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332B1 - 철근 직경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철근 직경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332B1
KR102129332B1 KR1020200022631A KR20200022631A KR102129332B1 KR 102129332 B1 KR102129332 B1 KR 102129332B1 KR 1020200022631 A KR1020200022631 A KR 1020200022631A KR 20200022631 A KR20200022631 A KR 20200022631A KR 102129332 B1 KR102129332 B1 KR 102129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ruler
hinge axis
hinge shaf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범
Original Assignee
이상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범 filed Critical 이상범
Priority to KR1020200022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3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힌지축;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제1바;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제2바; 상기 제1바의 상측 단부에 결합된 제2힌지축; 및 상기 제2힌지축에 결합된 눈금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바와 제2바는 상기 힌지축에 의해 상호 회전되고, 상기 제1바와 눈금자는 상기 제2힌지축에 의해 상호 회전하며, 상기 제1바와 제2바의 하측 단부를 측정하고자 하는 철근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눈금자에 의해 철근의 직경을 측정하는 철근 직경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하면, 눈금자가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힌지축 방향으로 접혀지므로 많은 공간이 필요하지 않아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눈금자가 직선으로 형성되고, 눈금자의 눈금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절취공을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피복 두께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철근 직경 측정장치{Reinforcing bar diameter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위치하는 철근의 직경을 측정하는 철근 직경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의 절취를 최소화하면서도 정확하고 간편하게 철근의 직경을 측정함과 동시에,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철근 직경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각이나 빌딩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은 설계도에 따라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된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은 철근이 설계도에 따라 정확하게 배근되었는지 구조물의 구조 강도에 맞는 철근이 사용되었는지를 확인하여 구조물의 건전성 및 시공 정밀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에 배근된 철근의 직경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를 절취하여 절취공을 형성하고, 이 절취공을 통해 철근의 직경을 측정하고 있다. 그러나 철근 직경의 측정은 줄자 등을 이용하므로 많은 콘크리트를 절취하여야 하고, 적은 부분만을 절취하여 측정하는 경우 측정이 불편할 뿐 아니라 오차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비록 철근 직경을 측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유사한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5693호 '갭 게이지'가 등록된 바 있다. 이 종래기술은 구동부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고정부로부터 회전하여 벌어지고, 벌어지는 간격만큼 눈금부를 통해 측정대상물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눈금부(40)를 원호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측정하고자 하는 직선 거리에 대응하도록 원호 형상의 눈금부에 눈금으로 표시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눈금부(40)가 고정부(10)에 직각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어, 휴대 및 보관이 불편하고, 설령, 눈금부(40'')를 고정부측 몸체(11'')와 분리 구성한다 하더라도, 그로 인하여 사용과 보관에 불편함이 있고, 분실의 문제점도 있다.
또한, 눈금부(40)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눈금부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피복 두께 등과 같은 것을 측정할 수 없어 별도의 자를 준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569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바와 제2바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눈금자가 제2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서, 철근의 직경을 신속 정확하게 측정하고,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며, 눈금의 표시도 통상의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어 표시가 용이하고, 또한 콘크리트 피복 두께 등도 함께 측정할 수 있는 철근 직경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철근 직경 측정장치는, 힌지축;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제1바;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제2바; 상기 제1바의 상측 단부에 결합된 제2힌지축; 및 상기 제2힌지축에 결합된 눈금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바와 제2바는 상기 힌지축에 의해 상호 회전되고, 상기 제1바와 눈금자는 상기 제2힌지축에 의해 상호 회전하며, 상기 제1바와 제2바의 하측 단부를 측정하고자 하는 철근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눈금자에 의해 철근의 직경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눈금자는 표면에 표시된 스케일과,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인 슬라이드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바는 상측에 구비된 슬라이드핀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핀은 상기 슬라이드공을 통해 이동하면서 상기 눈금자가 상기 제2바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공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호 형상으로 형성된 출입공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눈금자는 상기 힌지축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다.
상기 출입공은 상기 제2힌지축에서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입공은 상기 제2회전축에서 먼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눈금자는 상기 제1바와 제2바의 외측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눈금자는 상기 제1바와 제2바의 사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눈금자의 측면에는 상기 힌지축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눈금자가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접혀짐으로써, 많은 공간이 필요하지 않아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눈금자가 직선으로 형성됨으로써, 눈금의 표시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피복 두께 등도 함께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철근 직경 측정장치의 사시도 및 분리사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철근 직경 측정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철근 직경 측정장치를 접어 보관하는 상태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철근 직경 측정장치의 출입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례에 따른 철근 직경 측정장치의 사시도 및 분리사시도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례에 따른 철근 직경 측정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례에 따른 철근 직경 측정장치를 접어 보관하는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철근 직경 측정장치의 사시도 및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철근 직경 측정장치(100)는 힌지축(110), 제1바(120), 제2바(130), 제2힌지축(140), 눈금자(150)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축(110)은 제1바(120)와 제2바(1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즉, 제1바(120)와 제2바(130)는 모두 힌지축(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어느 일측만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바(120)는 상기 힌지축(110)에 결합되는 제1힌지공(121)이 중앙부에 관통되고, 상기 제1힌지공(121)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
제2바(130)는 상기 힌지축(110)에 결합되는 제2힌지공(131)이 중앙부에 관통되고, 상기 제2힌지공(131)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
힌지축(110)은 제1바(120) 또는 제2바(130) 중 어느 하나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힌지축(110)은 제1바(120) 또는 제2바(130)의 힌지공에 삽입된 후 용접, 부착 등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제1바(120) 또는 제2바(130)에 힌지공을 형성함이 없이 표면에 용접, 또는 부착 결합되거나, 또는 제1바(120) 또는 제2바(130)에 힌지공을 형성함이 없이 표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힌지축(110)은 제1바(120)와 제2바(130)의 표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른 부재의 회전에 방해가 되지 않는 경우 돌출될 수 있다.
제2힌지축(140)은 제1바(120)와 눈금자(15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제2힌지축(140), 제1바(120) 및 눈금자(150)의 결합 관계는 전술한 힌지축(110), 제1바(120) 및 제2바(130)의 결합 관계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힌지축(140)이 결합되도록 제1바(120)의 상측 단부에는 제3힌지공(122)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눈금자(150)는 스케일(151), 슬라이드공(152)을 포함할 수 있다.
스케일(151)은 눈금자(150)의 표면에 표시될 수 있다. 스케일(151)은 눈금자(150)의 전면과 후면에 모두 표시될 수 있다. 스케일(151)은 제2힌지축(140)을 시점으로 하여 슬라이드공(152)을 따라 표시될 수 있다.
슬라이드공(152)은 눈금자(150)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일 수 있다.
제2바(130)의 상측에 슬라이드핀(153)이 구비될 수 있다. 슬라이드핀(153)은 슬라이드공(152)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드핀(153)의 단부에는 머리가 형성될 수 있다. 머리는 눈금자(150)가 제2바(13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철근 직경은 제2힌지축(140)과 슬라이드핀(153) 사이의 간격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철근의 직경의 측정은 직접적인 측정보다는 철근 리브 사이의 간격을 측정함으로써, 규격표에 의해 직경을 확인할 수 있다.
슬라이드공(152)의 일측 단부에는 출입공(154)이 형성될 수 있다. 출입공(154)은 눈금자(150)로부터 슬라이드핀(153)이 이탈되게 함으로써 눈금자(150)가 힌지축(110)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다. 출입공(154)은 제2힌지축(140)을 중심으로 한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출입공(154)은 제2힌지축(140)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거나 먼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눈금자(150)는 제1바(120)와 제2바(130)의 외측, 또는 제1(120)와 제2바(130) 사이에 있을 수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례인 철근 직경 측정장치의 결합 및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7을 참조하면, 제1바(120)의 제1힌지공(121)과 제2바(130)의 제2힌지공(131)을 동일선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힌지공(121) 및 제2힌지공(131)에 힌지축(110)을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공(121) 및 제2힌지공(131)에 결합되는 힌지축(110)은 각 바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른 부재의 회전에 방해자 되지 않는 경우 돌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바(120)의 제3힌지공(122)과 눈금자(150)의 제4힌지공(122')을 동일 선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3힌지공(122) 및 제4힌지공(122')에 제2힌지축(140)을 결합할 수 있다. 제3힌지공(122) 및 제4힌지공(122')에 결합되는 제2힌지축(140)은 제1바(120) 및 눈금자(150)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른 부재의 회전에 방해자 되지 않는 경우 돌출될 수도 있다.
눈금자(150)는 제2회전축(14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힌지축(110) 방향으로 접혀짐으로써 제1바(120)의 후면에 밀착될 수 있다.
철근(11)의 직경을 측정하기 전에 콘크리트 구조물(10)의 표면을 철근이 나타날 때까지 코어 형상으로 절취하여 절취공(1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눈금자(15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슬라이드핀(153)이 출입공(154)에 삽입되게 할 수 있다. 슬라이드핀(153)의 머리는 눈금자(150) 후면에 밀착됨으로써 제2바(130)가 눈금자(15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철근 직경 측정장치(100)의 하측 단부를 절취공(11)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2바(130)의 상단부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슬라이드핀(153)은 슬라이드공(152)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제2바(130)의 하측 단부가 제1바(120)의 하측 단부로부터 벌어질 수 있다.
제1바(120)와 제2바(130)의 하측 단부가 철근(11)의 마디(11')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슬라이드공(152)에서 슬라이드핀(153)이 위치한 눈금자(150)를 통해 철근(11)의 마디(11')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철근(11)의 마디(11') 간격을 측정하는 스케일(151)은 눈금자(150)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철근(11)의 마디(11') 간격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철근(11)의 마디(11') 간격에 따라 철근(11)의 직경을 확인할 수 있다. 즉, KS 규격에 의해 철근(11)의 직경에 따라 마디(11')가 일정간격으로 돌출되므로 마디(11')의 간격을 측정함으로써 철근(11)의 직경을 확인할 수 있다.
힌지축(110)은 각 바의 중앙부에 위치하므로 각 바의 벌어진 하측 단부의 간격은 상측의 제2힌지축(140)과 슬라이드핀(153)의 벌어진 간격과 같으므로 비율에 관계없이 철근(11)의 마디(11') 간격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철근 직경 측정장치(100)로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절취공(11)을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피복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방향을 회전된 눈금자(150)를 절취공(11)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눈금자(150)의 바닥면이 철취공(11) 내의 철근(11)에 위치시켜 피복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눈금자(150)는 직선으로 형성되고 스케일(151)은 통상의 방법으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 구조물(10)의 피복 두께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의 과정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피복 두께 및 철근(11)의 마디(11') 간격의 측정이 완료된 후, 눈금자(150)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축(110) 방향으로 접혀져 제1바(120)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출입공(154')은 제2힌지축(140)에서 먼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바(120)와 제2바(130)의 상측 단부가 제2힌지축(140)과 출입공(154')의 간격만큼 벌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눈금자(15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슬라이드핀(153)이 출입공(154')에 삽입되게 할 수 있다. 이후 제2바(130)의 상측 단부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장공(153)의 일측 내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의 과정으로 철근(11)의 마디(11')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철근 직경 측정장치(100')는, 제1바(120)와 제2바(130) 사이에 눈금자(150')가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예의 경우, 필요한 경우 눈금자(150')에 삽입홈(155)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55)은 눈금자(150')가 접혀질 때, 힌지축(110)에 삽입될 수 있다. 철근 직경 측정장치(100')로 철근(11)의 마디(11') 및 콘크리트 구조물(10)의 피복 두께를 측정하는 과정은 전술한 예와 동일하다.
또한, 힌지축(110) 하부의 제1바(120) 또는 제2바(130) 중 어느 하나에 간격유지부재가 구비되어 제1바(120) 또는 제2바(130)가 면접촉되어 회전하여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철근(10)의 마디(11')를 좀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철근 직경 측정장치 110: 힌지축
120: 제1바 130: 제2바
140: 제2힌지축 150: 눈금자
151: 스케일 152: 슬라이드공
153: 슬라이드핀 154: 출입공

Claims (8)

  1. 힌지축;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제1바;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제2바;
    상기 제1바의 상측 단부에 결합된 제2힌지축; 및
    상기 제2힌지축에 결합된 직선 형상의 눈금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바와 제2바는 상기 힌지축에 의해 상호 회전되고, 상기 제1바와 눈금자는 상기 제2힌지축에 의해 상호 회전하며,
    상기 제1바와 제2바의 하측 단부를 측정하고자 하는 철근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눈금자에 의해 철근의 직경을 측정하고,
    상기 눈금자는 표면에 표시된 스케일과,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인 슬라이드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바는 상측에 구비된 슬라이드핀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핀은 상기 슬라이드공을 통해 이동하면서 상기 눈금자가 상기 제2바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슬라이드공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호 형상으로 개구 형성되어 슬라이드핀의 이탈 및 삽입을 안내하는 출입공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눈금자는 상기 힌지축 방향으로 제1바와 겹쳐지도록 접혀질 수 있고,
    상기 출입공은 상기 제2힌지축에서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출입공은 상기 제2힌지축에서 먼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핀의 단부에는 머리가 형성되어 눈금자가 제2바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철근 직경 측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눈금자는 상기 제1바와 제2바의 외측에 있는 것인 철근 직경 측정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눈금자는 상기 제1바와 제2바의 사이에 있는 것인 철근 직경 측정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눈금자의 측면에는 상기 힌지축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된 것인 철근 직경 측정장치.
KR1020200022631A 2020-02-25 2020-02-25 철근 직경 측정장치 KR102129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631A KR102129332B1 (ko) 2020-02-25 2020-02-25 철근 직경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631A KR102129332B1 (ko) 2020-02-25 2020-02-25 철근 직경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9332B1 true KR102129332B1 (ko) 2020-07-02

Family

ID=71599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631A KR102129332B1 (ko) 2020-02-25 2020-02-25 철근 직경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3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90659A (zh) * 2021-09-10 2021-12-14 新兴铸管股份有限公司 废钢厚度定级工装
JP7170156B1 (ja) * 2022-05-25 2022-11-11 大末建設株式会社 鉄筋径の呼び名の判定器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01U (ja) * 1993-06-14 1995-01-17 富士昭株式会社 角度計,ノギス兼用定規
KR20080082813A (ko) * 2007-03-09 2008-09-12 임두만 본 게이지
KR100911222B1 (ko) * 2008-03-27 2009-08-06 서울메트로 전차선 고저차 측정기
KR101295693B1 (ko) 2012-03-13 2013-08-14 주식회사 디피코 갭 게이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01U (ja) * 1993-06-14 1995-01-17 富士昭株式会社 角度計,ノギス兼用定規
KR20080082813A (ko) * 2007-03-09 2008-09-12 임두만 본 게이지
KR100911222B1 (ko) * 2008-03-27 2009-08-06 서울메트로 전차선 고저차 측정기
KR101295693B1 (ko) 2012-03-13 2013-08-14 주식회사 디피코 갭 게이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90659A (zh) * 2021-09-10 2021-12-14 新兴铸管股份有限公司 废钢厚度定级工装
JP7170156B1 (ja) * 2022-05-25 2022-11-11 大末建設株式会社 鉄筋径の呼び名の判定器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9332B1 (ko) 철근 직경 측정장치
US8074368B2 (en) Hinged measuring and marking device
US5357683A (en) Compact carpenter's marking tool
KR200408374Y1 (ko) 도로의 측구 감리용 검측기
US7111408B2 (en) Folding rule
US4916822A (en) Angle and distance measuring instrument
US4907348A (en) Navigational tape measure-type apparatus
US20020121025A1 (en) Modular level
US9354053B2 (en) Clinometer apparatus
US4426790A (en) Folding ruler accessory
US5239761A (en) Multiple-purpose measuring instrument
US4200987A (en) Gauge
KR100981765B1 (ko) 각도지시자가 구비된 각도기
US20080189967A1 (en) Standardizable level tool
US5383276A (en) Angle trisector
US3222789A (en) Linear measuring instruments
KR20180114383A (ko) 다용도 포스트용 접이식 수직수평계
US20080155847A1 (en) Corner Gauge
JPH08219702A (ja) ピンホールのある巻尺
JPH0829103A (ja) 測量装置
JPH08170901A (ja) 直角測定具
KR20130003768U (ko) 각도 측정기
KR102299837B1 (ko) 교량 받침 이동량 측정자
KR100478853B1 (ko) 게이지
KR20240080247A (ko) 방향지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