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5642B1 -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 - Google Patents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5642B1
KR101055642B1 KR1020090102635A KR20090102635A KR101055642B1 KR 101055642 B1 KR101055642 B1 KR 101055642B1 KR 1020090102635 A KR1020090102635 A KR 1020090102635A KR 20090102635 A KR20090102635 A KR 20090102635A KR 101055642 B1 KR101055642 B1 KR 101055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secondary battery
battery charge
discharge test
test pro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2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5890A (ko
Inventor
전민수
김우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타이스일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타이스일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타이스일렉
Priority to KR1020090102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5642B1/ko
Publication of KR20110045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5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Battery terminal connectors with integrated measur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로 탄성유동되는 원통형상의 외부 몸체; 외부 몸체의 일단에 결합되는 외부 플런저; 외부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하로 탄성유동되는 내부 몸체; 내부 몸체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외부 플런저와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내부 플런저; 및 내부 플런저 및 내부 몸체와 외부 몸체를 서로 절연시키기 위한 절연 수단들을 포함하는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에 있어서, 외부 플런저는 볼트결합에 의해 외부 몸체의 일단과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내부 몸체의 상단부와 내부 플런저의 하단부 중 어느 하나는 하나 이상의 탄성홈을 가지고 있으며, 내부 몸체의 상단부와 내부 플런저의 하단부 중 나머지 하나는 오목부를 가지고 있으며, 하나 이상의 탄성홈과 오목부의 억지끼움에 의해 내부 플런저는 내부 몸체의 일단과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가 제공된다. 따라서, 내부 플런저 및 외부 플런저가 마모되거나 오염되었을 경우에 이러한 내부 플런저 및 외부 플런저만을 분리하여 폐기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비용을 줄이고 테스트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 내부 플런저, 외부 플런저

Description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Secondary cell charge-discharge test probe for applying voltage and current}
본 발명은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플런저(outer plunger)와 내부 플런저(inner plunger)를 가진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에 관한 것이다.
핸드폰 및 노트북 등에 사용되는 이차전지를 테스트하기 위해 전압과 전류를 인가하는 검사장치로서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가 사용된다. 종래의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는 이차전지의 단자와 접촉하는 외부 플런저와 내부 플런저를 가진다. 이와 같은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는, 외측 플런저가 이차 전지에 전류를 인가시키고 내측 플런저가 이차 전지에 전압을 인가시킴으로써, 이차전지의 성능 및 결함유무를 판정하고, 충방전을 통해 이차전지를 완제품으로 만든다.
도 1a는 종래의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가 플레이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가 플레이트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것처럼,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10)는, 플레이트(plate; 12)에 설치된 결합부(14)에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 플런저(16)의 접촉부(17)와 외부 플런저(18)의 접촉부(19)가 이차전지(도시되지 않음)의 단자와 접촉되어 이차전지를 테스트한다. 이러한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10)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내부 플런저(16)의 접촉부(17)와 외부 플런저(18)의 접촉부(19)가 마모되고 이차전지로부터 새어나오는 전해액 등으로 인하여 오염된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내부 플런저(16)와 외부 플런저(18)를 교체해 주어야 하는데, 종래의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10)는 내부 플런저(16)와 외부 플런저(18)가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10)로부터 분리될 수 없었기 때문에,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10) 전체를 결합부(14)로부터 분리하여 폐기하여야 했다. 이처럼, 마모되거나 오염되지 않은 부분까지 폐기함에 따라 경제적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했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내부 플런저 및 외부 플런저가 마모되거나 오염되었을 경우에 이러한 내부 플런저 및 외부 플런저만을 분리하여 폐기하여 불필요한 비용 발생을 방지하고 테스트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는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로 탄성유동되는 원통형상의 외부 몸체; 외부 몸체의 일단에 결합되는 외부 플런저; 외부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하로 탄성유동되는 내부 몸체; 내부 몸체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외부 플런저와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내부 플런저; 및 내부 플런저 및 내부 몸체와 외부 몸체를 서로 절연시키기 위한 절연 수단들을 포함하는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에 있어서, 외부 플런저는 볼트결합에 의해 외부 몸체의 일단과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내부 몸체의 상단부와 내부 플런저의 하단부 중 어느 하나는 하나 이상의 탄성홈을 가지고 있으며, 내부 몸체의 상단부와 내부 플런저의 하단부 중 나머지 하나는 오목부를 가지고 있으며, 하나 이상의 탄성홈과 오목부의 억지끼움에 의해 내부 플런저는 내부 몸체의 일단과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플런저 및 외부 플런저가 마모되거나 오염되었을 경우에 이러한 내부 플런저 및 외부 플런저만을 분리하여 폐기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비용 발생을 방지하고 테스트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내부 플런저는 탄성홈과 오목부의 억지끼움에 의해 내부 몸체의 일단과 탈착가능하므로, 내부 플런저의 교체를 쉽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의 외부 플런저가 외부 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의 내부 플런저가 내부 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외부 플런저와 내부 플런저가 모두 분리된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는 외부 몸체(601), 외부 플런저(901), 내부 몸체(401), 내부 플런저(1301) 및 절연 수단들(1201, 1202)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외부 몸체(601) 및 외부 플런저(901)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 몸체(601)는 원통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일단의 외주에 볼 트(1401)가 결합될 수 있는 볼트결합홈(602)을 가지고 있다. 외부 몸체(601)는 스프링(301)에 의해 상하로 탄성유동된다. 외부 플런저(901)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단에는 이차전지의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부(902)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부에는 볼트(1401)가 결합될 수 있는 볼트공(910)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외부 플런저(901)는 볼트(1401)에 의해 외부 몸체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외부 몸체(601)는 스프링(301)에 의해 상하로 탄성유동되므로, 외부 몸체(601)에 결합되어 있는 외부 플런저(901)도 상하로 탄성유동하게 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내부 몸체(401) 및 내부 플런저(1301)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부 몸체(401)는 외부 몸체(601)의 내부에 설치되며, 말단 원통부(410)를 가지고 있다. 말단 원통부(410)의 중앙부 외주에는 탄성홈들(420, 430)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 몸체(401)의 하부에는, 내부 몸체(401)가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외측 스토퍼(outer stopper; 1001)와, 내부 몸체(401)가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내측 스토퍼(inner stopper; 701)가 설치되어 있다. 내부 몸체(401)는 스프링(801)에 의해 상하로 탄성유동된다.
내부 플런저(1301)는, 헤드(101)와, 헤드(101)의 하면에 차례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 로드(upper rod; 110), 하부 로드(lower rod; 120), 오목부(130) 및 말단부(140)로 이루어져 있다. 헤드(101)의 상면에는 이차전지의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부(10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부 몸체(401)는 스프링(801)에 의해 탄성유동되므로,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내부 몸체(401)에 결합되어 있는 내부 플런저(1301)도 상하로 탄성유동하게 된다.
절연 수단들(1201, 1202)은 제 1 절연부(1201)와 제 2 절연부(1202)를 포함한다. 제 1 절연부(1201)는, 내부 플런저(1301) 및 내부 몸체(401)와 외부 몸체(601) 사이에 설치되어, 내부 플런저(1301) 및 내부 몸체(401)와 외부 몸체(601)를 서로 절연시킨다. 제 2 절연부(1202)는, 내부 몸체(401)의 중앙부 외주에 설치되어, 내부 몸체(401)와 외부 몸체(601)를 서로 절연시킨다.
도 3은 도 2의 점선(D) 내부를 확대한 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내부 플런저(1301)와 내부 몸체(401)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부 몸체(401)의 말단 원통부(410)의 중앙부 외주에 형성된 2개의 탄성홈들(420, 430)이 각각 오목부(130)의 양단 각각을 고정하고 있다. 즉, 탄성홈(430)은 하부 로드(120)와 오목부(130)의 인접 부위를 누름으로써 내부 플런저(1301)가 아래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탄성홈(420)은 말단부(140)와 오목부(130)의 인접 부위를 누름으로써 내부 플런저(1301)가 위로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여, 내부 플런저(1301)는 탄성홈(420, 430)과 오목부(130)의 억지끼움에 의해 내부 몸체(401)의 일단에 결합되고, 내부 플런저(1301)를 억지끼움의 힘보다 더 큰 힘으로 잡아 당기면 내부 플런저(1301)가 내부 몸체(401)로부터 분리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부 몸체(401)에 말단 원통부(410)와 탄성홈(420, 430)이 형성되고 내부 플런저(1301)에 오목부(130)가 형성된 구조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 몸체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내부 플런저에 말단 원통부와 탄성홈 이 형성되어 내부 몸체가 내부 플런저의 말단 원통부의 내부에 들어가 고정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성홈이 2개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홈의 개수가 1개 또는 3개 이상일 수도 있다. 다만, 탄성홈의 개수가 1개인 경우에는 오목부의 폭이 탄성홈의 폭에 맞도록 도 3b에 도시된 것보다 좁아질 것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의 내부 플런저와 외부 플런저의 폐기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7a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500)는, 도 1a에 도시된 종래의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10)와 같은 방식으로 이차전지를 테스트한다. 그러나, 도 7b에 도시된 것처럼, 내부 플런저(1301)와 외부 플런저(901)가 마모되었거나 오염된 경우에는, 도 1b에 도시된 종래의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10)와 달리, 내부 플런저(1301) 및 외부 플런저(901)만을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500)로부터 분리하여 폐기할 수 있다. 따라서, 마모되거나 오염되지 않은 부분까지 폐기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에 따른 불필요한 비용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중심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된 형태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a는 종래의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가 플레이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b는 종래의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가 플레이트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점선(D) 내부를 확대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의 외부 플런저가 외부 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의 내부 플런저가 내부 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외부 플런저와 내부 플런저가 모두 분리된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의 내부 플런저와 외부 플런저의 폐기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6, 1301: 내부 플런저 18, 901: 외부 플런저
130: 오목부 401: 내부 몸체
420, 430: 탄성홈 601: 외부 몸체
602: 볼트결합홈 910: 볼트공
1401: 볼트

Claims (4)

  1. 상하로 탄성유동되는 원통형상의 외부 몸체;
    상기 외부 몸체의 일단에 결합되는 외부 플런저(out plunger);
    상기 외부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하로 탄성유동되는 내부 몸체;
    상기 내부 몸체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플런저와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하로 탄성유동되는 내부 플런저(in plunger); 및
    상기 내부 플런저 및 상기 내부 몸체와 상기 외부 몸체를 서로 절연시키기 위한 절연 수단들을 포함하는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플런저는 볼트결합에 의해 상기 외부 몸체의 일단과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내부 몸체의 상단부와 상기 내부 플런저의 하단부 중 어느 하나는 하나 이상의 탄성홈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내부 몸체의 상단부와 상기 내부 플런저의 하단부 중 나머지 하나는 오목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탄성홈과 상기 오목부의 억지끼움에 의해 상기 내부 플런저는 상기 내부 몸체의 일단과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몸체는 상기 내부 플런저의 일단이 들어갈 수 있는 말단 원통부를 가지며, 상기 말단 원통부의 중앙부 외주에 상기 하나 이상의 탄성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플런저의 일단의 외주에는, 상기 탄성홈과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플런저의 측부에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 몸체의 일단에는 상기 볼트공과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플런저와 상기 외부 몸체는 상기 볼트공과 상기 볼트결합홈에 끼워지는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홈의 개수는 2개이며, 상기 탄성홈은 상기 말단 원통부의 중앙부 외주 중 상기 오목부의 양단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
KR1020090102635A 2009-10-28 2009-10-28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 KR101055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635A KR101055642B1 (ko) 2009-10-28 2009-10-28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635A KR101055642B1 (ko) 2009-10-28 2009-10-28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890A KR20110045890A (ko) 2011-05-04
KR101055642B1 true KR101055642B1 (ko) 2011-08-09

Family

ID=44240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2635A KR101055642B1 (ko) 2009-10-28 2009-10-28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564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130B1 (ko) * 2013-09-03 2016-05-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충방전테스트프로브
KR101681678B1 (ko) 2015-11-06 2016-12-02 (주)갑진 이차전지 테스트용 충방전 프로브
KR101772062B1 (ko) 2015-01-13 2017-08-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의 충방전 또는 테스트용 프로브
KR102255463B1 (ko) 2020-05-28 2021-05-24 한국전력공사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44715A (zh) * 2012-11-11 2013-02-27 骆驼集团华南蓄电池有限公司 大电流检测机
KR101398519B1 (ko) * 2013-05-15 2014-05-27 (주)한양케이앤이 태양광 모듈 측정기의 프로브 장치
KR101597484B1 (ko) * 2015-01-14 2016-02-24 주식회사 타이스일렉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프로브
KR101688327B1 (ko) * 2015-09-11 2016-12-20 주식회사 메가터치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프로브
WO2016114506A1 (ko) * 2015-01-14 2016-07-21 주식회사 메가터치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프로브
TWI598593B (zh) * 2016-06-22 2017-09-11 致茂電子股份有限公司 電流探針以及適於更換此電流探針的治具
IT201600127507A1 (it) * 2016-12-16 2018-06-16 Technoprobe Spa Sonda di contatto e relativa testa di misura per un’apparecchiatura di test di dispositivi elettronici
JP6892277B2 (ja) * 2017-02-10 2021-06-23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プローブ及び電気的接続装置
KR101954086B1 (ko) 2017-11-07 2019-03-06 리노공업주식회사 검사 프로브 조립체 및 검사 소켓
KR102019040B1 (ko) * 2018-07-17 2019-09-06 퀄맥스시험기술 주식회사 배터리 충방전 검사용 프로브
KR102073689B1 (ko) * 2019-06-10 2020-03-02 리노공업주식회사 검사 프로브 조립체 및 검사 소켓
KR102013176B1 (ko) * 2019-06-13 2019-08-22 주식회사 제네드 교체 가능한 싱글타입 프로브 핀
KR102200219B1 (ko) * 2020-04-09 2021-01-08 주식회사 메가터치 전지 테스트용 프로브 및 그 내부 플런저
KR102245540B1 (ko) * 2020-04-09 2021-04-28 주식회사 메가터치 전지 테스트용 프로브 및 그 탐침 모듈
KR102378344B1 (ko) * 2021-11-02 2022-03-25 주식회사 프로이천 신축식 이차전지 에이징용 프로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3120A (ko) * 2002-10-11 2004-04-21 주식회사 대양기전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프로브
KR20040033121A (ko) * 2002-10-11 2004-04-21 주식회사 대양기전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프로브
KR200382109Y1 (ko) 2005-01-20 2005-04-18 리노공업주식회사 리튬이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프로브
KR20100010780A (ko) * 2008-07-23 2010-02-02 리노공업주식회사 이차 전지의 충방전용 테스트 프로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3120A (ko) * 2002-10-11 2004-04-21 주식회사 대양기전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프로브
KR20040033121A (ko) * 2002-10-11 2004-04-21 주식회사 대양기전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프로브
KR200382109Y1 (ko) 2005-01-20 2005-04-18 리노공업주식회사 리튬이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프로브
KR20100010780A (ko) * 2008-07-23 2010-02-02 리노공업주식회사 이차 전지의 충방전용 테스트 프로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130B1 (ko) * 2013-09-03 2016-05-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충방전테스트프로브
KR101772062B1 (ko) 2015-01-13 2017-08-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의 충방전 또는 테스트용 프로브
KR101681678B1 (ko) 2015-11-06 2016-12-02 (주)갑진 이차전지 테스트용 충방전 프로브
KR102255463B1 (ko) 2020-05-28 2021-05-24 한국전력공사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890A (ko)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5642B1 (ko)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
KR101041154B1 (ko) 이차전지 및 그 모듈
KR101688327B1 (ko)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프로브
KR101597484B1 (ko)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프로브
US20140193680A1 (en) Battery module
KR100958136B1 (ko) 이차 전지의 충방전용 테스트 프로브
CN202383235U (zh) 绝缘拉杆的耐压试验工装
CN202013972U (zh) 用于电动汽车的电池接头装置
CN109461589A (zh) 正负极同端的超级电容器
CN206300972U (zh) 新型圆柱形动力电池夹具
KR102019040B1 (ko) 배터리 충방전 검사용 프로브
EP3985697A1 (en)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
KR101028936B1 (ko) 셀 모듈 어셈블리의 전압 센싱을 위한 접촉 패드 및 셀 모듈 조립체
KR101451316B1 (ko) 산화 방지 기능을 향상시킨 전지 충방전용 프로브
KR101182192B1 (ko) 전기화학 에너지 저장장치 및 그를 이용한 모듈
CN212485068U (zh) 互感器壳体密封结构
CN109088012A (zh) 一种高功率锂离子圆型电池盖
KR101681678B1 (ko) 이차전지 테스트용 충방전 프로브
CN107994247A (zh) 一种圆柱电池装配及绝缘测试组件及绝缘测试设备
KR100452847B1 (ko)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프로브
CN201329520Y (zh) 旋转式光电寻边器
KR20130024035A (ko) 전기화학 에너지 저장장치를 이용한 모듈
CN208705359U (zh) 超级电容大电流检测夹具
KR20180072221A (ko)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102242244B1 (ko) 이차전지용 충방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