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5309B1 - 철도 차량용 연결막의 내구성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철도 차량용 연결막의 내구성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5309B1
KR101055309B1 KR1020080130627A KR20080130627A KR101055309B1 KR 101055309 B1 KR101055309 B1 KR 101055309B1 KR 1020080130627 A KR1020080130627 A KR 1020080130627A KR 20080130627 A KR20080130627 A KR 20080130627A KR 101055309 B1 KR101055309 B1 KR 101055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fixed
carriage
connectio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0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1789A (ko
Inventor
박성혁
오세찬
이장무
이한민
김길동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30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5309B1/ko
Publication of KR20100071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1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8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20Communication passages between coaches; Adaptation of coach end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26Investigating twisting or coiling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2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01Type of application of the stress
    • G01N2203/0005Repeated or cycl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21Torsion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 차량용 연결막의 내구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 차량의 객차와 객차 간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막에 대하여 철도 차량의 운행시 발생하는 다양한 조건들을 연출하여 내구성을 시험함으로써, 차량 취부전에 이 시험을 통하여 연결막의 품질향상과 신뢰성을 갖도록 한 철도 차량용 연결막의 내구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단부에 구비되되, 연결막이 구비된 객차모형틀과, 상기 객차모형틀의 하부에 구비되어 이 객차모형틀을 동작시키는 작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철도, 차량, 연결막, 내구성, 시험장치, 객차모형틀

Description

철도 차량용 연결막의 내구성 시험장치{A durability tester of connection film for railroad vehicles}
본 발명은 철도 차량용 연결막의 내구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 차량의 객차와 객차 간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막에 대하여 철도 차량의 운행시 발생하는 다양한 조건들을 연출하여 내구성을 시험함으로써, 차량 취부전에 이 시험을 통하여 연결막의 품질향상과 신뢰성을 갖도록 한 철도 차량용 연결막의 내구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객차를 연결하여 철로를 따라 많은 사람을 먼 거리까지 운송할 수 있도록 개발된 철도용 차량은 연결되어 있는 객차와 객차 사이를 사람들이 안전하게 왕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객차와 객차 사이에 발판을 설치함과 동시에 객차 사이를 왕래하는 사람이 기차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객차와 객차 사이에 터널형상의 연결막을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철도 차량의 객차와 객차의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막은 객차와 객차의 사이에 설치하기 전에 연결막에 대하여 운행시 반복적인 비틀림 등에 의해 내구성이 떨어져 연결막의 수명상태를 테스트하는 단계를 거친 후에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내구성을 테스트하는 데 있어 연결막을 시험용 철도 차량에 설치한 후 이 시험용 철도 차량을 운행시켜 연결막의 내구성을 테스트함에 따라 과다한 시간의 낭비와 경비 및 인력의 투자로 실험성이 저조할 뿐 아니라 다양한 조건하에서의 시험이 불가능하고 반복재현 시험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자료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철도 차량의 실제 운행 상태와 유사한 환경 조건이 되도록 하여 객차와 객차의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막에 발생되는 비틀림 등 내구성을 테스트하여 연결막의 품질 향상과 신뢰성 있는 시험자료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철도 차량과 유사하게 전,후,좌,우로 유동 되어 다양하게 연결막의 비틀림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철도 차량의 운행 중에 연결막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비틀림 형상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간편하게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고, 시간의 낭비와 경비가 절감되며, 다양한 조건을 연출하여 시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전,후,좌,우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철도 차량이 선로 위를 주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조건을 연출 가능하여 더욱 신뢰성 있는 데이터 자료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단부에 구비되되, 연결막이 구비된 객차모형틀과, 상기 객차모형틀의 하부에 구비되어 이 객차모형틀을 동작시키는 작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객차모형틀은 하부판과, 측면판 및 이 측면판의 외측으로 골조 가 형성되어 서로 대응되게 구비된 제1몸체와 제2몸체가 구비되고, 제1몸체 및 제2몸체의 사이에 연결막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측면판에 통로가 형성되고, 이 통로가 서로 연결되게 하단에 발판이 구비되며, 이 발판의 상부에 장착되되, 통로가 커버되게 제1몸체 및 제2몸체의 측면판에 양측면이 각각 고정되게 연결막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는 객차모형틀의 제1몸체 및 제2몸체의 양측 또는 어느 일측 하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는 객차모형틀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어 제1몸체 또는 제2몸체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이송유니트와, 상기 하우징과 전,후이송유니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1몸체 또는 제2몸체를 좌,우로 이송시키는 좌,우이송유니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은 좌,우이송유니트의 상부에 장착되어 객차모형틀의 하부판 하단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제1고정부재의 하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구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제1고정부재와 대응되는 제2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제2고정부재의 상부로는 제1고정부재의 고정구와 대응되게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구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하우징의 내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의 고정구에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져 고정되는 힌지축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에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객차모형틀을 좌,우로 기울이는 기울임유니트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울임유니트는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의 사이에 실린더가 구비되되, 이 실린더는 제2고정부재에 고정되고, 실린더로드는 제1고정부재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고정부재의 좌,우 상부에는 객차모형틀의 기울임 구간을 지정하는 한쌍의 차단바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후이송유니트는 베이스의 상부에 대응되는 한쌍의 제1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제1레일에 유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가이드판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부로 이격되어 고정되되, 제1가이드판의 하부에 나사 체결되는 제1나사축이 구비되고, 제1나사축의 일측에 제1모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좌,우이송유니트는 제1가이드판의 상부에는 제1레일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게 한쌍의 제2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제2레일의 상부에 체결되는 제2가이드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2가이드판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되, 제2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하여 제1가이드판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2나사축이 구비되고, 제2나사축의 일측 끝단부에 제2모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에는 객차모형틀을 좌,우로 정역회전시키는 좌,우회전유니트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좌,우회전유니트는 하우징의 외주면에 고정바가 형성되고, 이 고정바에 제3모터가 장착되며, 상기 제3모터에 한쌍의 유동바가 구비되고, 이 한쌍의 유동바에 각각 체결되는 연결바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바에 체결되어 객차모형 틀의 하부에 고정되는 지지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철도 차량의 실제 운행 상태와 유사한 환경 조건이 되도록 하여 객차와 객차의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막에 발생되는 비틀림 등 내구성을 테스트하여 연결막의 품질 향상과 신뢰성 있는 시험자료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철도 차량과 유사하게 전,후,좌,우로 유동되어 다양하게 연결막의 비틀림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철도 차량의 운행 중에 연결막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비틀림 형상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간편하게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고, 시간의 낭비와 경비가 절감되며, 다양한 조건을 연출하여 시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전,후,좌,우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철도 차량이 선로 위를 주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조건을 연출 가능하여 더욱 신뢰성 있는 데이터 자료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용 연결막의 내구성 시험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찬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용 연결막의 내구성 시험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객차모형틀을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전,후이송유니트 및 좌,우이송유니트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기울임유니트 및 제1좌,우회전유니트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기울임유니트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좌,우회전유니트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용 연결막의 내구성 시험장치는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110)가 구비된다.
그리고, 베이스(110)의 상부에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게 철도 차량의 객차 형상을 모형으로 제작된 객차모형틀(21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객차모형틀(210)은 서로 대응되게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게 제1몸체(212a)와 제2몸체(212b)가 구비되고, 제1몸체(212a)와 제2몸체(212b)는 연결막(22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나아가, 상기 제1몸체(212a)와 제2몸체(212b)는 하부에 하부판(214)이 구비되고, 이 하부판(214)의 상부 일측, 즉 제1몸체(212a)와 제2몸체(212b)가 서로 대응되는 방향에 통로(216)가 각각 형성된 측면판(218)이 대응되게 구비되며, 이 측면판(218)에 형성된 통로(220)의 하단에는 발판(232)이 형성되어 이 발판(232)과 통로(218)가 커버되게 연결막(230)이 장착된다.
아울러, 상기 측면판(218)의 타측부에는 하부판(214)과 측면판(218)을 지지하는 골조(219)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10)와 객차모형틀(210)의 사이에 구비되어 객차모형 틀(210)을 지지함과 동시에 전,후,좌,우로 동작시키는 작동부(3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310)는 객차모형틀(210)의 제1몸체(212a) 및 제2몸체(212b)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거나, 제1몸체(212a) 또는 제2몸체(212b)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작동부(310)가 제1몸체(212a)의 하부에 장착된 상태를 일예로 하여 구성을 설명하면, 객차모형틀(210)의 제1몸체(212a) 하부에 구비되되, 내측이 관통된 하우징(312)이 구비되고, 하우징(312)의 하부에 구비되어 제1몸체(212a)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이송유니트(320)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312)과 전,후이송유니트(3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제1몸체(212a)를 좌,우로 이송시키는 좌,우이송유니트(3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전후이송유니트(320)는 베이스(110)의 상부에 서로 대응되도록 한쌍의 제1레일(322)이 구비되고, 제1레일(322)의 상부에 유동 가능하게 체결 고정되되, 상부에 좌,우이송유니트(330)가 장착되는 제1가이드판(324)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 즉 제1레일(322)의 사이에는 제1레일(322)의 길이 방향의 양측부에 베이스(110)의 상부로 돌출된 돌출고정구(326a)가 형성되고, 이 돌출고정구(326a)에 제1나사축(326)이 체결되며, 제1나사축(326)은 제1가이드판(324)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고정구(324a)에 나사고정되어 제1나사축(326)의 회전에 의해 제1가이드판(324)이 전,후로 이동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1나사축(326)의 양측 방향 중 어느 일측 끝단부에는 제1나사축(326)을 정,역회전시키는 제1모터(328)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모터(328)의 작동에 의해 제1나사축(326)이 회전하게 되고, 제1나사축(326)의 회전에 의해 제1가이드판(324)은 제1레일(322)을 따라 전,후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이송유니트(330)는 제1가이드판(324)의 상부에는 제1레일(322)과 교차되는 한쌍의 제2레일(332)이 구비되고, 제2레일(322)의 상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체결되되, 상단에 하우징(312)이 고정되는 제2가이드판(334)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2가이드판(334)의 하부, 즉 제2레일(322)의 사이에는 제2레일(322)의 길이 방향 양측부에 제1가이드판(324)의 상부로 돌출된 돌출고정구(336a)가 형성되고 이 돌출고정구(336a)에 제2나사축(336)이 체결 고정되며, 제2나사축(336)은 제2가이드판(334)의 하부에 형성되는 나사고정구(334a)에 나사 고정된다.
나아가, 상기 제2나사축(336)의 양측 끝단부 중 어느 일측의 끝단부에는 제2모터(338)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작동부(310)에는 객차모형틀(210)의 제1몸체(212a)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의 소정 각도로 기울이는 기울임유니트(340)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제1몸체(212a)와 하우징(312)의 사이에 장착되되, 제1몸체(212a)의 하부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342)가 구비되고, 제1고정부재(342)의 하단으로는 관통공(342b)이 형성된 고정구(342a)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312)의 상부에는 제2고정부재(344)가 구비되고, 제2고 정부재(344)의 상부로 돌출되어 제1고정부재(342)의 고정구(342a)에 형성된 관통공(342b)와 대응되는 관통공(344b)이 형성된 고정구(344a)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342) 및 제2고정부재(344)의 고정구(342a)(344a)에 형성된 관통공(342b)(344b)에 관통되게 끼워져 제1고정부재(342) 및 제2고정부재(344)가 유동 가능하게 체결 고정시키는 힌지축(346)이 구비된다.
나아가, 제1고정부재(342)의 하부에는 하우징(312)의 내측으로 유동 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회전축(347)이 일체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고정부재(342)와 제2고정부재(344)의 사이에 설치되되, 제2고정부재(344)에는 실린더(348)가 고정되고, 제1고정부재(342)에는 실린더로드(348a)가 체결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재(342)와 제2고정부재(344) 중 어느 일측에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너무 과다하게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봉(349)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348)를 작동시키게 되면 실린더로드(348a)가 인출되면서 제1고정판(342)을 밀어주게 되어 힌지축(346)을 중심으로 하여 제1몸체(212a)가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작동부(310)에는 제1몸체(212a)를 좌,우로 정역회전시키는 좌,우회전유니트(35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좌,우회전유니트(350)는 하우징(312)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고정바(352)가 형성되고, 이 고정바(352)의 하부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제3모터(354)가 장착된다.
나아가, 상기 제3모터(354)에는 외측으로 "V"자 형상의 유동바(356)가 구비되고, 이 유동바(356)의 각각에는 연결바(357)가 체결 고정되며, 이 연결바(357)의 끝단부에는 제1몸체(212a)의 하부에 상단부가 고정되는 지지바(358)가 체결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3모터(354)를 작동시켜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유동바(357)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연결바(357)에 의해 고정된 지지바(358)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되, 이때 지지바(358)에 고정된 제1몸체(212a)가 일방향으로 회전을 시키는 방식으로 하여 제1몸체(212a)를 좌,우 방향으로 선택하여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령용 연결망의 내구성 시험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a 내지 도 9o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객차모형틀의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유동되어 연결막이 다양하게 비틀림이 형성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병에 따른 철도 차량용 연결막의 내구성 시험장치(100)는 먼저, 상기 작동부(310)의 전,후이송유니트(320)에 대한 작용관계는 제1모터(328)를 작동시키게 되면 제1나사축(326)이 회전을 하면서 제1가이드판(324)을 제1레일(322) 상에서 전진 또는 후진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가이드판(324)의 전,후진 동작에 의해 이웃하는 객차모형 틀(210)의 제2몸체(212b)로부터 제1몸체(212a)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면서 그 사이에 구비된 연결막(222)이 늘어남과 축소되는 반복적인 동작에 대하여 연결막(222)의 내구성을 시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이송유니트(330)는 제2모터(338)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제2나사축(336)이 회전하면서 상기 제1가이드판(324)의 상부에서 제2레일(332)을 따라 좌,우로 제2가이드판(334)이 이동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가이드판(334)의 좌,우 이동 동작에 의해 객차모형틀(210)의 제2몸체(212b)와 제1몸체(212a)가 서로 어긋나는 정도를 연출할 수 있게 되어 이에 대한 연결막(222)의 내구성을 시험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기울임유니트(340)는 실린더(348)를 작동시키게 되면 실린더로드(348a)가 인출되면서 제1몸체(212a)의 일측부를 상부로 들어올리는 형상으로 밀어주게 되어 힌지축(346)을 중심으로 하여 제1몸체(212a)가 일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348)의 작동에 의해 제1몸체(212a)의 일측부를 승하강시키면서 힌지축(346)을 중심으로 제1몸체(212a)가 회전을 하게 되어 제1몸체(212a)와 제2몸체(212b)의 사이에 구비된 연결막(222)에 비틀림을 연출할 수 있게되어 이에 따른 연결막(222)의 비틀림에 대한 내구성을 시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좌,우회전유니트(350)는 제3모터(354)를 작동시키게 되면 유동바(356)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이 유동바(356)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방향으로 연결바(356)를 당김과 동시에 지지바(358)를 이동시키게 되 어 제1하우징(312)에 체결된 회전축(347)이 회전하면서 제1,2고정부재((344)(346)기 회전하게 되고, 제1,2고정부재(344)(346)의 회전에 의해 제1몸체(212a)가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몸체(212a)를 좌,우로 선택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객차모형틀(210)의 제1몸체(212a)가 비틀리면서 연결막(222)의 비틀림을 연출하게 되어 이 상태에서 연결막(222)의 비틀림에 대한 내구성을 시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후이송유니트(320)와 좌,우이송유니트(330)와 기울임유니트(340) 및 좌,우회전유니트(350)의 동작을 유기적으로 작동되도록 조절함으로써, 제1몸체(212a) 및 제2몸체(212b) 사이에 구비된 연결막(222)의 비틀림 등 변형되는 현상을 다양하게 연출하여 이 연출된 현상에 대한 내구성을 다양하게 시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작동부(310)를 제1몸체(212a) 및 제2몸체(212b)의 하부에 각각 구비하여 이 작동부(310)를 유기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제1몸체(212a) 및 제2몸체(212b)가 유동되도록 하여 제1몸체(212a) 및 제2몸체(212b)의 사이에 구비된 연결막(222)의 비틀림 현상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또는 상기 제1몸체(212a) 및 제2몸체(212b) 중 어느 일측은 고정시키고, 또 다른 하나의 하부에는 작동부(310)를 장착하여 이 작동부(310)를 작동시킴으로써, 연결막(222)의 비틀림에 대한 내구성을 시험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0a 내지 도 10o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310)를 객차모형틀의 제1몸체(212a) 및 제2몸체(212b)의 양측 하부에 장착하거나, 또는 제1몸 체(212a) 및 제2몸체(212b) 중 어느 하나에 작동부(310)를 장착하여 작동시키게 되면 제1몸체(212a) 및 제2몸체(212b)가 서로 유기적으로 동작하면서 연결막(222)의 다양한 비틀림 형상을 연출하여 그에 대한 내구성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용 연결막의 내구성 시험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은 철도 차량용 연결막의 내구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 차량의 객차와 객차 간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막에 대하여 철도 차량의 운행시 발생되는 다양한 조건들을 연출하여 내구성을 시험함으로써, 차량 취부전에 이 시험을 통하여 연결막의 품질향상과 신뢰성을 갖도록 한 철도 차량용 연결막의 내구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용 연결막의 내구성 시험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객차모형틀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부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부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전,후이송유니트 및 좌,우이송유니트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울임유니트 및 제1좌,우회전유니트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울임유니트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좌,우회전유니트를 보인 도면.
도 9a 내지 도 9o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객차모형틀의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유동되어 연결막이 다양하게 비틀림이 형성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연결막의 시험장치 110 : 베이스
210 : 객차모형틀 212a, 212b : 제1,2몸체
214 : 하부판 222 : 연결막
310 : 작동부 312 : 하우징
320 : 전후이송유니트 322, 332 : 제1,2레일
324, 334 : 제1,2가이드판 326, 336 : 제1,2나사축
330 : 좌우이송유니트 340 : 기울임유니트
342, 344 : 제1,2고정부재 346 : 힌지축
348 : 실린더 350 : 좌우회전유니트
352 : 고정바 356 : 유동바
357 : 연결바 358 : 지지바

Claims (13)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단부에 구비되되, 연결막이 구비된 객차모형틀과,
    상기 객차모형틀의 제1몸체 및 제2몸체의 양측 또는 어느 일측 하부에 장착되어 이 객차모형틀을 전,후,좌,우로 동작시키는 작동부로 구성되되,
    상기 작동부는 객차모형틀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어 제1몸체 또는 제2몸체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이송유니트와,
    상기 하우징과 전,후이송유니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1몸체 또는 제2몸체를 좌,우로 이송시키는 좌,우이송유니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연결막의 내구성 시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객차모형틀은 하부판과, 측면판 및 이 측면판의 외측으로 골조가 형성되어 서로 대응되게 구비된 제1몸체와 제2몸체가 구비되고, 제1몸체 및 제2몸체의 사이에 연결막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연결막의 내구성 시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측면판에 통로가 형성되고, 이 통로가 서로 연결되게 하단에 발판이 구비되며, 이 발판의 상부에 장착되되, 통로가 커버되게 제1몸체 및 제2몸체의 측면판에 양측면이 각각 고정되게 연결막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연결막 내구성 시험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좌,우이송유니트의 상부에 장착되어 객차모형틀의 하부판 하단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제1고정부재의 하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구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제1고정부재와 대응되는 제2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제2고정부재의 상부로는 제1고정부재의 고정구와 대응되게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구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하우징의 내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의 고정구에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져 고정되는 힌지축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연결막의 내구성 시험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객차모형틀을 좌,우로 기울이는 기울임유니트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연결막의 내구성 시험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임유니트는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의 사이에 실린더가 구비되되, 이 실린더는 제2고정부재에 고정되고, 실린더로드는 제1고정부재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연결막의 내구성 시험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재의 좌,우 상부에는 객차모형틀의 기울임 구간을 지정하는 한쌍의 차단바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연결막의 내구성 시험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이송유니트는 베이스의 상부에 대응되는 한쌍의 제1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제1레일에 유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가이드판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부로 이격되어 고정되되, 제1가이드판의 하부에 나사 체결되는 제1나사축이 구비되고, 제1나사축의 일측에 제1모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연결막의 내구성 시험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송유니트는 제1가이드판의 상부에는 제1레일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게 한쌍의 제2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제2레일의 상부에 체결되는 제2가이드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2가이드판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되, 제2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하여 제1가이드판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2나사축이 구비되고, 제2나사축의 일측 끝단부에 제2모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연결막의 내구성 시험장치.
  12. 제 1 항, 제 6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에는 객차모형틀을 좌,우로 정역회전시키는 좌,우회전유니트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연결막의 내구성 시험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회전유니트는 하우징의 외주면에 고정바가 형성되고, 이 고정바에 제3모터가 장착되며,
    상기 제3모터에 한쌍의 유동바가 구비되고, 이 한쌍의 유동바에 각각 체결되 는 연결바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바에 체결되어 객차모형틀의 하부에 고정되는 지지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연결막의 내구성 시험장치.
KR1020080130627A 2008-12-19 2008-12-19 철도 차량용 연결막의 내구성 시험장치 KR101055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627A KR101055309B1 (ko) 2008-12-19 2008-12-19 철도 차량용 연결막의 내구성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627A KR101055309B1 (ko) 2008-12-19 2008-12-19 철도 차량용 연결막의 내구성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789A KR20100071789A (ko) 2010-06-29
KR101055309B1 true KR101055309B1 (ko) 2011-08-09

Family

ID=42369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0627A KR101055309B1 (ko) 2008-12-19 2008-12-19 철도 차량용 연결막의 내구성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53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825B1 (ko) 2010-07-26 2012-11-05 주식회사 실크로드시앤티 내염해성 층상형 금속 이중층 수산화물/폴리우레탄계 고분자 공중합체 나노 융합 콘크리트 혼화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734Y1 (ko) * 2002-03-26 2002-07-13 한국철도부품 주식회사 철도차량 통로 연결막
KR20030020312A (ko) * 2000-06-30 2003-03-08 도오까이 료가구 데쓰도오 가부시끼가이샤 철도의 승차감 모의 시험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312A (ko) * 2000-06-30 2003-03-08 도오까이 료가구 데쓰도오 가부시끼가이샤 철도의 승차감 모의 시험 장치
KR200280734Y1 (ko) * 2002-03-26 2002-07-13 한국철도부품 주식회사 철도차량 통로 연결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789A (ko) 201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16532B (zh) 测试系统以及在采用该测试系统的风洞中测试车辆的方法
CN105814426A (zh) 车辆约束设备
US7540195B2 (en) Electro-shaker vehicle test stand
CN108791086A (zh) 车辆踏脚装置
KR101756031B1 (ko) 차량용 리어 범퍼 가변 스포일러 시스템
CN105155366B (zh) 替换梁道岔结构及道岔转辙的方法
KR20100133403A (ko) 스트럿 조립체
CN106124208A (zh) 一种轮对加载跑合试验台
CN206114269U (zh) 一种轨道列车车厢间风挡性能试验装置
KR101055309B1 (ko) 철도 차량용 연결막의 내구성 시험장치
CN107130478A (zh) 跨座式单轨平移旋转式道岔及其使用方法
KR20080026817A (ko) 모의충돌시험용 공용대차
KR101055307B1 (ko) 철도 차량용 연결막의 내구성 시험장치
KR101055308B1 (ko) 철도 차량용 연결막의 내구성 시험장치
CN105372081B (zh) 轨道车辆在不同轨道扭曲条件下车轮轮重数据的测量方法
KR100523567B1 (ko) 공기스프링의 수평방향 시험장치
DE102018132634A1 (de) Personentransportfahrzeug
CN108482392B (zh) 用于空铁系统的逃生装置及空铁系统
CN111962422A (zh) 一种基于物联网控制的车辆出入禁道闸机
CN207215923U (zh) 一种受电弓动态特性测试实验台
CN219914876U (zh) 汽车验证用顶棚调节装置及汽车人机交互验证设备
CN218600864U (zh) 一种车辆测试装置
CN219842153U (zh) 车门台架工装
CN218907190U (zh) 一种挂车车厢修复辅助定位装置
CN218885438U (zh) 一种用于车辆验证的测试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