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463B1 -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 - Google Patents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463B1
KR102255463B1 KR1020200064313A KR20200064313A KR102255463B1 KR 102255463 B1 KR102255463 B1 KR 102255463B1 KR 1020200064313 A KR1020200064313 A KR 1020200064313A KR 20200064313 A KR20200064313 A KR 20200064313A KR 102255463 B1 KR102255463 B1 KR 102255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voltage measurement
measurement probe
join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주성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64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4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05Apparatus for holding or moving single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88Hand-held or hand-manipulated probes, e.g. for oscilloscopes or for portable test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손으로도 용이하게 전압 계측이 가능한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에 있어서, 핸들부; 일단이 각각 상기 핸들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레그부 및 제2 레그부; 상기 제1 레그부의 단부에 형성된 제1 관절부; 상기 제2 레그부의 단부에 형성된 제2 관절부; 상기 제1 관절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채 제1 전압 계측 프로브를 수용하는 제1 홀더부; 상기 제2 관절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채 상기 제1 전압 계측 프로브와 다른 극성인 제2 전압 계측 프로브를 수용하는 제2 홀더부; 를 포함하는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를 제공하여, 계기부설 현장 점검시 한 손으로도 용이하게 전압계측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Holer for voltage probe}
본 발명은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손으로도 용이하게 전압 계측이 가능한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압 계측용 프로브(probe)는 일측에 전원 공급장치의 - 단자와 + 단자에 연결되는 제 1 잭과, 타측에 계측기의 - 단자와 + 단자에 연결되는 제 2 잭을 구비한다.
제1 잭과 제2 잭은 도선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여기서, 잭은 각 장치의 입/출력단자에 맞도록 다양한 모양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전압 계측 프로브는 계기전압 계측 등 인접한 두 지점에 대한 전압 계측 시에도 두 손 모두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압 계측 프로브 사용시 인접한 다른 단자 접촉 등 잘못된 사용이 될 수 있는 문제도 있었다.
KR 1055642 B1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 손으로도 전압계측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에 있어서, 핸들부; 일단이 각각 상기 핸들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레그부 및 제2 레그부; 상기 제1 레그부의 단부에 형성된 제1 관절부; 상기 제2 레그부의 단부에 형성된 제2 관절부; 상기 제1 관절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채 제1 전압 계측 프로브를 수용하는 제1 홀더부; 상기 제2 관절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채 상기 제1 전압 계측 프로브와 다른 극성인 제2 전압 계측 프로브를 수용하는 제2 홀더부; 를 포함하는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관절부)와 상기 제1 홀더부 사이에는 제1 연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 관절부와 상기 제2 홀더부 사이에는 제2 연결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탄성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성수단은 스프링이며, 상기 제1 홀더부 및 상기 제2 홀더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하 방향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핸들부에는 상기 제1 홀더부와 상기 제2 홀더부 사이의 거리를 가리키는 간격표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홀더부 및 상기 제2 홀더부는 상기 제1 전압 계측 프로브 및 상기 제2 전압 계측 프로브가 서로 평행하도록 홀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를 포함한다.
또한, 일측이 상기 제1 홀더부의 측벽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2 홀더부의 측벽에 고정되어 상기 제1 홀더부 및 상기 제2 홀더부의 간격이 조절될 때 상기 제1 홀더부 및 상기 제2 홀더부의 자세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핸들부에는 상기 제1 레그부 및 상기 제2 레그부의 사잇각을 유지시키는 조절레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를 포함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계기부설 현장 점검시 한 손으로도 용이하게 전압계측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둘째, 한 쌍의 홀더간 조정된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단자간 계측이 가능해지게 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의 정면도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의 측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에 프로브가 삽입된 정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에 프로브가 삽입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는 제1 레그부(101), 제2 레그부(102), 핸들부(103), 제1 홀더부(111), 제2 홀더부(112), 제1 관절부(121), 제2 관절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부(10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의 최상단을 이룬다.
제1 레그부(101) 및 제2 레그부(102)는 일단이 각각 핸들부(10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관절부(121)는 제1 레그부(101)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관절부(122)는 제2 레그부(102)의 단부에 형성 될 수 있다.
제1 홀더부(111)는 제1 관절부(12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채 제1 전압 계측 프로브를 수용하는 부분이다.
제2 홀더부(112)는 제2 관절부(12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채 제1 전압 계측 프로브와 다른 극성인 제2 전압 계측 프로브를 수용하는 부분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 관절부(121)와 제1 홀더부(111) 사이에는 제1 연결부(131)이 마련되고, 제2 관절부(122)와 제2 홀더부(112) 사이에는 제2 연결부(132)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1 관절부(121) 및 제2 관절부(122)는 볼 타입의 연결구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홀더부(111)는 제1 관절부(121)에 의해 소정의 각도 범위 내로 회동될 수 있고, 회동후에는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홀더부(112)는 제2 관절부(122)에 의해 소정의 각도 범위 내로 회동될 수 있고, 회동후에는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관절부(121) 및 제2 관절부(122)는 소정의 마찰력이 존재하는 볼 타입의 연결구이므로 이와 같은 소정의 마찰력을 극복하는 외력이 제1 홀더부(111) 또는 제2 홀더부(112)에 작용하면 움직일 수 있고, 외력의 작용이 사라지면 움직인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연결부(131) 및 제2 연결부(1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탄성수단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때, 탄성수단은 스프링이며, 제1 홀더부(111) 및 제2 홀더부(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하 방향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핸들부(103)에는 제1 레그부(101) 및 제2 레그부(102) 사이각을 이용하여 제1 홀더부(111)와 제2 홀더부(112) 사이의 거리를 가리키는 간격표시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레그부(101), 핸들부(103) 및 제2 레그부(102)가 인접되는 소정의 영역에는 간격표시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간격표시수단은 제1 레그부(101)와 제2 레그부(102) 사이의 간격을 가리킬 뿐만 아니라 제1 홀더부(111) 및 제2 홀더부(112) 사이의 간격도 표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홀더부(111)와 제2 홀더부(112)의 간격을 정확하게 조절 가능하고, 그에 따라 미리 알고 있는 검사대상 단자간 거리에 따라서 제1 홀더부(111)와 제2 홀더부(112)의 간격을 미리 조정해 두고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제1 홀더부(111)와 제2 홀더부(112)의 간격을 미리 셋팅해 둔 채 한쪽 손만으로도 손쉽게 전압 계측이 가능해질 것이다.
또한, 핸들부(103)에는 제1 레그부(101) 및 제2 레그부(102)의 사잇각을 유지시키는 조절레버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제1 레그부(101)이 핸들부(103)에서 회동가능하고, 제2 레그부(102) 역시 핸들부(103)에서 회동 가능하기 때문에 제1 홀더부(111)와 제2 홀더부(112)의 간격을 미리 셋팅해 둔 채 조절레버(미도시)를 이용하여 이와 같은 셋팅 상태를 유지시키리 수 있다.
한편, 제1 홀더부(111) 및 제2 홀더부(112)는 제1 전압 계측 프로브(201) 및 제2 전압 계측 프로브(202)가 서로 평행하도록 홀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평행유지 폭조절부(3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평행유지 폭조절부(300)는 일측이 제1 홀더부(111)의 측벽에 고정되고 타측이 제2 홀더부(112)의 측벽에 고정되어 제1 홀더부(111) 및 제2 홀더부(112)의 간격이 조절될 때 제1 홀더부(111) 및 제2 홀더부(112)의 자세를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평행유지 폭조절부(300)는 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진 거리조절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홀더부(111) 및 제2 홀더부(112)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확장될 때에도 항상 제1 홀더부(111) 및 제2 홀더부(112)는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제1 홀더부(111)에 삽입된 제1 전압 계측 프로브(201)와 제2 홀더부(112)에 삽입된 제2 전압 계측 프로브(202)는 서로 평행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때에도 제1 연결부(131) 및 제2 연결부(1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탄성수단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때, 탄성수단은 스프링이며, 제1 홀더부(111) 및 제2 홀더부(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하 방향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1 연결부(131) 및 제2 연결부(1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탄성수단이 마련되기 때문에 전압 계측 시 제1 전압 계측 프로브(201), 제2 전압 계측 프로브(202)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되어 제1 전압 계측 프로브(201) 및 제2 전압 계측 프로브(202)의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101 : 제1 레그부
102 : 제2 레그부
103 : 핸들부
111 : 제1 홀더부
112 : 제2 홀더부
121 : 제1 관절부
122 : 제2 관절부
131 : 제1 연결부
132 : 제2 연결부
201 : 제1 전압 계측 프로브
202 : 제2 전압 계측 프로브
300 : 평행유지 폭조절부

Claims (8)

  1.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에 있어서,
    핸들부;
    일단이 각각 상기 핸들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레그부 및 제2 레그부;
    상기 제1 레그부의 단부에 형성된 제1 관절부;
    상기 제2 레그부의 단부에 형성된 제2 관절부;
    상기 제1 관절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채 제1 전압 계측 프로브를 수용하는 제1 홀더부;
    상기 제2 관절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채 상기 제1 전압 계측 프로브와 다른 극성인 제2 전압 계측 프로브를 수용하는 제2 홀더부; 를 포함하는,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절부와 상기 제1 홀더부 사이에는 제1 연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 관절부와 상기 제2 홀더부 사이에는 제2 연결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탄성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스프링이며, 상기 제1 홀더부 및 상기 제2 홀더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하 방향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에는 상기 제1 홀더부와 상기 제2 홀더부 사이의 거리를 가리키는 간격표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부 및 상기 제2 홀더부는 상기 제1 전압 계측 프로브 및 상기 제2 전압 계측 프로브가 서로 평행하도록 홀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
  7.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제1 홀더부의 측벽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2 홀더부의 측벽에 고정되어 상기 제1 홀더부 및 상기 제2 홀더부의 간격이 조절될 때 상기 제1 홀더부 및 상기 제2 홀더부의 자세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에는 상기 제1 레그부 및 상기 제2 레그부의 사잇각을 유지시키는 조절레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
KR1020200064313A 2020-05-28 2020-05-28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 KR102255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313A KR102255463B1 (ko) 2020-05-28 2020-05-28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313A KR102255463B1 (ko) 2020-05-28 2020-05-28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5463B1 true KR102255463B1 (ko) 2021-05-24

Family

ID=76153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313A KR102255463B1 (ko) 2020-05-28 2020-05-28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46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8253A (ja) * 1996-08-08 1998-02-20 Ckd Corp 測定用電極装置
KR19980018525A (ko) * 1996-08-09 1998-06-05 빈센트 알. 페트레카 향상된 보호용 접지 점퍼 케이블 테스터
US20030034789A1 (en) * 1997-05-28 2003-02-20 Randy Schwindt Probe holder for testing of a test device
KR101055642B1 (ko) 2009-10-28 2011-08-09 주식회사 타이스일렉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
US20170122979A1 (en) * 2015-10-29 2017-05-04 Illinois Tool Works Inc. Electrical measurement devices
US20190346484A1 (en) * 2018-05-09 2019-11-14 Fluke Corporation Clamp probe for non-contact electrical parameter measuremen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8253A (ja) * 1996-08-08 1998-02-20 Ckd Corp 測定用電極装置
KR19980018525A (ko) * 1996-08-09 1998-06-05 빈센트 알. 페트레카 향상된 보호용 접지 점퍼 케이블 테스터
US20030034789A1 (en) * 1997-05-28 2003-02-20 Randy Schwindt Probe holder for testing of a test device
US20050035777A1 (en) * 1997-05-28 2005-02-17 Randy Schwindt Probe holder for testing of a test device
KR101055642B1 (ko) 2009-10-28 2011-08-09 주식회사 타이스일렉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
US20170122979A1 (en) * 2015-10-29 2017-05-04 Illinois Tool Works Inc. Electrical measurement devices
US20190346484A1 (en) * 2018-05-09 2019-11-14 Fluke Corporation Clamp probe for non-contact electrical parameter measur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5163B2 (en) Laser tracker calibration system and methods
CN107121267B (zh) 镜头视场角的测试装置和测试方法
CN203259305U (zh) 触头压力测量仪的定标设备
CN103322884A (zh) 扭簧夹角检测装置
CN104422419A (zh) 一种外径的v形测量方法及气门盘部外径的v形检具
KR102255463B1 (ko) 전압 계측 프로브 홀더
WO2020096278A1 (ko) 복수의 측정 모드를 갖는 거리 측정기
CN212721878U (zh) 一种便于标定的电子产品磁力测量装置
US20160349032A1 (en) Measuring apparatus
JP6233729B2 (ja) 測定表示器
US10359554B2 (en) Attaching device
US3456485A (en) Testing device for torque wrenches
KR20020080113A (ko) 포고 핀 탄성 측정장치
CN113375575A (zh) 一种线径测量装置
US20200355797A1 (en) Laser tracker calibration system and methods
Sanjid Improved direct comparison calibration of small angle blocks
CN208567709U (zh) 一种尺寸测量工具
US9726568B2 (en) Device and method for checking an assembly wrench
TWI618918B (zh) 長度量測裝置
JP2016020827A (ja) プローブユニットおよび測定装置
CN212158498U (zh) 准直仪激光管检定装置
KR101605805B1 (ko) 3차원 좌표측정기의 공간오차 측정장치
Brüge et al. Influence of cross forces and bending moments on reference torque sensors for torque wrench calibration
CN219115117U (zh) 一种辅助绘图测量教具
JP2018194400A (ja) 膜厚計の測定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