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2813A - 본 게이지 - Google Patents

본 게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2813A
KR20080082813A KR1020070023593A KR20070023593A KR20080082813A KR 20080082813 A KR20080082813 A KR 20080082813A KR 1020070023593 A KR1020070023593 A KR 1020070023593A KR 20070023593 A KR20070023593 A KR 20070023593A KR 20080082813 A KR20080082813 A KR 20080082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measuring
measurer
unit
ru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3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두만
Original Assignee
임두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두만 filed Critical 임두만
Priority to KR1020070023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2813A/ko
Priority to PCT/KR2008/001358 priority patent/WO2008111784A1/en
Publication of KR20080082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28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6Compasses, i.e. with a pair of pivoted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2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distances on the body, e.g. measuring length, height or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04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47Evalua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에서 턱뼈 또는 치아 등의 폭이나 두께를 측정할 때, 측정된 측정값을 수치상으로 용이하게 읽을 수 있도록 디지털 측정부가 구비된 본 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본 게이지는 제1 레버와, 상기 제1 레버와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레버와, 상기 제1, 제2 레버의 일측 단부에 상호 대향되도록 마련되어 측정물의 폭을 측정하는 한 쌍의 측정자를 구비하는 레버유니트와, 상기 레버유니트의 타측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자 사이의 거리를 표시하는 디지털 측정부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본 게이지는 측정물의 두께나 너비 등을 측정할 때, 디지털화된 측정장비를 통해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고, 측정된 측정값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측정 대상의 신체상의 차이에 따라, 또는 측정물의 형태에 따라, 기능이나 형상이 다른 측정자를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관과 구입에 따른 비용의 감소를 기대할 수 있다.
본 게이지, 턱뼈, 두께측정

Description

본 게이지 {Bone gau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본 게이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접촉부를 도시한 부분 발췌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 게이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본 게이지의 디지털 측정부를 도시한 부분 발췌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본 게이지의 제3 실시예의 측정자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본 게이지의 제4 실시예의 부분 발췌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본 게이지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본 게이지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은 본 게이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치과에서 턱뼈 또는 치아 등의 폭이나 두께를 측정할 때, 측정된 측정값을 수치상으로 용이하게 읽을 수 있도록 디지털 측정부가 구비된 본 게이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에서는 임플란트 시술과 같은 치료시에 턱뼈나 치아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게이지를 사용한다. 이러한 게이지는 측정물의 양 측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측정자가 마련되어 있으며, 일측에 상기 측정자가 설치된 레버는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측정자가 설치되지 않은 레버의 타측에는 레버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도록 간격 측정수단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 간격 측정수단의 간격을 통해서 레버의 일측 단부에 마련된 측정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측정물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치아 또는 턱뼈의 두께 측정시 게이지가 환자의 구강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종래의 게이지는 상기 측정수단에 나타나는 측정물의 두께를 읽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그리고 본 게이지는 구강 내부에서 측정을 실시하는 것이므로 위생적인 기구의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종래에는 턱뼈에 접촉하는 측정자와 레버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측정자의 소독 및 세척이 불편하였다.
그리고 측정하고자 하는 측정물에 따라 측정자의 형태가 달라질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턱뼈의 두께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측정자가 잇몸을 관통하여 턱뼈의 양 측면과 접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측정자가 잇몸을 관통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러나 치아의 두께 또는 치간 간격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측정자의 형태가 달라질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다양한 측정물을 측정하기 위한 각각의 측정자가 설치된 복수개의 게이지를 구비하고 필요에 따라 선택해서 사용해야 하였기 때문에 게이지의 구입 비용이 많이 들었으며, 보관도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턱뼈를 측정하는 측정자의 경우, 측정자가 잇몸을 뚫고 들어갈 수 있도록 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는데, 양쪽 측정자의 단부가 상호 접촉하는 과정에서 접촉에 의해 무뎌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측정물의 두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 으며, 잇몸을 뚫고 들어가기가 용이하지 않게 되어 턱뼈의 두께 측정시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측정물의 두께나 폭을 측정할 때, 측정값이 수치상으로 표시되어 측정자가 측정값을 용이하게 읽을 수 있는 본 게이지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정자를 교체시켜 측정자의 소독 및 세척에 드는 비용과 시간을 단축하고, 위생적인 측정자를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본 게이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본 게이지는 제1 회전부재와, 상기 제1 회전부재와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레버부와, 상기 제1, 제2 회전부재의 일측 단부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측정자를 포함하는 접촉부와, 상기 제1 회전부재의 타측 단부에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한 제2 회전부재의 회전 반경을 따라 연장되며 일정 간격으로 간격 표시가 되어 있는 눈금자와, 상기 제2 회전부재의 단부에 마련되며, 측정 대상물의 두께 측정시 상기 측정자와 연결된 제2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눈금자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측정자 사이의 이격 간격에 해당하는 눈금자 상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재를 갖는 측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본 게이지는 제1 레버와, 상기 제1 레버와 회전축에 의 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레버와, 상기 제1, 제2 레버의 일측 단부에 상호 대향되도록 마련되어 측정물의 폭을 측정하는 한 쌍의 측정자를 구비하는 레버유니트와, 상기 레버유니트의 타측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자 사이의 거리를 표시하는 디지털 측정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디지털 측정부는 상기 제1 레버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한 회전방향을 따라 제2 레버를 향하여 연장되며, 일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간격표시가 형성되어 있는 눈금자와, 상기 제1, 제2 레버의 회동시 상기 눈금자가 내부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레버에 설치되며, 상기 눈금자의 간격표시를 센싱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측정자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정보처리부와, 계산된 측정자 사이의 거리를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측정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제2 레버는 각각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제2 로드와, 상기 제1, 제2 로드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부에 상기 측정자가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된 제1, 제2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측정자는 상호 접촉에 의해 단부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측정자가 인접하도록 위치할 때, 상기 측정자의 단부가 상호 어긋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본 게이지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본 게이지(100)는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 합되는 레버부(110)와, 상기 레버부(110)의 일측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촉부(120)와, 레버부(110)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는 측정부(130) 및 레버고정부(114)를 구비한다.
상기 레버부(110)는 타측을 손으로 파지하면 일측 단부가 상호 이격될 수 있도록 힌지축(11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부재(111)와, 제2 회전부재(112)를 포함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기 힌지축(113)에는 제1, 제2 회전부재(111,112)의 타측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레버고정부(114)는 상기 제1, 제2 회전부재(111,112)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 회전부재(111)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 회전부재(112)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바(115)와, 상기 제2 회전부재(112)의 외측에서 상기 스크류바(115)에 나사결합되는 스토퍼(116)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116)를 스크류바(115)에 나사결합 시킨 뒤 일정 길이 내측으로 이동시키면 제2 회전부재(112)에는 상기 토션 스프링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려는 탄성력이 작용하지만 레버고정부(114)에 의해 벌어지지 못하고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접촉부(120)는 측정하기 위한 턱뼈의 외주면에 접촉시켜 턱뼈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 제2 회전부재(111,112)의 일측 단부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접촉부(120)의 단부에는 상호 마주보게 절곡되어 있고 단부가 잇몸을 관통할 수 있도록 뾰족하게 형성된 측정자(121)가 마련되어 있다. 접촉 부(120)는 턱뼈의 두께 측정 전후에 위생을 위해 세척 및 소독을 실시할 때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120)가 제1, 제2 회전부재(111,112)에 결합되었을 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제2 회전부재(111,112)의 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볼플랜저(117)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접촉부(12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이 외에도 제1, 제2 회전부재(111,112)의 단부가 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측정부(130)는 상기 측정자(121) 사이의 이격 거거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회전부재(111)의 타측 단부에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2 회전부재(112)의 회전 반경을 따라 연장되며 일정 간격으로 간격 표시가 되어 있는 눈금자(131)와, 상기 제2 회전부재(112)의 단부에 마련되며, 측정 대상물의 두께 측정시 상기 측정자(121)와 연결된 제2 회전부재(112)의 회전에 따라 상기 눈금자(131)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측정자(121) 사이의 이격 간격에 해당하는 눈금자(131) 상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재(132)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부(120)의 측정자(121)의 이격 간격과, 제1, 제2 회전부재(111,112)의 단부의 이격 간격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 단부까지의 거리에 비례하여 일정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상기 제1, 제2 회전부재(111,112)의 이격 간격을 통해 측정자(121) 사이의 이격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눈금자(131)에는 회전축과 측정자(121) 사이의 거리 및 회전축과 상기 눈금자(131) 사이의 거리의 비를 고려하여 상기 측정자(121)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일전 간격으로 복수개의 눈금이 표시되어 있으며, 측정자(121)가 측정물의 외면에 접촉하여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을 때, 제2 회전부재(112)의 단부에 마련된 표시부재(132)가 가리키는 눈금자(131) 상의 눈금을 읽음으로써 측정자(121) 사이의 이격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본 게이지(200)는 레버유니트(210)와 레버유니트(210)의 단부에 설치되는 디지털 측정부(220)를 구비한다.
레버유니트(210)는 회전축(217)을 중심으로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제2 레버(211,214)와, 레버유니트(210)의 일측 단부에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측정자(218)를 포함한다.
제1, 제2 레버(211,214)는 각각 제1, 제2 로드(212,215)와, 상기 제1, 제2 로드(212,215)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제2 결합부재(213,216) 및 제1, 제2 로드(212,215)를 결합하는 회전축(217)을 구비하는데, 상기 회전축(217)은 제2 로드(215)에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홀(미도시)과,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제2 로드(215)를 감싸도록 제1 로드(212)제1 결합부재(213)며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는 힌지홀이 마련된 회전브라켓(217a)과, 상기 힌지홀과 관통홀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힌지축(217b)을 포함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힌지축(217b)에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제1, 제2 로드(212,215)가 접촉되지 않고 상호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제2 로드(212,215)를 외측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키는 토션 스프링이 결합되어 있다.
제1, 제2 결합부재(213,216)는 제1, 제2 로드(212,215)에 각각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서 단부에 측정자(218)가 설치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 나, 제1, 제2 결합부재(213,216)가 제1, 제2 로드(212,215)와의 결합할 때,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제2 로드(212,215)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볼플랜저(117)가 마련되어 있다.
측정자(218)는 측정물의 외면에 접촉하여 측정물의 두께 또는 너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 결합부재(213,216)에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측정자(218)는 잇몸을 관통하여 잇몸 속의 턱뼈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잇몸을 관통하기 용이하도록 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측정자(218)가 잇몸을 관통하여 턱뼈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도록 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측정자(218)의 형태는 측정물의 형태와 측정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이 외에도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디지털 측정부(220)는 제1 레버(211)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눈금자(221)와, 상기 눈금자(221)의 이동거리를 감지하여 측정자(218)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고 이를 표시하는 측정유니트(230)를 포함한다.
눈금자(221)는 제1 레버(211)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회전축(217)을 중심으로 제1, 제2 레버(211,214)의 회전반경을 따라 제2 레버(214)를 관통하도록 연장되는데, 제2 로드(215)에는 상기 회전축(217)을 중심으로 제2 로드(215)가 회전할 때, 눈금자(221)가 통과할 수 있도록 통과홀(미도시)이 제2 로드(215)의 양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있다. 또한 눈금자(221)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측정유니트(230)의 센서(231)가 눈금자(221)의 이동 거리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눈금(222)이 일정 거리 간격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눈금자(221)는 회전축(217)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제2 레버(211,214)의 회전반경을 따라 연장된다.
측정유니트(230)는 눈금자(221)의 돌출된 눈금(222)을 감지하여 측정자(218)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고 이를 식별하기 용이하도록 표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눈금자(221)의 표시를 감지하는 센서(231)와, 상기 센서(231)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전달받아 눈금자(221)의 이동거리 또는 제1, 제2 로드(212,215) 사이의 이격거리를 바탕으로 측정자(218) 사이의 이격 거리를 계산하는 정보처리부(232)와, 정보처리부(232)에서 계산된 값을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33)를 구비한다.
상기 센서(231)는 눈금자(221)의 상면에 표시된 눈금(222)을 감지하여 레버의 이동거리를 측정한다. 센서(231)에서 감지된 정보를 정보처리부(232)로 보내면 정보처리부(232)에서는 센서(231)에서 감지한 정보를 토대로 측정자(218) 사이의 이격 거리를 계산한다. 측정값이 도출되면 디스플레이부(233)에서는 정보처리부(232)에서 계산된 측정자(218) 사이의 이격 거리를 측정인이 인식하기 편하도록 숫자로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측정부(220)가 도시된 바와 같이 눈금자(221)의 돌출된 눈금(222)을 센서(231)에서 감지하고 이를 토대로 측정자(218) 사이의 이격 거리를 정보처리부(232)에서 계산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디지털 측정부(220)는 상기 측정자(218) 사이의 거리를 정확하게 계산하여 이를 인식하기 용이하게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면 이 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33)에는 구강 내부에서 측정물의 두께 측정이 이루어질 때, 디스 플레이부(233)에 표시되는 숫자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빛을 발산하는 발광램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요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본 게이지(100)와 형태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는 도 3에 도시된 본 게이지(200)의 측정자(301)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레버유니트의 제1, 제2 레버가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면 측정자(301)는 상호 인접하도록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측정자(301)의 각 단부의 접촉에 의해 측정자(301)의 끝단이 무디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자(301)는 상호 엇갈리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결합부재(302)에 설치된 측정자(301)는 제2 결합부재(303)측으로 연장될수록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2 결합부재(303)에 설치된 측정자(301)는 이와는 달리 제1 결합부재(302)측으로 연장될수록 하부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측정자(301)의 상호 접촉이 방지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본 게이지(400)는 치아 사이의 이격 간격을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3, 제4 레버(410,411)의 단부에 각각 제3, 제4 결합부재(412,413)가 결합되는데, 제3, 제4 결합부재(412,413)에는 제2 실시예의 제1, 제2 결합부재(213,216)와 마찬가지로 제3, 제4 레버(410,4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3, 제4 결합부재(412,413)의 단부에는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 로 연장되는 치간 측정자(414)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본 게이지(400)는 탈락한 치아의 양 옆에 위치한 치아 또는 이격된 두 개의 치아 사이의 이격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치아와 접촉하는 치간 측정자(414)의 치아 접촉부(415)는 제3, 제4 레버(410,411)가 완전히 벌어져 있을 때, 상호 마주볼 수 있도록 치간 측정자(414)가 포개진 상태에 있게 되고, 제3, 제4 레버(410,411)를 손으로 파지하여 제3, 제4 레버(410,411)의 이격 간격을 줄이면 치간 측정자(414)의 치아 접촉부(415)는 각각 치아의 측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대향되는 방향에 위치하게 되므로 치아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가 용이하다. 치간 측정자(414)는 제3, 제4 레버(410,411)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제2 실시예의 본 게이지(200)와 그 형태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본 게이지(500)의 제5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본 게이지(500)는 상호 교차되는 지점에 마련된 회동축(51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5, 제6 레버(510,511)와, 제5, 제6 레버(510,511)의 일단부에 마련된 측정자(515)와, 상기 제5, 제6 레버(510,511)의 타단부에 마련된 디지털 측정부(520)를 구비한다.
제5, 제6 레버(510,511)는 각각 회동축(514)에서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512)와, 회동부(512)의 일단부에서 하방으로 수직 연장되는 수직부(513)를 포함한다. 수직부(513)의 단부에는 턱뼈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자(515)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측정자(515)는 잇몸을 뚫고 잇몸 내부의 턱뼈의 외면에 접 촉할 수 있도록 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다. 회동부(512)의 타단부에는 디지털 측정부(520)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본 게이지(500)는 제1, 제2 실시예의 본 게이지(100,200)와 달리 측정자(515)가 제5, 제6 레버(510,51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척 및 소독시 측정자(515)를 따로 분리할 수 없으므로, 디지털 측정부(520)가 제3, 제4 레버(410,411)로 부터 세척 및 소독시에 분리 가능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디지털 측정부(520)는 제5 레버(510)의 단부에 결합볼트(523)에 의해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는 측정유니트(521)와, 일측이 제6 레버(511)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측정유니트(521)에 마련된 슬라이딩홀(522)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눈금자(524)를 포함한다. 측정유니트(521)와 눈금자(524)가 각각 제5, 제6 레버(510,511)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기구의 세척 및 소독시 습기에 민감한 디지털 측정부(520)를 용이하게 분리시키고 안전하게 세척 및 소독을 시행할 수 있다. 상기 측정유니트(521)와 눈금자(524)를 이용한 거리 측정 방법은 제2 실시예의 디지털 측정부(220)의 측정 방식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제5, 제6 레버(510,511)는 회동축(514)을 중심으로 상호 교차되게 결합되기 때문에 디지털 측정부(520)가 설치된 제5, 제6 레버(510,511)의 타측을 잡고 간격을 좁히면 제5, 제6 레버(510,511)의 일측 단부에 마련된 측정자(515) 사이의 간격도 좁아지게 된다. 앞선 제2 실시예의 경우, 제1, 제2 레버(211,214)를 잡고 간격을 좁히면 측정자(218)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고, 측정 위치에 측정자(218)를 위치시킨 후 제1, 제2 레버(211,214)를 놓으면 힌지축(217b)에 설치된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측정자(218)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며 측정물의 표면에 측정자(218)가 접촉하게 되었다. 제2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이 측정자(218)가 잇몸을 뚫고 들어가 측정하고자 하는 턱뼈의 외면에 접촉할 만큼 충분히 크지 않을 수 있으며, 때로는 탄성력이 너무 강하여 측정물에 손상을 입힐 수 있기 때문에 탄성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없는데서 오는 측정의 부정확성과 안전상의 문제가 우려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본 게이지(500)는 측정인 즉, 턱뼈의 두께를 측정하는 치과 의사가 제5, 제6 레버(510,511)를 직접 파지하고, 측정자(515)가 잇몸을 뚫고 들어갈 수 있는 적절한 힘을 가하여 정확하고 안정적인 턱뼈의 두께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측정자(515)가 제3, 제4 레버(410,411)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측정자(515)는 제3, 제4 레버(410,411)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본 게이지(6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본 게이지(60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진행할수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7, 제8 레버(611,612)가 상호 교차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레버유니트(610)와 제7, 제8 레버(611,612)의 일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부에 측정자(618)가 마련된 제5, 제6 결합부재(616,617) 및 제7 레버(611)의 타측에 설 치된 디지털 측정부(620)를 구비한다.
제7, 제8 레버(611,612)는 각각 상기 제5, 제6 결합부재(616,617)가 결합되는 결합부(613)와, 결합부(613)의 단부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진행할수록 상방으로 경사진 경사부(614)와, 상기 경사부(614)의 단부에서 연장되며 측정인이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형성된 파지부(615)를 포함한다. 측정자(618)에 의한 턱뼈의 두께 측정은 구강 내부에서 이루어지지만 제7, 제8 레버(611,612)가 경사부(614)를 포함하기 때문에 측정인은 구강 외부에서 파지부(615)를 파지하여 측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측정부(620)는 제7 레버(611)에 설치되며, 제8 레버(612)의 측면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는 도광부(621)와, 제8 레버(612)로부터 반사된 빛을 수집하는 수광부(622)와, 상기 도광부(621)에서 조사된 빛이 반사되어 수광부(622)로 수집되는 시간을 바탕으로 상기 측정자(618)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정보처리부(미도시)와, 정보처리부에서 계산된 측정자(618) 사이의 거리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623)를 포함한다. 디지털 측정부(620)가 제2 실시예의 디지털 측정부(620)와는 달리 레이저를 통해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의 디지털 측정부(620)도 앞선 제2, 제5 실시예의 디지털 측정부(220,520)와 같이 측정유니트(230,521)와 눈금자(221,524)를 통해 거리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본 게이지는 측정물의 두께나 너비 등을 측정할 때, 디지털화된 측정장비를 통해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고, 측정된 측정값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측정 대상의 신체상의 차이에 따라, 또는 측정물의 형태에 따라, 기능이나 형상이 다른 측정자를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관과 구입에 따른 비용의 감소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제1 회전부재와, 상기 제1 회전부재와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레버부;
    상기 제1, 제2 회전부재의 일측 단부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측정자를 포함하는 접촉부;
    상기 제1 회전부재의 타측 단부에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2 회전부재의 회전 반경을 따라 연장되며 일정 간격으로 간격 표시가 되어 있는 눈금자와, 상기 제2 회전부재의 단부에 마련되며, 측정 대상물의 두께 측정시 상기 측정자와 연결된 제2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눈금자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측정자 사이의 이격 간격에 해당하는 눈금자 상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재를 갖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게이지.
  2. 제1 레버와, 상기 제1 레버와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레버와, 상기 제1, 제2 레버의 일측 단부에 상호 대향되도록 마련되어 측정물의 폭을 측정하는 한 쌍의 측정자를 구비하는 레버유니트;
    상기 레버유니트의 타측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자 사이의 거리를 표시하는 디지털 측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게이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측정부는 상기 제1 레버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한 회전방향을 따라 제2 레버를 향하여 연장되며, 일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간격표시가 형성되어 있는 눈금자와;
    상기 제1, 제2 레버의 회동시 상기 눈금자가 내부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레버에 설치되며, 상기 눈금자의 간격표시를 센싱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측정자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정보처리부와, 계산된 측정자 사이의 거리를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측정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게이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레버는 각각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제2 로드와, 상기 제1, 제2 로드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부에 상기 측정자가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된 제1, 제2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게이지.
  5. 제 2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자는 상호 접촉에 의해 단부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측정자가 인접하도록 위치할 때, 상기 측정자의 단부가 상호 어긋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게이지.
KR1020070023593A 2007-03-09 2007-03-09 본 게이지 KR2008008281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593A KR20080082813A (ko) 2007-03-09 2007-03-09 본 게이지
PCT/KR2008/001358 WO2008111784A1 (en) 2007-03-09 2008-03-10 Bone gau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593A KR20080082813A (ko) 2007-03-09 2007-03-09 본 게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813A true KR20080082813A (ko) 2008-09-12

Family

ID=39759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3593A KR20080082813A (ko) 2007-03-09 2007-03-09 본 게이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80082813A (ko)
WO (1) WO200811178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332B1 (ko) * 2020-02-25 2020-07-02 이상범 철근 직경 측정장치
US20210030520A1 (en) * 2017-11-02 2021-02-04 Sichuan University Measuring system and method for analysis of space for dental implant restor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48501A (zh) * 2009-08-13 2012-07-04 寺本修久 骨卡尺
AT12743U1 (de) * 2011-08-16 2012-10-15 Wenatex Forschung Entwicklung Produktion Gmbh Messzirkel, insbesondere zum vermessen des menschlichen körpers
CN103712537B (zh) * 2013-12-11 2016-09-28 国家电网公司 用于高压开关柜机械行程的测量装置
CN103983167A (zh) * 2014-06-09 2014-08-13 湘潭电机股份有限公司 一种杠杆式厚度测量装置
CN104197798A (zh) * 2014-08-21 2014-12-10 湖北高森特钢制品有限公司 一种可直接读数的一体式内外卡钳
CN105287031B (zh) * 2015-11-12 2016-08-17 冯毅 种植测量导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5012U (ja) * 1984-06-04 1985-12-26 湯川 精一 歯槽骨等の骨幅測定器
JPS6116107U (ja) * 1984-07-05 1986-01-30 株式会社ハセガワメディカル 口裂周囲測定装置
JPH08224260A (ja) * 1995-02-23 1996-09-03 Nikon Corp 歯科用メジャーリングツール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30520A1 (en) * 2017-11-02 2021-02-04 Sichuan University Measuring system and method for analysis of space for dental implant restoration
US11672634B2 (en) * 2017-11-02 2023-06-13 Sichuan University Measuring system and method for analysis of space for dental implant restoration
KR102129332B1 (ko) * 2020-02-25 2020-07-02 이상범 철근 직경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11784A1 (en) 2008-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82813A (ko) 본 게이지
DAssunção et al. The ability of two apex locators to locate the apical foramen: an in vitro study
Hildebrand et al. Evaluation of a software program for applying the American Board of Orthodontics objective grading system to digital casts
Gonzalez Sequeros et al. Study of occlusal contact variability within individuals in a position of maximum intercuspation using the T‐SCAN system
US5044951A (en) Dental space and periodontal cavity measuring instrument
BR112012014418B1 (pt) sistema de monitoração de escovação dentária
Mok et al. Space analysis: a comparison between sonic digitization (DigiGraph™ Workstation) and the digital caliper
KR100927179B1 (ko) 치과용 임상기구
Kühnisch et al. The intra/inter-examiner reproducibility of the new DIAGNOdent Pen on occlusal sites
JP6391119B2 (ja) 開口測定器
Motl et al. Accuracy of two electronic pedometers for measuring steps taken under controlled conditions among ambulatory individuals with multiple sclerosis
US4959014A (en) Dental space measuring instrument
Karim et al. Controlled force measurements of gingival attachment level made with the Toronto automated probe using electronic guidance
US57528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ooth tightness
Ghahferokhi et al. Critical assessment of a device to measure incisor crown inclination
Tupta‐Veselicky et al. A clinical study of an electronic constant force periodontal probe
US5090902A (en) Multi-measurment periodontal probe
KR101919447B1 (ko) 교합력 측정장치
Gupta et al. Advances In Clinical Diagnosis In Periodontics.
CN208989221U (zh) 一种口腔正畸前牙覆合覆盖测量装置
JP3828012B2 (ja) 虫歯リスク評価装置
EP1259189A1 (en) Tooth inclination assessment
Watts Visual and tactile observational error: comparative probing reliability with recession and cementoenamel junction measurements
AU8239687A (en) Dental instrument
CN217409039U (zh) 一种用于记录基牙倒凹深度的描记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702

Effective date: 2008121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120

Effective date: 2009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