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2847B1 -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프로브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프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2847B1
KR100452847B1 KR10-2002-0062023A KR20020062023A KR100452847B1 KR 100452847 B1 KR100452847 B1 KR 100452847B1 KR 20020062023 A KR20020062023 A KR 20020062023A KR 100452847 B1 KR100452847 B1 KR 100452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coupled
interface
cylinder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2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3121A (ko
Inventor
구영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양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양기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양기전
Priority to KR10-2002-0062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2847B1/ko
Publication of KR20040033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3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8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많은 리듐이온전지를 충방전테스트한 후 접촉부가 마모되어 교체할 때 프로브 전체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테스트판넬로부터 별도의 고정몸통을 제거하지 않는 상태에서 간편히 프런저몸체만을 고정몸통에서 분리하여 새로운 프런저몸체로 교체 사용함으로 효율적이고 신속한 교체작업을 도모할 수 있는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프로브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원통형상으로 내부프런저(9)의 엔드캡(3)과 헤드부(7)의 제 1 및 제2 접촉부(4, 4')가 형성되면서 그 사이로 내부가 관통된 원통 실린더(5)와 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6, 6')의 외부프런저(8)와 내부프런저(9)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프런저몸체(2)로 된 충방전 테스트프로브에 있어서, 상기 프런저몸체(2)에서 결합된 내부프런저(9)의 엔드캡(3)과 외부프런저(8)상의 실린더(5)가 결합되는 고정몸통(70)은, 2 단계의 원통형상으로 일측의 팁(21)이 큰 원통부위(24)를 통해 타측의 고정턱(22)이 형성되며, 이 원통부위(24)내부로 공간부(23)가, 외부로 결합요부(25)를 통해 스톱돌기(26)가 각기 형성되는 인터페이스(20)와; 이 인터페이스(20)의 원통부위(24)에 끼워지는 록슬리브(30); 이렇게 결합된 인터페이스(20)상의 록슬리브(30)를 덮어주도록 내부가 관통되고 일측의 결합홈(41)과 타측의 고정턱(42)이 형성되는 내부원통(40); 이 내부원통(40)으로 록슬리브(30)를 내장한 인터페이스(20)의 결합요부(25)에 고정시키는 스톱링(50)과 상기 내부원통(40)의 결합요부(43)에 고정되는 다른 스톱링(51); 그리고 내부가 관통되고 일측이 내부원통(40)의 고정턱(42)에 의해 빠지지 않게 결합되고 타측이 고정턱(61)이 형성되는 하우징(60)으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프로브{TEST PROBE OF BATTERY}
본 발명은 이차전지로써 리듐이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프로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량의 리듐이온전지를 충방전테스트한 후 접촉부가 마모되어 교체할 때 프로브전체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테스트판넬로부터 별도의 고정몸통을 제거하지 않는 상태에서 간편히 프런저몸체만을 고정몸통에서 분리하여 새로운 프런저몸체로 교체 사용함으로 경제적이고 신속한 교체작업을 도모할 수 있는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프로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밧데리는 소모성 전지인 일차전지와 충방전으로 재사용이 가능한 이차전지로 구분되어진다. 각종 전자 및 통신기기가 다량 보급되면서 이차전지는 더욱 사용개소와 빈도가 증가되고 있고, 특히 노트북이나 휴대폰등에 사용되는 충전용 밧데리인 것이다. 그리고, 이차전지로써 대표적인 것이 리듐이온전지가 있는 바, 이는 전해액이 수용되는 케이스내부에 양극과 음극이 분리되어 설치되어져 이온의 이동에 의해 충방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리듐이온전지를 만드는 메이커는 전지를 출하하기 전에 충방전 테스트가 필수적이며, 이 충방전을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테스트프로브가 사용되고 있다. 이 테스트프로브는 밧데리 작업의 품질상태를 측정하는 테스트기의 접촉소자로써 밧데리의 충방전이 양호한지 불량한지를 판정해주는 핵심부품이고, 동작부위는스프링으로 지지되어 움직일 수 있으며, 해당 부품은 전기저항이 낮고 표면강도가 높은 귀금속으로 도금되어 수십만회의 반복동작을 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충방전 테스트프로브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판넬의 해당 홈에 결합되고 측정커넥터의 접촉단자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는 바, 이는 상기 홈에 끼워지는 일정한 두께의 소켓이 결합 고정된 다음에 수십만회의 반복되어지는 프런저몸체(2)가 체결되어진다. 이 프런저몸체(2)의 구성은 원통형상으로 내부프런저(9)의 엔드캡(3)과 헤드부(7)의 제 1 및 제2 접촉부(4, 4')가 형성되면서 그 사이로는 내부가 관통된 원통 실린더(5)와 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6, 6')의 외부프런저(8)와 내부프런저(9)가 각각 설치되어져 있다.
즉, 상기 내부프런저(9)는 일측의 엔드캡(3)과 타측의 제 2 접촉부(4')가 형성되면서 그 사이로 록슬리브(10 : LOCK SLEEVE), 제 1 및 제 2 접촉부(11, 12)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록슬리브(10)와 제 1 접촉부(11)사이에는 상기 탄성스프링(6')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접촉부(4')는 2 부분으로 덮어져 있다. 이렇게 구성된 내부프런저(9)에 외부프런저(8)가 결합되어 있는 바, 이는 내부프런저(9)가 제 2 접촉부(4')의 유동으로 탄성스프링(6')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고, 이때 상기 록슬리브(10), 제 1 및 제 2 접촉부(11, 12)에 의해 외부프런저(8)와 절연되어진다.
상기 외부프런저(8)에는 내부프런저(9)의 제 2 접촉부(4')를 감싸주는 헤드부(7)의 제 1 접촉부(4)가 설치되고, 이 헤드부(7)위로 탄성스프링(6)을 설치한 다음 실린더(5)가 결합되며, 이 실린더(5)가 외부프런저(8)에서 빠지지 않도록 스톱링(13)이 체결되어 내부프런저(9), 외부프런저(8), 헤드부(7)및 실린더(5)가 일체화되어 완성품의 충방전 테스트프로브로 사용되어진다.
상기 헤드부(7)에서는 제 1 접촉부(4)가 넓게 형성되는 한편 그 중앙으로 내부프런저(9)의 제 2 접촉부(4')가 형성되어져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충방전 테스트프로브는 상기 프런저몸체(2)의 엔드캡(3)과 제 1 및 제 2 접촉부(4, 4')가 테스트 장비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테스트가 진행되고 있다. 이를테면 리듐이온전지의 충방전상태에 대해 양호여부를 검사받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테스트판넬의 소켓에 프런저몸체(2)의 실린더(5)가 결합된 상태에서 헤드부(7)의 제 1 및 제 2 접촉부(4, 4')에 피측정 리듐이온전지를 접촉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접촉에 의해 프런저몸체(2)의 제 1 및 제 2 접촉부(4, 4')는 하측으로 소정 유동됨과 더불어 피측정 리듐이온전지의 단자가 접촉부(4, 4')와 각기 접촉된다. 이때 상기 프런저몸체(2)의 실린더(5)가 상기 접촉부(4, 4')의 상부에 각기 끼워진 내외부프런저(9, 8)의 탄성스프링(6', 6)을 밀어올리고 내리는 과정을 통해 탄성적으로 상하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리듐이온전지는 통전되어 전력이 프런저몸체(2)에서 내부프런저(9)의 제 2 접촉부(4')를 통하고 엔드캡(3)을 통하여 테스트장비에서 감지되는 제 1 패스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7)의 제 1 접촉부(4)를 통하고 외부프런저(8)를 통하여 감지되는 제 2 패스가 형성됨으로,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도시되지 않는 테스트장비에서 감지함에 따라 피측정 리듐이온전지의 충방전 여부가 점검되어진다.
그런데, 종래의 충방전 테스트프로브를 사용하여 충방전 테스트를 수십만회의 반복 동작하다보면 프런저몸체(2)의 제 1 및 제 2 접촉부(4, 4')가 훼손되어 검사에러가 발생됨으로 검사의 신뢰성이 떨어지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정확한 테스트를 위해 고정된 테스트판넬로부터 상기 프런저몸체(2)를 제거하여 새로운 프런저몸체(2)로 교체하는 작업을 시도하게 된다. 이러한 교체작업에 따른 정확하게 셋팅된 테스트판넬의 분해와 재셋팅, 그리고 몸통전체를 교체해야하는 경제적인 손실등이 뒷 따르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의 테스트프로브가 갖고 있는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다량의 리듐이온전지를 충방전테스트한 후 마모되어 접촉부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테스트판넬의 소켓에 고정되는 별도의 고정몸통과 이에 결합/분리되는 내외부프런저의 프런저몸체를 구성시켜 테스트프로브를 상기 테스트판넬로부터 간편히 훼손된 프런저몸체만을 고정몸통으로부터 분리하여 새로운 프런저몸체로 교체 사용하게 됨으로 효율적이고 신속한 교체작업을 도모할 수 있는 2 접촉단자용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프로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프로브를 도시해 놓은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프로브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프로브가 테스트판넬에 고정되어 작동되는 상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프로브가 테스트판넬에서 마모후 교체되는 상태도,
도 5 는 종래의 충방전 테스트프로브를 도시해 놓은 작동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30 : 록슬리브
20 : 인터페이스 40 : 내부원통
50, 51 : 스톱링
60 : 하우징 70 : 고정몸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통형상으로 내부프런저(9)의 엔드캡(3)과 헤드부(7)의 제 1 및 제2 접촉부(4, 4')가 형성되면서 그 사이로 내부가 관통된 원통 실린더(5)와 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6, 6')의 외부프런저(8)와 내부프런저(9)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프런저몸체(2)로 된 충방전 테스트프로브에 있어서, 상기 프런저몸체(2)에서 결합된 내부프런저(9)의 엔드캡(3)과 외부프런저(8)상의 실린더(5)가 결합되는 고정몸통(70)은, 2 단계의 원통형상으로 일측의 팁(21)이 큰 원통부위(24)를 통해 타측의 고정턱(22)이 형성되며, 이 원통부위(24)내부로 공간부(23)가, 외부로 결합요부(25)를 통해 스톱돌기(26)가 각기 형성되는 인터페이스(20)와; 이 인터페이스(20)의 원통부위(24)에 끼워지는 록슬리브(30); 이렇게 결합된 인터페이스(20)상의 록슬리브(30)를 덮어주도록 내부가 관통되고 일측의 결합홈(41)과 타측의 고정턱(42)이 형성되는 내부원통(40); 이 내부원통(40)으로 록슬리브(30)를 내장한 인터페이스(20)의 결합요부(25)에 고정시키는 스톱링(50)과 상기 내부원통(40)의 결합요부(43)에 고정되는 다른 스톱링(51); 그리고 내부가 관통되고 일측이 내부원통(40)의 고정턱(42)에 의해 빠지지 않게 결합되고 타측이 고정턱(61)이 형성되는 하우징(60)으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프로브를 도시해 놓은 분리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수많은 리듐이온전지를 충방전테스트한 후 프런저몸체(2)의 제 1 및 제 2 접촉부(4, 4')가 마모되어 교체할 때 프로브전체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테스트판넬(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고정몸통(70)을 제거하지 않는 상태에서 고정몸통(70)과 프런저몸체(2)중에서 프런저몸체(2)만을 간편히 고정몸통(70)내 인터페이스(20)의 공간부(23)에서 분리하여 새로운 프런저몸체(2)로 교체 사용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신속한 교체작업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충방전 테스트프로브는 귀금속으로 크게 고정몸통(70)과 도 5 에 도시된 프런저몸체(2)로 구성되는 바, 상기 고정몸통(70)은 인터페이스(20), 록슬리브(30), 내부원통(40), 스톱링(50, 51) 및 하우징(60)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런저몸체(2)는 원통형상으로 내부프런저(9)의 엔드캡(3)과 헤드부(7)의 제 1 및 제2 접촉부(4, 4')가 형성되면서 그 사이로 내부가 관통된 원통 실린더(5)와 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6, 6')의 외부프런저(8)와 내부프런저(9)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프런저몸체(2)에서 결합된 내부프런저(9)의 엔드캡(3)과 외부프런저(8)상의 실린더(5)가 결합되는 상기 고정몸통(70)에서 인터페이스(20)는 2 단계의 원통형상으로 일측의 팁(21)이 큰 원통부위(24)를 통해 타측의 고정턱(22)이 형성되고 있으며, 이 원통부위(24)내부로 공간부(23)가, 외부로 결합요부(25)를 통해 스톱돌기(26)가 각기 형성되고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20)에서는 스톱돌기(26)와 원통부위(24)가 동일 직경이고, 팁(21)과 결합요부(25)가 동일 직경으로 상기 스톱돌기(26)와 원통부위(24)직경보다 작다. 이렇게 구성된 인터페이스(20)의 원통부위(24)로는 록슬리브(30)가 끼워지고 있다. 그리고, 내부원통(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된 인터페이스(20)상의 록슬리브(20)를 덮어주도록 내부가 관통되고 일측의 결합홈(41)과 타측의 고정턱(42)이 각기 형성되고 있다.
이 내부원통(40)으로 록슬리브(30)를 내장한 인터페이스(20)의 결합요부(25)에 고정시키도록 스톱링(50)이, 상기 내부원통(40)의 결합요부(43)에 고정되는 다른 스톱링(51)이 각기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가 관통되고 일측이 내부원통(40)의 고정턱(42)에 의해 빠지지 않게 결합되고 타측이 고정턱(61)이 형성되는 하우징(60)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몸통(70)은 도 5 에 도시된 프런저몸체(2)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유동되는 인터페이스(20)에 록슬리브(30), 내부원통(40), 스톱링(50, 51) 및 하우징(60)이 결합되어 일체화됨으로, 상기 내부원통(40)과 하우징(60)을 일차 및 이차 고정점으로하여 상기 프런저몸체(2)내 탄성스프링(6, 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인터페이스(20)가 일차 및 이차로 상하 유동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몸통(70)에서 인터페이스(20)의 공간부(23)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프런저몸체(2)는 내부프런저(9)의 엔드캡(3)과 헤드부(7)의 제 1 및 제 2 접촉부(4, 4')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사이에 계단 크기로 외부프런저(8)와 실린더(5)가 설치되어 있음으로, 상기 고정몸통(70)과 도 5 에 도시된 프런저몸체(2)는 간편히 결합하여 일체화시켜서 된 본 발명의 충방전 테스트프로브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성품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고정몸통(70)에서 인터페이스(20)의 공간부(23)와 내부원통(40)상의 하우징(60)이 일렬로 형성되어 있어, 프런저몸체(2)를 결합 또는 분리할 때 내부프런저(9)의 엔드캡(3)과 외부프런저(8)상의 실린더(5)가 빠지지 않게 잡아주거나 일정한 힘에 의해 빠져 나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몸통(70)에 체결된 프런저몸체(2)는 인터페이스(20)의 공간부(23)와 내부원통(40)상의 하우징(60)에 안정되게 일체화되는 한편, 분리 제거시 일정한 힘에 의해 잘 이탈되어진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프로브가 테스트판넬에 고정되어 작동되는 상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프로브가 테스트판넬에서 마모후 교체되는 상태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충방전 테스트프로브는 고정몸통(70)과 프런저몸체(2)가 결합되어 일체화된 상태에서 테스트판넬의 해당 구멍에 취부하기 위해 상기 구멍에 상기 고정몸통(70)의 하우징(60)을 결합한다. 이때 고정몸통(70)내 인터페이스(20)의 팁(21)은 상부로 나오는 한편 프런저몸체(2)의 제 1 및 제 2 접촉부(4, 4')는 하부로 나오게 되는 바, 이는 팁(21)의 2 개 접촉단자와 제 1 및 제 2 접촉부(4, 4')가 테스트 장비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테스트가 진행되고 있다. 이를테면 리듐이온전지의 충방전상태에 대해 양호여부를 검사받고자 할 경우에는, 도시되지 않는 테스트판넬의 홈에 고정몸통(70)의 하우징(60)이 결합된 상태에서 프런저몸체(2)의 접촉부(4, 4')에 피측정 리듐이온전지를 접촉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접촉에 의해 고정몸통(70)내 인터페이스(20)의 공간부(23)에 결합된 내부프런저(9)의 엔드캡(3)은 하측으로 소정 유동됨과 더불어 피측정 리듐이온전지의 단자가 제 2 접촉부(4')와 접촉된다. 이때 상기 고정몸통(70)의 하우징(60)이 상기 프런저몸체(2)의 내외부프런저(9, 8)에 끼워진 탄성스프링(6, 6')을 밀어올리고 내리는 과정을 통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적으로 상하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리듐이온전지는 통전되어 프런저몸체(2)에서 내부프런저(9)의 제 2 접촉부(4')를 통하고 엔드캡(3)과 고정몸통(70)내 인터페이스(20)의 팁(21)을 통하여 테스트장비에서 감지되는 제 1 패스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7)의 제 1 접촉부(4)를 통하고 외부프런저(8)와 고정몸통(70)내 하우징(60)의 내부원통(40)을 통하여 감지되는 제 2 패스가 형성됨으로,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도시되지 않는 테스트장비에서 감지함에 따라 피측정 리듐이온전지의 충방전 여부가 정상적으로 점검되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충방전 테스트프로브를 사용하여 충방전 테스트를 수십만회의 반복 동작하다보면 고정몸통(70)에 결합한 프런저몸체(2)의 접촉부(4, 4')가 훼손되어 검사에러가 발생됨으로 검사의 신뢰성이 떨어지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정확한 테스트를 위해 고정된 테스트판넬로부터 상기 고정몸통(70)을 제거하지 않고,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훼손된 프런저몸체(2)를 제거하고 새로운 프런저몸체(2)로 상기 고정몸통(70)에 결합하는 작업을 시도하게 된다.
즉, 상기 고정몸통(70)은 인터페이스(20)와 하우징(60)에 결합된 훼손 프런저몸체(2)를 일정한 힘을 주어 밑으로 빼면 이탈되어 제거되고, 새로운 프런저몸체(2)의 내외부프런저(9, 8)와 실린더(5)를 상기 인터페이스(20)의 공간부(23)와 내부원통(40)상의 하우징(60)에 체결하여 힘을 가하게 되면 정확히 고정몸통(70)과 일체화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반복적으로 피측정 리듐이온전지의 충방전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많은 리듐이온전지를 충방전 테스트한 후 훼손되어 접촉부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테스트판넬의 소켓에 고정되는 별도의 고정몸통과 이에 결합되고 상하 작동시키는 내외부프런저의 프런저몸체를 구성시켜 테스트프로브를 상기 테스트판넬에서 간편히 훼손된 이동프런저만을 고정몸통으로부터 분리하여 새로운 이동프런저로 교체하여 사용함으로 효율적이고 신속한 교체작업을 도모할 수 있는 2 접촉단자용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프로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리듐이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프로브에 대한 기술사상을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2)

  1. 원통형상으로 내부프런저(9)의 엔드캡(3)과 헤드부(7)의 제 1 및 제2 접촉부(4, 4')가 형성되면서 그 사이로 내부가 관통된 원통 실린더(5)와 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6, 6')의 외부프런저(8)와 내부프런저(9)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프런저몸체(2)로 된 충방전 테스트프로브에 있어서,
    상기 프런저몸체(2)에서 결합된 내부프런저(9)의 엔드캡(3)과 외부프런저(8)상의 실린더(5)가 결합되는 고정몸통(70)은, 2 단계의 원통형상으로 일측의 팁(21)이 큰 원통부위(24)를 통해 타측의 고정턱(22)이 형성되며, 이 원통부위(24)내부로 공간부(23)가, 외부로 결합요부(25)를 통해 스톱돌기(26)가 각기 형성되는 인터페이스(20)와;
    이 인터페이스(20)의 원통부위(24)에 끼워지는 록슬리브(30);
    이렇게 결합된 인터페이스(20)상의 록슬리브(30)를 덮어주도록 내부가 관통되고 일측의 결합홈(41)과 타측의 고정턱(42)이 형성되는 내부원통(40);
    이 내부원통(40)으로 록슬리브(30)를 내장한 인터페이스(20)의 결합요부(25)에 고정시키는 스톱링(50)과 상기 내부원통(40)의 결합요부(43)에 고정되는 다른 스톱링(51); 그리고
    내부가 관통되고 일측이 내부원통(40)의 고정턱(42)에 의해 빠지지 않게 결합되고 타측이 고정턱(61)이 형성되는 하우징(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프로브.
  2. 제 1 항에 있어서,
    피측정 리듐이온전지는 프런저몸체(2)에서 내부프런저(9)의 제 2 접촉부(4')를 통하고 엔드캡(3)과 고정몸통(70)내 인터페이스(20)의 팁(21)을 통하여 테스트장비에서 감지되는 제 1 패스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7)의 제 1 접촉부(4)를 통하고 외부프런저(8)와 고정몸통(70)내 하우징(60)의 내부원통(40)을 통하여 감지되는 제 2 패스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프로브.
KR10-2002-0062023A 2002-10-11 2002-10-11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프로브 KR100452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023A KR100452847B1 (ko) 2002-10-11 2002-10-11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프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023A KR100452847B1 (ko) 2002-10-11 2002-10-11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프로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121A KR20040033121A (ko) 2004-04-21
KR100452847B1 true KR100452847B1 (ko) 2004-10-14

Family

ID=37332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2023A KR100452847B1 (ko) 2002-10-11 2002-10-11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프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28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234B1 (ko) * 2007-07-27 2009-01-07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접촉저항을 최소화한 면저항 측정용 프로브
KR101055642B1 (ko) * 2009-10-28 2011-08-09 주식회사 타이스일렉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
KR101300473B1 (ko) * 2013-05-02 2013-09-02 주식회사 프로이천 솔더볼 프로빙용 프로브핀
KR102235724B1 (ko) * 2020-04-10 2021-04-02 주식회사 메가터치 전자 부품 제조용 금속 자재 제조 방법, 그 금속 자재 및 그 금속 자재를 이용하여 제조된 포고핀
KR102328046B1 (ko) * 2021-03-02 2021-11-17 주식회사 프로이천 이차전지 에이징용 프로브
CN113030833B (zh) * 2021-04-16 2024-01-30 国网新疆电力有限公司喀什供电公司 互感器检测快速连接头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6793A (en) * 1989-06-08 1991-04-09 Cascade Microtech, Inc. High-frequency active probe having replaceable contact needles
US5045781A (en) * 1989-06-08 1991-09-03 Cascade Microtech, Inc. High-frequency active probe having replaceable contact needles
US5105148A (en) * 1991-01-24 1992-04-14 Itt Corporation Replaceable tip test probe
KR19980074036A (ko) * 1997-03-21 1998-11-05 유기범 테스터장치의 측정탐침교체형 프로우브구조
JP2000039449A (ja) * 1998-07-21 2000-02-08 Seiko Epson Corp ポゴピン構造のプローブ針を有するプローブカードとプローブ針の交換方法
JP2001066324A (ja) * 1999-07-29 2001-03-16 Agilent Technol Inc 容易に変更可能な貫通形終端器を提供するプローブ先端終端装置
JP2001221835A (ja) * 2000-02-04 2001-08-17 Advantest Corp プローブの交換針及びこの交換針を用いたプローブ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6793A (en) * 1989-06-08 1991-04-09 Cascade Microtech, Inc. High-frequency active probe having replaceable contact needles
US5045781A (en) * 1989-06-08 1991-09-03 Cascade Microtech, Inc. High-frequency active probe having replaceable contact needles
US5105148A (en) * 1991-01-24 1992-04-14 Itt Corporation Replaceable tip test probe
KR19980074036A (ko) * 1997-03-21 1998-11-05 유기범 테스터장치의 측정탐침교체형 프로우브구조
JP2000039449A (ja) * 1998-07-21 2000-02-08 Seiko Epson Corp ポゴピン構造のプローブ針を有するプローブカードとプローブ針の交換方法
JP2001066324A (ja) * 1999-07-29 2001-03-16 Agilent Technol Inc 容易に変更可能な貫通形終端器を提供するプローブ先端終端装置
JP2001221835A (ja) * 2000-02-04 2001-08-17 Advantest Corp プローブの交換針及びこの交換針を用いたプロー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121A (ko) 200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484B1 (ko)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프로브
KR101934710B1 (ko) 배터리 충방전 검사용 프로브
KR101688327B1 (ko)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프로브
KR101951705B1 (ko) 포고 핀 및 포고 핀의 배열을 구현하는 검사용 소켓
KR101951311B1 (ko) 멀티 컨택 포인트를 갖는 배터리 충방전 검사용 프로브
US7198510B2 (en) Kelvin connector for a battery post
JP5356122B2 (ja) 二次電池
KR101055642B1 (ko)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
US10120031B2 (en) Probe for testing charging/discharging of secondary battery
KR101841826B1 (ko) 전지 테스트용 프로브
KR100452847B1 (ko)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프로브
WO2013165174A1 (ko) 검사용 탐침장치 및 검사용 탐침장치의 제조방법
KR101772062B1 (ko) 이차전지의 충방전 또는 테스트용 프로브
KR102019040B1 (ko) 배터리 충방전 검사용 프로브
KR20040072069A (ko) 이차전지 테스트용 프로브
KR102208381B1 (ko) 검사프로브 및 그의 제조방법, 그리고 그를 지지하는 검사소켓
KR101007061B1 (ko) 반도체 칩 검사용 소켓
KR100898068B1 (ko) 이차전지 테스트용 프로브
KR20100121945A (ko) 테스트용 핸들러
KR20040033120A (ko)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프로브
KR101498617B1 (ko) 이차전지의 테스트용 프로브
KR102245540B1 (ko) 전지 테스트용 프로브 및 그 탐침 모듈
KR100479762B1 (ko) 리튬이온 전지의 테스트용 프로브
KR102242244B1 (ko) 이차전지용 충방전장치
CN219831150U (zh) 一种夹具及电池测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