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3184B1 - 도로용 경계블록 - Google Patents

도로용 경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184B1
KR101053184B1 KR1020100085642A KR20100085642A KR101053184B1 KR 101053184 B1 KR101053184 B1 KR 101053184B1 KR 1020100085642 A KR1020100085642 A KR 1020100085642A KR 20100085642 A KR20100085642 A KR 20100085642A KR 101053184 B1 KR101053184 B1 KR 101053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ynthetic resin
block body
master b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운직
박상용
Original Assignee
양권철
박상용
이운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권철, 박상용, 이운직 filed Critical 양권철
Priority to KR1020100085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1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2Raised kerbs, e.g. for sidewalks ; Integrated or portable means for facilitating ascent or desc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7/00Pavement lights, i.e. translucent constructions forming part of th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1Kerbs

Landscapes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용 경계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 톱밥, 규사 및 마스터배치로 이루어진 사각기둥 형상의 블록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경계블록은 합성수지, 톱밥, 규사 및 마스터배치로 형성되어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도로용 경계블록 {BOUNDARY BLOCK FOR ROAD}
본 발명은 도로용 경계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 톱밥, 규사 및 마스터배치로 이루어진 사각기둥 형상의 블록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도로용 경계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 톱밥, 규사 및 마스터배치로 이루어진 사각기둥 형상의 블록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각종 인도 및 차도 등의 경계부에 사용되는 도로용 경계블록은 주로 인조 화강석이나 혹은 콘크리트로서 제공되며, 통상의 금속재 가드레일과 마찬가지로 차량 및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설치된다.
이때, 경계석의 단조로운 외관에 변화를 주거나 혹은 위험표시 및 위치(방향)표시를 위해 주로 경사면이나 강 및 해안가 또는 급 커브길 등에 설치되는 경계석에는 형광물질을 이용하여 운전자나 보행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던 도로용 경계블록은 화강석이나, 콘크리트로 형성되어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설치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며, 경계블록에 차량 등이 충돌할 경우, 충격흡수율이 매우 낮아 차량에 피해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형광물질로 형성된 표식은 단순히 경계석의 전면부에 형광 페인트를 이용하여 색채를 입힌 것으로서 장기간의 사용에 따라 외부의 충격이나 긁힘 또는 차량의 매연가스, 산성비 및 자외선 등에 의해 색채의 선명도가 급격히 약화되는 것임은 물론 변색되거나 도색이 박리됨으로 제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였으며, 위와 같은 외관의 불량으로 인해 도시미관을 현저히 해치는 결과를 수반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수지, 톱밥, 규사 및 마스터배치로 형성된 블록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우수한 도로용 경계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외선안정제, 산화방지제 및 불소계 첨가제가 함유된 마스터 배치를 사용하여 매연가스, 산성비 및 자외선에 강한 물성을 나타내며, 성형성이 우수한 도로용 경계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란으로 코팅된 유리분쇄물로 반사층을 형성하여, 광반사 효율이 우수하며, 반사층의 박리 발생률이 현저히 낮은 도로용 경계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수지, 톱밥, 규사 및 마스터배치로 이루어진 사각기둥 형상의 블록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로용 경계블록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블록본체는 합성수지 30 내지 35 중량부, 톱밥 30 내지 35 중량부, 규사 30 내지 35 중량부 및 마스터배치 0.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마스터배치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진 합성수지 100 중량부에 안료 10 내지 20 중량부, 자외선안정제 0.5 내지 10 중량부, 산화방지제 0.5 내지 10 중량부 및 불소계 첨가제 0.5 내지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불소계 첨가제는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사각기둥 형상의 블록본체의 상부면과 차로측 노출면에는 반사층이 더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반사층은 1 내지 2 밀리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유리분쇄물 10 내지 15 중량부의 외표면에 실란 25 내지 30 중량부를 코팅하여 형성된 유리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경계블록은 합성수지, 톱밥, 규사 및 마스터배치로 형성된 블록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우수한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자외선안정제, 산화방지제 및 불소계 첨가제가 함유된 마스터 배치를 사용하여 매연가스, 산성비 및 자외선에 강한 물성을 나타내며, 성형성이 우수한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실란으로 코팅된 유리분쇄물로 반사층을 형성하여, 광반사 효율이 우수하며, 반사층의 박리 발생률이 현저히 낮은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경계블록의 제조에 사용되는 블록본체를 나타낸 사시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층이 형성된 도로용 경계블록을 나타낸 사시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경계블록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경계블록은 합성수지, 톱밥, 규사 및 마스터배치로 이루어진 사각기둥 형상의 블록본체(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블록본체(10)는 사각기둥 형상의 본체로, 네 개의 긴 모서리가 형성되는데, 네 개의 긴 모서리 중에서 한 개는 모서리가 완만한 곡선형을 띠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네 개의 모서리 중 한 개의 모서리가 완만한 곡선형을 띠고 있을 경우에는 완만한 곡선형 모서리가 보도나 차로에 접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블록본체(10)는 합성수지(12), 톱밥(13), 규사(11) 및 마스터배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때, 합성수지(12)는 30 내지 35 중량부, 톱밥(13)은 30 내지 35 중량부, 규사(11)는 30 내지 35 중량부 및 마스터배치는 0.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합성수지(12)는 30 내지 35 중량부가 첨가되며,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전술한 도로용 경계블록(1)에 첨가되어 전술한 톱밥(13), 규사(11) 및 마스터배치를 물리적으로 결합하는 바인더의 역할을 하며, 도로용 경계블록(1)의 중량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톱밥(13)은 30 내지 35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톱밥(13)은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전술한 합성수지와 결합하면 합성수지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켜 도로용 경계블록(1)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규사(11)는 30 내지 35 중량부가 첨가되며, 전술한 도로용 경계블록(1)의 물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도로용 경계블록(1)의 무게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여, 시공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마스터배치는 0.5 내지 1.5 중량부가 첨가되며,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진 합성수지 100 중량부에 안료 10 내지 20 중량부, 자외선안정제 0.5 내지 10 중량부, 산화방지제 0.5 내지 10 중량부 및 불소계 첨가제 0.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마스터 배치는 전술한 도로용 경계블록(1)이 일정한 색을 갖도록 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 안정제, 산화방지제 및 불소계첨가제가 함유되어 매연가스, 산성비 및 자외선에 강한 물성을 갖는다.
이때, 전술한 자외선 안정제 및 산화방지제는 고분자화합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불소계 첨가제는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불소계 첨가제는 불소 성분을 함유하기 때문에 내약품성이나 내후성을 양호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0.5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면 충분한 가공조제로서의 역할을 기대하기 어렵고,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도료용 경계블록의 제조원가를 향상시키게 된다.
전술한 블록본체(10)는 전술한 합성수지(12)를 가열하여 용융하고, 용융된 합성수지(12)에 톱밥(13) 및 규사(11)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혼합물을 금형에 투입하고 성형한 후에 상온으로 냉각하여 제조된다.
전술한 블록본체(10)의 상부면과 차로측 노출면에는 반사층(20)이 더 형성될수도 있는데, 전술한 반사층(20)은 전술한 블록본체(10)의 상부면과 도로측 노출면에 1 내지 2 밀리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유리분쇄물(21a) 10 내지 15 중량부의 외표면에 실란(21b) 25 내지 30 중량부를 코팅하여 형성된 유리조성물(2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전술한 유리조성물(21)은 직경이 150 내지 1000 마이크로미터인 유리분쇄물(21a) 10 내지 15 중량부에 실란(21b) 25 내지 30 중량부를 두 번에 나눠서 코팅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성분으로 이루어진 반사층(20)은 반사효율이 우수한 유리조성물(21)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유리조성물(21)은 유리분쇄물(21a)의 표면에 실란(21b)을 코팅하여 이루어지며, 실란(21b) 성분은 블록본체(10)를 구성하는 합성수지 성분과의 결합력이 우수하여, 반사층(20)의 박리 발생률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경계블록의 제조방법 및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실시예 1>
폴리프로필렌 33 중량부에 마스터배치 1 중량부를 투입하고 가열하여 폴리프로필렌과 마스터배치를 용융한 후에, 톱밥 33 중량부 및 규산 33 중량부를 투입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금형에 투입한 후에 성형하고, 상온으로 냉각하여 단위중량이 2.0인 도로용 경계블록을 제조하였다.
(단, 전술한 마스터배치는 폴리염화비닐 100 중량부, 안료 15 중량부, 자외선안정제 5 중량부, 산화방지제 5 중량부 및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와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공중합체 5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폴리염화비닐을 사용하여 단위중량이 2.0인 도로용 경계블록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 단위중량이 2.0인 도로용 경계블록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을 통해 제조된 도로용 경계블록의 강도를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도로용 경계블록의 강도는 슈미트 해머로 콘크리트 표면을 타격하여 해머의 반발 정도로 강도를 측정하는 슈미트해머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표 1>
Figure 112010056923639-pat00001
위에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도로용 경계블록은 콘크리트로 제조된 종래에 도로용 경계블록에 비해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유리분쇄물을 실란으로 코팅하여 형성된 유리조성물로 반사층을 형성하여, 광반사 효율이 우수하며 반사층의 박리 발생률이 현저히 낮은 효과를 나타낸다.
1 ; 도로용 경계블록 10 ; 블록본체
11 ; 규사 12 ; 합성수지 13 ; 톱밥
20 ; 반사층 21 ; 유리조성물
21a ; 유리분쇄물 21b ; 실란

Claims (7)

  1. 합성수지 30 내지 35 중량부, 톱밥 30 내지 35 중량부, 규사 30 내지 35 중량부 및 마스터배치 0.5 내지 1.5 중량부로 이루어진 사각기둥 형상의 블록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마스터배치는 상기 마스터배치는 합성수지 100 중량부에 안료 10 내지 20 중량부, 자외선안정제 0.5 내지 10 중량부, 산화방지제 0.5 내지 10 중량부 및 불소계 첨가제 0.5 내지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불소계 첨가제는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블록본체의 상부면과 차로측 노출면에는 반사층이 더 형성되며,
    상기 반사층은 1 내지 2 밀리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유리분쇄물 10 내지 15 중량부의 외표면에 실란 25 내지 30 중량부를 코팅하여 형성된 유리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경계블록.
  2. 삭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경계블록.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00085642A 2010-09-01 2010-09-01 도로용 경계블록 KR101053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642A KR101053184B1 (ko) 2010-09-01 2010-09-01 도로용 경계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642A KR101053184B1 (ko) 2010-09-01 2010-09-01 도로용 경계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3184B1 true KR101053184B1 (ko) 2011-08-03

Family

ID=44932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642A KR101053184B1 (ko) 2010-09-01 2010-09-01 도로용 경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31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779B1 (ko) * 2012-10-24 2013-05-09 주식회사 휴트리 친환경 도로 경계석 및 그 시공방법
KR101865513B1 (ko) * 2017-09-28 2018-06-07 이윤근 Led가 내장된 합성수지 경계석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2913A (ja) 2001-01-15 2002-07-31 Heihachi Hayashi 路面設置ブロック
KR100374000B1 (ko) * 1999-10-25 2003-02-26 한국토지공사 도로에 설치된 지주바의 지지용 기초 보호판
KR200401214Y1 (ko) * 2005-09-02 2005-11-15 양영규 도로 경계석
KR200406879Y1 (ko) * 2005-09-21 2006-01-24 김인균 건성 윤활판이 부착된 도로 경계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000B1 (ko) * 1999-10-25 2003-02-26 한국토지공사 도로에 설치된 지주바의 지지용 기초 보호판
JP2002212913A (ja) 2001-01-15 2002-07-31 Heihachi Hayashi 路面設置ブロック
KR200401214Y1 (ko) * 2005-09-02 2005-11-15 양영규 도로 경계석
KR200406879Y1 (ko) * 2005-09-21 2006-01-24 김인균 건성 윤활판이 부착된 도로 경계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779B1 (ko) * 2012-10-24 2013-05-09 주식회사 휴트리 친환경 도로 경계석 및 그 시공방법
KR101865513B1 (ko) * 2017-09-28 2018-06-07 이윤근 Led가 내장된 합성수지 경계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256B1 (ko) 친환경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계 미끄럼방지 그루빙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그루빙 시공방법
KR101022197B1 (ko)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
KR100856420B1 (ko) 차열성을 갖는 도로 미끄럼방지용 바인더
KR101311704B1 (ko) 시인성이 우수한 상온경화형 차선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시공방법
KR102159619B1 (ko) 젖은 노면에서 재귀반사성이 우수한 노면 표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노면 표지
SA517380924B1 (ar) ختم راتنجي تفاعلي لعلامات بلاستيكية باردة منخفضة التلوث
KR102145049B1 (ko) Pva 섬유를 혼입한 mma계 미끄럼 방지 포장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도막 및 시공방법
KR101053184B1 (ko) 도로용 경계블록
KR101037033B1 (ko)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횡단보도 및 과속방지턱 제조용 도로노면 표시 조성물
KR101863902B1 (ko) 내마모성, 미끄럼방지 성능 및 접착강도가 우수한 미끄럼방지포장재 제조방법, 그 제조방법에 의한 미끄럼포장재 및 그 미끄럼방지포장재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798894B1 (ko) 원형 돌출부 형성을 위한 2액형 상온경화형 플라스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 시공방법
KR100858900B1 (ko) 용융형 도로표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줄무늬형 기능성도로표지선의 시공 방법
KR20200032392A (ko) 미끄럼방지용 아크릴계 도료
KR101398427B1 (ko) 미끄럼 방지 및 시인성이 우수한 합성목재 및 그의 제조방법
EP3060616A1 (en) Waterborne latex paint compositions for highway marking
KR102335507B1 (ko) 향상된 차열성능을 갖는 도로포장용 친환경 초속경성 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시공방법
KR102344795B1 (ko) 차선 그루빙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2278746B1 (ko) 내균열성 열가소성 도로 표지
KR102323323B1 (ko) 우천시 야간 시인성이 향상된 도로 경계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2049801B1 (ko) 미끄럼 방지층용 혼합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층의 적층구조
KR102450512B1 (ko) 미끄럼방지용 도로포장 조성물 및 시공방법
KR101726430B1 (ko) 방초매트 고정링
KR20200097898A (ko) 미끄럼 방지 조성물
KR101200501B1 (ko) 투수성을 갖고 온도 저감 효과를 갖는 수지계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시공 방법
KR101255147B1 (ko) 차열성 포장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