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4233B1 - 해양생물 부착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수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해양생물 부착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수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4233B1
KR101054233B1 KR1020080123364A KR20080123364A KR101054233B1 KR 101054233 B1 KR101054233 B1 KR 101054233B1 KR 1020080123364 A KR1020080123364 A KR 1020080123364A KR 20080123364 A KR20080123364 A KR 20080123364A KR 101054233 B1 KR101054233 B1 KR 101054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ode
seawater
cathode
potential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3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4768A (ko
Inventor
문상봉
이태임
최윤기
김은수
Original Assignee
문상봉
(주)엘켐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상봉, (주)엘켐텍 filed Critical 문상봉
Priority to KR1020080123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4233B1/ko
Publication of KR20100064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4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3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02F2001/46138Electrodes comprising a substrate and a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5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 C02F2001/46171Cylindrical or tubular shap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02F2201/46135Volt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02F2201/4614Curr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02F2201/4617DC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0Prevention of biofou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해수를 전기분해하여 해수 취수구를 살균함으로써 해수 취수구에 해양생물이 부착되지 못하도록 하는 해수 취수구의 해양생물 부착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 발명은 해양생물 부착 방지장치를 이용하여 수조에 해수를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이 발명의 해양생물 부착 방지장치는,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으며 해수 취수구로 유입되는 해수를 전기분해하는 양극 및 음극과,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직류전원공급기와, 상기 양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양극에 인가되는 전위와 동일한 전위가 인가되는 보조전극과, 상기 보조전극의 전위를 측정하는 계측기와, 상기 계측기에서 계측된 상기 보조전극의 전위가 일정한 범위의 전위값을 유지하도록 상기 직류전원공급기에서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조류, 해양생물, 염소, 해수, 살균

Description

해양생물 부착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수공급장치 {PREVENTION SYSTEM OF ADHESION OF MARINE ORGANISM}
이 발명은 해수 취수구에 해양생물이 부착되지 못하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수를 전기분해하여 해수 취수구를 살균함으로써 해수 취수구에 해양생물이 부착되지 못하도록 하는 해수 취수구의 해양생물 부착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 발명은 해양생물 부착 방지장치를 이용하여 수조에 해수를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해양에 위치한 원자력발전소, 화력발전소, 제철소, 석유정제설비 등의 각종 플랜트는 해수를 냉각수로 활용하고 있으며, 해안가에 위치한 활어수조에서는 해수를 이용하여 활어를 양식하고 있다. 플랜트와 활어수조에 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해수 취수구를 관리하지 않은 채 방치하면, 도 1의 과정을 거쳐 그 표면에 조개류나 조류 등 해양생물이 부착된다.
도 1은 취수구에 해양생물이 부착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먼저, 해수 취수구 등의 해수처리 구조물의 표면에 유기물(단백질)이 부착한다(S11). 이 유기물을 기초로 박테리아가 착생 및 번식을 하여 박테리아 층을 형성한다(S12). 이 후, 박테리아 층에 해수 중의 유기물이나 오니(슬러지) 등이 부착하여 슬라임 층을 형성한다(S13). 여기까지가 초기 오염단계로서 유기물(단백질) 부착단계부터 슬라임 층 형성단계까지 수 시간 정도 소요된다. 이 후, 슬라임 층 위에 조류가 착생하고(S14), 이 조류를 발판으로 해양생물의 유생이 부착/번식/성장을 하게 된다(S15).
이와 같이 해수 취수구에 해양생물이 부착되면, 해수 취수관이 폐쇄되어 플랜트와 활어수조에 해수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하며, 이로 인해 냉각효율이 저하되거나 활어가 폐사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해수를 사용하는 해수 취수설비에서 해수 취수구에 해양생물이 부착되지 못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한 기술과제이다. 해수 취수구에 해양생물이 부착되지 못하도록 하는 기술로서, 종래에는 화학적 방법, 물리적 방법, 기계적 방법 등이 사용되었다.
화학적 방법으로는 염소 도포방법, 과산화수소 도포방법, 방오도료 도포방법등이 있고, 물리적 방법으로는 자외선 조사방법, 초음파 방법, 온수 처리방법 등이 있으며, 기계적 방법으로는 필터를 이용한 방법, 청소로봇을 이용한 청소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방법들은 효과가 미비하거나 수명이 짧거나 비용이 비싼 문제점 등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전기화학적 살균방법으로 서, 화학약품을 사용하는 대신에 해수를 전기분해하여 염소계 살균제(차아염소산, 염소, 차아염소산나트륨)를 생성하거나, 금속(구리, 은) 이온을 용출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었다.
해수를 전기분해하여 염소계 살균제를 발생하여 해양생물을 제거하는 방법이 기재된 간행물로는, 일본특개소 제61-143587호, 일본특개소 제61-213384호, 일본특개평2-209696호, 일본특개평 제7-207645호 등이 있다. 또한, 전기화학적 방법과 전기적 방법의 혼합형으로 대한민국특허출원 제2006-65175호는 전기충격과 전기분해에 의한 차아염소산을 이용하여 해양생물이 부착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기술이다.
상술한 전기화학적 방법에 의한 해양생물 부착 방지시스템은, 해수 취수구로 유입되는 해수를 전기분해하는 양극과 음극으로 구성되는데, 양극에 인가되는 전위에 따라 발생하는 화학종이 달라진다.
즉, 양극에 표준수소전극(SHE) 전위를 기준으로 0.7V 정도가 인가되면 미생물 내의 세포 내로 전자가 이동하여 호흡계 전달효소를 방해함으로써 단백질 변성이 일어나서 해양생물의 착생 및 번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양극에 표준수소전극 전위를 기준으로 1.2V 정도가 인가되면 산소(O2)가 발생하고, 1.32V 정도가 인가되면 염소(Cl2)가 발생하고, 1.5V 정도가 인가되면 오존(O3)이 발생하여, 각각 해양생물의 착생 및 번식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양극에 표준수소전극 전위를 기준으로 0.7V 이상이 인가되면 해양생물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종래의 전기화학적 방법에 의한 해양생물 부착 방지시스템은, 양극과 음극의 전위차와 해수의 농도와 온도 등 다양한 운전변수의 함수인 총괄전압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제어하였기 때문에 양극에 인가되는 전위가 표준수소전극 전위를 기준으로 1.32V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 경우 양극에서 반응식 1과 같이 산화반응이 일어나서 염소성분이 발생하고, 음극에서는 반응식 2와 같은 환원반응이 일어난다.
(양극) 2Cl- → Cl2 + 2e- [1.32V]
(음극) 4H+ + 4e- → 4H [0.0V]
아울러, 양극에서 발생한 염소는 반응식 3과 같이 물과 반응하여 차아염소산을 생성하며, 이 차아염소산은 pH에 따라 차아염소산, 염소, 차아염소산나트륨으로 전환되며, 이 염소계 살균제는 모두 강력한 살균력을 갖는다.
(양극) H2O + Cl2 ↔ HClO + H+ + Cl-
이 염소계 살균제는 매우 강력한 살균 작용을 하여 해수 취수구에 해양생물이 부착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을 하나, 농도가 높아지면 활어수조에 있는 어류까지도 사멸시킬 수 있고 인체에도 나쁜 영향을 주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이 발명의 목적은, 해수 취수구에 해수 전기분해장치를 장착하되, 그 해수 전기분해장치의 양극에 0.7V 이상 1.2V 이하의 전위가 인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염소계 살균제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해양생물의 부착은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 발명의 해양생물 부착 방지시스템을 적용하여 해수를 수조에 공급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해양생물 부착 방지시스템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으며 해수 취수구로 유입되는 해수를 전기분해하는 양극 및 음극과,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직류전원공급기와, 상기 양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양극에 인가되는 전위와 동일한 전위가 인가되는 보조전극과, 상기 보조전극의 전위를 측정하는 계측기와, 상기 계측기에서 계측된 상기 보조전극의 전위가 일정한 범위의 전위값을 유지하도록 상기 직류전원공급기에서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해수공급시스템은, 해수를 전기분해하여 해수 취수구에 해양생물이 부착되지 못하도록 하는 전기분해장치와, 상기 전기분해 장치를 통과한 해수에 포함된 유효염소성분을 제거하는 탈염소장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따르면 보조전극을 이용하여 양극의 전위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양극의 전위를 기준으로 양극과 음극 사이에 인가되는 직류전원을 제어함으로써, 염소계 살균제의 발생을 억제하면서도 해양생물의 부착은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해수 취수구를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어서 장시간 동안 해수를 수조에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이 발명에 따른 해양생물 부착 방지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수공급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이 발명에 따라 수조에 해수를 공급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 발명에 따른 해수공급시스템은, 전기분해장치(21), 펌프(22), 탈염소장치(23)로 이루어진다. 펌프(22)가 가동하면 전기분해장치(21)를 통해 해수가 유입되는데, 전기분해장치(21)에서 해수를 전기화학적으로 처리함으로써 해수 취수구에 해양생물이 부착되지 못하도록 방지한다. 즉, 이 발명에서 전기분해장치와 해양생물 부착 방지장치는 동일한 장치이다. 한편, 전기분해장치(2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양극에 인가되는 기전력이 1.2V 이하로 제한되어 염소성분이 발생되지 않지만, 만약을 대비하여 전기분해장치(21)를 통해 염소성분이 발생하더라도, 염소성분이 포함된 해수가 탈염소장치(23)를 통과하면서 염소성분이 제거된 후 수조(24)에 공급되도록 한다.
도 3은 전기분해장치(21)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 전기분해장치는 취수구에 유입되는 해수를 전기분해하는 양극(31) 및 음극(32)과, 양극(31)과 음극(32) 사이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직류전원공급기(33)와, 양극(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양극(31)에 인가되는 전위와 동일한 전위가 인가되는 보조전극(34)과, 보조전극(34)의 전위를 측정하는 계측기(35)와, 계측기(35)에서 계측된 보조전극(34)의 전위값을 기준으로 직류전원공급기(33)에서 양극(31)과 음극(32) 사이에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제어하는 제어수단(36)을 포함한다. 이 전기분해장치의 양극(31)과 음극(32)에 직류전원공급기(33)의 직류전원이 공급되면 해수가 전기분해되어서 해수 취수구에 해양생물이 부착되지 못하도록 방지한다. 전기분해장치의 해양생물 부착 방지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탈염소장치(23)는 활성탄이 충진된 활성탄 충전탑이 바람직하다. 만약, 전기분해장치(21)의 양극에 1.2V 이상의 과전압이 인가되어 전기분해장치에서 염소성분이 생성될 경우, 이 탈염소장치(23)는 해수에 포함된 염소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염소성분이 수조(24) 내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한다. 탈염소장치(23)를 구성하는 활성탄이 유효염소성분을 제거하는 반응식은 반응식 1과 같다.
C + HOCl → C*O + H+ + Cl-
이하에서는, 해양생물 부착 방지장치인 해수 전기분해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발명의 해수 전기분해장치(21)는 수조에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 취수관의 취수구 전면에 장착되어 해수가 이 전기분해장치를 통과한 후 취수관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양극(31)과 음극(32)이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에서, 양극(31)과 음극(32) 사이에 직류전원이 인가되면 해수를 통해 양극(31)으로부터 음극(32)으로 전류 흐름이 형성된다.
양극(31)과 음극(32)은 해수에 적합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이에 합당한 금속 재질로는 티타늄, 탄탈륨, 모넬, 스테인레스스틸 등이 있으며, 해수에 가장 적합한 금속 재질은 티타늄이다. 즉, 양극(31)과 음극(32)은 티타늄 모재에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을 코팅한 것이 바람직한데,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코팅 재질로는 루테륨, 주석, 이리듐, 백금, 로듐, 팔라듐 등의 백금족 귀금속 등이 있으며,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금속을 혼합하여 고온 산화처리하여 코팅한다. 양극(31)을 제작하기 위한 산화전극 촉매로는 백금, 주석, 이리듐을 혼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분해에 필요한 양극(31)의 전위는 보조전극(34)을 기준으로 0.7V 내지 1.2V 인 것이 바람직하다. 양극(31)의 다수의 위치에 다수의 보조전극(34)을 설치하고, 다수의 보조전극(34)의 전위를 각각 측정하여 최대값을 기준으로 양극(31)과 음극(32) 사이에 인가되는 직류전원을 제어한다. 양극(31)에 1.2V 이상의 전위가 인가되면 염소계 살균제가 생성되며, 0.7V 미만에서는 미생물 제거 효율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조전극(34)의 전위가 0.7V 내지 1.2V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양극(31)과 음극(32) 사이에 흐르는 전류는 양극(31)의 전류밀도를 기준으로 0.01 kA/m2 내지 1.2 kA/m2 인 것이 바람직하다. 양극(31)의 전류밀도가 1.2 kA/m2 이상이면 염소가 발생할 수 있고, 0.01 kA/m2 이하이면 미생물 살균 효율이 낮아진다.
이 발명의 다수의 보조전극(34)은 일정한 크기의 선 또는 봉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그 외 임의의 다른 형상으로도 제작할 수 있다. 재질은 해수와 적합성이 있는 모든 금속이 가능한데, 가장 바람직하게는 백금을 도금한 티타늄 봉으로 제작한다.
도 4의 (a)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장치의 양극과 음극과 보조전극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도 4의 (a)와 같이 구성된 양극과 음극 간에 흐르는 전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취수관(40)의 취수구 전면에 취수관(40)의 연장선상에 상기 취수관(40)과 연통하도록 음극(32)과 양극(31)을 순차적으로 장착한다. 양극(31)과 음극(32)은 절연체(41)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해수가 유입되는 관 형상으로서 해수는 양극(31)과 음극(32)을 통해 취수관(40)으로 유입되도록 연결된다. 양극(31)에는 관 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위치에 다수의 보조전극(34a, 34b, 34c)이 설치된다. 이 다수의 보조전극(34a, 34b, 34c)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극(31)과 음극(32) 사이에 직류전원이 인가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31)과 음극(32) 사이에 180도의 전류 흐름각을 갖는 전류 흐름이 형성된다.
다수의 보조전극(34a, 34b, 34c) 중 음극(32)과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보조전극(34a)의 전위는 음극(32)과 먼 위치에 설치된 보조전극(34c)의 전위보다 크다. 계측기는 다수의 보조전극(34a, 34b, 34c)의 전위를 각각 측정하여 제어수단에게 제공하고, 제어수단은 이 중 가장 큰 값을 기준으로 직류전원공급기를 제어하여 양극(31)과 음극(32) 사이에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제어한다.
도 5의 (a)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장치의 양극과 음극과 보조전극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도 5의 (a)와 같이 구성된 양극과 음극 간에 흐르는 전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취수관(40)의 취수구 전면에 수직방향으로 음극(32)이 장착되고, 그 전면에 취수관(40)과 연통되도록 양극(31)이 장착된다. 양극(31)과 음극(32)은 절연체(41)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양극(31)은 해수가 유입되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취수관(40)과 연통되는 음극(32)의 중앙 부분은 그물 형상이고, 그 외 절연체(41)를 통해 양극(31)과 연결되는 음극(32)의 외곽 부분은 플레이트 형상이다. 해수는 양극(31)과 음극(32)의 그물 부분을 통해 취수관(40)으로 유입된다. 양극(31)에는 관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위치에 다수의 보조전극(34a, 34b, 34c)이 설치된다. 이 다수의 보조전극(34a, 34b, 34c)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극(31)과 음극(32) 사이에 직류전원이 인가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31)과 음극(32) 사이에 90도의 전류 흐름각을 갖는 전류 흐름이 형성된다.
다수의 보조전극(34a, 34b, 34c) 중 음극(32)과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보조전극(34a)의 전위는 음극(32)과 먼 위치에 설치된 보조전극(34c)의 전위보다 크다. 계측기는 다수의 보조전극(34a, 34b, 34c)의 전위를 각각 측정하여 제어수단에게 제공하고, 제어수단은 이 중 가장 큰 값을 기준으로 직류전원공급기를 제어하여 양극(31)과 음극(32) 사이에 공급되는 직류전원의 크기를 제어한다.
도 6의 (a)는 이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장치의 양극과 음극과 보조전극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도 6의 (a)와 같이 구성된 양극과 음극 간에 흐르는 전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취수관(40)의 취수구 전면에 수직방향으로 음극(32)이 장착되고, 그 전면에 취수관(40)과 연통되도록 양극(31)이 장착된다. 양극(31)과 음극(32)은 절연체(41)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양극(31)은 해수가 유입되는 관 형상이다. 취수관(40)과 연통되는 음극(32)의 중앙 부분은 그물 형상이고, 그외 절연체(41)를 통해 양극(31)와 연결되는 음극(32)의 외곽 부분은 플레이트 형상이다. 또한, 음 극(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음극봉(32')이 양극(31) 관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해수는 양극(31) 관을 통해 취수관(40)으로 유입된다. 양극(31)에는 관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위치에 다수의 보조전극(34a, 34b, 34c)이 설치된다. 이 다수의 보조전극(34a, 34b, 34c)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극(31)과 음극(32) 즉, 음극봉(32') 사이에 직류전원이 인가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31)과 음극봉(32') 사이에 0도의 전류 흐름각을 갖는 전류 흐름이 형성된다. 계측기는 다수의 보조전극(34a, 34b, 34c)의 전위를 각각 측정하여 제어수단에게 제공하고, 제어수단은 이 중 가장 큰 값을 기준으로 직류전원공급기를 제어하여 양극(31)과 음극(32) 즉, 음극봉(32') 사이에 공급되는 직류전원의 크기를 제어한다.
[이 발명의 적용예]
장치 및 운전조건
(1) 전기분해장치의 양극 : 직경 100mm의 관, 길이 20cm
(2) 전기분해장치의 음극 : 직경 100mm의 티타늄 관, 길이 20cm
(3) 보조전극 : 직경 5mm의 백금도금 티타늄 봉, 3개 균등 간격으로 설치
(4) 설치방법 : 도 4
(5) 운전조건 : 전류밀도 0.2 kA/m2, 25℃, 양극의 전위 1.2V 내외
운전장소
마산 앞바다에서 해양생물 부착 방지장치가 설치된 경우와 설치하지 않은 경우를 비교 실험하였다.
결과
(1) 이 발명에 의해 해수를 전기분해하더라도 해수의 물성 변화(특히 염소 발생량 등의 변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 발명을 통과한 해수의 물성을 표 1에 정리한다.
분석항목 단위 분석치 수질기준
pH 8.2 7.5 ~ 8.5
전기전도도 μS/cm 46,900
용존산소 6.8 6-10
Cl- 19,000 18,000 ~ 22,000
COD 1.8 4 미만
잔류염소 0.05
전경도 ppm 7,100
Ca ppm CaCO3 430
Mg ppm 1,500
(2) 양극의 전극 전위를 1.2V로 유지하면서 해양생물 부착 방지장치의 전기화학 반응기의 운전전류를 측정, 이를 다시 전류밀도로 환산하여 도 7에 도시한다. 그 결과 장기간 매우 안정적으로 전기분해장치가 제어됨을 확인할 수 있다.
(3) 약 3개월의 운전을 계속한 후, 부착된 해양생물의 중량을 계측한다. 이 발명에 따른 해양생물 부착 방지장치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양한 해양생물이 다량(약 6kg) 부착되어 있었다. 한편, 이 발명에 따른 해양생물 부착 방지장치를 설치한 경우에는 해양생물이 부착되지 않았다.
효과
이 실험을 통해 이 발명에 따른 해양생물 부착 방지장치에 의한 해양생물 부착 방지 효과가 매우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해양생물 부착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수공급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취수구에 해양생물이 부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이 발명에 따라 수조에 해수를 공급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이 발명에 따른 전기분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의 (a)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장치의 양극과 음극과 보조전극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도 4의 (a)와 같이 구성된 양극과 음극 간에 흐르는 전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5의 (a)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장치의 양극과 음극과 보조전극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도 5의 (a)와 같이 구성된 양극과 음극 간에 흐르는 전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6의 (a)는 이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장치의 양극과 음극과 보조전극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도 5의 (a)와 같이 구성된 양극과 음극 간에 흐르는 전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이 발명에 따른 해양생물 부착 방지장치의 운전상태에서 시간에 따른 전류밀도 측정값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Claims (28)

  1. 해수 취수구 전면의 취수관과 연통하고 해수가 통과하는 관 형상의 양극과,
    상기 양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상기 양극과 상기 해수 취수구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양극을 통해 상기 해수 취수구로 유입되는 해수를 전기분해하는 음극과,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직류전원공급기와,
    상기 양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양극에 인가되는 전위와 동일한 전위가 인가되는 보조전극과,
    상기 보조전극의 전위를 측정하는 계측기와,
    상기 계측기에서 계측된 상기 보조전극의 전위가 일정한 범위의 전위값을 유지하도록 상기 직류전원공급기에서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부착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보조전극의 전위가 0.7V ~ 1.2V가 되도록 상기 직류전원공급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부착 방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은 티타늄, 탄탈륨, 모넬, 스테인레스스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상기 티타늄 모재에 루테륨, 주석, 이리듐, 백금, 로듐, 팔라듐을 포함한 백금족 귀금속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부착 방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은 티타늄, 탄탈륨, 모넬, 스테인레스스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상기 티타늄 모재에 루테륨, 주석, 이리듐, 백금, 로듐, 팔라듐을 포함한 백금족 귀금속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부착 방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양극의 전류밀도가 0.01 kA/m2 ~ 1.0 kA/m2가 되도록 상기 직류전원공급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부착 방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전극은 백금을 도금한 티타늄 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부착 방지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의 서로 다른 위치에 다수의 보조전극이 설치되고, 상기 계측기는 상기 다수의 보조전극의 전위를 측정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다수의 보조전극의 전위값 중 최대값을 기준으로 상기 직류전원공급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부착 방지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은 상기 취수관과 연통하고 해수가 통과하는 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부착 방지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은 상기 양극의 관 길이방향에 수직한 플레이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부착 방지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양극의 관 중심을 관통하는 음극봉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부착 방지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의 관 길이 방향으로 상기 음극과의 거리가 다른 다수의 위치에 다수의 보조전극이 설치되는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부착 방지장치.
  14. 해수를 전기분해하여 해수 취수구에 해양생물이 부착되지 못하도록 하는 전기분해장치와, 상기 전기분해장치를 통과한 해수에 포함된 유효염소성분을 제거하는 탈염소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분해장치는 해수 취수구 전면의 취수관과 연통하고 해수가 통과하는 관 형상의 양극과, 상기 양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상기 양극과 상기 해수 취수구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양극을 통해 상기 해수 취수구로 유입되는 해수를 전기분해하는 음극과,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직류전원공급기와, 상기 양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양극에 인가되는 전위와 동일한 전위가 인가되는 보조전극과, 상기 보조전극의 전위를 측정하는 계측기와, 상기 계측기에서 계측된 상기 보조전극의 전위가 일정한 범위의 전위값을 유지하도록 상기 직류전원공급기에서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공급장치.
  15. 삭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보조전극의 전위가 0.7V ~ 1.2V가 되도록 상기 직류전원공급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공급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은 티타늄, 탄탈륨, 모넬, 스테인레스스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상기 티타늄 모재에 루테륨, 주석, 이리듐, 백금, 로듐, 팔라듐을 포함한 백금족 귀금속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공급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은 티타늄, 탄탈륨, 모넬, 스테인레스스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상기 티타늄 모재에 루테륨, 주석, 이리듐, 백금, 로듐, 팔라듐을 포함한 백금족 귀금속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공급장치.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양극의 전류밀도가 0.01 kA/m2 ~ 1.0 kA/m2가 되도록 상기 직류전원공급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공급장치.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전극은 백금을 도금한 티타늄 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공급장치.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의 서로 다른 위치에 다수의 보조전극이 설치되고, 상기 계측기는 상기 다수의 보조전극의 전위를 측정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다수의 보조전극의 전위값 중 최대값을 기준으로 상기 직류전원공급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공급장치.
  22. 삭제
  23. 삭제
  24.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은 상기 취수관과 연통하고 해수가 통과하는 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공급장치.
  2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은 상기 양극의 관 길이방향에 수직한 플레이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공급장치.
  2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양극의 관 중심을 관통하는 음극봉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공급장치.
  2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의 관 길이 방향으로 상기 음극과의 거리가 다른 다수의 위치에 다수의 보조전극이 설치되는 특징으로 하는 해수공급장치.
  2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탈염소장치는 활성탄 충전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공급장치.
KR1020080123364A 2008-12-05 2008-12-05 해양생물 부착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수공급장치 KR101054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364A KR101054233B1 (ko) 2008-12-05 2008-12-05 해양생물 부착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수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364A KR101054233B1 (ko) 2008-12-05 2008-12-05 해양생물 부착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수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768A KR20100064768A (ko) 2010-06-15
KR101054233B1 true KR101054233B1 (ko) 2011-08-08

Family

ID=42364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3364A KR101054233B1 (ko) 2008-12-05 2008-12-05 해양생물 부착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수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42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026B1 (ko) * 2011-10-14 2014-10-31 (주)엘켐텍 열교환기용 생물 부착 방지 겸용 슬라임 제거장치
KR101647282B1 (ko) * 2015-03-18 2016-08-16 주식회사 오션 해양 취수관의 해양생물 부착방지장치
KR101993601B1 (ko) * 2017-11-15 2019-06-27 김홍기 전기분해방식에 의한 선박용 미생물 살균 장치
KR102492246B1 (ko) * 2020-08-31 2023-01-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조제거 및 과염소산염 제어를 위한 복합 수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CN114573156A (zh) * 2022-03-16 2022-06-03 苏晓亮 具有自清理功能的防海生物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1448A (ko) * 1997-04-16 1998-11-25 요코야마시게미츠 산성수 및 알칼리수 생산용 전해조
JPH10328664A (ja) * 1997-06-02 1998-12-15 Toto Ltd 電解装置
JP2003138539A (ja) * 2001-10-31 2003-05-14 Toshiba Corp 海生物の付着防止装置およびその運用方法
JP2006289298A (ja) * 2005-04-13 2006-10-26 Ase:Kk 水処理方法および水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1448A (ko) * 1997-04-16 1998-11-25 요코야마시게미츠 산성수 및 알칼리수 생산용 전해조
JPH10328664A (ja) * 1997-06-02 1998-12-15 Toto Ltd 電解装置
JP2003138539A (ja) * 2001-10-31 2003-05-14 Toshiba Corp 海生物の付着防止装置およびその運用方法
JP2006289298A (ja) * 2005-04-13 2006-10-26 Ase:Kk 水処理方法および水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768A (ko) 201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16949B2 (ja) 電気化学的殺菌及び制菌方法
JP3364518B2 (ja) 廃水処理法
JP5595213B2 (ja) 殺菌水製造装置および殺菌水の製造方法
JP4457404B2 (ja) 養液栽培用培養液の調整方法
KR101054233B1 (ko) 해양생물 부착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수공급장치
KR20100014467A (ko) 전기화학 셀 및 그 작동 방법
WO2009129670A1 (zh) 一种利用微电流电解灭菌除藻的装置和方法
CN108602698A (zh) 利用电流对废水进行净化和消毒的装置的改进的结构
JP2982021B2 (ja) 液体の中に浸された構造体の表面に微生物が成長するのを抑制する方法
CA2012435A1 (en) Halogen generation
JP4552219B2 (ja) 養液栽培用培養液の調整方法及び微量要素の供給方法
DE602004008584T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lektrochemischen wasserdesinfektion
JP5011084B2 (ja) 水中の微生物を殺減する装置及び水中の微生物を殺減する方法
JP4098617B2 (ja) 殺菌方法
JP2006289304A (ja) 電気化学的水処理電極ユニット、電気化学的水処理電極構造体及び電気化学的水処理装置
KR101065278B1 (ko) 해수의 살균방법 및 살균장치
KR20060061253A (ko) 김의 잡조 구제 및 병해 방제를 위한 김 처리 방법 및 김처리제
KR101070866B1 (ko) 전기분해 및 플라즈마 방전을 이용한 차아염소산소다 생성 장치
KR100284282B1 (ko) 음식물찌꺼기의 탈염 및 살균처리장치
JP2005279417A (ja) 電気化学的水処理装置
JP3583608B2 (ja) 電気分解殺菌装置及び電気分解殺菌方法
JP3518779B2 (ja) 水槽水の消毒装置
JP6896259B1 (ja) 殺菌洗浄水製造装置及び殺菌洗浄水製造方法
KR102008396B1 (ko) 살균 지속형 소독수 생산 시스템
JP2008272744A (ja) 循環水制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