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8344B1 - 신축식 이차전지 에이징용 프로브 - Google Patents
신축식 이차전지 에이징용 프로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78344B1 KR102378344B1 KR1020210149251A KR20210149251A KR102378344B1 KR 102378344 B1 KR102378344 B1 KR 102378344B1 KR 1020210149251 A KR1020210149251 A KR 1020210149251A KR 20210149251 A KR20210149251 A KR 20210149251A KR 102378344 B1 KR102378344 B1 KR 1023783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ll
- fixing part
- probe
- aging
- shell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G01R1/06722—Spring-loaded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Battery terminal connectors with integrated measuring arrangemen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G01R31/386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related to manufacture, e.g. testing after manufactur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9—Processes for forming or storing electrodes in the battery contain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6—Initial charging measur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metry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식 이차전지 에이징용 프로브에 관한 것으로,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류를 대상 전지로 출력하는 셸(3); 및 상기 셸(3)에 절연 상태로 나란히 결합되어,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압을 상기 대상 전지로 출력하는 코어(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셸(3)은, 외부몸체를 이루면서 에이징장비에 고정되는 셸고정부(11); 및 상기 셸고정부(11)의 하단에 신축 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대상 전지의 전극(T)에 압접될 때 탄발스프링(9)을 압축하면서 상기 셸고정부(11) 쪽으로 수축되는 셸신축부(1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이차전지에 전류를 인가시키기 위해 외곽에 배치되는 셸을 셸고정부와 셸수축부로 이분하여 셸수축부를 셸고정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에이징 작업의 반복으로 인해 전극과 접촉하는 하단의 셸수축부가 마모 등으로 인해 손상된 때 프로브 전체를 폐기하지 않고, 손상된 셸수축부만을 셸고정부로부터 분리, 폐기하고, 새것으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에이징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프로브 폐기에 따른 자원 낭비를 크게 저하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축식 이차전지 에이징용 프로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차전지 에이징을 위해 이차전지 전극에 접촉하여 전류를 인가하는 프로브 셸을 신축 가능한 형태로 제작하여 대상 전극에 대한 프로브의 접촉 안정성을 높이는 동시에, 신축 이동하는 셸신축부를 셸고정부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마모 등으로 인해 교체가 필요할 때 쉽게 교체할 수 있는 신축식 이차전지 에이징용 프로브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이차전지의 생산에 필요한 다양한 장비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장비 중에 하나가 전지 내부의 전해액을 충분히 분산시켜서 이온의 이동이 최적화될 수 있도록 하는 에이징 장비이다. 따라서, 에이징 장비는 이차전지를 임의로 충방전함으로써 활성화시키는 바, 이를 위해 에이징장비는 이차전지의 전극에 접촉하여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와 전압을 이차전지에 인가할 전극 즉, 프로브를 반드시 필요로 한다.
이러한 프로브의 일예로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용 프로브(등록특허 제10-16888327호)를 들 수 있다. 이 프로브(101)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외부 플런저(110), 내부 플런저(120), 및 헤드부(130) 등으로 이루어지는 바, 이차전지의 에이징을 위해 전극(T)에 접촉할 때 먼저 내부 플런저(120)의 하단팁이 전극(T)에 접촉하고, 이후 정지된 내부 플런저(120)에 대해 외부 플런저(110)가 하방으로 상대 이동하여 헤드부(130)가 탐침돌기(134)를 통해 전극(T)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헤드부(130)는 저면에 대해 탄력적으로 상대 이동이 가능한 나선형 탄성체(220)에 의해 평탄하지 않은 전극(T)에 대해서도 충분한 접촉 면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프로브(101)는 인가되는 전류나 전압값이 매우 크기 때문에 전극(T)과의 접촉면에서 전기 접촉 저항이 크게 발생하며, 따라서, 전극(T)과 접촉하는 내부 플런저의 팁 부분 또는 탐침돌기(134) 등이 쉽게 마모되는 바, 마모가 심한 경우 전극(T)과의 접촉이 불량하게 되어, 에이징 효율을 크게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에이징 효율 감소를 막기 위해 프로브(101) 교체가 빈발하는 바, 에이징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을 증대시켜 작업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프로브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전극을 통해 이차전지에 전류 및 전압을 인가하여 이차전지를 에이징하는 프로브를 제공함에 있어, 전류 인가를 위해 전극에 접촉하는 프로브의 셸을 셸고정부와 셸수축부로 상하 양분하고, 셸고정부와 셸수축부를 상호 탄력적으로 신축 가능하게 조립함으로써, 전극과의 접촉으로 인해 셸 하단의 셸수축부가 마모된 때 셸수축부를 셸고정부로부터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프로브 전체를 폐기하는 것에 비해 비용을 줄이고, 자원 낭비를 막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위와 같이 마모 등으로 인해 셸수축부를 교체함에 있어, 셸고정부와 셸수축부의 착탈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프로브 운용 상의 작업효율성이나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프로브의 셸을 셸고정부와 셸수축부로 상하 양분하여, 에이징 시 셸수축부를 통해 전극에 대한 셸의 접촉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전극에 대한 셸의 접촉 안정성을 확보하고, 더 나아가 프로브의 에이징 성능 및 품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류를 대상 전지로 출력하는 셸; 및 상기 셸에 절연 상태로 나란히 결합되어,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압을 상기 대상 전지로 출력하는 코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셸(3)은, 외부몸체를 이루면서 에이징장비에 고정되는 셸고정부; 및 상기 셸고정부의 하단에 신축 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대상 전지의 전극에 압접될 때 탄발스프링을 압축하면서 상기 셸고정부 쪽으로 수축되는 셸신축부;로 이루어지는 신축식 이차전지 에이징용 프로브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셸신축부는 상기 셸고정부로부터 분리시켜 교체 가능하도록 상기 셸고정부와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셸고정부는 하부 외주에 상기 탄발스프링의 상측을 끼우도록 되어 있고, 상기 탄발스프링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외주면 일측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멈춤턱을 포함하며, 상기 셸신축부는 상기 탄발스프링의 하단으로 끼워져 상기 셸고정부에 조립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탄발스프링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외주면 일측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멈춤돌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셸고정부는 하부 내주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형성된 암형 스냅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셸신축부는 상부 외주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형성된 수형 스냅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셸고정부와 상기 셸신축부 조립 시 상기 수형 스냅돌기가 상기 암형 스냅돌기에 스냅식으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셸고정부와 상기 셸신축부가 조립된 때 상기 셸고정부의 내주면과 상기 셸신축부 외주면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셸신축부 외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셸고정부에 대한 상기 셸신축부의 상대 이동 시 발생하는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는 활주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어는 상기 셸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어의 입력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코어가 상기 셸의 통공으로부터 출력단 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E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신축식 이차전지 에이징용 프로브에 따르면, 에이징 장비에 의해 복수의 이차전지를 한꺼번에 에이징시키는 에이징장비에 있어서, 복수의 프로브는 이차전지에 전류를 인가시키기 위해 외곽에 배치되는 셸을 셸고정부와 셸수축부로 이분하여 셸수축부를 셸고정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에이징 작업의 반복으로 인해 전극과 접촉하는 하단의 셸수축부가 마모 등으로 인해 손상된 때 프로브 전체를 폐기하지 않고, 손상된 셸수축부만을 셸고정부로부터 분리, 폐기하고, 새것으로 교체할 수 있으며, 따라서, 에이징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프로브 폐기에 따른 자원 낭비를 크게 저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셸수축부를 셸고정부와 착탈 가능하게 조립함에 있어, 셸고정부 하단에 셸수축부 상단이 스냅식으로 결합되므로, 셸고정부와 셸수축부의 분리와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셸수축부의 교체에 따른 작업편리성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로브 셸과 마찬가지로 이차전지에 전압을 인가시키기 위해 셸 내부에 배치되어 전극에 접촉하는 코어를 또한 셸로부터 쉽게 착탈할 수 있으므로, 코어의 출력팁이 에이징 작업을 거듭하면서 마모된 때에도 프로브 전체를 폐기하지 않고, 마모된 코어를 셸에서 분리시켜, 폐기하고, 새것으로 교체할 수 있으며, 따라서, 에이징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과 자원낭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에이징 작업 시 셸수축부가 탄발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셸고정부 안으로 탄력적으로 수축되어 들어가고, 따라서 셸수축부가 탄발스프링 반력에 의해 대상 전극에 압접되므로, 전극에 대한 셸의 접촉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따라서 프로브의 에이징 성능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프로브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식 이차전지 에이징용 프로브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프로브를 에이징 동작 상태로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식 이차전지 에이징용 프로브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프로브를 에이징 동작 상태로 도시한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식 이차전지 에이징용 프로브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에이징용 프로브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기둥 모양을 갖는 전류 및 전압 출력용 프로브로서, 크게 외측의 셸(3)과 내측의 코어(5)로 이루어지며, 에이징 장비에 장착하기 위한 나사관(7)과 탄발스프링(9)이 셸(3) 외곽에 장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셸(3)은 에이징할 대상인 이차전지에 전류를 출력하는 부분으로, 전원으로부터 인가된 전류를 대상 전지에 공급한다. 이를 위해 셸(3)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외부 전원의 전류가 인가되는 입력측의 셸고정부(11)와, 셸고정부(11)로 인가된 전류를 대상 전지에 공급하는 출력측의 셸신축부(13)로 이루어지는 바, 셸고정부(11)에 대해 셸신축부(13)가 탄발스프링(9)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면서 진퇴함으로써 셸(3) 전체 길이를 신축시킨다.
이때, 상기 셸고정부(11)는 셸(3)의 외부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또는 각형의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갖는 원통기둥의 형태로 된다. 또한, 도면 상 셸(3) 상부에 위치하므로, 나사관(7)을 통해 에이징장비에 고정되며, 상단의 전류 입력측 단부 즉, 입력단을 통해 외부 전원이 인가된다. 또한, 셸고정부(11)는 프로브(1)를 에이징 장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너트(18)가 도면 상 위쪽 즉, 입력측 끝부분에 체결되는 바, 이 고정너트(18)를 나사 체결하기 위한 암나사부(19)가 상부 외주면에 가공된다. 또, 코어(5)를 결합하기 위한 통공(17)이 축선을 따라 중심 부분에 형성되며, 통공(17)의 상단은 입력단 절연부싱(31)에 의해 마감된다. 이때, 입력단 절연부싱(31)은 체결홈(33)을 통해 셸고정부(11) 내주면 상단의 체결돌기(34)와 끼워맞춤되어 위치 고정된다.
또한, 셸고정부(11)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것처럼 셸신축부(13)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발스프링(9)이 하부 외주에 그 상측으로부터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셸고정부(11)는 하부 외주를 통해 탄발스프링(9)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바, 탄발스프링(9)의 하단까지 삽입되지 못하도록 외주면 하부 일측에 멈춤턱(21)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멈춤턱(21)은 탄발스프링(9)의 상단을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셸고정부(11) 밑에 진퇴 가능하게 끼워지는 셸신축부(13)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셸신축부(13)는 프로브(1)가 대상 이차전지의 전극(T)에 접촉할 때 탄력적으로 수축되면서 전극(T)에 압접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상 셸(3) 하부에 위치하며, 상반부가 셸고정부(11) 밑에서 안쪽으로 삽입되도록 셸고정부(11)에 알맞는 외경을 가지며, 원형 또는 각형의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갖는 원통기둥의 형태로 된다. 또한, 셸신축부(13)는 코어(5)를 결합하기 위한 통공(22)이 축선을 따라 중심 부분에 형성되며, 통공(22)의 하단은 외부로 개방된다.
또한, 셸신축부(13)는 탄발스프링(9)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면서 셸고정부(11)의 하단에 신축 가능하게 조립된다. 따라서, 셸신축부(13)는 전극(T)에 대해 가압될 때 탄발스프링(9)을 압축하면서 셸고정부(11) 쪽으로 수축됨으로써, 전극(T)과 압접된다.
특히, 셸신축부(13)는 위와 같이 셸고정부(11) 내에서 상하로 상대 이동이 가능할 뿐 아니라, 셸고정부(11)와 착탈이 용이하도록 조립할 수 있으므로, 전극(T)과 압접되는 하단의 깔주기면이 마모되는 등 교체 요구가 있을 때, 셸고정부(11)로부터 쉽게 분리시켜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셸신축부(13)는 셸고정부(11)에 조립될 때 탄발스프링(9)의 하단으로 끼워지도록 되어 있고, 탄발스프링(9)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외주면 하단에 플랜지 모양의 멈춤돌기(23)가 반경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된다.
한편, 셸고정부(11)와 상기 셸신축부(13)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분해 조립이 용이하도록 결합되는 바, 다양한 형태로 결합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것처럼, 스냅 방식에 의해 결합된다. 이를 위해, 셸고정부(11)는 내주면의 하단에 암형 스냅돌기(25)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다. 또, 셸신축부(13)는 외주면 상단에 수형 스냅돌기(27)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셸고정부(11)와 셸신축부(13)는 조립될 때, 수형 스냅돌기(27)가 암형 스냅돌기(25)에 스냅식으로 체결되므로 상호 간의 착탈이 용이하다. 다만, 탄발스프링(9)은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즉, 전극(T)에 대해 압접되지 않은 상태에서 셸신축부(13)를 길이방향 외측으로 밀어내지 않으므로, 위와 같은 스냅결합에 의해서도 충분히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이 조립된 셸고정부(11)와 셸신축부(13)가 상대 이동할 때, 상호 접촉면에서의 마찰저항을 줄이기 위해, 셸고정부(11)의 내주면과 셸신축부(13) 외주면 사이에는 활주링(29)이 개재된다. 이를 위해, 활주링(29)은 셸신축부(13) 외주면에 부착되며, 외주 활주면이 셸고정부(11) 내주면 하측에 미끄럼 접촉한다.
상기 코어(5)는 에이징할 대상인 이차전지에 전압을 출력하는 부분으로, 전원으로부터 입력팁(41)을 통해 인가된 전압을 출력팁(43)을 통해 대상 전극(T)에 공급하는 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과 같이 가느다란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코어(5)는 셸(3)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셸고정부(11)와 셸신축부(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코어(5)는 셸(3)의 축선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도록 셸고정부(11)의 통공(17)과 셸신축부(13)의 통공(22)에 삽입된다. 이때, 코어(5)는 셸(3)과 전기 절연을 이루는 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셸고정부(11)를 통과하는 도면 상 상단 부분이 입력단 절연부싱(31)의 중심에 끼워져 셸고정부(11)에 대한 절연을 유지하며, 셸신축부(13)를 통과하는 도면 상 하단 부분에 출력단 절연부싱(32)이 끼워져 셸신축부(13)에 대한 절연을 유지한다.
한편, 코어(5)는 위와 같이 필요에 따라 셸(3)로부터 분리시켜 교체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셸(3)의 통공(17,2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코어(5)는 상단의 입력팁(41)이 입력단 절연부싱(31)을 관통하여 셸고정부(11) 상단으로 노출되며, 하단의 출력팁(43)이 셸신축부(13) 하단으로 노출된다. 또한, 코어(5)는 출력팁(43)이 전극(T)에 압접될 때 셸(3) 안으로 탄력적으로 수축될 수 있도록,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반부 외주에 코어스프링(39)이 끼워지는 바, 이 코어스프링(39)은 그 상단이 입력단 절연부싱(31) 저면에 지지되며, 그 하단이 코어(5) 외주면 중간 부분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누름턱(45) 상면에 지지된다. 다만, 코어(5)는 코어스프링(39)에 대한 지지면을 넓히기 위해 누름턱(45)과 코어스프링(39) 사이에 안착링(47)을 끼울 수 있다.
따라서, 코어(5)를 셸(3)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 코어스프링(39)이 입력단 절연부싱(31)에 걸리는 등 코어(5)를 셸(3) 위쪽으로 빼낼 수는 없다. 그러나, 셸고정부(11)에 스냅결합된 셸신축부(13)를 셸고정부(11)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셸신축부(13)를 분리시킨 다음에는 코어(5)를 셸고정부(11) 밑으로 쉽게 빼낼 수 있게 된다. 다만, 코어(5)는 조립 상태에서 셸(3) 밑으로 길게 빼내어지면 곤란하므로, 입력팁(41) 바로 아래 상단 부분의 걸림홈(49)을 통해 E링(51)이 반경방향 외측방향으로 끼워지는 바, 이 E링(51)을 통해 하방 이동도 저지된다. 따라서, 코어(5)는 걸림홈(49)으로부터 E링(51)을 제거함으로써, 출력팁(43)에 마모등 문제가 발생한 때 간단히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E링(51)은 코어(5)가 통공(17,22)으로부터 출력단 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식 이차전지 에이징용 프로브(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프로브(1)에 따르면, 평판 형태로 되어 있는 에이징 장비에 복수의 프로브(1)를 장착하고, 이들 프로브(1)를 통해 아래쪽에 격자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이차전지에 일괄하여 전류 및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이차전지를 에이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각각의 프로브(1)는 도 2 내지 도 4의 위쪽에 위치하는 입력단이 전원으로 연결되고, 아래쪽에 위치하는 출력단이 이차전지의 전극(T)과 접촉한다. 따라서, 에이징이 개시된 때 하방으로 이동하던 프로브(1)는 코어(5) 하단의 출력팁(43)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전극(T)에 먼저 접촉되어 전극(T)에 전압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프로브(1) 계속해서 하방으로 가압되면, 코어(5)는 코어스프링(39)을 압축하면서 셸신축부(13)의 통공(22) 안으로 후퇴하여 들어간다. 곧이어, 셸신축부(13)의 저면이 전극(T)에 접촉하여 전극(T)에 전류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계속해서, 프로브(1)가 하강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5)와 함께 셸신축부(13)도 활주링(29)에 의해 미끄럼 안내되면서 셸고정부(11) 안으로 후퇴하여 수축되는 바, 이때 셸신축부(13)는 탄발스프링(9)을 압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프로브(1)가 전극(T)에 압접되면, 코어(5)는 코어스프링(39)의 반력에 의해, 셸신축부(13)는 탄발스프링(9)의 반력에 의해 전극(T)과 강하게 접촉되면서, 전압과 전류를 안정적으로 전극(T)에 전달하게 된다.
에이징 작업이 종료되면, 프로브(1)는 원위치되므로, 코어(5)는 코어스프링(39)의 복원력에 의해, 셸신축부(13)는 탄발스프링(9)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러한 에이징 작업이 반복됨에 따라 셸신축부(13)의 저면에 마모가 발생하는 경우 스냅돌기(25,27)의 스냅 결합을 해제하는 것으로 간단히 셸신축부(13)를 셸고정부(11)와 분리시켜 교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코어(5)의 양단에 마모가 발생한 경우에도 스냅돌기(25,27)의 스냅 결합을 해제하여 셸신축부(13)를 셸고정부(11)에서 분리시킨 다음, 걸림홈(49)에서 E링(51)을 분리시키는 것으로 간단히 셸(3)로부터 코어(5)를 빼내어 교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 : 프로브 3 : 셸
5 : 코어 7 : 나사관
9 : 탄발스프링 11 : 셸고정부
13 : 셸신축부 17, 22 : 통공
19 : 암나사부 21 : 멈춤턱
23 : 멈춤돌기 25 : 암형 스냅돌기
27 : 수형 스냅돌기 29 : 활주링
31 : 입력단 절연부싱 32 : 출력단 절연부싱
33 : 체결홈 34 : 체결돌기
39 : 코어스프링 41 : 입력팁
43 : 출력팁 45 : 누름턱
47 : 안착링 49 : 걸림홈
51 : E링 T : 전극
5 : 코어 7 : 나사관
9 : 탄발스프링 11 : 셸고정부
13 : 셸신축부 17, 22 : 통공
19 : 암나사부 21 : 멈춤턱
23 : 멈춤돌기 25 : 암형 스냅돌기
27 : 수형 스냅돌기 29 : 활주링
31 : 입력단 절연부싱 32 : 출력단 절연부싱
33 : 체결홈 34 : 체결돌기
39 : 코어스프링 41 : 입력팁
43 : 출력팁 45 : 누름턱
47 : 안착링 49 : 걸림홈
51 : E링 T : 전극
Claims (7)
-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류를 대상 전지로 출력하는 셸(3); 및
상기 셸(3)에 절연 상태로 나란히 결합되어,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압을 상기 대상 전지로 출력하는 코어(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셸(3)은,
외부몸체를 이루면서 에이징장비에 고정되는 셸고정부(11); 및
상기 셸고정부(11)의 하단에 신축 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대상 전지의 전극(T)에 압접될 때 탄발스프링(9)을 압축하면서 상기 셸고정부(11) 쪽으로 수축되는 셸신축부(13);로 이루어지며,
상기 셸고정부(11)는 하부 내주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형성된 암형 스냅돌기(25)를 포함하고,
상기 셸신축부(13)는 상부 외주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형성된 수형 스냅돌기(27)를 포함하며,
상기 셸고정부(11)와 상기 셸신축부(13) 조립 시 상기 수형 스냅돌기(27)가 상기 암형 스냅돌기(25)에 스냅식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식 이차전지 에이징용 프로브.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셸신축부(13)는 상기 셸고정부(11)로부터 분리시켜 교체 가능하도록 상기 셸고정부(11)와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식 이차전지 에이징용 프로브.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셸고정부(11)는 하부 외주에 상기 탄발스프링(9)의 상측을 끼우도록 되어 있고, 상기 탄발스프링(9)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외주면 일측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멈춤턱(21)을 포함하며,
상기 셸신축부(13)는 상기 탄발스프링(9)의 하단으로 끼워져 상기 셸고정부(11)에 조립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탄발스프링(9)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외주면 일측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멈춤돌기(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식 이차전지 에이징용 프로브.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셸고정부(11)와 상기 셸신축부(13)가 조립된 때 상기 셸고정부(11)의 내주면과 상기 셸신축부(13) 외주면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셸신축부(13) 외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셸고정부(11)에 대한 상기 셸신축부(13)의 상대 이동 시 발생하는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는 활주링(2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식 이차전지 에이징용 프로브.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5)는 상기 셸(3)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셸(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식 이차전지 에이징용 프로브.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코어(5)의 입력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코어(5)가 상기 셸(3)의 통공(17,22)으로부터 출력단 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E링(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식 이차전지 에이징용 프로브.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9251A KR102378344B1 (ko) | 2021-11-02 | 2021-11-02 | 신축식 이차전지 에이징용 프로브 |
KR1020220026749A KR20230064515A (ko) | 2021-11-02 | 2022-03-02 | 신축식 이차전지 에이징용 프로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9251A KR102378344B1 (ko) | 2021-11-02 | 2021-11-02 | 신축식 이차전지 에이징용 프로브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26749A Division KR20230064515A (ko) | 2021-11-02 | 2022-03-02 | 신축식 이차전지 에이징용 프로브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78344B1 true KR102378344B1 (ko) | 2022-03-25 |
Family
ID=8093529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9251A KR102378344B1 (ko) | 2021-11-02 | 2021-11-02 | 신축식 이차전지 에이징용 프로브 |
KR1020220026749A KR20230064515A (ko) | 2021-11-02 | 2022-03-02 | 신축식 이차전지 에이징용 프로브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26749A KR20230064515A (ko) | 2021-11-02 | 2022-03-02 | 신축식 이차전지 에이징용 프로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378344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45890A (ko) * | 2009-10-28 | 2011-05-04 | 주식회사 타이스전자 |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 |
KR101069636B1 (ko) | 2009-07-24 | 2011-10-04 | 한병량 | 밀봉링이 수축되는 필터장치 |
KR101597484B1 (ko) * | 2015-01-14 | 2016-02-24 | 주식회사 타이스일렉 |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프로브 |
KR101688327B1 (ko) * | 2015-09-11 | 2016-12-20 | 주식회사 메가터치 |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프로브 |
KR20170107246A (ko) * | 2016-03-15 | 2017-09-25 | 주식회사 메가터치 | 전지 테스트용 프로브 |
KR102245540B1 (ko) * | 2020-04-09 | 2021-04-28 | 주식회사 메가터치 | 전지 테스트용 프로브 및 그 탐침 모듈 |
KR102328046B1 (ko) * | 2021-03-02 | 2021-11-17 | 주식회사 프로이천 | 이차전지 에이징용 프로브 |
-
2021
- 2021-11-02 KR KR1020210149251A patent/KR10237834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03-02 KR KR1020220026749A patent/KR2023006451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69636B1 (ko) | 2009-07-24 | 2011-10-04 | 한병량 | 밀봉링이 수축되는 필터장치 |
KR20110045890A (ko) * | 2009-10-28 | 2011-05-04 | 주식회사 타이스전자 |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 |
KR101597484B1 (ko) * | 2015-01-14 | 2016-02-24 | 주식회사 타이스일렉 |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프로브 |
KR101688327B1 (ko) * | 2015-09-11 | 2016-12-20 | 주식회사 메가터치 |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프로브 |
KR20170107246A (ko) * | 2016-03-15 | 2017-09-25 | 주식회사 메가터치 | 전지 테스트용 프로브 |
KR102245540B1 (ko) * | 2020-04-09 | 2021-04-28 | 주식회사 메가터치 | 전지 테스트용 프로브 및 그 탐침 모듈 |
KR102328046B1 (ko) * | 2021-03-02 | 2021-11-17 | 주식회사 프로이천 | 이차전지 에이징용 프로브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64515A (ko) | 2023-05-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70668B2 (en) | Method for connecting an electrical connector to a cable connector | |
US2411861A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101055642B1 (ko) | 전압전류인가형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 프로브 | |
US2466499A (en) | Swivel for electric cables | |
KR102378344B1 (ko) | 신축식 이차전지 에이징용 프로브 | |
US2422549A (en) | Assembling tool | |
CN104916988A (zh) | 一种带弹片的供电设备的供电接口装置 | |
CN106329225B (zh) | 用于电动汽车电池模组的公插头及连接装置 | |
KR102328046B1 (ko) | 이차전지 에이징용 프로브 | |
US10965070B2 (en) | Quick demountable high-reliability radio-frequency coaxial connector | |
CN104953374A (zh) | 一种使用定位凸出定位并可锁定的供电设备接口装置 | |
US5752764A (en) | Flashlight having a switch mechanism mounted to a rear end thereof | |
JPH0666108U (ja) | アンテナ装置 | |
CN107994423B (zh) | 二对一电动工具电源转换器及其转换方法 | |
US2753413A (en) | Quick break electric switches | |
KR101681678B1 (ko) | 이차전지 테스트용 충방전 프로브 | |
KR102404010B1 (ko) |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용 프로브 | |
US9762007B2 (en) | Push on connector | |
CN213240223U (zh) | 便携式验电器 | |
KR101162740B1 (ko) | 방전시 양극과 리튬 음극 간의 이격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리튬일차전지용 양극, 그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 |
CN219475694U (zh) | 一种抽拉式探针组件及抽拉式探针装置 | |
CN211088089U (zh) | 一种具有高性能的静触头 | |
KR102242244B1 (ko) | 이차전지용 충방전장치 | |
WO2023008051A1 (ja) | 棒体の連結構造 | |
CN118501513A (zh) | 测试连接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