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220B1 - 필름 접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필름 접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220B1
KR101058220B1 KR1020110039946A KR20110039946A KR101058220B1 KR 101058220 B1 KR101058220 B1 KR 101058220B1 KR 1020110039946 A KR1020110039946 A KR 1020110039946A KR 20110039946 A KR20110039946 A KR 20110039946A KR 101058220 B1 KR101058220 B1 KR 101058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yarn
fixing
film yarn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운
김경
오태환
김윤영
안현덕
Original Assignee
(주)한국이엔티
안현덕
김경
김상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이엔티, 안현덕, 김경, 김상운 filed Critical (주)한국이엔티
Priority to KR1020110039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2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1/00Combinations, not covered by an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of processes provided for in such groups; Plant for carrying-out such combinations of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2Heat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42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by cutting films into narrow ribbons or filaments or by fibrillation of film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22Stretching or tensioning, shrinking or relaxing, e.g. by use of overfeed and underfeed apparatus, or preventing stretch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3/00Heating or cooling the yarn, thread, cord, rope, or the like, not specific to any one of the processe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출공정과 세절공정을 통해 성형된 필름사들을 후가공하여 형태 안정성을 갖는 필름 접사를 성형하는 필름 접사의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에서는 가열된 연신판에 밀착된 필름사를 일방향으로 당겨 필름사를 가열하여 연신하는 연신공정과; 상기 연신을 마친 필름사의 양 가장자리부를 내향 절곡시키는 절곡 성형공정과; 상기 절곡 성형된 필름사의 중앙부에 내향 절곡된 양 가장자리부를 고착하는 가압 고착공정; 및 상기 가압 고착된 필름사를 가열하여 열 고착하는 열 고착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제조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제조장치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필름 접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lded film yarm}
본 발명은 필름 접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출 성형공정과 세절공정을 통해 필름사를 후가공하여, 양 가장자리부가 내향 절곡하여 고착된 필름접사를 성형하는 필름 접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압출 성형을 통해 면상으로 성형된 필름지를 소정 간격으로 세절하고 이를 연신시켜 제작된 필름사는, 저렴하면서도 신속한 성형이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그런데, 상기 필름사는 쉽게 끓어지는 결점을 갖는 관계로, 마대나, 포대, 그리고 멍석 등의 제작에 국한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또 마대나, 포대 등에 물품을 수납시킨 상태로 바닥면에 자칫 떨어뜨리면 직조된 필름사의 파단에 의해 물품을 수납한 마대나 포대의 국부적인 파열되기도 한다.
그리고, 최근에는 상기 필름사의 양 가장자리를 내향 절첩시킨 필름접사를 제작하고, 이 필름접사를 직조하여 필름사의 결점을 보완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필름 접사의 제조과정은 연신부와 권취부 사이에 필름사의 폭 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직경의 성형공을 갖는 양 가이드들을 배치하여, 연신을 마친 필름사가 양 가이드의 성형공을 통과하면서 양 가장자리가 내측으로 휘감기고 이 상태로 권취부에 권취하여 고착하는 순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양 가이드를 통해서는 필름사의 양 가장자리를 정형화되게 내향 절첩하기 어렵고, 또 권취를 통해 내측으로 휘감겨진 필름 접사의 양 가장자리부를 중간부에 고착하는 것은 필름사 자체의 탄성 복원력을 고려할 때, 상당히 불안정하다.
따라서, 상기한 공정을 통해 제작된 필름 접사를 직조하면 필름접사 자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절첩된 양 가장자리부가 전개되는 현상이 발생되었고, 이러한 현상은 원형직조과정에 이송롤러, 또는 샤틀과의 간섭에 의해 더욱 심화되어서, 안정된 품질 안정성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출 성형공정과 세정공정을 통해 성형된 필름사를 후가공하여, 양 가장자리가 내향 절첩된 필름 접사를 성형함에 있어, 양 가장자리의 안정된 절곡하여 절첩되고, 또 절첩된 필름사의 양 가장자리가 중간부에 고착되도록 구성하여 안정된 형태 안정성을 갖도록 한 필름 접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접사의 제조방법은,
압출 성형부에서 성형된 필름지를 세절한 필름사를 후가공하여 필름 접사를 성형하는 필름 접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후가공은, 가열된 연신판에 밀착된 필름사를 일방향으로 당겨 필름사를 가열하여 연신하는 연신공정과; 상기 연신을 마친 필름사의 양 가장자리부를 내향 절곡시키는 절곡 성형공정과; 상기 절곡 성형된 필름사의 중앙부에 내향 절곡된 양 가장자리부를 고착하는 가압 고착공정; 및 상기 가압 고착된 필름사를 가열하여 열 고착하는 열 고착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접사 제조장치는,
압출기를 통해 면상의 필름지를 압출하여 성형하는 압출 성형부와; 상기 압출 성형된 필름지를 세절하여 필름사들을 성형하는 세절부와; 상기 필름사들을 가열된 연신판에 밀착시킨 상태로 이송시켜 필름사를 가열하여 연신하는 연신부와; 상기 연신을 마친 각 필름사의 가장자리부를 폭방향으로 내향 절곡시키는 절곡 가이드부와; 상기 양 가장자리부가 내향 절곡된 필름사들을 가압롤러에 통과시켜 각 필름사의 중앙부의 표면에 내향 절곡된 양 가장자리가 가압하여 고착되도록 하는 가압 고착부와; 가압 고착된 필름사를 가열하여 가압 고착된 필름사의 중간부와 양 가장자리부가 상호 열 고착된 필름 접사를 성형하는 가열 고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곡 가이드는, 드럼몸체의 외경면에 복수의 성형홈부가 형성된 회전 드럼형, 또는 지그 몸체에 복수의 성형홈부가 형성된 고정 지그형으로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형홈부는 상광하협한 형상의 진입구의 하부에 하광상협한 형상의 내향 절곡홈이 상하 연통되게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져, 연신을 마친 필름사는 진입구를 통해 내향 절곡홈에 진입하여, 하광 상협한 내향 절곡홈 내벽과의 간섭에 의해 양 가장자리부가 내향 절곡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압출 성형공정과 세절공정, 및 연신공정을 통해 성형된 필름사의 양 가장자리를 내향 절첩시켜 필름 접사를 성형함에 있어, 절곡 성형공정과 가압 고착공정, 및 가열 고착공정을 부가하여, 필름사의 양 가장자리가 정형화되게 절첩하여 고착된 형태의 필름 접사를 성형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절곡 성형을 마친 다음, 가열 고착 및 가열 고착을 부가하여 실시하면 내향 절첩된 필름사 양 가장자리부의 전개에 따른 탄성 복원력이 상쇄되므로, 결과적으로 형태 안정성을 갖는 필름 접사의 성형이 가능하고, 또 본 발명에서 채택하고 있는 절곡 가이드부는, 필름사의 양 가장자리를 정형화되게 내향 절곡할 수 있어서, 품질의 균일성도 확보한다.
그리고, 이러한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되어 형태 안정성을 갖는 필름 접사는, 직조과정에 필름접사의 양 가장자리부가 국부적으로 전개되는 현상이 예방되므로 품질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고, 또 종래 직조과정에 양 가장자리의 전개에 의해 직조가 어려웠던 원형직물의 직조에도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필름 접사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필름 접사 제조장치에 채택 가능한 절곡 가이드부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필름 접사 제조장치를 통한 필름접사의 제조공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상기 도 4에 있어, 'A'부분의 순차적인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필름 접사의 제조방법, 및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필름 접사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필름 접사 제조장치에 채택 가능한 절곡 가이드부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필름 접사 제조장치를 통한 필름접사의 제조공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상기 도 4에 있어, 'A'부분의 순차적인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필름 접사의 제조방법, 및 장치(1)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필름사(100')의 양 가장자리부(102)를 폭방향으로 내향 절곡시킨 다음, 이 필름사(100')의 양 가장자리부(102)를 절첩된 상태로 안정되게 고착시켜 형태 안정성을 갖는 필름 접사(100)를 제조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름 접사의 제조장치(1)는, 압출기(11)를 통해 면상의 필름지(110)를 압출하여 성형하는 압출 성형부(10)와; 상기 압출 성형된 필름지(110)를 세절하여 필름사(100')들을 형성하는 세절부(20)와; 상기 필름사(100')들을 가열된 연신판(31)에 밀착시킨 상태로 이송하여 연신하는 연신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름사(10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출기(11)를 통해 면상의 필름지(110)를 압출하여 성형하는 압출 성형부(10)와; 상기 압출 성형된 필름지(110)를 세절하여 필름사(100')들을 성형하는 세절부(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성형되며, 이러한 압출 성형공정(S 10)과 세절공정(S 20)을 통해 성형된 복수의 필름사(100')들은, 연신부(30)의 가열된 연신판(31)에 밀착시킨 상태로 이송하는 연신공정(S 30)을 통해 소정 길이로 연신된다.
이러한 압출 성형부(10)와 세절부(20); 및 연신부(30)를 통한 압출을 통한 필름지의 성형과, 필름사의 세절을 통한 필름사의 성형, 및 필름사의 연신은 종래의 것과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신된 필름사(100')의 양 가장자리부(102)를 정형화되게 내향 절곡시키는 절곡 성형공정(S 40)과, 상기 내향 절곡된 양 가장자리부를 가압 및 열 고착하는 가압 고착 공정(S 50) 및 열 고착공정(S 60)을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형태 안정성을 갖는 필름 접사(100)를 제조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절곡 성형공정(S 40)과, 가압 고착 공정(S 50), 및 열 고착공정(S 60)을 통해 안정된 형태 안정성을 갖는 필름 접사(100)는, 자체 탄성 복원력 및 직조과정에서 샤틀, 롤러 등에 의한 외부 간섭에 의해 절첩하여 고착된 양 가장자리부(102)가 임의 전개되는 현상이 억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신을 마친 각 필름사(100')의 가장자리부(102)를 폭방향으로 내향 절곡시키는 절곡 가이드부(40, 50)와; 상기 양 가장자리부(102)가 내향 절곡된 필름사(100')들을 가압롤러(61)에 통과시켜 각 필름사(100')의 중앙부(101)의 표면에 내향 절곡된 양 가장자리(102)가 가압하여 고착되도록 하는 가압 고착부(60)와; 가압 고착된 필름사(100')를 가열하여 가압 고착된 필름사(100')의 중간부(101)에 양 가장자리부(102)가 열 고착된 필름 접사(100)를 성형하는 열 고착부(70)를 부가하여, 이들 절곡 가이드부(40, 50)를 통한 절곡 성형공정(S 40)과, 가압 고착부(60)를 통한 가압 고착공정(S 50), 및 열 고착부(70)를 통한 열 고착 공정(S 60)을 통해 형태 안정성을 갖는 필름접사(100)를 제작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드럼몸체(41)의 외경면에 복수의 성형홈부(42)가 형성된 회전 드럼형의 절곡 가이드부(40)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그 몸체(51)에 복수의 성형홈부(52)를 형성한 고정 지그형 절곡 가이드부(50)를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 드럼형의 절곡 가이드부(40)를 구현함에 있어, 축(40b)에 상호 대향하는 형상을 갖는 휠부재(40a)들을 배치하여, 대향하는 한 쌍의 휠부재(40a) 사이에 성형홈부(42)가 각각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도면을 보면 상기 회전 드럼형 절곡 가이드부(40), 또는 고정 지그형 절곡 가이드부(50)에 형성된 성형홈부(42, 52)들은, 도 2와 도 3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광하협한 형상의 진입구(42a, 52a)의 하부에 하광상협한 형상의 내향 절곡홈(42b, 52b)이 상하 연통되게 형성된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신부(30)의 가열된 연신판(31)을 통과하면서 가열 및 연신되어 절곡 가이드부(40, 50)의 각 성형홈부(42, 52)에 진입하는 필름사(100')는, 성형홈부(42, 52)의 진입구(42a, 52a)를 통해 중앙부(101)가 하향 돌출되게 절곡된 상태로 하부에 형성된 내향 절곡홈(42b, 52b)에 진입하고, 이 내향 절곡홈(42b, 52b)에 진입된 필름사(100')는 하광상협한 내향 절곡홈(42b, 52b)의 내벽과의 간섭에 의해 양 가장자리부(102)가 내향 절곡된 형상으로 정형화되게 절곡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도 6과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절곡 가이드부(40, 50)를 선회, 또는 승강구조로 설치하여, 초기 설정과정에 연신부(30)와 가압 고착부(60)의 가압롤러(61) 사이에 필름사(100')들을 등간격으로 배치한 다음, 절곡 가이드부(40, 50)를 선회, 또는 승강시켜 연신부(30)와 가압 고착부(60)의 가압롤러(61) 사이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각 필름사(100')가 절곡 가이드부(40, 50)의 각 성형홈부(42, 52)에 진입되도록 하고 있다.
도 6에서는 선회암(53)을 통해 절곡 가이드부(50)를 선회구조로 설치하고 있으며, 도 7에서는 절곡 가이드부(40)를 승강 실린더(43)를 통해 승강구조로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초기 설정과정에 일일히 필름사(100')들를 절곡 가이드부(40, 50)의 각 성형홈부(42, 52)에 진입시키는 번거로움이 해소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절곡 가이드부(40, 50)의 각 성형홈부(42, 52)를 통과하면서 양 가장자리부(102)가 내향 절곡된 필름사(100')들은, 가압 고착부(60)의 가압롤러(61)들을 따라 이동하면서 내향 절곡된 양 가장자리부(102)가 가압에 의해 내향 절첩되어 필름사(100')의 중간부(101)에 고착된다.
이때, 상기 필름사(100')는 연신부(30)를 통해 가열된 상태이므로 다름질하는 것과 같이 가압 고착에 의해 절첩된 필름사(100')의 중간부(101)와 가장자리부(102) 사이의 절첩부위는 정형화되게 절첩된다.
이후, 상기 연신공정(S 30)과, 절곡 성형공정(S 40), 및 가압 고착 공정(S 50)을 마친 필름사들은, 가열을 통해 양 가장자리(102)가 내향 절첩된 필름사(100')들을 열 고착하는 열 고착부(70)를 통과하면서 필름접사(100)를 형성하고, 이후 필름접사(100)들은 권취부(70)의 각 보빈(71)에 권취되는 권취공정(S 70)이 실시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터널몸체의 내부에 균일한 열기를 방출하는 터널형 가열로(71)를 포함하여 구성된 열 고착부(70)로 채택하여,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양 가장자리부(102)가 내향 절첩된 필름사(100')의 중간부(101)와, 중간부(101)에 가압 고착된 양 가장자리부(102)가 동일한 열기를 제공받아 이들(101, 102)이 상호 열 고착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터널형 가열로(71)를 포함하여 구성된 열 고착부(70)를 통과하는 필름사(100')의 양 가장자리(102)와 하부에 적층된 중간부(101)는 열 고착부(70)를 통과하면서 균일한 열기를 제공받아 형상 교정 및 열 고착된다.
그리하여, 이러한 열 고착을 통해 양 가장자리의 전개에 따른 탄성 복원력이 상쇄되므로, 이를 통해 성형된 필름접사(100)는 안정된 형태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1. 필름 접사의 제조장치
10. 압출 성형부 11. 압출기
20. 세절부
30. 연신부 31. 가열판
40. 회전 드럼형 절곡 가이드부
40a. 분할휠 40b. 축
41. 드럼몸체 42. 성형홈부
42a. 진입구 42b. 내향 절곡홈
43. 선회암
50. 고정 지그형 절곡 가이드부
51. 성형홈부 52a. 진입구
52b. 내향 절곡홈 53. 선회암
60. 가압 고착부 61. 가압롤러
70. 열 고착부 71. 터널형 가열로
100. 필름접사 100'. 필름사
101. 중간부 102. 양 가장자리부
103. 절첩부위 110. 필름지

Claims (11)

  1. 필름사를 후가공하여 필름 접사를 성형하는 필름 접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후가공은, 가열된 연신판에 밀착된 필름사를 일방향으로 당겨 필름사를 가열하여 연신하는 연신공정과; 상기 연신을 마친 필름사의 양 가장자리부를 내향 절곡시키는 절곡 성형공정과; 상기 절곡 성형된 필름사의 중앙부에 내향 절곡된 양 가장자리부를 고착하는 가압 고착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접사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고착공정을 마친 필름사를 가열하여 열 고착하는 열 고착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접사의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가공되는 필름사는 압출 성형부에서 성형된 필름지를 세절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접사의 제조방법.
  4. 필름사들을 가열된 연신판에 밀착시킨 상태로 이송시켜 필름사를 가열하여 연신하는 연신부와; 상기 연신을 마친 각 필름사의 가장자리부를 폭방향으로 내향 절곡시키는 절곡 가이드부와; 상기 양 가장자리부가 내향 절곡된 필름사들을 가압롤러에 통과시켜 각 필름사의 중앙부의 표면에 내향 절곡된 양 가장자리가 가압하여 고착되도록 하는 가압 고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접사 제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고착부를 통과한 필름사를 가열하여, 가압 고착된 필름사의 중간부와 양 가장자리부가 상호 열 고착되도록 하는 열 고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접사 제조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가이드부는 드럼몸체의 외경면에 복수의 성형홈부가 형성된 회전 드럼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접사 제조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가이드부는 지그 몸체에 복수의 성형홈부가 형성된 고정 지그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접사 제조장치.
  8.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압출기를 통해 면상의 필름지를 압출하여 성형하는 압출 성형부와; 상기 압출 성형된 필름지를 세절하여 필름사들을 성형하는 세절부가 부가되어, 연신부에는 압출 성형부와 세절부를 통해 면상의 필름지를 세절한 필름사가 투입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접사 제조장치.
  9. 제 5항에 있어, 상기 열 고착부는 터널몸체의 내부에 균일한 열기를 방출하는 터널형 가열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접사 제조장치.
  10.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홈부는 상광하협한 형상의 진입구의 하부에 하광상협한 형상의 내향 절곡홈이 상하 연통되게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져, 연신을 마친 필름사는 진입구를 통해 내향 절곡홈에 진입하여, 하광 상협한 내향 절곡홈 내벽과의 간섭에 의해 양 가장자리부가 내향 절곡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접사 제조장치.
  11.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부와 가압 고착부 사이에 배치되는 절곡 가이드부는 선회 또는 승강구조로 설치되어, 절곡 가이드부는 선회, 또는 승강을 통해 각 성형홈부에 연신부와 가압 고착부의 가압롤러 사이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필름사들을 진입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접사 제조장치.
KR1020110039946A 2011-04-28 2011-04-28 필름 접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058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946A KR101058220B1 (ko) 2011-04-28 2011-04-28 필름 접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946A KR101058220B1 (ko) 2011-04-28 2011-04-28 필름 접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8220B1 true KR101058220B1 (ko) 2011-08-22

Family

ID=44933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946A KR101058220B1 (ko) 2011-04-28 2011-04-28 필름 접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822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459B1 (ko) 2012-06-20 2013-11-08 (주)한국이엔티 형태 안정성을 갖는 필름접사 제조장치, 및 필름접사의 제조방법
KR101402266B1 (ko) 2012-10-26 2014-06-02 김상운 제직성이 향상된 복합형 필름접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200009389A (ko) * 2018-07-18 2020-01-30 주식회사 코아테크 밴드 코팅 장치 및 방법
CN110983541A (zh) * 2019-12-28 2020-04-10 常州市永明机械制造有限公司 塑料胚丝折叠机构
KR20220073243A (ko) * 2020-11-26 2022-06-03 김수아 다층공간구조 형성을 위한 주름라인이 형성된 편평사 제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171U (ko) * 1996-07-12 1998-04-30 강종섭 합성수지필름사 제조용 방사장치
KR20010009818A (ko) * 1999-07-14 2001-02-05 이한성 합성수지 필름사 제조장치
KR200328082Y1 (ko) * 2003-07-04 2003-09-26 주식회사 명진엔지니어링 합성수지 필름사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171U (ko) * 1996-07-12 1998-04-30 강종섭 합성수지필름사 제조용 방사장치
KR20010009818A (ko) * 1999-07-14 2001-02-05 이한성 합성수지 필름사 제조장치
KR200328082Y1 (ko) * 2003-07-04 2003-09-26 주식회사 명진엔지니어링 합성수지 필름사 제조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459B1 (ko) 2012-06-20 2013-11-08 (주)한국이엔티 형태 안정성을 갖는 필름접사 제조장치, 및 필름접사의 제조방법
KR101402266B1 (ko) 2012-10-26 2014-06-02 김상운 제직성이 향상된 복합형 필름접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200009389A (ko) * 2018-07-18 2020-01-30 주식회사 코아테크 밴드 코팅 장치 및 방법
KR102132715B1 (ko) * 2018-07-18 2020-07-13 주식회사 코아테크 밴드 코팅 장치 및 방법
CN110983541A (zh) * 2019-12-28 2020-04-10 常州市永明机械制造有限公司 塑料胚丝折叠机构
KR20220073243A (ko) * 2020-11-26 2022-06-03 김수아 다층공간구조 형성을 위한 주름라인이 형성된 편평사 제조장치
KR102445437B1 (ko) * 2020-11-26 2022-09-20 김수아 다층공간구조 형성을 위한 주름라인이 형성된 편평사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8220B1 (ko) 필름 접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0454138Y1 (ko) 인조피혁 엠보싱 가공장치
CN106006118A (zh) 一种纺织用织布印花包装装置
CN210973251U (zh) 一种超细纤维合成革的坯布张拉装置
KR101609209B1 (ko) 열경화성 및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선택적 제조시스템
ITUB20152307A1 (it) Metodo e dispositivo per la produzione di un filo fiammato e filo cosi' ottenuto
US2097592A (en) Dye jig
KR102117700B1 (ko) 비닐 제조 장치
ITBS20100130A1 (it) Dispositivo di formazione della teletta per uno stiroriunitore
KR101327459B1 (ko) 형태 안정성을 갖는 필름접사 제조장치, 및 필름접사의 제조방법
CN103317839A (zh) 一种上浆转印机
CN210283586U (zh) 一种纤维肌理网络夹芯的热转印系统
CN105040311A (zh) 用于给纱片加载液体的装置
CN203293656U (zh) 一种上浆转印机
IT201900003327A1 (it) Apparecchiatura di stenditura per tessuti migliorata
IT201800010377A1 (it) Tamburo perforato per essiccatori ad aria passante con dispositivo distribuzione dell'aria incorporato
JP6001967B2 (ja) 熱セット生地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IT201900003621A1 (it) Macchina compattatrice di strutture tessili di tessuti e relativo metodo di compattazione
KR200422900Y1 (ko) 직물 건조장치의 네트컨베이어
KR102491562B1 (ko) 라벨 원단 제조방법
IT201800007443A1 (it) Tamburo perforato per essiccatori ad aria passante
KR101402266B1 (ko) 제직성이 향상된 복합형 필름접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00118281A (ko) 섬유 원단 전처리 가공 장치
KR200361042Y1 (ko) 직물의 주름 성형장치
KR200199571Y1 (ko) 옷걸이용 주름방지대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