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095B1 - 충방전용 프로브 - Google Patents

충방전용 프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095B1
KR101644095B1 KR1020160000809A KR20160000809A KR101644095B1 KR 101644095 B1 KR101644095 B1 KR 101644095B1 KR 1020160000809 A KR1020160000809 A KR 1020160000809A KR 20160000809 A KR20160000809 A KR 20160000809A KR 101644095 B1 KR101644095 B1 KR 101644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sensing
discharging
contact
voltage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종국
백운용
Original Assignee
(주)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갑진 filed Critical (주)갑진
Priority to KR1020160000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0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G01R31/362
    • G01R31/3696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충방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충방전용 프로브'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내부에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부가 구비된 관체와; 내부에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부와, 상부에 구비되며 전류를 인가하는 전류라인이 접속되는 충방전접속체체결부 및, 충방전체의 접촉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센싱라인이 접속되는 센싱접속체체결부를 갖추고서, 관체의 관통부에 삽입되며 이차전지의 전극에 접촉되는 충방전체와; 관체와 충방전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탄성체와; 충방전체의 관통부에 삽입되되 외면이 충방전체 관통부의 내면과 이격되게 삽입되며, 이차전지의 전극에 접촉하는 전압측정기구와; 충방전체의 충방전접속체체결부에 상하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너트와, 충방전체의 충방전접속체체결부에 상하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고정너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접속너트를 갖춘 충방전접속체 및; 충방전체의 센싱접속체체결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어 센싱라인을 충방전체에 체결하는 센싱접속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충방전용 프로브{PROBE FOR CHARGEING AND DISCHARGEING A BATTERY}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충방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충방전용 프로브'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자동차 전지에 대한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전기 자동차에 적용되는 이차전지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고, 이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어, 이차전지에 대한 기술적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하고 소형 및 대용량화가 가능한 전지로, 대표적으로는 리튬(Li) 이차전지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차량용 배터리는 내부에 전해질을 충진하고, 충진된 전해질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단자를 프레스로 가압해 압입고정하게 되며, 이와 같은 단위 베어 셀에 연결부품을 결합시킨 후 케이스를 조립해 완성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이차전지 충방전용 프로브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충방전용 프로브는, 관체(1)와, 관체(1)에 승강가능하게 삽입 관통되게 결합되는 충방전체(2)와, 관체(1)와 충방전체(2) 사이에 배치되어 충방전체(2)를 탄발지지하는 제1탄성체(3)와, 충방전체(2)에 승강가능하게 관통 삽입되는 전압측정기구(4) 및, 충방전체(2)에 내설되어 전압측정기구(4)를 탄발지지하는 제2탄성체(5)를 갖춘다.
이러한 종래의 충방전용 프로브는 충방전체(2) 및 전압측정기구(4)가 이차전지의 전극에 접촉하여, 충방전체(2)를 통해 이차전지의 충방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종래의 충방전 장치의 제어부(미도시)는 충방전체(2) 및 전압측정기구(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로부터 충방전체(2)까지의 전기 연결라인의 전체저항을 측정함으로써, 충방전체(2)에서 충방전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판별하였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차전지와 접촉한 충방전체(2)의 접촉 저항을 측정할 수 없어, 충방전체(2) 및 이차전지의 접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이차전지의 충방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없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07206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차전지의 충방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충방전용 프로브'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부가 구비된 관체와;
내부에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부와, 상부에 구비되며 전류를 인가하는 전류라인이 접속되는 충방전접속체체결부 및, 충방전체의 접촉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센싱라인이 접속되는 센싱접속체체결부를 갖추고서, 관체의 관통부에 삽입되며 이차전지의 전극에 접촉되는 충방전체와;
관체와 충방전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탄성체와;
충방전체의 관통부에 삽입되되 외면이 충방전체 관통부의 내면과 이격되게 삽입되며, 이차전지의 전극에 접촉하는 전압측정기구와;
충방전체의 충방전접속체체결부에 상하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너트와, 충방전체의 충방전접속체체결부에 상하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고정너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접속너트를 갖춘 충방전접속체 및;
충방전체의 센싱접속체체결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어 센싱라인을 충방전체에 체결하는 센싱접속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충방전체의 센싱접속체체결부는 충방전체의 하부 둘레부에 상하방 및 외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평평한 홈 형상의 센싱라인접속부 및, 센싱라인접속부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충방전체의 하부 둘레부에 구비되고 외측방으로 개구되며 센싱라인접속부와 연통되는 나사홈 형상의 센싱라인고정부를 갖추며,
센싱접속체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충방전체의 센싱라인고정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체결부와, 체결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체결부보다 폭이 넓으며 센싱라인을 센싱라인접속부에 밀착고정하는 헤드부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충방전체는 충방전접속체체결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외측방 및 상방으로 개구된 센싱접속체안착부 및, 센싱접속체안착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센싱접속체체결부를 갖추며,
센싱접속체는 충방전체의 센싱접속체체결부에 상하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고, 충방전체의 센싱접속체안착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관체는 관통부의 내면 상부에 구비되며 내측방 및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걸림부를 갖추고,
충방전체는 외측방 및 상방으로 개구되며 충방전접속체의 고정너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고정와셔안착부를 갖추고,
외측이 관체의 걸림부에 안착되고 내측이 충방전체의 고정와셔안착부에 안착되도록 충방전체에 삽입되는 고정와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압측정기구는,
내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관통부를 구비한 연결체와;
연결체의 관통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삽입체와, 삽입체에 상하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면이 이차전지의 전극과 접촉하는 접촉체와, 접촉체를 탄발지지하는 전압측정체탄성체를 갖춘 전압측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충방전 및 충방전 상태 확인을 위한 전기라인을 안정적으로 프로브에 연결하여, 충방전을 하면서 이차전지의 충방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압측정기구의 전압측정체가 손상될 시 교체가 용이하며, 하나의 전압측정기구가 손상될 시 또 다른 전압측정기구를 통해 충방전 상태 확인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충방전용 프로브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방전용 프로브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압측정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충방전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서 전압측정기구의 작용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방전용 프로브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충방전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방전용 프로브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압측정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방전용 프로브의 구조적 특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에 따른 충방전용 프로브는 관체(10)와, 충방전체(20)와, 지지탄성체(30)와, 전압측정기구(40)와, 고정와셔(50)와, 충방전접속체(60) 및, 센싱접속체(70)로 구성된 것으로, 충방전 장치의 프로브고정패널(P)에 고정되어 이차전지(B) 충방전 작업시 전지(B)의 전극(B1)에 접촉되어서 전류를 인가하는 기능을 한다.
관체(10)는 내부에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부(11)와, 하부에 외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플랜지부(12) 및, 상기 관통부(11)의 내면 상부에 구비되며 내측방 및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걸림부(13)를 갖춘다.
충방전체(20)는 관체(10)의 관통부(11)에 삽입 관통되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면이 이차전지(B)의 전극(B1)과 접촉된다.
이러한 충방전체(20)는 내부에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관통부(21)와, 하부에 구비되며 관체(10)의 플랜지(12) 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충방전부(22)와, 상부 둘레부에 구비되고 관체(10)의 플랜지(12)의 상방에 위치하며 외측방 및 상방으로 개구된 고정와셔안착부(23)와, 둘레부에 구비되고 고정와셔안착부(23)의 상부에 구비되는 충방전접속체체결부(24) 및, 충방전부(22)의 하부 측면에 구비된 센싱접속체체결부(26)를 갖춘다. 여기서 충방전부(22)는 하면에 다수의 접촉돌기가 형성되어 이차전지(B)의 전극(B1)에 접촉되는 접촉부(22a)를 갖춘다. 또한 센싱접속체체결부(26)는 충방전부(22)의 둘레부에 상하방 및 외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평평한 홈 형상의 센싱라인접속부(26a) 및, 센싱라인접속부(26a) 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충방전부(22)의 둘레부에 구비되고 외측방으로 개구되며 센싱라인접속부(26a)와 연통되는 나사홈 형상의 센싱라인고정부(26b)를 갖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충방전체(20)의 관통부(21)는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지지탄성체(30)는 충방전체(20)의 둘레면에 배치되어 양단이 각각 관체(10)의 플랜지(12)와 충방전체(20)의 충방전부(22)의 상부에 맞대어지며, 관체(10) 및 충방전체(20)의 충방전부(22)를 탄발지지한다. 제1실시예에서 지지탄성체(30)는 스프링이 적용되지만, 탄성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라면 공지의 그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실시 가능하다.
전압측정기구(40)는 연결체(41) 및, 연결체(4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전압측정체(42)를 갖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전압측정기구(40)는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이 구비되지만,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연결체(41)는 내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관통부(41a)가 구비되고, 충방전체(20)의 관통부(21)에 삽입되되 외면이 충방전체(20)의 관통부(21)의 내면과 이격되게 삽입되며, 상단이 외부로 돌출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연결체(41)는 상단 및 하단에 관 형상의 절연체(41b)가 구비되고, 각각의 절연체(41b)는 각각 상단 및 하단이 충방전체(20)의 관통부(21)에 삽입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연결체(41)의 상단에는 앤트캡(41c)이 삽입 고정되어 연결체(41)의 상단에 구비된 절연체(41b)의 상부에 위치한다.
전압측정체(42)는 연결체(4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삽입체(42a)와, 삽입체(42a)에 상하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촉체(42b)와, 접촉체(42b)를 탄발지지하는 전압측정체탄성체(42c)를 갖춘다.
삽입체(42a)는 내부에 하방으로 개구된 삽입부(42a1)가 형성되고, 연결체(41)의 관통부(41a)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된다.
접촉체(42b)는 삽입체(42a)의 삽입부(42a1)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42b1)와, 하면에 다수의 접촉돌기가 형성되며 이동부(42b1)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방으로 이동시 상면이 삽입체(42a)의 하면과 접촉하는 접촉부(42b2)를 갖춘다.
전압측정체탄성체(42c)는 삽입체(42a)의 삽입부(42a1)에 설치되어 접촉체(42b)를 하방으로 탄발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압측정체탄성체(42c)는 스프링이 적용되지만, 탄성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라면 공지의 그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실시 가능하다.
고정와셔(50)는 충방전체(20)의 상단에 삽입되어, 내측은 충방전체(20)의 고정와셔안착부(23)에 안착되고 외측은 관체(10)의 걸림부(13)에 안착된다.
충방전접속체(60)는 충방전체(20)의 충방전접속체체결부(24)에 상하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고정너트(61)와, 충방전체(20)의 충방전접속체체결부(24)에 삽입되어 상하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고 고정너트(61)의 상부에 위치하는 접속너트(63)를 갖추고서, 충방전 장치의 제어부(미도시)로부터의 전류를 인가하는 전류라인(L1)의 단자가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센싱접속체(70)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충방전체(20)의 센싱접속체체결부(26)의 센싱라인고정부(26b)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체결부(71)와, 체결부(71)의 상부에 구비되고 체결부(71)보다 폭이 넓은 헤드부(72)를 갖추고서, 충방전 장치의 제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충방전체(20)의 충방전부(22)의 접촉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센싱라인(L2)의 단자를 충방전체(20)의 충방전부(22)에 착탈가능하게 연결한다. 여기서 센싱라인(L2)의 단자(T)는 고리 형상을 이루어 센싱접속체(70)에 의한 고정이 용이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충방전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서 전압측정기구의 작용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충방전 장치의 프로브고정패널(P)에 제1실시예의 충방전용 프로브를 고정시켜 주고, 제1실시예의 충방전용 프로브와 이차전지(B)의 전극(B1)이 동축상에 배치되게 해준다. 이때 제1실시예의 충방전 프로브는, 프로브고정패널(P)이 고정와셔(50)와 충방전접속체(60)의 고정너트(61)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프로브고정패널(P)에 고정된다.
또한, 제1실시예의 충방전용 프로브는 충방전접속체(60)의 고정너트(61)와 충방전접속체(60)의 접속와셔(62) 사이에 제어부(미도시)로부터의 전류라인(L1)의 단자가 접속되고, 충방전접속체(60)의 접속너트(63)가 고정너트(61)를 가압합으로써, 전류라인(L1)의 단자가 충방전접속체(60)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1실시예의 충방전용 프로브는 센싱접속체(70)를 통해 제어부로부터의 센싱라인(L2)의 단자(T)가 충방전체(20)의 센싱접속체체결부(26)에 접속된다. 이때 센싱라인(L2)의 단자(T)는 센싱접속체(70)의 헤드부(72)에 의해 가압되어 충방전체(20)의 센싱라인접속부(26a)에 밀착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충방전용 프로브는 제어부로부터의 전압측정라인(L3)이 전압측정기구(40)의 연결체(41)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프로브고정패널(P)을 하강시켜주면, 도 6과 같이 전압측정체(42)의 접촉체(42b)가 이차전지(B)의 전극(B1)에 접촉한다.
이때, 전압측정체(42)의 접촉체(42b)는 이차전지(B)의 전극(B1)에 맞닿으면서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방으로 이동하고, 접촉체(42b)의 접촉부(42b2)의 상단이 전압측정기구(40)의 연결체(41)의 하단에 맞닿으면서 통전이 이루어진다.
한편,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한 쌍의 충방전 프로브가 이차전지(B)의 +전극 또는 -전극에 접촉한다.
그러면, 제어부는 충방전체(20)를 통해 이차전지(B)의 충방전을 진행하면서, 충방전체(20)의 충방전부(22)의 접촉저항을 측정한다. 이때 제어부는 센싱라인(L2)과 전압측정라인(L3)을 이용한 회로적 연결을 통해 충방전체(20)의 충방전부(22)의 접촉저항을 측정한다. 즉 제어부는 충방전체(20)의 충방전부(22)와 전압측정기구(42) 사이의 전위차를 이용하여 충방전체(20)의 접촉저항을 측정함으로써, 충방전체(20)의 접촉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어부는 실질적으로 충방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충방전체(20)의 접촉저항을 측정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충방전체(20)의 접촉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더욱이, 제어부는 충방전체(20)의 충방전부(22)의 접촉저항을 측정할 수 있어, 제어부에서 충방전체(20) 이전까지의 접촉저항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충방전체(20)의 충방전부(22)에서 문제가 발생했는 지 충방전체(20)까지 연결되는 전기 연결라인에서 문제가 발생했는 지를 보다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방전용 프로브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방전용 프로브의 구조적 특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실시예에 따른 충방전용 프로브는 제1실시예에 따른 충방전용 프로브에서 센싱라인(L2)을 연결하기 위한 일부 구성이 추가 또는 변형되며,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제2실시예에 따른 충방전체(20)는 둘레부에 구비되고 충방전접속체체결부(24)의 상부에 구비되며 외측방 및 상방으로 개구된 센싱접속체안착부(25)를 더 갖춘다.
그리고, 충방전체(20)의 센싱접속체결부(26)는 둘레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센싱접속체안착부(25)의 상부에 구비된다.
또한, 제2실시예에 따른 센싱접속체(70)는 충방전체(20)의 센싱접속체안착부(25)에 안착되는 접속와셔(73)와, 충방전체(20)의 센싱접속체체결부(26)에 상하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고 상기 접속와셔(73)의 상부에 위치하는 접속너트(74)를 갖추고서, 충방전 장치의 제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센싱라인(L2)의 단자가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와셔(73)로 웨이브 와셔가 적용된다.
한편, 제2실시예에서 충방전접속체(60)는 충방전체(20)의 충방전접속체체결부(24)에 삽입되고 고정너트(61)의 상부에 위치하는 접속와셔(62)를 더 구비하며, 접속와셔(62)의 상부에 위치하는 접속너트(63)가 위치한다. 여기서 접속와셔(62)로는 웨이브 와셔가 적용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충방전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충방전 장치의 프로브고정패널(P)에 제2실시예의 충방전용 프로브를 고정시켜 주고, 제2실시예의 충방전용 프로브와 이차전지(B)의 전극(B1)이 동축상에 배치되게 해준다. 이때 제2실시예의 충방전 프로브는, 프로브고정패널(P)이 고정와셔(50)와 충방전접속체(60)의 고정너트(61)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프로브고정패널(P)에 고정된다.
또한, 제2실시예의 충방전용 프로브는 충방전접속체(60)의 고정너트(61)과 충방전접속체(60)의 접속와셔(62) 사이에 제어부(미도시)로부터의 전류라인(L1)의 단자가 접속되고, 충방전접속체(60)의 접속너트(63)가 접속와셔(62)를 가압합으로써, 전류라인(L1)의 단자가 충방전접속체(60)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2실시예의 충방전용 프로브는 충방전체(20)의 센싱접속체안착부(25)와 센싱접속체(70)의 접속와셔(73) 사이에 제어부로부터의 센싱라인(L2)의 단자가 접속되고, 센싱접속체(70)의 접속너트(74)가 접속와셔(73)를 가압함으로써, 센싱라인(L2)의 단자가 충방전체접속체(60)에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충방전용 프로브는 제어부로부터의 전압측정라인(L3)이 전압측정기구(40)의 연결체(41)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프로브고정패널(P)을 하강시켜주면, 도 11과 같이 전압측정체(42)의 접촉체(42b)가 이차전지(B)의 전극(B1)에 접촉한다.
이때, 전압측정체(42)의 접촉체(42b)는 이차전지(B)의 전극(B1)에 맞닿으면서 상방으로 이동하고, 접촉체(42b)의 접촉부(42b2)의 상단이 전압측정기구(40)의 연결체(41)의 하단에 맞닿으면서 통전이 이루어진다.
한편,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한 쌍의 충방전 프로브가 이차전지(B)의 +전극 또는 -전극에 접촉한다.
그러면, 제어부는 충방전체(20)를 통해 이차전지(B)의 충방전을 진행하면서, 충방전체(20)의 접촉저항을 측정한다. 이때 제어부는 센싱라인(L2)과 전압측정라인(L3)을 이용한 회로적 연결을 통해 충방전체(20)의 접촉저항을 측정한다. 즉 제어부는 충방전체(20)와 전압측정기구(42) 사이의 전위차를 이용하여 충방전체(20)의 접촉저항을 측정함으로써, 충방전체(20)의 접촉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어부는 실질적으로 충방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충방전체(20)의 접촉저항을 측정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충방전체(20)의 접촉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더욱이, 제어부는 충방전체(20)의 접촉저항을 측정할 수 있어, 제어부에서 충방전체(20) 이전까지의 접촉저항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충방전체(20)에서 문제가 발생했는 지 충방전체(20)까지 연결되는 전기 연결라인에서 문제가 발생했는 지를 보다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충방전체(20)의 접촉저항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전기 연결라인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체결부(71) 및 헤드부(72)로 구성된 센싱접속체(70)를 통해 센싱라인(L2)을 충방전체(20)의 충방전부(22)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싱접속체(70)의 접속와셔(73) 및 접속너트(74)를 통해 센싱라인(L2)을 충방전체(20)에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방전접속체(60)의 고정너트(61)를 통해 충방전 프로브를 충방전 장치의 프로브고정패널(P)에 고정하고, 충방전접속체(60)의 고정너트(61) 및 접속와셔(62) 및 접속너트(63)를 통해 전류라인(L1)을 고정함으로써, 충방전 프로브를 프로브고정패널(P)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 전류라인(L1)을 충방전접속체(60)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압측정기구(40)의 전압측정체(42)를 전압측정기구(40)의 연결체(41)로부터 착탈가능하게 할 수 있어, 전압측정체(42)가 손상될 시 교체가 용이하며, 전압측정기구(40)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하나의 전압측정기구(40)가 손상될 시 또 다른 전압측정기구(40)를 통해 충방전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이점을 갖추고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높은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의 구체적인 예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관체 11; 관통부
12; 플랜지부 13; 걸림부
20; 충방전체 21; 관통부
22; 충방전부 23; 충방전접속체안착부
24; 충방전접속체체결부 25; 센싱접속체안착부
26; 센싱접속체체결부 30; 지지탄성체
40; 전압측정기구 41; 연결체
42; 전압측정체 50; 고정와셔
60; 충방전접속체 61; 고정너트
62; 접속와셔 63; 접속너트
70; 센싱접속체 71; 체결부
72; 헤드부 73; 접속와셔
74; 접속너트

Claims (5)

  1. 내부에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부가 구비된 관체와;
    내부에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부와, 상부에 구비되며 전류를 인가하는 전류라인이 접속되는 충방전접속체체결부 및, 충방전체의 접촉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센싱라인이 접속되는 센싱접속체체결부를 갖추고서, 관체의 관통부에 삽입되며 이차전지의 전극에 접촉되는 충방전체와;
    관체와 충방전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탄성체와;
    충방전체의 관통부에 삽입되되 외면이 충방전체 관통부의 내면과 이격되게 삽입되며, 이차전지의 전극에 접촉하는 전압측정기구와;
    충방전체의 충방전접속체체결부에 상하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너트와, 충방전체의 충방전접속체체결부에 상하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고정너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접속너트를 갖춘 충방전접속체 및;
    충방전체의 센싱접속체체결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어 센싱라인을 충방전체에 체결하는 센싱접속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용 프로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체의 센싱접속체체결부는 충방전체의 하부 둘레부에 상하방 및 외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평평한 홈 형상의 센싱라인접속부 및, 센싱라인접속부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충방전체의 하부 둘레부에 구비되고 외측방으로 개구되며 센싱라인접속부와 연통되는 나사홈 형상의 센싱라인고정부를 갖추며,
    센싱접속체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충방전체의 센싱라인고정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체결부와, 체결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체결부보다 폭이 넓으며 센싱라인을 센싱라인접속부에 밀착고정하는 헤드부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용 프로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체는 충방전접속체체결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외측방 및 상방으로 개구된 센싱접속체안착부 및, 센싱접속체안착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센싱접속체체결부를 갖추며,
    센싱접속체는 충방전체의 센싱접속체체결부에 상하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고, 충방전체의 센싱접속체안착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용 프로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는 관통부의 내면 상부에 구비되며 내측방 및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걸림부를 갖추고,
    충방전체는 외측방 및 상방으로 개구되며 충방전접속체의 고정너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고정와셔안착부를 갖추고,
    외측이 관체의 걸림부에 안착되고 내측이 충방전체의 고정와셔안착부에 안착되도록 충방전체에 삽입되는 고정와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용 프로브.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측정기구는,
    내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관통부를 구비한 연결체와;
    연결체의 관통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삽입체와, 삽입체에 상하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면이 이차전지의 전극과 접촉하는 접촉체와, 접촉체를 탄발지지하는 전압측정체탄성체를 갖춘 전압측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용 프로브.
KR1020160000809A 2016-01-05 2016-01-05 충방전용 프로브 KR101644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809A KR101644095B1 (ko) 2016-01-05 2016-01-05 충방전용 프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809A KR101644095B1 (ko) 2016-01-05 2016-01-05 충방전용 프로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4095B1 true KR101644095B1 (ko) 2016-08-01

Family

ID=56706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809A KR101644095B1 (ko) 2016-01-05 2016-01-05 충방전용 프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0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0096A1 (de) * 2017-06-02 2018-12-06 Feinmetall Gmbh Kontaktmodul zur elektrischen berührungskontaktierung eines bauteils und kontaktsystem
KR102585721B1 (ko) * 2022-05-04 2023-10-10 (주)케이엔씨 충전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8692A (ja) * 1998-07-14 2000-01-28 Japan System Engineering Kk プローブおよびこれを用いた二次電池の検査装置
JP2000147022A (ja) * 1998-11-11 2000-05-26 Hioki Ee Corp 測定装置
KR20040072069A (ko) 2003-02-08 2004-08-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테스트용 프로브
JP2011169870A (ja) * 2010-02-22 2011-09-01 Mitsubishi Heavy Ind Ltd 二次電池モジュールの診断装置
KR20150026558A (ko) * 2013-09-03 2015-03-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충방전테스트프로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8692A (ja) * 1998-07-14 2000-01-28 Japan System Engineering Kk プローブおよびこれを用いた二次電池の検査装置
JP2000147022A (ja) * 1998-11-11 2000-05-26 Hioki Ee Corp 測定装置
KR20040072069A (ko) 2003-02-08 2004-08-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테스트용 프로브
JP2011169870A (ja) * 2010-02-22 2011-09-01 Mitsubishi Heavy Ind Ltd 二次電池モジュールの診断装置
KR20150026558A (ko) * 2013-09-03 2015-03-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충방전테스트프로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0096A1 (de) * 2017-06-02 2018-12-06 Feinmetall Gmbh Kontaktmodul zur elektrischen berührungskontaktierung eines bauteils und kontaktsystem
CN110720044A (zh) * 2017-06-02 2020-01-21 精炼金属股份有限公司 用于对构件进行电性触碰接触的接触模块和接触系统
KR102585721B1 (ko) * 2022-05-04 2023-10-10 (주)케이엔씨 충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9394B2 (ja) 充電装置及び導通状態判定方法
KR101934710B1 (ko) 배터리 충방전 검사용 프로브
CN113131026B (zh) 一种硬壳电池的电池健康状态的评估装置及评估方法
KR101681968B1 (ko) 이차 전지 평가 장치
KR101644095B1 (ko) 충방전용 프로브
KR101951311B1 (ko) 멀티 컨택 포인트를 갖는 배터리 충방전 검사용 프로브
JP6742937B2 (ja) 二次電池の状態判定方法及び二次電池の状態判定装置
KR101664543B1 (ko) 충방전 시험 장치, 충방전 시험 시스템, 충방전 시험 장치용의 급전 어댑터 및 충방전 시험 방법
KR102387606B1 (ko) 원통형 셀의 충방전용 통전 지그
CN105044405A (zh) 一种自动找正探针组件
JPH08185896A (ja) 蓄電池の異常検出装置
JP2017021955A (ja) 故障検知システム
JPH0915311A (ja) 組電池の故障検出装置
US11567144B2 (en) Ground fault detection device
CN107791870B (zh) 高压检测电路、电流采样单元、检测器、电池装置、运载工具与供电装置
KR101624130B1 (ko) 이차전지 충방전테스트프로브
US11376983B2 (en) Traction battery charging station
CN112763919A (zh) 一种动力电池內短路异常的检测方法及系统
KR101764299B1 (ko) 이차전지 관통 실험용 네일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관통 실험 장치
CN217360240U (zh) 一种pack电池组快速老化检测设备
US8889278B2 (en) Contact pad for sensing voltage of cell module assembly and cell module assembly
KR101681678B1 (ko) 이차전지 테스트용 충방전 프로브
JPH09204939A (ja) 導電接触ピン
KR100452847B1 (ko)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프로브
KR20180072221A (ko)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