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693B1 - 갭 게이지 - Google Patents

갭 게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693B1
KR101295693B1 KR1020120025535A KR20120025535A KR101295693B1 KR 101295693 B1 KR101295693 B1 KR 101295693B1 KR 1020120025535 A KR1020120025535 A KR 1020120025535A KR 20120025535 A KR20120025535 A KR 20120025535A KR 101295693 B1 KR101295693 B1 KR 101295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hole
fixing
unit
hin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일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피코
Priority to KR1020120025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6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G01B5/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between a succession of regularly spaced objects or regularly spaced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7/00Straightedges
    • B43L7/005Straightedges combined with other drawing a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02Details
    • G01B3/004Scales; Gradu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20Slide gauges
    • G01B3/205Slide gauges provided with a counter for digital indication of the measured dimen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측정오차를 최대한 줄이며, 측정을 위한 공간이 최소한으로 요구되면서도, 측정이 직관적으로 간단하며, 사용이 편리한 갭 게이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갭 게이지는, 몸체의 중앙 일 지점에 힌지공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프로브가 형성된 고정부(10; 10'); 역시 몸체의 중앙 일 지점에 힌지공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프로브가 형성된 구동부(20; 20'); 상기 고정부측 힌지공과 상기 구동부측 힌지공을 힌지축으로 연결하여 상기 고정부와 구동부를 가위 형태로 결합하는 힌지부(30; 30'); 및 상기 고정부나 구동부의 일측에 고정되거나 혹은 별도로 구성되어 고정부와 눈금부 간의 회전 정도를 가늠하는 눈금부(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갭 게이지{A Gap Gauge}
본 발명은 갭 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측정 오차를 줄이면서 사용이 편리한 갭 게이지에 관한 것이다.
주로 검사구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제1 종래기술로서의 갭 게이지(gap gauge)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은 테이퍼 게이지를 주로 사용한다. 그런데, 이 갭 게이지는 측정하는 사람마다 또는 측정 방법에 따라 측정오차가 많이 발생한다. 또한 측정 가능한 공간적인 제약과 직관적인 수치를 읽기에 부족함을 많이 느끼게 한다.
즉, 도 1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검사구 블럭과 판넬 사이의 갭을 기존의 테이퍼 게이지로 측정시, 검사구 베이스로부터 측정하고자 하는 갭의 높이가 충분히 높지 않는 경우, 테이퍼 게이지와 검사구 베이스 간의 간섭이 발생하게 되어 정확한 갭 측정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도 1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검사구 블럭 측정면이 베이스에 수직일 경우에도, 검사구 블럭과 테이퍼 간의 간섭이 발생하게 되어 정확한 갭 측정이 곤란하게 된다.
더욱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검사구 블럭과 판넬 간에 일례로 3mm의 단차가 있을 경우, 실제 갭은 5mm임에도 불구하고, 검사구 블럭과의 접촉면에서는 5.3mm로 인식되고, 반면 판넬과의 접촉면에서는 4.7mm로 잘못 인식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어, 어느 경우든 약 0.3mm의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상의 테이퍼 게이지의 문제점은 측정 방법에 있어서도 발생하는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판넬과 검사구 블럭이 일례로 검사구 베이스로부터 26도 만큼 비스듬하게 경사져 있을 경우, 실제 갭은 5mm임에도 불구하고, 검사구 블럭과의 접촉면에서는 4.4mm로 측정되어 일례로 0.6mm의 측정오차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측정 오차는 도 3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사도가 클수록 더 커진다.
경우에 따라, 이러한 경우, 테이퍼 게이지를 슬롯을 따라 비스듬히 기울여서 측정하기도 하는바, 이 역시 시점에 따라 측정오차가 발생하기는 마찬가지이다.
다음, 갭 게이지에 대한 제2 종래기술로서 캘리퍼(caliper) 게이지가 있는바, 이는 도 4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래쪽의 측정 레그가 벌려지는 정도를 고려하여 제작되어야 하므로, 도 4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체로 5mm 이하의 좁은 갭을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마지막으로, 갭 게이지에 대한 제3 종래기술로서 버니어 캘리퍼스(vernier calipers) 게이지가 있는바, 이는 도 5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눈금자를 위한 상당한 정도의 공간이 필요하며, 측정하고자 하는 갭의 좌측 일정 거리 내에 간섭물이 있을 경우 측정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도 5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부 눈금과 구동부 눈금을 일일이 육안으로 검색하여야 하는바, 일례로 구동부 눈금의 '0'이 위치하는 고정부 눈금 '4'와 고정부 눈금과 구동부 눈금이 일치하는 부위의 구동부 수치 '35'를 읽어, '4.35mm'로 인식하여야 하므로, 직관적으로 수치를 읽어 들이기가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아울러 버니어 캘리퍼스의 구조상 양면으로 수치를 읽을 수는 없다는 추가적인 문제점들을 지닌다.
따라서, 정밀성을 가짐과 동시에 이러한 측정오차를 줄이면서 기존 갭 게이지와 차별화된 갭 게이지의 출현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측정오차를 최대한 줄이며, 측정을 위한 공간이 최소한으로 요구되면서도, 측정이 직관적으로 간단하며, 사용이 편리한 갭 게이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갭 게이지는, 몸체의 중앙 일 지점에 힌지공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프로브가 형성된 고정부(10; 10'; 10"); 역시 몸체의 중앙 일 지점에 힌지공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프로브가 형성된 구동부(20; 20'; 20"); 상기 고정부측 힌지공과 상기 구동부측 힌지공을 힌지축으로 연결하여 상기 고정부와 구동부를 가위 형태로 결합하는 힌지부(30; 30'); 및 상기 고정부나 구동부의 일측에 고정되거나 혹은 별도로 구성되어 고정부와 눈금부 간의 회전 정도를 가늠하는 눈금부(40; 40");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측 프로브(13')와 상기 구동부측 프로브(23')는 4-링크 구조 및 회전방지 가이더(18; 18', 28')에 의해 수평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방지 가이더는, 상기 고정부측 프로브에 제1 가이더(18')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측 프로브에 제2 가이더(28')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가이더(18') 및 상기 제2 가이더(28')의 어느 일측에 각각 슬라이딩 돌기 및 슬라이딩 홈을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딩 돌기 및 슬라이딩 홈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4-링크 구조는, 고정부(10'; 10")의 몸체(11'; 11") 하단에 제1 및 제2 힌지공(12',12a')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힌지공(12',12a')과 대응되는 제5 및 제6 힌지공(12d',12e')을 갖는 보조링크(19)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측 프로브(13')가 상기 제2 및 제6 힌지공(12a',12e')과 대응되는 제3 및 제4 힌지공(12b',12c')을 구비하여, 상기 제2 및 제3 힌지공(12a',12b')이 상기 제6 및 제4 힌지공(12e',12c')과 힌지결합되고, 구동부(20'; 20")의 몸체(21'; 21") 하단에 제1 및 제2 힌지공(22',22a')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힌지공(22',22a')과 대응되는 제5 및 제6 힌지공(22d',22e')을 갖는 보조링크(29)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측 프로브(23')가 상기 제2 및 제6 힌지공(22a',22e')과 대응되는 제3 및 제4 힌지공(22b',22c')을 구비하여, 상기 제2 및 제3 힌지공(22a',22b')이 상기 제6 및 제4 힌지공(22e',22c')과 힌지결합되고, 상기 힌지부(30')는, 보조 힌지바(33)를 더 구비하되, 상기 보조 힌지바에 제1, 제2 및 제3 힌지공(33a,33b,33c)을 구비하도록 하여, 고정부의 제1 힌지공(12')이 상기 보조 힌지바의 제2 힌지공(33b)과 힌지결합되며, 구동부의 제1 힌지공(22')이 상기 보조 힌지바의 제3 힌지공(33c)과 힌지결합되며, 상기 고정부의 제5 힌지공(12d'), 구동부의 제5 힌지공(22d') 및 힌지바의 제1 힌지공(33a)이 하나의 힌지축으로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갭 게이지는, 몸체의 중앙 일 지점에 힌지공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프로브가 형성된 고정부(10; 10'; 10"); 역시 몸체의 중앙 일 지점에 힌지공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프로브가 형성된 구동부(20; 20'; 20"); 상기 고정부측 힌지공과 상기 구동부측 힌지공을 힌지축으로 연결하여 상기 고정부와 구동부를 가위 형태로 결합하는 힌지부(30; 30'); 및 상기 고정부나 구동부의 일측에 고정되거나 혹은 별도로 구성되어 고정부와 눈금부 간의 회전 정도를 가늠하는 눈금부(40; 40"); 를 포함하며, 고정부 및 구동부 몸체의 중간 적당한 지점에 자석안착홈(14, 24)이 형성되고, 각각의 자석안착홈(14, 24)에 자석(15, 25)이 구비되되, 동일 극성끼리 마주보도록 하여, 힌지축을 중심으로 고정부와 구동부가 상대회전을 시작할 때에 상대회전이 원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10; 10'; 10")의 타단에는 일정 간격으로 눈금(41)이 새겨진 눈금부(40; 40")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눈금부(40; 40")의 전후 면에 모두 눈금을 새기고, 상기 구동부에는 상기 눈금부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U자형 슬라이더를 구비하여, 전후방 양쪽에서 모두 눈금의 판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10; 10')가 전방에, 상기 구동부(20; 20')가 후방에 위치하면서 상대회전이 되도록 힌지부를 구성하되, 구동부의 힌지공 근처에 스토퍼(26)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돌설함으로써, 고정부와 구동부가 일정 각도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갭 게이지에 의하면, 초보자라도 측정오차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측정을 위한 공간이 그다지 크게 요구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측정시 직관적으로 수치를 읽으면 되므로, 간단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추가적인 장점을 갖는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갭 게이지에 의하면, 아무리 좁은 갭이더라도 최소한의 갭만 있으면 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더욱 추가적으로, 양면에서 눈금을 읽을 수 있으므로, 더욱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이나 효과는 다음의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갭 게이지에 관한 제1 종래기술의 제1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갭 게이지에 관한 제1 종래기술의 제2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갭 게이지에 관한 제1 종래기술의 제3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갭 게이지에 관한 제2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갭 게이지에 관한 제3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갭 게이지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갭 게이지의 사시도 및 동작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갭 게이지의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갭 게이지의 사시도 및 동작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갭 게이지의 사용상태도 및 동작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도 10의 실시예에 따른 갭 게이지의 분리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갭 게이지의 동작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갭 게이지의 동작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갭 게이지의 사용상태도 및 동작설명도.
도 15는 본 발명의 도 14의 실시예에 따른 갭 게이지의 분리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갭 게이지의 접은 상태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갭 게이지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갭 게이지의 사시도 및 동작설명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갭 게이지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갭 게이지의 사시도 및 동작설명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갭 게이지의 사용상태도 및 동작설명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도 10의 실시예에 따른 갭 게이지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갭 게이지의 동작설명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갭 게이지의 동작설명도이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갭 게이지는, 도 6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부(10)와 구동부(20) 및 이들을 힌지축으로 연결하는 힌지부(30), 그리고 고정부나 구동부의 일측에 고정되거나 혹은 별도로 구성되어 고정부와 눈금부 간의 회전 정도를 가늠하는 눈금부(40)로 이루어진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고정부(10) 및 구동부(20) 각각,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다란 몸체(11, 21)의 일측에 갭 측정시에 검사구(a)와 접촉되는 말단에 고정부측 프로브(13) 및 구동부측 프로브(23)가 탐침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몸체 중간의 프로브에 가까운 부분에 각각 동일한 높이로 힌지공(12, 22)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각각의 힌지공에 삽입되는 볼트(31) 및 너트(32)와 같은 수간을 이용하여 힌지축이 형성되며, 힌지축 형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리벳팅이나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돌출부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도 7의 변형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의 중간 적당한 지점에 자석안착홈(14, 24)이 형성되고, 각각의 자석안착홈(14, 24)에 자석(15, 25)이 구비되되, 동일 극성끼리 마주보도록 하여, 힌지축을 중심으로 고정부와 구동부가 상대회전을 시작할 때에 상대회전이 원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10)의 타단에는 일정 간격으로 눈금(41)이 새겨진 눈금부(40)를 형성하도록 하며,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로브(13, 23)의 각 꼭지점이 검사구(a)의 갭 내측에 맞닿은 상태에서 구동부의 회전 정도에 따른 상기 눈금부의 눈금을 판독함으로써, 상기 고정부와 구동부의 회전정도에 의해 갭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실제 갭의 거리는, 눈금부 측정 값(m)에 프로브 꼭지점(말단)에서 힌지까지의 거리(d)를 눈금부에서 힌지까지의 거리(D)로 나눈 값(d/D) 만큼 곱하여 진 값(n=M*d/D)이 되며, 혹은 아예 눈금부의 눈금 간격을 실제 갭의 크기에 맞추어 새기는 것도 바람직하다. 어찌되었건, 측정되는 눈금의 값(m)이 실제 갭의 거리(n) 보다 크게 되므로, 실제 갭의 크기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상기 프로브 꼭지점에서 힌지까지의 거리(d)와 눈금부에서 힌지까지의 거리(D)의 비를 1:5~1:10로 할 경우, 1/10~1/20mm 배율로 측정이 가능하며 (다만, 상기 비율을 크게 하면 더 고정밀도로 측정이 가능하다), 힌지의 회전량에 따라 측정범위는 달라지나 15mm 정도까지 측정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기로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눈금부(40)의 전후 면에 모두 눈금을 새기고, 상기 구동부에는 상기 눈금부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U자형 슬라이더를 구비하여, 전후방 양쪽에서 모두 눈금의 판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 9의 제2 변형례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부(10)가 전방에 구동부(20)가 후방에 위치하면서 상대회전이 되도록 힌지부를 구성한 상태에서, 구동부(20)의 힌지공(22) 근처에 스토퍼(26)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돌설함으로써, 고정부와 구동부가 일정 각도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예)
이제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에에 대하여 상술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행하는 부위는 유사한 부재번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와 제1 실시예의 근본적인 차이점은, 제1 실시예의 경우에는 고정부측 프로브 및 구동부측 프로브가 단일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하였는데 반하여, 본 제2 실시예의 경우에는 양 프로브가 4-링크 구조에 의해 수평이동한다는 점이다.
즉, 상기 제1 실시예의 측정부 회전이동형 게이지는, 양 프로브의 꼭지점에서 꼭지점으로 갭을 측정하기 때문에, 얇은 박판을 측정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는바, 상당한 길이를 갖는 브로브가 수평이동함으로써 아무리 얇은 박판이라도 정확하고 용이하게 측정이 가능하다는 추가적인 장점을 갖는다.
이를 위해, 본 제2 실시예의 힌지 구조는 고정부 및 구동부 각각에서 힌지축이 4개인 4-링크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즉, 도 10 내지 도 12에서 보듯이, 고정부(10')의 몸체(11') 하단에 제2 힌지공(12a')을 그리고 소정 높이에 제1 힌지공(12')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힌지공(12a') 및 제1 힌지공(12')과 대응되는 제6 힌지공(12e') 및 제5 힌지공(12d')을 양 단부에 갖는 보조링크(19)를 나란히 구비하되, 다시 상기 제2 힌지공(12a') 및 제6 힌지공(12e')과 동일한 간격으로 제3 힌지공(12b') 및 제4 힌지공(12c')을 갖는 대체로 'ㄱ'자형의 고정부측 프로브(13')를 구비한다. 추후, 힌지 조립시 상기 제2 힌지공(12a')과 제3 힌지공(12b')이 미도시된 힌지축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6 힌지공(12e')과 제4 힌지공(12c')이 힌지결합된다.
아울러, 구동부(20')측 역시, 몸체(21') 하단에 제2 힌지공(22a')을 그리고 소정 높이에 제1 힌지공(22')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힌지공(22a') 및 제1 힌지공(22')과 대응되는 제6 힌지공(22e') 및 제5 힌지공(22d')을 양 단부에 갖는 보조링크(29)를 나란히 구비하되, 다시 상기 제2 힌지공(22a') 및 제6 힌지공(22e')과 동일한 간격으로 제3 힌지공(22b') 및 제4 힌지공(22c')을 갖는 대체로 'ㄱ'자형의 구동부측 프로브(23')를 구비한다. 역시, 추후 힌지 조립시 상기 제2 힌지공(22a')과 제3 힌지공(22b')이 미도시된 힌지축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6 힌지공(22e')과 제4 힌지공(22c')이 힌지결합된다.
한편, 힌지부(30') 역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은 힌지축은 물론, 이외에도 보조 힌지바(33)를 더 구비하는바, 상기 보조 힌지바에는 소정 간격으로 중앙에 제1 힌지공(33a), 좌우에 제2 힌지공(33b) 및 제3 힌지공(33c)을 구비하도록 한다.
그리하여, 고정부의 제1 힌지공(12')과 제5 힌지공(12d')이 각각, 상기 보조 힌지바의 제2 힌지공(33b) 및 제1 힌지공(33a)과 힌지결합되며, 구동부의 제1 힌지공(22')과 제5 힌지공(22d')이 각각, 상기 보조 힌지바의 제3 힌지공(33c) 및 제1 힌지공(33a)과 힌지결합 된다. 따라서, 고정부의 제5 힌지공(12d'), 구동부의 제5 힌지공(22d') 및 힌지바의 제1 힌지공(33a)은 하나의 힌지축(미도시됨)으로 힌지결합되어진다.
한편, 상기 'ㄱ'자형의 고정부측 프로브(13') 및 구동부측 프로브(13') 중 어느 일측에는 (도 11에서는 고정부측 프로브(13')에), 회전방지용 가이더(18)가 수평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어, 힌지부(30')의 제1 힌지축(33a)을 중심으로 각 힌지들이 회전할 때에, 상기 고정부측 프로브(13')와 구동부측 프로브(13')가 상대회전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수평이동하도록 4-링크 움직임을 규제하게 된다.
본 제2 실시예에 의하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프로브(13', 23')가 측정하고자 하는 갭의 내면과 만나는 부분, 즉 엣지면(13a', 23a')이 측정하고자 하는 갭의 수평면과 90도 직각을 이루면서 수평이동하기 때문에, 갭의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엣지면의 길이가 어느 정도 되기 때문에 측정하고자 하는 갭의 형상이 아무리 얇은 박판이라 하더라도 정확히 측정가능하다.
아울러,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엣지면(13a', 23a')이 날카로운 칼날 형상으로 되어있어, 갭의 내면과의 접촉면이 최소화되므로, 측정 방향이 다소 바뀌더라도, 즉 측정방법에 관계없이 오차가 최소화된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제2 실시예의 경우에도,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부 및 구동부 몸체(11', 21')의 적당 부위에 자석을 고정하되 동일극성이 마주보도록 함으로써, 측정시 편리한 전개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실시예)
이제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에에 대하여 상술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제2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행하는 부위는 유사한 부재번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갭 게이지의 사용상태도 및 동작설명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도 14의 실시예에 따른 갭 게이지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갭 게이지의 접은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 역시 제2 실시예와 동일하게 양 프로브가 4-링크 구조에 의해 수평이동하지만, 본 실시예와 제2 실시예의 근본적인 차이점은, 제2 실시예의 경우에는 고정부측 프로브에만 가이드(도 12의 18)가 있어, 구동부측 프로브가 상기 가이드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데 반하여, 본 제3 실시예의 경우에는 양 프로브에 모두 제1 및 제2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으며, 양 가이드가 상호 작용함으로써 상대적인 수평방향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보다 확실한 슬라이딩이 보정된다는 추가적인 장점을 갖는다.
이를 위해, 본 제3 실시예의 슬라이딩 구조는 도 14 내지 도 16에서 보듯이, 고정부측 프로브(13')에 제1 가이더(18')가 부착고정되고, 구동부측 프로브(23')에 제2 가이더(28')가 부착고정되며, 제2 가이더(28')에 슬라이딩 홈(28a')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이와 치합되는 슬라이딩 돌기(18a')가 제1 가이더(18')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돌기(18a')가 상기 슬라이딩 홈(28a')과 수평을 유지하면서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아울러, 본 제3 실시예에서는 추가적으로, 고정부(10")측 몸체(11") 및 구동부(20")측 몸체(21")의 일 지점에 각각 손잡이(11a", 21a")가 형성되어 있어 게이지의 사용이 더욱 편리하도록 되어 있으며, 눈금부(40") 역시 고정부측 몸체(11")와 분리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처럼,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10': 고정부 20, 20': 구동부
30: 힌지부 40: 눈금부

Claims (7)

  1. 삭제
  2. 몸체의 중앙 일 지점에 힌지공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프로브가 형성된 고정부(10; 10'; 10");
    몸체의 중앙 일 지점에 힌지공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프로브가 형성된 구동부(20; 20'; 20");
    상기 고정부측 힌지공과 상기 구동부측 힌지공을 힌지축으로 연결하여 상기 고정부와 구동부를 가위 형태로 결합하는 힌지부(30; 30'); 및
    상기 고정부나 구동부의 일측에 고정되거나 혹은 별도로 구성되어 고정부와 눈금부 간의 회전 정도를 가늠하는 눈금부(40; 40");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측 프로브(13')와 상기 구동부측 프로브(23')는 4-링크 구조 및 회전방지 가이더에 의해 수평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게이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4-링크 구조는,
    고정부(10'; 10")의 몸체(11'; 11") 하단에 제1 및 제2 힌지공(12',12a')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힌지공(12',12a')과 대응되는 제5 및 제6 힌지공(12d',12e')을 갖는 보조링크(19)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측 프로브(13')가 상기 제2 및 제6 힌지공(12a',12e')과 대응되는 제3 및 제4 힌지공(12b',12c')을 구비하여, 상기 제2 및 제3 힌지공(12a',12b')이 상기 제6 및 제4 힌지공(12e',12c')과 힌지결합되고,
    구동부(20'; 20")의 몸체(21'; 21") 하단에 제1 및 제2 힌지공(22',22a')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힌지공(22',22a')과 대응되는 제5 및 제6 힌지공(22d',22e')을 갖는 보조링크(29)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측 프로브(23')가 상기 제2 및 제6 힌지공(22a',22e')과 대응되는 제3 및 제4 힌지공(22b',22c')을 구비하여, 상기 제2 및 제3 힌지공(22a',22b')이 상기 제6 및 제4 힌지공(22e',22c')과 힌지결합되고,
    상기 힌지부(30')는, 보조 힌지바(33)를 더 구비하되, 상기 보조 힌지바에 제1, 제2 및 제3 힌지공(33a,33b,33c)을 구비하도록 하여, 고정부의 제1 힌지공(12')이 상기 보조 힌지바의 제2 힌지공(33b)과 힌지결합되며, 구동부의 제1 힌지공(22')이 상기 보조 힌지바의 제3 힌지공(33c)과 힌지결합되며, 상기 고정부의 제5 힌지공(12d'), 구동부의 제5 힌지공(22d') 및 힌지바의 제1 힌지공(33a)이 하나의 힌지축으로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게이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 가이더는, 상기 고정부측 프로브에 제1 가이더(18')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측 프로브에 제2 가이더(28')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가이더(18') 및 상기 제2 가이더(28')의 어느 일측에 각각 슬라이딩 돌기 및 슬라이딩 홈을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딩 돌기 및 슬라이딩 홈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게이지.
  5. 몸체의 중앙 일 지점에 힌지공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프로브가 형성된 고정부(10; 10'; 10");
    몸체의 중앙 일 지점에 힌지공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프로브가 형성된 구동부(20; 20'; 20");
    상기 고정부측 힌지공과 상기 구동부측 힌지공을 힌지축으로 연결하여 상기 고정부와 구동부를 가위 형태로 결합하는 힌지부(30; 30'); 및
    상기 고정부나 구동부의 일측에 고정되거나 혹은 별도로 구성되어 고정부와 눈금부 간의 회전 정도를 가늠하는 눈금부(40; 40");
    를 포함하며,
    고정부 및 구동부 몸체의 중간 지점에 자석안착홈(14, 24)이 형성되고, 각각의 자석안착홈(14, 24)에 자석(15, 25)이 구비되되, 동일 극성끼리 마주보도록 하여, 힌지축을 중심으로 고정부와 구동부가 상대회전을 시작할 때에 상대회전이 원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게이지.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또는 구동부의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눈금(41)이 새겨진 눈금부(40; 40")를 구비하되 상기 눈금부(40; 40")의 전후 면에 모두 눈금을 새기고, 상기 고정부 또는 구동부의 타측에는 상기 눈금부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U자형 슬라이더(27)를 구비하여, 전후방 양쪽에서 모두 눈금의 판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게이지.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 10')가 전방에, 상기 구동부(20; 20')가 후방에 위치하면서 상대회전이 되도록 힌지부를 구성하되, 구동부의 힌지공 근처에 스토퍼(26)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돌설함으로써, 고정부와 구동부가 일정 각도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게이지.
KR1020120025535A 2012-03-13 2012-03-13 갭 게이지 KR101295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535A KR101295693B1 (ko) 2012-03-13 2012-03-13 갭 게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535A KR101295693B1 (ko) 2012-03-13 2012-03-13 갭 게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5693B1 true KR101295693B1 (ko) 2013-08-14

Family

ID=49220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535A KR101295693B1 (ko) 2012-03-13 2012-03-13 갭 게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6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332B1 (ko) 2020-02-25 2020-07-02 이상범 철근 직경 측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3766U (ko) * 1973-08-18 1975-05-02
JPS6042902U (ja) * 1983-08-31 1985-03-26 鹿島建設株式会社 鉄筋へのコンクリ−トかぶり厚さ測定装置
JPH1082604A (ja) * 1996-09-09 1998-03-31 Kanto Auto Works Ltd テ−パ状隙間尺
KR19990036482U (ko) * 1998-02-23 1999-09-27 유태우 가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3766U (ko) * 1973-08-18 1975-05-02
JPS6042902U (ja) * 1983-08-31 1985-03-26 鹿島建設株式会社 鉄筋へのコンクリ−トかぶり厚さ測定装置
JPH1082604A (ja) * 1996-09-09 1998-03-31 Kanto Auto Works Ltd テ−パ状隙間尺
KR19990036482U (ko) * 1998-02-23 1999-09-27 유태우 가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332B1 (ko) 2020-02-25 2020-07-02 이상범 철근 직경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46486A (zh) 大圆弧半径测量仪及测量方法
JP2008185358A (ja) 平坦度測定具
CN101210797B (zh) 一种软环内径测量工具
JP4323267B2 (ja) 形状測定装置、形状測定方法、形状解析装置、形状解析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3884256A (zh) 一种测径尺
KR101295693B1 (ko) 갭 게이지
CN105180781B (zh) 一种倒角测量工具
CN102878907B (zh) 测量零件倒角角度卡尺
Sammartinia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new reference cylindrical gear for pitch measurement
JPWO2006022149A1 (ja) 比率分割用ノギス
CN106907967B (zh) 两侧边双切倒圆延伸交点虚拟尺寸的检测方法
CN215751630U (zh) 一种折叠尺
CN205825872U (zh) 新型间隙测量装置
JP4711803B2 (ja) 定規
CN210004912U (zh) 一种快速测量地板尺寸的测试平台
TWI618918B (zh) 長度量測裝置
Sanjid Improved direct comparison calibration of small angle blocks
CN106052500A (zh) 一种复杂凹陷曲面内腔深度测量尺
CN102721329A (zh) 内径测量尺
CN112060813A (zh) 一种可多等分任意角的分角器
CN106871755A (zh) 一种测量零件倒角的游标卡尺
CN201069347Y (zh) 游标万能组合角度尺
CN215261505U (zh) 一种多功能通用卡尺
CN220690002U (zh) 二次元测量靠角和装置
CN203772189U (zh) 一种测径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