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5900B1 - 가연성 쓰레기 칩 제조장치용 쓰레기 다짐 판 - Google Patents

가연성 쓰레기 칩 제조장치용 쓰레기 다짐 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5900B1
KR101055900B1 KR1020090051231A KR20090051231A KR101055900B1 KR 101055900 B1 KR101055900 B1 KR 101055900B1 KR 1020090051231 A KR1020090051231 A KR 1020090051231A KR 20090051231 A KR20090051231 A KR 20090051231A KR 101055900 B1 KR101055900 B1 KR 101055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die
holes
garbage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1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1893A (ko
Inventor
김현배
김연실
Original Assignee
김연실
김현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실, 김현배 filed Critical 김연실
Priority to KR1020090051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5900B1/ko
Publication of KR20100131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22Extrusion presses; Dies therefor
    • B30B11/221Extrusion presses; Dies therefor extrusion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0Feeding material to presses
    • B30B15/302Feeding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to moulding presses
    • B30B15/308Feeding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to moulding presses in a continuous manner, e.g. for roller presses, screw extrusion pr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8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industrial residues and waste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00/00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명칭] 가연성 쓰레기 칩 제조장치용 쓰레기 다짐 판
[구성] 원통 내부에서 가압된 가연성 쓰레기가 진입되는 제1 구멍(32)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구멍(32)들과 동심을 이룬 채 제1 구멍(32)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2 구멍(31)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구멍(32)과 제2 구멍(31)들이 만나는 부분에는 경사면(33)이 형성된 통상의 가연성 쓰레기 칩 제조장치용 다이스(30)의 제2 구멍(31)과 관통되는 동일한 숫자의 경사구멍(11)들이 형성되고 볼트에 의해 상기 다이스(30)에 고정되며, 상기 다이스(30)의 제2 구멍(31)을 통해 1차로 압축되어 배출되는 가연성 쓰레기가 경사구멍(11)을 거치면서 더욱 마찰력이 작용하여 더 고압으로 압축되면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쓰레기 칩 제조장치용 쓰레기 다짐 판.
Figure R1020090051231
가연성 쓰레기, 칩, 다이스

Description

가연성 쓰레기 칩 제조장치용 쓰레기 다짐 판{Waste Pressure Device}
도1은 종래 가연성 쓰레기 칩 제조장치(실린더/피스톤 방식)를 통해 막대형태의 가연성 쓰레기를 생산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2는 도1의 종래 다이스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다짐 판을 도1의 종래 칩 제조장치에 적용하는 예를 나타낸 참고도.
도4는 본 발명의 명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을 종래 다이스에 고정시킨 상태에서의 평면도.
도7은 도6의 종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다짐 판을 이용하여 기본 실시 예로써 막대형태의 가연성 쓰레기를 생산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은 가연성 쓰레기 칩 제조장치용 쓰레기 다짐 판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이르러 전 세계적으로 자원의 고갈이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비책의 일환으로 전 분야에서 배출되는 폐기물과 쓰레기를 재활용하여 제품의 원료로 사용하거나 화석 에너지를 대체하는 연료로 사용하도록 정책적으로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가연성의 재활용 쓰레기를 칩(직경 20∼25㎜, 길이 30∼100㎜)으로 재생시켜서 시멘트생산회사 또는 철강생산회사 또는 각종 화학제품생산회사의 제품 생산에 필요한 보일링 시스템의 열원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가연성 쓰레기 칩 제조장치에서 사용되는 칩 생산용 다이스(30)와 같이 사용되면서 상기 다이스(30)를 통해 배출되는 가연성 쓰레기의 품질을 적정 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함이 발명의 주(主) 목적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가연성 쓰레기 칩 제조장치는, 도1과 같이 베이스 프레임(1)에 다이스(30)가 고정되고 상기 다이스(30)의 위에는 원통(2)이 고정되며, 상기 원통(2)의 내부에는 유압실린더(3)의 피스톤로드(4)의 작동에 의해 상승 및 하강을 하면서 가연성 쓰레기(A)를 다이스(3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압판(5)이 장치되어 있다. 동시에 상기 원통(2)의 측면에는 가연성 쓰레기를 원통(2) 안으로 투입시키기 위한 투입관(6)이 설치되며, 상기 투입관(6)의 내부에는 나선축(7)이 구비되고 상기 나선축(7)은 서보모타(8)의 작동에 의해 회전을 한다. 그리고 상기 투입관(6)의 위쪽에는 호퍼(6a)가 구비되어 있어서 컨베어 벨트(9)를 통해 이송된 가연성 쓰레기를 저장한 채 투입관(6)으로 공급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다이스(30)는 도2와 같이 상측에는 큰 직경의 제1 구멍(32)들이 형성되고 제1 구멍(32)과 동심을 가진 채 직경이 다소 작은 제2 구멍(31)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구멍(32)과 제2 구멍(31)이 만나는 부분에는 경사 면(3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구멍(32)과 제2 구멍(31)은 통상 수백 개 정도 형성이 되어 있으며, 제2 구멍(31)의 직경은 20∼25㎜ 이내의 치수를 가지고 있다. 참고로 부언하면, 다이스(30)의 볼트 관통구멍(34)을 통해 조립되는 볼트(및 너트)는 원통(2)과 다이스(30)를 베이스 프레임(1)에 고정시킨다.
이상과 같은 칩 제조장치는 실린더/피스톤 방식으로서 가장 흔히 사용되고 있는 타입이다[이하 칩 제조장치(i)라 칭함].
그런데, 상술한 칩 제조장치(i)는, 도1을 참조하여 볼 때 원통(2) 안에 충진된 가연성 쓰레기(A)를 가압판(5)을 가압하여 다이스(30)의 제1 구멍(32)과 제2 구멍(31)을 통해서 배출시키며 이에 따라 다이스(30)를 통과한 가연성 쓰레기는 막대형태의 가연성 쓰레기(A1)로 형태가 변화된다. 한편, 가연성 쓰레기는 비닐이나 수지류, 고무, 플라스틱 등이기 때문에 이들을 잘게 부순 상태에서 원통 안에 투입시킨다고 하더라도 입자들 사이의 공간이 차지하는 비율이 10% 정도로 매우 높다. 다시 말해서, 크고 작은 재료들이 강하게 밀착되도록 다져지지 않고 푸석푸석한 상태로 원통 안으로 투입되기 때문에 가압판(5)을 통해 고압을 작용시키면서 다이스(30)를 통해 막대형태의 가연성 쓰레기(A1)로 변화시킨 후 배출시킨다고 하더라도 고밀도로 단단하지 못하고 저밀도의 무른 상태로 배출이 되어 30∼100㎜ 정도의 길이로 커팅하여 포장하는 공정에서는 물론 수송하는 과정, 하차하는 과정, 야적하는 과정 등에서 거의 90% 정도가 부스러져서 아예 사용을 할 수 없는 또 다른 산업 폐기물로 전락하여 버리는 결정적인 폐단을 안고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술한 칩 제조장치(i)의 규모를 막론하고 이를 통해 생산된 칩의 비중은 0.4를 초과하지 못하며 압축강도는 8Kg/㎠을 채 초과하지 못하여 특히 철강생산회사를 비롯하여 화학제품생산회사로 납품할 제품의 품질규정에 따른 자격을 갖추지 못하여 헐값으로 대충 팔려나가는 막대한 손실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참고로 부언하면, 위에서 언급한 제품의 품질규정을 만족시키려면 비중은 0.7 이상이고 압축강도는 최소 11Kg/㎠ 이상이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될 수밖에 없는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상적인 품질 추구를 못하고 있는 칩을 억지로 사용자 회사의 로(爐) 안으로 투입시켜 연소를 시킨다고 하도라도 칩 자체가 무르고 퍼석한 상태이기 때문에 불씨가 날리게 되고 이 불씨는 유독개스 및 분진, 매연 등을 정밀하게 필터링 하여주는 백-필터까지 날려가서 결국 백-필터를 태우게 되는 큰 문제를 야기 시킨다. 이와 같이 백-필터가 손상되면 필터링 기능이 상실되어 대기오염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사용되지 못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칩은 매우 잘 부수어지기 때문에 분진발생 현상이 심하여 상기 백-필터의 공기유로를 막아버리므로 필터링 기능을 격감시키는 원인이 되어 역시 사용될 수 없는 것이다. 이와 함께 사용자 회사에 야적을 시켜두면 바람에 분진이 심하게 날려서 대기오염은 물론 민원발생의 원인이 되어 큰 난제가 대두되고 비가 올 경우 빗물과 함께 유독성 분진이 강물로 유입되기 때문에 수질오염을 유발시키는 폐단이 수반된다.
또한, 연료로 사용되고자 할 때 상술한 로(爐)에 장치된 호퍼로부터 용이하게 배출되지 못하고 뒤엉기는 문제가 발생되어 좋지 못하며, 억지로 호퍼로부터 배 출을 시킨다고 하더라도 로 안으로 투입될 때 다시 푸석거리며 깨지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폐단이 수반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리고 고밀도로 단단하게 뭉쳐진 상태가 아니어서 연소 시(時) 화력이 강하지 못하고 분산되어 큰 문제로 대두되었다. 그 밖에도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분진이 심하게 발생되어 작업장의 대기환경을 열악하게 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는 원인 중 하나로 대두될 수 있고 각종 장치의 고장을 유발시키기도 하는 등의 다수 폐단과 문제가 있어 정상적인 연료로 사용될 수 없었던 것이다.
위와 같은 폐단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술한 실린더/피스톤 방식에서 탈피한 링-다이스 방식 칩 제조장치[이하 칩 제조장치(ii)라 칭함]가 등장하게 되었던 바, 이는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켜 제품으로부터 발생되었던 상기의 폐단과 문제는 해결할 수 있었으나 다음과 같은 또 다른 폐단과 문제가 수반되어 제 역할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상기 칩 제조장치(ii)는, 외경 1,200㎜이고 내경 910㎜이며 폭이 380㎜ 정도인 원통의 외주 면 전체에 걸쳐 20㎜ 내지 25㎜ 정도의 직경을 가지는 칩 배출구멍이 형성된 링 다이스 안에 회전축이 동심으로 장치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회전축과 편심을 유지한 채 2개의 아이들 롤러가 조립되어 있어서 링 다이스 안에 재료가 투입되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아이들 롤러가 재료를 링 다이스의 내측 면으로 강하게 그리고 연속적으로 다지면서 밀착시켜서 결국 원통에 형성된 칩 배출구멍을 통하여 강한 마찰력이 작용되면서 외부로 배출이 되도록 하는 원리를 띠고 있다.
이러한 장치는 근래에 개발되어 주로 일본에서 생산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유사한 모방기계가 다수 존재하고 있는데, 이 장치는 상술한 칩 제조장치(i)에 비하여 더욱 단단한 상태로의 칩을 제조할 수는 있으나 오히려 더 큰 문제와 단점을 안고 있는 실정이다. 즉, 아이들 롤러가 재료를 가압하여 링 다이스의 구멍을 통해 배출시키기 때문에 상술한 칩 제조장치(i)에 비하여 재료에 가해지는 압축력은 훨씬 높아서 강도가 우수한 칩을 제조할 수는 있다. 그러나 투입되는 재료의 량이 일정하지 못할 경우 어느 한 부분에서 심하게 엉겨 붙어서 링 다이스의 내측 면에 매우 강하게 고착이 되어 버리는 문제가 수반되어 장치가 원활히 작동되지 못하고 정지하여 버리는 폐단이 발생되고 이러한 경우마다 작업자가 일일이 고착된 부분을 칼과 스크래이퍼 등으로 긁어내어서 제거를 시킨 후 다시 장치를 가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매우 불량하다. 또한, 상기 아이들 롤러와 링 다이스의 내면 사이에는 공차가 거의 없기 때문에 상술한 금속성 이물질이 아이들 롤러와 링 다이스의 내측 면 사이에 박힐 때에는 회전축 내지 아이들 롤러 샤프트가 파손되거나 회전축을 지지하는 고가의 베어링이 파손되는 예가 허다하게 발생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링 다이스에 형성된 칩 배출구멍의 언저리를 심하게 마모시키게 되어 유지보수성이 극히 불량하고 경제적이지 못한 단점이 대두되고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이 금속성 이물질이 아이들 롤러와 링 다이스의 내측 면 사이에 박힐 때 금속성 이물질이 링 다이스의 칩 배출구멍 안에 박히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가 발생되면 장치의 가동을 중단시키고 드릴로 금속성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을 가하여야 하기 때문에 더욱 생산성이 불량하고 비 능률적인 작업결과를 초래하게 되어 최근에 접어들어 관련 업계에서는 이 장치(i)의 존속 여부를 심각하게 저울질하고 있는 안타까운 실정에 놓이게 되었다. 한편, 상술한 칩 제조방치(i)는 원통(2) 안에 금속성 이물질이 어느 정도 유입이 되어도 가압판(5)이 다이스(30)의 상면까지 닿도록 하강하지는 않기 때문에 금속성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폐해는 링 다이스 방식의 장치에 비하여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할 수 있다.
참고로 부언하면, 상기 칩 제조장치(i)의 설계치에 의하면 1일 8시간 장치가동 시간을 두고 8톤의 칩을 생산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3톤 이하의 생산량에 머물고 있고, 앞서 설명한 장치(i)의 경우 동일한 조건에서 1일 2톤 이하의 생산량에 머물고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장치(i)는 칩의 품질이 저조하여 생산량을 따지는 것 자체가 무의미하다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와 폐단으로 인하여 관련 업계에서는 상술한 칩 생산장치들을 운용하여도 이익이 거의 발생되지 않고 있는 바, 정부의 보조금 등을 제외시킨다면 사실상 현재의 장치로는 칩 생산을 계속할 이유가 없어진 다시 말해서, 사업성이 지극히 불량한 사업 아이템으로 전락되고 있어 그 해결책이 매우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장치(i)(ii)로부터 비롯된 문제와 단점, 폐단을 일시에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칩 제조장치용 다짐 판을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다시 말해서 장치적인 장점이 상기 칩 제조장치(ii)보다 부각되는 실린더/피 스톤 방식의 칩 제조장치(i)를 이용하면서 고품질의 칩을 생산할 수 있는 쓰레기 다짐 판을 제공함으로서 상술한 종래 장치들이 안고 있는 다양한 폐단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과제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살피기로 한다.
원통 내부에서 가압된 가연성 쓰레기가 진입되는 제1 구멍(32)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구멍(32)들과 동심을 이룬 채 제1 구멍(32)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2 구멍(31)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구멍(32)과 제2 구멍(31)들이 만나는 부분에는 경사면(33)이 형성된 통상의 가연성 쓰레기 칩 제조장치용 다이스(30)의 제2 구멍(31)과 관통되는 동일한 숫자의 경사구멍(11)들이 형성되고 볼트에 의해 상기 다이스(30)에 고정되며, 상기 다이스(30)의 제2 구멍(31)을 통해 1차로 압축되어 배출되는 가연성 쓰레기가 경사구멍(11)을 거치면서 더욱 마찰력이 작용하여 더 고압으로 압축되면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의 쓰레기 다짐 판에는, 다이스(30)와의 볼트 조립을 위한 볼트 통과구멍(12)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함께 상기 쓰레기 다짐 판에 형성된 경사구멍(11)은, 수직 면(V)을 기준하여 5∼45°의 각도 범위 이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쓰레기 다짐 판의 두께(H1)는, 기존의 다이스(30)의 두께(H)를 기준하여 1/5∼1/4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과 실시 예를 도면을 근거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링 다이스방식의 장치에 비하여 기계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존의 실린더/피스톤 방식의 칩 제조장치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고품질의 칩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을 갖춘 것인데, 이는 도4, 도5와 같이 원형의 납작한 판 형태를 띠며 경사구멍(11)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도면과 같이 매우 간단한 형태를 띠고 있으나 그 작용은 실로 괄목할만한 것으로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짐 판(10)은, 기존의 다이스(30)의 두께(H)를 기준하여 1/5∼1/4 정도의 두께를 가지며 경사구멍(11)의 숫자는 상기 다이스(30)에 형성된 제2 구멍(31)의 숫자와 동일하게 형성이 되고, 도7과 같이 경사구멍(11)은 다이스(30)의 제2 구멍(31)과 관통되도록 즉, 상기 제2 구멍(31)과 같은 직경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구멍(11)의 각도(α)는 다짐 판(10)의 수직 면(V)을 기준으로 5∼45°의 각도 범위 이내로 구성되어 있고, 도4와 같이 볼트 관통구멍(12)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정상적인 구조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볼트 관통구멍(12)이 생략되고 상기 다이스(30)에 별도로 조립되는 공지의 고정수단(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을 통해 다이스(30)와 고정될 수 있음은 당연한 이치이며 보통의 지식을 가진 엔지니어는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작용을 더욱 상세히 살피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3과 같이 실린더/피스톤 방식의 칩 제조장치의 다이스(30) 저면에 1개 또는 2개 또는 3개식으로 적절히 조립시켜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인데, 본 발명인의 실험에 의하면 2개의 다짐 판(10)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다짐 판(10)을 도7, 도8과 같이 2개를 사용한다고 가정할 때 2번째의 다짐 판(10a)은 첫 번째의 다짐 판(10)의 경사구멍(11)이 향하는 방향과 반대의 방향 다시 말해서, "<" 와 같이 되도록 경사구멍(11)들이 위치하도록 하여야 한다. 그 이유는, 원통(2) 안의 가연성 쓰레기(A)가 가압판(5)의 하강작용에 의하여 다이스(30)의 제2 구멍(31)을 통해 배출되기 시작하고 동시에 위쪽의 다짐 판(10)의 경사구멍(11)으로 진입함과 동시에 강한 마찰력을 받으면서 각도가 꺾인 채 하방으로 배출이 되고, 이는 다시 2번째의 다짐 판(10a)의 경사구멍(11)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각도가 꺾이면서 더욱 강한 마찰력을 받으면서 배출이 되어 막대형태의 가연성 쓰레기(N1)로 형태가 변화된다.
이때, 2번째의 다짐 판(10a)의 저면에는 도7, 도8과 같이 기존의 다이스(30)를 본 발명의 다짐 판(10)과 같은 판 형태이며 다이스(30)의 제2 구멍(31)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동일한 숫자를 가지며 동심의 위치에 칩 배출구멍(21)이 형성된 제2 다이스(20)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만일, 제2 다이스(2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2번째의 다짐 판(10a)을 통과하는 막대형태의 가연성 쓰레기(N1)는 도8을 기준하여 볼 때 우측방향으로 휘어지면서 다짐 판(10a)의 경사구멍(11)을 빠져나오게 되고 어느 정도의 길이로 배출이 되면 다시 수직방향을 향하게 되기는 하나 이러한 경우 하방의 다짐 판(10a)의 바로 밑 부분에는 막대형태의 가연성 쓰레기(N1)가 휘어지는 부분이 존재하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이 된다고 하여도 장치의 가동에 문제가 발생되거나 칩의 생산에 큰 애로점이 발생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방의 다짐 판(10a)을 통과한 막대형태의 가연성 쓰레기(N1)가 일직선을 유지한 채 수직방향으로 배출이 되어야만 이후의 커팅공정을 수행하기가 더욱 쉽기 때문이다.
위와 같이 2개의 다짐 판(10)(10a)을 사용하고 경사구멍(11)들이 상술한 바와 같이 반대방향으로 놓이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유는, 도5와 같은 본 발명의 다짐 판(10)을 바로 뒤집으면 도7, 도8에서와 같이 위쪽의 다짐 판(10)의 경사구멍(11)과 반대의 방향을 이루는 다짐 판(10a)으로 되기 때문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도9와 같이 3개의 다짐 판(10)(10a)(10b)을 사용하거나 더 이상의 숫자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인의 실험에 의하면 다짐 판(10)의 경사구멍(11)의 각도(α)는 보통 30°정도가 무난하였지만 원통(2) 안으로 투입되는 가연성 쓰레기(A)의 종류 및 성상 등의 요인을 기준하여 그 각도를 최저 5°까지 그리고 최대 45°까지 변화시켜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함께 다짐 판(10)의 두께(H1)는 상기 다이스의 두께(H)에 비하여 1/5∼1/4 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는데, 보통 다이스(30)의 두께(H)가 140∼160㎜ 정도임을 감안할 때 다짐 판(10)의 두께(H1)는 30㎜ 정도가 가장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한편, 본 발명의 실험에서 도7, 도8과 같은 상태에서 다이스(30)의 하방에 1개의 다짐 판(10)만을 조립시키고 막대형태의 가연성 쓰레기(N1)를 생산하여 본 결과 2개의 다짐 판(10)(10a)을 사용한 것에 비하여 강도가 다소 떨어진다는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짐 판은 최소 2개 내지 3개 정도를 도면과 같이 구사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얻었으며, 도7, 도8과 같이 2개의 다짐 판(10)(10a)을 사용하고 직경이 22㎜인 막대형태의 가연성 쓰레기(N1)를 생산하여 냉각 및 건조를 시킨 후 높이 11㎜로(지름 1/2로) 축소될 때 까지 압축하여 압축강도 시험을 한 결과 99% 이상이 12Kg/㎠을 초과하는 매우 양호한 결과를 얻었고 이때 비중은 0.7∼0.8 정도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도8과 같이 2개의 다짐 판(10)(10a) 그리고 제2 다이스(20)를 사용하여 막대형태의 가연성 쓰레기(N1)를 생산하고 위와 같이 실험을 한 결과 제2 다이스(20)를 사용할 때 비중은 0.05 정도 증가하였고 압축강도는 10% 정도 더 상승되는 탁월한 결과를 얻게 되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가연성의 재활용 쓰레기를 이용하여 열원으로서의 칩을 생산함에 있어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반면 고가의 복잡한 기계에 비하여 기계적인 장점을 가지는 실린더/피스톤 방식의 칩 제조장치의 다이스에 간단히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장 까다로운 칩 품질규정을 만족시키는 고품질의 가연성 쓰레기 칩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 칩 제조장치들로부터 비롯되었던 다수의 폐단과 문제를 일시에 해소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원통 내부에서 가압된 가연성 쓰레기가 진입되는 제1 구멍(32)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구멍(32)들과 동심을 이룬 채 제1 구멍(32)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2 구멍(31)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구멍(32)과 제2 구멍(31)들이 만나는 부분에는 경사면(33)이 형성된 통상의 가연성 쓰레기 칩 제조장치용 다이스(30)의 제2 구멍(31)과 관통되는 동일한 숫자의 경사구멍(11)들이 형성되고 볼트에 의해 상기 다이스(30)에 고정되며, 상기 다이스(30)의 제2 구멍(31)을 통해 1차로 압축되어 배출되는 가연성 쓰레기가 경사구멍(11)을 거치면서 더욱 마찰력이 작용하여 더 고압으로 압축되면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쓰레기 칩 제조장치용 쓰레기 다짐 판.
  2. 제1항의 쓰레기 다짐 판에는, 다이스(30)와의 볼트 조립을 위한 볼트 통과구멍(12)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쓰레기 칩 제조장치용 쓰레기 다짐 판.
  3. 제1항의 쓰레기 다짐 판에 형성된 경사구멍(11)은, 수직 면(V)을 기준하여 5∼45°의 각도 범위 이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쓰레기 칩 제조장치용 쓰레기 다짐 판.
  4. 제1항의 쓰레기 다짐 판의 두께(H1)는, 기존의 다이스(30)의 두께(H)를 기준하여 1/5∼1/4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쓰레기 칩 제조장치용 쓰레기 다짐 판.
KR1020090051231A 2009-06-08 2009-06-08 가연성 쓰레기 칩 제조장치용 쓰레기 다짐 판 KR101055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231A KR101055900B1 (ko) 2009-06-08 2009-06-08 가연성 쓰레기 칩 제조장치용 쓰레기 다짐 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231A KR101055900B1 (ko) 2009-06-08 2009-06-08 가연성 쓰레기 칩 제조장치용 쓰레기 다짐 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893A KR20100131893A (ko) 2010-12-16
KR101055900B1 true KR101055900B1 (ko) 2011-08-09

Family

ID=43507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231A KR101055900B1 (ko) 2009-06-08 2009-06-08 가연성 쓰레기 칩 제조장치용 쓰레기 다짐 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59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9646B1 (ko) * 1993-10-21 1997-10-22 박원배 프로파일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206755Y1 (ko) * 2000-06-15 2000-12-15 배용생 금속칩 압축 성형장치
KR100415769B1 (ko) * 2002-02-22 2004-01-24 주식회사 동방이엔지 쓰레기고형연료 압출기
KR100483141B1 (ko) * 2004-04-27 2005-04-14 푸른나래(주) 합성수지관 제조용 노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9646B1 (ko) * 1993-10-21 1997-10-22 박원배 프로파일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206755Y1 (ko) * 2000-06-15 2000-12-15 배용생 금속칩 압축 성형장치
KR100415769B1 (ko) * 2002-02-22 2004-01-24 주식회사 동방이엔지 쓰레기고형연료 압출기
KR100483141B1 (ko) * 2004-04-27 2005-04-14 푸른나래(주) 합성수지관 제조용 노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893A (ko) 201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672395U (zh) 一种环保多级破碎机
CN105921484A (zh) 一种生活垃圾焚烧发电厂炉渣综合利用的方法
KR101128126B1 (ko) 가연성 쓰레기 연료 봉(Refused Plastic Fuel) 제조장치
KR101055900B1 (ko) 가연성 쓰레기 칩 제조장치용 쓰레기 다짐 판
CN103785670A (zh) 一种造纸废渣无害化处理方法
CN214211700U (zh) 一种废包装容器资源综合利用回收系统
CN114082762A (zh) 一种用于建筑工程废料再利用的建筑废料处理装置
CN210966984U (zh) 一种废旧合金回收处理装置
KR20100120070A (ko) 가연성 쓰레기 정량 공급장치
KR20130104264A (ko) 가연성 쓰레기 연료 봉 제조용 금형
KR101045137B1 (ko) 고정식 다이스를 사용하는 가연성 쓰레기 막대(bar) 제조장치의 쓰레기 막대 냉각 및 절단장치
CN207446370U (zh) 建筑垃圾的粉碎处理结构
CN110788112A (zh) 一种工业废弃物精细分类分选工艺方法
UA15917U (en) Roll crusher
CN111168557B (zh) 一种再生骨料整形装置
CN204746412U (zh) 一种建筑垃圾破碎装置
CN108218323B (zh) 一种垃圾焚烧炉渣综合处理后产生的尾渣料的再处理方法
CN207388091U (zh) 废旧轮胎快速解体粉碎装置
CN205521906U (zh) 一种用于基于垃圾焚烧炉渣高强度隔音免烧砖生产装置
KR101044174B1 (ko) 가연성 쓰레기 칩(chip) 제조장치
CN215929563U (zh) 一种垃圾填埋场垃圾焚烧处理装置
CN204396108U (zh) 一种新型定刀固定结构
CN213914224U (zh) 一种高炉铁沟料生产用破碎装置
KR100481161B1 (ko) 파분쇄에 의한 재생모래의 제조장치
KR101032804B1 (ko) 가연성 쓰레기 칩(chip)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