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130B1 - 이차전지 충방전테스트프로브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충방전테스트프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130B1
KR101624130B1 KR1020130105571A KR20130105571A KR101624130B1 KR 101624130 B1 KR101624130 B1 KR 101624130B1 KR 1020130105571 A KR1020130105571 A KR 1020130105571A KR 20130105571 A KR20130105571 A KR 20130105571A KR 101624130 B1 KR101624130 B1 KR 101624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charging
voltage measuring
contact
dis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5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6558A (ko
Inventor
권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30105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130B1/ko
Publication of KR20150026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G01R1/06722Spring-load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01R1/06738Geometry aspects related to tip por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Battery terminal connectors with integrated measu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78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specially adapted for the type of battery or accumula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35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involving only voltage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 Tests Of Electric Status Of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충방전 및 전압을 측정할 수 있는 프로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이차전지 충방전테스트프로브는, 이차전지의 접속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이차전지를 충방전시키는 충방전부; 상기 이차전지의 상기 접속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이차전지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방전부 및 상기 전압측정부는 상기 이차전지의 상기 접속단자와 별도로 접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충방전테스트프로브는 충방전부 및 전압측정부가 이차전지의 접속단자와 별도로 접촉될 수 있어, 접촉저항으로 인한 전압측정부의 전압편차가 감소하게 되며, 이에 따라 이차전지의 내부저항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Description

이차전지 충방전테스트프로브{TEST PROBE FOR DETECTING CHARGE AND DISCHARGE OF THE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충방전 및 전압을 측정할 수 있는 프로브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자동차 배터리에 대한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전기자동차에 적용되는 이차전지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차전지에 대한 기술적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하고 소형 및 대용량화가 가능한 전지로, 대표적으로는 리튬(Li) 이차전지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를 테스트하기 위해 전압과 전류를 인가하는 검사장치로서 이차전지 충방전테스트프로브가 사용된다. 종래의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차전지(B)의 접속단자(T)와 접촉하는 외부플런저(2)와 내부플런저(3)를 가진다.
이와 같은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테스트프로브(1)는, 외부플런저(2)가 이차 전지에 전류를 인가시키고, 전압계(DMM:Digital Multi Meter)와 연결된 내부플런저(3)가 이차 전지에 전압을 인가시킴으로써, 이차전지의 성능 및 결함유무를 판정하고, 충방전을 통해 이차전지를 완제품으로 만든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충전을 위해 큰 전류가 인가되는 외부플런저(2) 내부에 전압을 측정하는 내부플런저(3)가 장착되어, 전압측정을 위해 내부플런저(3)가 이차전지의 접속단자(T)와 접촉할 때, 외부플런저(2)도 동시에 접속단자(T)와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접속단자(T)와 이차전지 충방전테스트프로브(1)간의 접촉저항이 증가하게 되며, 이차전지(B)의 전압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10-1055642 (등록일자: 2011년 08월 03일)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내부저항 측정 시 충방전 후 전압측정 시 발생되는 접촉저항에 의한 전압측정 편차를 감소시켜, 이차전지의 내부저항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프로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인 이차전지 충방전테스트프로브는, 이차전지의 접속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이차전지를 충방전시키는 충방전부; 상기 이차전지의 상기 접속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이차전지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측정부; 및, 상기 충방전부 및 상기 전압측정부를 연결하는 하나의 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충방전부 및 상기 전압측정부가 상기 이차전지의 상기 접속단자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접촉되어 상기 충방전부 및 상기 전압측정부의 접촉저항으로 인한 상기 전압측정부의 전압편차가 감소되도록, 상기 충방전부 및 상기 전압측정부는 상기 하나의 베이스플레이트에 각각 관통 설치되거나 각각 일부만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충방전부는, 상기 접속단자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충방전부접촉부재; 상기 충방전부접촉부재에 연결된 충방전부몸체; 상기 충방전부몸체 둘레면에 장착되어 상기 충방전부접촉부재를 상기 접속단자 측으로 가압하는 충방전부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압측정부는, 상기 접속단자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전압측정부접촉부재; 상기 전압측정부접촉부재와 연결되는 전압측정부몸체; 상기 전압측정부접촉부재 후측에 장착되어 상기 전압측정부접촉부재를 상기 접속단자 측으로 가압하는 전압측정부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방전부접촉부재의 단부에는 다수개의 팁을 갖는 충방전부다접점팁이 형성되어 상기 충방전부접촉부재와 상기 접속단자와의 접촉저항이 감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압측정부접촉부재의 단부에는 다수개의 팁을 갖는 전압측정부다접점팁이 형성되어 상기 전압측정부접촉부재와 상기 접속단자와의 접촉저항이 감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충방전테스트프로브는 충방전부 및 전압측정부가 이차전지의 접속단자와 별도로 접촉될 수 있어, 접촉저항으로 인한 전압측정부의 전압편차가 감소하게 되며, 이에 따라 이차전지의 내부저항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차전지 충방전테스트프로브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이차전지 충방전테스트프로브가 이차전지의 전압을 측정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이차전지 충방전테스트프로브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차전지의 충방전테스트프로브가 이차전지의 전압을 측정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인 이차전지 충방전테스트프로브(10)는 충방전부(100), 전압측정부(200) 그리고 베이스플레이트(300)를 포함한다.
그 중 충방전부(100)는 이차전지(B)를 충방전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이차전지(B)의 접속단자(T)에 전류를 인가한다.
구체적으로 충방전부(100)는 충방전부몸체(110), 충방전부접촉부재(120), 충방전부탄성부재(130)로 이루어진다. 충방전부몸체(11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후술되는 베이스플레이트(300)에 연결된다.
충방전부몸체(11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플레이트(300)를 전체적으로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거나, 또는 일부만 베이스플레이트(300)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충방전부몸체(110)의 단부에는 이차전지(B)의 접속단자(T)와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충방전부접촉부재(120)가 형성되어 있다. 충방전부접촉부재(120)가 접속단자(T)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다수개의 접점을 갖는 충방전부다접점팁(1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충방전부몸체(110)의 둘레에는 코일스프링과 같은 충방전부탄성부재(130)가 장착되어 충방전부접촉부재(120)가 전후로 움직일 수 있다.
전압측정부(200)는 전압계(DMM:Digital Multi Meter)와 연결되어 이차전지(B)의 내부 전압을 측정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전압측정부몸체(210), 전압측정부접촉부재(220), 전압측정부탄성부재(230)를 포함한다.
전압측정부몸체(21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후술되는 베이스플레이트(300)에 연결된다. 전압측정부몸체(210) 역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플레이트(300)를 전체적으로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거나, 또는 일부만 베이스플레이트(300)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압측정부몸체(210)는 내부가 중공된 형태로, 중공된 내부에는 전압측정부접촉부재(220)가 장착될 수 있다.
전압측정부접촉부재(220)는 이차전지(B)의 접속단자(T)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이차전지(B)의 전압을 측정하는 것으로, 일단에는 다수개의 접점을 갖는 전압측정부다접점팁(2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타단은 플랜지판 형태를 갖고 상기 전압측정부몸체(210)에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전압측정부접촉부재(220)의 타단에는 전압측정부탄성부재(230)가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전압측정부탄성부재(230)는 전압측정부몸체(210) 내부에서 전압측정부접촉부재(220)와 전압측정부몸체(210) 사이에서 압축, 팽창한다.
전압측정부탄성부재(230)의 압축 팽창에 따라, 전압측정부접촉부재(220)가 전후로 탄성을 갖고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압측정부접촉부재(220) 및 전압측정부탄성부재(230)의 결합구조는 전술된 충방전부접촉부재(120) 및 충방전부탄성부재(130)의 구조와 동일하게 제작될 수도 있다.
전술된 충방전부(100) 및 전압측정부(200)는 베이스플레이트(300)에 의해 연결된다.
베이스플레이트(300)는 충방전부(100)와 전압측정부(200)를 연결하는 기능을 가지며, 충방전부(100) 및 전압측정부(200)에 인가되는 전류 및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전압전류 인가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인 이차전지 충방전테스트프로브(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차전지(B)를 충방전 시키기 위해서 먼저 충방전부(100)의 충방전부접촉부재(120)를 이차전지(B)의 접속단자(T)에 접촉시킨다. 이 때, 충방전부탄성부재(130)가 적절히 수축되면서 충방전부접촉부재(120)를 접속단자(T) 측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충방전부접촉부재(120)는 접속단자(T)와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충방전부접촉부재(120)에 형성된 충방전부다접점팁(121)에 의해 접속단자(T)와의 전기적 접촉지점이 여러 곳으로 분산되어 접촉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충방전부(100)에 의한 충방전이 완료되면, 이를 테스트 하기 위해서 전압측정부(200)에 의한 전압측정이 이루어진다.
이 때에는, 전압측정부접촉부재(220) 만을 접속단자(T)와 접촉시킨다.
따라서 충방전부접촉부재(120)에 의한 접촉저항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이차전지(B)의 전압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전압측정부탄성부재(230)에 의해 전압측정부접촉부재(220)가 접속단자(T)를 향해 가압되므로, 전압측정부접촉부재(220)와 접속단자(T)간의 접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전압측정부접촉부재(220)에 형성된 전압측정부다접점팁(221)에 의해 접속단자(T)와의 전기적 접촉지점이 여러 곳으로 분산되어 접촉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충방전테스트프로브는 충방전부 및 전압측정부가 이차전지의 접속단자와 별도로 접촉될 수 있어, 접촉저항으로 인한 전압측정부의 전압편차가 감소하게 되며, 이에 따라 이차전지의 내부저항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10: 이차전지 충방전테스트프로브 100: 충방전부
110: 충방전부몸체 120: 충방전부접촉부재
130: 충방전부탄성부재 200: 전압측정부
210: 전압측정부몸체 220: 전압측정부접촉부재
230: 전압측정부 탄성부재 B: 이차전지
T: 접속단자

Claims (6)

  1. 이차전지의 접속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이차전지를 충방전시키는 충방전부;
    상기 이차전지의 상기 접속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이차전지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측정부; 및,
    상기 충방전부 및 상기 전압측정부를 연결하는 하나의 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충방전부 및 상기 전압측정부가 상기 이차전지의 상기 접속단자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접촉되어 상기 충방전부 및 상기 전압측정부의 접촉저항으로 인한 상기 전압측정부의 전압편차가 감소되도록, 상기 충방전부 및 상기 전압측정부는 상기 하나의 베이스플레이트에 각각 관통 설치되거나 각각 일부만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충방전테스트프로브.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충방전부는,
    상기 접속단자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충방전부접촉부재;
    상기 충방전부접촉부재에 연결된 충방전부몸체;
    상기 충방전부몸체 둘레면에 장착되어 상기 충방전부접촉부재를 상기 접속단자 측으로 가압하는 충방전부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충방전테스트프로브.
  4. 제1항에서,
    상기 전압측정부는,
    상기 접속단자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전압측정부접촉부재;
    상기 전압측정부접촉부재와 연결되는 전압측정부몸체;
    상기 전압측정부접촉부재 후측에 장착되어 상기 전압측정부접촉부재를 상기 접속단자 측으로 가압하는 전압측정부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충방전테스트프로브.
  5. 제3항에서,
    상기 충방전부접촉부재의 단부에는 다수개의 팁을 갖는 충방전부다접점팁이 형성되어 상기 충방전부접촉부재와 상기 접속단자와의 접촉저항이 감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충방전테스트프로브.
  6. 제4항에서,
    상기 전압측정부접촉부재의 단부에는 다수개의 팁을 갖는 전압측정부다접점팁이 형성되어 상기 전압측정부접촉부재와 상기 접속단자와의 접촉저항이 감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충방전테스트프로브.
KR1020130105571A 2013-09-03 2013-09-03 이차전지 충방전테스트프로브 KR101624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571A KR101624130B1 (ko) 2013-09-03 2013-09-03 이차전지 충방전테스트프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571A KR101624130B1 (ko) 2013-09-03 2013-09-03 이차전지 충방전테스트프로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558A KR20150026558A (ko) 2015-03-11
KR101624130B1 true KR101624130B1 (ko) 2016-05-25

Family

ID=53022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5571A KR101624130B1 (ko) 2013-09-03 2013-09-03 이차전지 충방전테스트프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1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4506A1 (ko) * 2015-01-14 2016-07-21 주식회사 메가터치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프로브
KR101688327B1 (ko) * 2015-09-11 2016-12-20 주식회사 메가터치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프로브
KR101681678B1 (ko) 2015-11-06 2016-12-02 (주)갑진 이차전지 테스트용 충방전 프로브
KR101644095B1 (ko) * 2016-01-05 2016-08-01 (주)갑진 충방전용 프로브
KR102200219B1 (ko) * 2020-04-09 2021-01-08 주식회사 메가터치 전지 테스트용 프로브 및 그 내부 플런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185Y1 (ko) * 2002-01-17 2002-04-22 리노공업주식회사 리튬이온 전지의 테스트용 프로브
KR101055642B1 (ko) * 2009-10-28 2011-08-09 주식회사 타이스일렉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185Y1 (ko) * 2002-01-17 2002-04-22 리노공업주식회사 리튬이온 전지의 테스트용 프로브
KR101055642B1 (ko) * 2009-10-28 2011-08-09 주식회사 타이스일렉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558A (ko)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93857C1 (ru) Способ осмотра устройства аккумулирования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на наличие короткого замыкания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а аккумулирования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KR101624130B1 (ko) 이차전지 충방전테스트프로브
KR101681968B1 (ko) 이차 전지 평가 장치
KR101772062B1 (ko) 이차전지의 충방전 또는 테스트용 프로브
KR101688327B1 (ko)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프로브
KR101359902B1 (ko) 전지셀 충방전용 지그
US9954255B2 (en) Measurement fixture for a battery cell
CN106468725A (zh) 探针结构
CN109856555A (zh) 蓄电设备的评价方法和制造方法、以及测试系统
KR20050057001A (ko) 이차전지 전구체의 검사방법 및 그 검사장치 그리고 그 방법을 사용한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KR20170116539A (ko) 리튬-황 전지용 수직저항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튬-황 전지용 양극 평가 방법
KR101949073B1 (ko) 배터리의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의 상태 변수의 모니터링
JP2021524653A (ja) 電池セルで測定を実行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CN201392855Y (zh) 一种电池盖板组件及锂离子二次电池
JP2977189B2 (ja) 導電接触ピン
KR20130088820A (ko) 이차전지 충방전용 지그에 포함되는 단자접속부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충방전용 지그
KR101498617B1 (ko) 이차전지의 테스트용 프로브
KR20140107917A (ko) 이차 전지용 연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80014763A (ko) 배터리 셀 내의 애노드 전위 및/또는 캐소드 전위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KR101681678B1 (ko) 이차전지 테스트용 충방전 프로브
CN104698253A (zh) 一种锂电池开路电压的测定方法
CN212391511U (zh) 电池极耳夹具
CN105988024B (zh) 夹具装置
US20110151710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zeroing a test instrument
KR101389023B1 (ko) 배터리 팩의 셀 전압 측정장치 및 이를 위한 접속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