상기 종동부(35)의 선회부재(36)는 자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처진 상태로 있게 되며,
계속하여 팔레트(P)가 이송수단(20)을 따라 이송되면서 상기 팔레트(P)의 후단부 하부 부분이 선회부재(36)의 전단부에 맞닿게 되는 순간
상기 주동부(31)는 팔레트(P) 이송방향, 즉 상기 구동실린더(32)가 작동하여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가이드부재(37) 역시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선회부재(36)는 승하강유도부(38a)를 타고 상승하면서 상기 팔레트(P)의 하단부면과 접촉 면적이 점층적으로 증가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부재(37)가 안내부재(38)의 수평이동부(38b)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선회부재(36) 역시 직선 운동을 하면서 상기 팔레트(P)의 후단부면을 계속하여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팔레트(P)가 선회부재(36)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일정 구간만큼 이송되다가 상기 팔레트(P)가 정위치에 위치하는 순간 위치결정유닛(30)은 그 작동을 멈추게 되고,
작업을 위한 준비되어 있던 로봇이나 작업자에 의하여 팔레트(P)를 랙킹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위치결정유닛(30)은 팔레트(P)의 랙킹 작업을 위해 지게차와 같은 별도의 이송 장비를 사용할 수 없는 작업 환경에서
팔레트(P)의 랙킹을 위한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편의성 및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의 고정플레이트(11) 후방부에는 유사시에 팔레트(P)가 장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40)가 다수 구비되어 있고,
상기 위치결정유닛(30)의 구동을 위해 팔레트(P)의 위치 감지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미도시)에 그 신호를 전송하는 각종 센서(50)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수신된 감지 신호에 따라 위치결정유닛(30)의 작동 및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팔레트가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상부에는 리프팅장치나 또는 로봇암 등이 구비되어 팔레트의 랙킹 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팔레트를 위한 오토 랙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베이스 11 : 고정플레이트
13 : 장착플레이트
20 : 이송수단 21 : 제1 이송부
22 : 제1 고정블록 22a : 고정체
22b : 이동체 22c : 조절공
22d : 조절볼트 22e : 조절너트
23 : 제1 이송가이드 23a : 가이드롤
24 : 제2 이송부 25 : 제2 고정블록
26 : 제2 이송가이드 26a : 가이드롤
27 : 진입유도부
30 : 위치결정유닛 31 : 주동부
32 : 구동실린더 32a : 실린더로드
33 : 지지체 33a : 힌지결합부
34 : 중계부재 34a : 연결부
34b : 걸림홈 34c : 대응체결공
34d : 연결체 34e : 이격체
34f : 관통홀 34g : 체결공
34h : 조절볼트 34i : 탄성부재
35 : 종동부 36 : 선회부재
36a : 선회축 36b : 하중인가부재
37 : 가이드부재 37a : 지지블록
37b : 안내롤 38 : 안내부재
38a : 승하강유도부 38b : 수평이동부
40 : 이탈방지부
50 : 센서
HCM : 높이조절수단

Claims (4)

  1.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각 고정플레이트의 내측에 배열된 한 쌍의 장착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각 고정플레이트에 구비되고, 팔레트를 위한 이송수단; 및
    상기 팔레트의 이송방향을 따라 병진 운동하는 주동부와,
    상기 주동부를 따라 이송방향으로 승하강하고, 상기 팔레트를 정위치에 배열시키기 위한 종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의 각 장착플레이트에 구비된 위치결정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팔레트를 위한 오토 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유닛에는
    상기 베이스의 각 장착플레이트 상부에 연결되고, 그 전단부가 경사진 안내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를 위한 오토 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유닛의 종동부는
    상기 주동부에 힌지 결합된 선회부재와,
    상기 선회부재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안내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를 위한 오토 랙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동부는
    상기 베이스의 각 장착플레이트의 상면부에 연결된 구동실린더와,
    상기 종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실린더에 의하여 병진 운동하는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를 위한 오토 랙장치.
KR1020100063448A 2010-07-01 2010-07-01 팔레트를 위한 오토 랙장치 KR101001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448A KR101001364B1 (ko) 2010-07-01 2010-07-01 팔레트를 위한 오토 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448A KR101001364B1 (ko) 2010-07-01 2010-07-01 팔레트를 위한 오토 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1364B1 true KR101001364B1 (ko) 2010-12-15

Family

ID=43512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3448A KR101001364B1 (ko) 2010-07-01 2010-07-01 팔레트를 위한 오토 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13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209B1 (ko) * 2017-10-10 2019-04-03 심명순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2571A (ja) 1997-07-30 1999-02-16 Natl House Ind Co Ltd パネルの面材位置決め装置
JP2008221374A (ja) 2007-03-10 2008-09-25 Kanto Auto Works Ltd ワークパレット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2571A (ja) 1997-07-30 1999-02-16 Natl House Ind Co Ltd パネルの面材位置決め装置
JP2008221374A (ja) 2007-03-10 2008-09-25 Kanto Auto Works Ltd ワークパレット搬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209B1 (ko) * 2017-10-10 2019-04-03 심명순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031B1 (ko) 자동창고
JP2010275059A (ja) 板ガラス用搬送方向転換装置
JP2023540634A (ja) 搬送装置、倉庫物流システム及びパレット搬送方法
JP5247606B2 (ja) 移載装置
KR20130110097A (ko) 물품 수납 설비
JP6593287B2 (ja) 物品搬送設備
CN105819179A (zh) 自动送料设备
KR20170106811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포크
KR20170106943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포크
KR101001364B1 (ko) 팔레트를 위한 오토 랙장치
WO2019119804A1 (zh) 基板架回传装置及基板架回传方法、全自动镀膜机
CN112573196A (zh) 一种多段式载具循环切换机
CN217837342U (zh) 一种自动化物料升降梯对接机
KR101374670B1 (ko) 카세트 이송 장치
CN108788724B (zh) 料箱切换装置及料箱切换方法
JP5278751B2 (ja) 物品保管設備
JP4614096B2 (ja) 物品収納設備
JP2013136451A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
KR101776580B1 (ko) 목재 적재 장치
KR100710070B1 (ko) 평판디스플레이 제조라인의 카세트 이송장치
JP3204840U (ja) パネル昇降移動装置
JP2009043846A (ja) 基板搬送装置
CN214298168U (zh) 一种多段式载具循环切换机
KR200451590Y1 (ko) 도광판 자동 이송 장치
CN115196304B (zh) 一种载具跨楼层输送的升降对接设备及升降对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