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561B1 - 장력감지시스템을 이용한 침입위치감지시스템 - Google Patents

장력감지시스템을 이용한 침입위치감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2561B1
KR101052561B1 KR1020110021890A KR20110021890A KR101052561B1 KR 101052561 B1 KR101052561 B1 KR 101052561B1 KR 1020110021890 A KR1020110021890 A KR 1020110021890A KR 20110021890 A KR20110021890 A KR 20110021890A KR 101052561 B1 KR101052561 B1 KR 101052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unit
intrusion
collection lin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용석
김종형
Original Assignee
지티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비(주) filed Critical 지티비(주)
Priority to KR1020110021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5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2Mechanical actuation by the breaking or disturbance of stretched cords or wires
    • G08B13/122Mechanical actuation by the breaking or disturbance of stretched cords or wires for a perimeter fe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력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유의 개별 식별정보를 가지는 장력감지기에 의해 침입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장력감지시스템을 이용한 침입위치감지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섹션을 구성하는 고정 기둥 사이에서 수평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장력선과 상기 고정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감지기 기둥과 상기 감지기 기둥에 고정되고 상기 장력선과 수직으로 결선되어 상기 장력선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상하로 움직이는 수집선을 포함하는 펜스의 상기 장력선의 장력 변화를 검지하여 침입을 모니터링 하는 장력감지시스템을 이용한 침입위치감지시스템에 있어서, 고유의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섹션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장력선의 장력 변화 감지 시 상기 고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침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장력 감지기와, 상기 침입 감지 신호를 수신 받아 포함되어 있는 식별정보에 의해 상기 침입 감지 신호를 송신한 장력 감지기가 설치된 섹션정보를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섹션 위치 검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장력감지시스템을 이용한 침입위치감지시스템{Intrusion position detecting system using tension detection system}
본 발명은 장력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유의 개별 식별정보를 가지는 장력감지기에 의해 침입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장력감지시스템을 이용한 침입위치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펜스는 특정 지역의 영역 내에 설치된 시설에서 동물 및 사람이 임의로 벗어나거나 상기 시설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영역의 경계에 설치된다. 상기 시설로는 국가 주요기관, 주요산업시설, 보호 대상 시설 및 동물원 및 가축 방목 시설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펜스만 설치된 경우 동물 및 사람 등의 침입자가 펜스를 훼손한 후 침입할 수 있다. 펜스를 훼손해도 상기 시설의 관리자는 직접 순찰 등을 통해 확인하기 전에는 알 수 없으므로 상기 훼손된 펜스 부분을 통해 지속적인 침입이 발생할 수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펜스에는 침입자의 침입을 감지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통지해 주는 장력감지시스템이 설치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장력감지시스템이 설치되는 펜스는 일정 간격으로 땅에 고정되는 고정 기둥들과, 상기 고정 기둥들 사이에서 땅에 고정되는 감지기 기둥들과, 상기 고정 기둥들 사이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장력선과, 상기 감지기 기둥들 각각에 평행하고 상기 장력선에 수직하도록 상기 감지기 기둥에 고정되는 수집선과 상기 장력선과 수집선이 수직으로 만나는 위치에서 상기 장력선과 수집선을 고정하는 팝디스크(Pop Disk)부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펜스에서 고정 기둥과 고정 기둥 사이를 섹션(Section)이라고 하며, 상기 섹션들 N 개를 섹터(Sector)라 한다.
그리고 장력감지시스템은 상기 감지기 기둥에 설치되어 장력의 변화 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장력 감지기와, 상기 장력 감지기로부터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송신하는 로컬부와, 상기 감지 신호를 수신 받아 펜스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중앙통제부로 구성된다.
상기 장력 감지기는 상기 섹션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고 섹터 단위로 병렬로 연결되어 해당 섹션 내의 펜스의 장력 변화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로컬부는 섹터단위에 설치된 장력 감지기들 중 임의의 장력 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중앙통제부로 통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로컬부는 섹터단위로 장력 감지기의 구분없이 감지신호를 특정 포트를 통해 입력받고 입력된 포트에 의한 섹터를 구분하여 중앙통제부로 통지한다. 따라서 펜스 관리자는 넓은 지역을 커버하는 섹터만 식별할 수 있으므로 침입에 대한 빠른 대응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유의 개별 식별정보를 가지는 장력감지기에 의해 침입이 감지된 섹션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장력감지시스템을 이용한 침입위치감지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력선의 장력 변화를 민감하고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는 장력 감지기를 구비하는 장력감지시스템을 이용한 침입위치감지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력감지시스템을 이용한 침입위치감지시스템은; 섹션을 구성하는 고정 기둥 사이에서 수평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장력선과 상기 고정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감지기 기둥과 상기 감지기 기둥에 고정되고 상기 장력선과 수직으로 결선되어 상기 장력선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상하로 움직이는 수집선을 포함하는 펜스의 상기 장력선의 장력 변화를 검지하여 침입을 모니터링 하는 장력감지시스템을 이용한 침입위치감지시스템에 있어서, 고유의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섹션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장력선의 장력 변화 감지 시 상기 고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침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장력 감지기와, 상기 침입 감지 신호를 수신 받아 포함되어 있는 식별정보에 의해 상기 침입 감지 신호를 송신한 장력 감지기가 설치된 섹션정보를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섹션 위치 검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섹션 위치 검출부는, 상기 감지기의 식별정보별 섹션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침입 감지 신호를 수신받아 포함되어 있는 식별정보에 의해 상기 침입 감지 신호를 송신한 장력 감지기가 설치된 섹션정보를 포함하는 침입 감지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로컬부와, 상기 광신호로부터 상기 침입 감지 신호의 섹션정보를 검출하여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중앙통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력 감지기는,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되는 공간부와, 외측에서 상기 내측 공간부로 관통되는 연결 홀과 상기 연결 홀에 대응하는 상기 공간부에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집선이 상기 연결 홀 상부를 지나도록 상기 감지기 기둥에 고정되는 본체부와; 상기 연결 홀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장력선의 흔들림에 의한 상기 수집선의 상하 이동을 감지하는 제1압전센서와 제2압전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압전센서들을 통해 상기 장력선의 장력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섹션 위치 검출부로 침입 감지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회로부가 구성되는 기판과; 마운트 홀을 포함하여 상기 연결 홀과 상기 기판의 제1압전센서 및 제2압전센서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본체부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본체부의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서포트와, 상기 수집선을 가이드 및 고정하고 상기 수집선에 대해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기 마운트 홀에 삽입되고 상기 서포트와 축 결합되어 상기 수집선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압전센서 및 제2압전센서에 압력을 가하는 와이어 마운트를 포함하는 장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 마운트부는, 상기 수집선을 가이드 및 고정하는 수집선 가이드부와, 상기 수집선 가이드부에 수직이 되도록 상기 수집선 가이드부의 하부에 구성되고 상기 서포트의 마운트 홀에 관통되도록 삽입되고, 샤프트에 의해 축 결합되어 상기 수집선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압전센서 및 제2압전센서에 압력을 가하는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회로부는, 상기 제1 및 제2압전 센서와, 상기 제1및 제2압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증폭하는 신호 증폭부와, 상기 증폭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인 침입 감지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와, 상기 침입 감지 신호를 미리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중앙통제부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장력 감지기가 고유의 식별정보(ID)를 가지므로 식별정보 별로 맵핑되어 있는 섹션정보에 의해 침입이 발생한 구체적인 섹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관리자가 침입 감지에 대한 빠른 대처를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펜스의 훼손에 의한 장력 변화 감지 시에도 보다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있으므로 관리자가 빠른 대처를 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펜스관리를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장력선에 수직하도록 장력선과 결선되는 수집선의 동작에 민감하고 정밀하게 반응하는 장력 감지기를 적용하므로 장력선의 장력 변화를 보다 민감하고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력감지시스템을 이용한 침입위치감지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감지시스템의 장력 감지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3의 장력 감지기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감지시스템의 장력 감지기의 설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 감지기의 통신 회로부의 전기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력감지시스템을 이용한 침입위치감지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력감지시스템을 이용한 침입위치감지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감지시스템의 장력 감지기의 설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침입위치감지시스템은 장력 감지기(100)와 섹션 위치 검출부(400)를 포함한다.
장력 감지기(100)는 고유의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고정 기둥(7)들 사이의 영역인 섹션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섹션 내 펜스(6)의 장력선(2)의 장력 변화를 상기 장력선(2)과 팝 디스크(4)에 의해 수직으로 결선되는 수집선(3)을 통해 감지한다. 펜스(6)의 장력선(2)의 장력 변화가 감지되면 장력 감지기(100)는 자신의 고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침입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한다. 상기 장력 감지기(100)는 도 4와 같이 감지기 기둥(1)의 중간부근에서 수집선(3)이 상기 수집선 가이드부(131)에 의해 가이드 될 수 있도록 고정된다. 상기 장력 감지기(100)는 감지기 기둥(1)에 고정되는 고정 베이스(41)와 상기 장력 감지기(100)를 보호하고 상부나 하부로 이동되지 않도록 감싸고 상기 고정 베이스(41)에 볼트-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감지기 커버(42)를 포함하는 커버부(4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장력 감지기(100)는 자체에 감지기 기둥(1)에 나사 결합 및 볼트-너트 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감지기 기둥(1)에 고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섹션 위치 검출부(400)는 상기 침입 감지 신호를 수신 받고, 상기 침입 감지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장력 감지기(100)의 고유 식별정보에 의해 섹션 위치를 판단하고, 장력 변화에 의해 침입이 감지된 섹션의 위치를 디스플레이 화면 및 경보음을 통해 알려준다.
섹션 위치 검출부(4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섹션 위치 검출부(400)는 로컬부(200)와 중앙통제부(300)로 구성된다.
로컬부(200)는 장력 감지기(100)들 각각의 고유 식별정보와 상기 고유 식별정보를 가지는 장력 감지기(100)들 각각이 설치된 섹션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고 장력 감지기(100)로부터 침입 감지 신호 수신 시 상기 침입 감지 신호에 포함된 고유 식별정보를 가지는 장력 감지기(100)의 섹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침입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프로세싱 유닛(210)과 상기 침입 감지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광통신부(220)를 포함한다.
중앙통제부(300)는 상기 광신호로부터 섹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침입 감지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광통신부(310)와 상기 침입 감지 신호에 의해 경보를 발생하고 상기 침입 감지를 통지하는 알람 수신 유닛(Alarm Receive Unit: ARU)(320)과, 상기 침입 감지 통지를 받아 해당 섹션 위치 정보 등을 표시하여 관리자에게 보여주는 중앙 서버(330)를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로서, 로컬부(200)는 고유 식별정보들 및 고유 식별정보들 각각에 대한 섹션 위치 정보를 가지지 않고 중앙통제부(300)에서 관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로컬부(200)는 수신되는 침입 감지 신호를 그대로중앙통제부(3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중앙통제부(300)는 침입 감지 신호에 포함된 고유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섹션 위치를 찾아 관리자에게 통지하도록 구성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감지시스템의 장력 감지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3의 장력 감지기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력 감지기(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장력 감지기(100)는 본체부(10)와 기판(20)과 장력 전달부(101)를 포함한다.
본체부(10)는 원통형상, 또는 육각 기둥형상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하측이 개방된 공간부(13)가 형성되며, 수집선(3)이 지나갈 위치에 상기 공간부(13)와 외부가 관통되는 연결 홀(12)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 홀(12)을 통해 상기 공간부(13) 내측으로 상기 장력 전달부(101)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11)를 구비한다.
기판(20)은 상기 연결 홀(12)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장력선(2)의 흔들림에 의한 상기 수집선(3)의 상하 이동을 감지하는 제1압전센서(31-1)와 제2압전센서(31-2)를 포함하여 상기 장력선(2)의 장력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섹션 위치 검출부(400)로 장력 감지기의 고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침입 감지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회로부(30)를 포함한다.
장력 전달부(101)는 서포트(110)와 샤프트(120)와 와이어 마운트(130)를 포함하여 수집선(3)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압전센서들(31-1, 31-2)을 교번하여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서포트(110)는 나사결합에 의해 본체부(10)의 고정부(11)에 고정되는 고정 홀(111)과 상기 본체부(10)의 연결 홀(12)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마운트 홀(112)과 상기 마운트 홀(112)에 수직하도록 관통되는 샤프트 홀(113)을 포함한다.
와이어 마운트(130)는 수집선(3)을 가이드 하는 수집선 가이드홈(132)과 상기 수집선 가이드 홈(132)을 통해 가이드 되는 수집선(3)을 나사 등으로 고정하기 위한 수집선 고정부재(133)를 포함하는 수집선 가이드부(131)와, 상기 수집선 가이드부(131)에 수직이 되도록 상기 수집선 가이드부(131)의 하부에 구성되고 상기 서포트의 마운트 홀(112)에 관통되도록 삽입되고 샤프트(120)에 의해 축 결합되어 상기 수집선(3)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압전센서(31-1) 및 제2압전센서(31-2)에 압력을 가하는 연동부(135)를 포함한다. 상기 연동부(135)는 서포트(110)와 상기 샤프트(120)에 의해 축 결합하기 위한 축 결합 홀(137)을 구비하고, 하단부에 제1압전센서(31-1) 및 제2압전센서(31-2)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제1가압부(136-1) 및 제2가압부(136-2)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와이어 마운트(130)의 동작을 설명하면, 장력선(2)에 장력 변화가 없을 경우, 장력선(2)들 각각의 고른 장력에 의해 와이어 마운트(130)의 가압부(136)는 제1압전센서(31-1) 및 제2압전센서(31-2)와 평행하게 위치하게 되어 제1압전센서(31-1) 또는 제2압전센서(31-2)를 가압하지 않는다. 그러나 다수의 장력선(2)들 중 일부에 장력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장력선(2)들 각각의 장력이 달라져 수집선(3)이 움직이게 되고, 상기 수집선(3)을 가이드하는 수집선 가이드부(131)가 샤프트(120)를 회전축으로 상하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제1가압부(135-1) 및 제2가압부(136-2)가 교번하여 제1압전센서(31-1) 및 제2압전센서(31-2)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장력 전달부(101)의 서포터(110)가 본체부(10) 내측으로 고정되고, 와이어 마운트(130)가 샤프트(120)에 의해 상기 서포터(110)에 축결합되어 상하로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수집선(3)의 미세한 변화에도 반응하므로 장력 감지기(100)의 민감도 및 정밀도가 향상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 감지기의 통신 회로부의 전기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력 감지기(100)의 통신 회로부(30)의 전자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통신 회로부(30)는 제1 및 제2 압전 세라믹 센서(이하 "압전 센서"라 함)(31-1, 31-2)와 신호 증폭부(32)와 아날로그/디지털(Analog/Digital: AD) 변환부(33)와 통신부(34)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압전센서(31-1, 31-2)는 장력선(2)의 장력 변화에 따른 수집선(3)의 이동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신호 증폭부(32)는 상기 감지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3)는 상기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인 감지신호를 디지털 신호인 침입 감지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통신부(34)는 고유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침입 감지 신호에 상기 고유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미리 정의된 통신프로토콜에 따라 로컬부(200)로 송신한다. 상기 통신프로토콜은 RS-485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감지기 기둥 2: 장력선
3: 수집선 4: 팝 디스크
6: 펜스
7: 고정 기둥 10: 본체부
11: 고정부 12: 연결 홀
13: 공간부 20: 기판
30: 통신회로부 31: 압전센서
32: 신호 증폭부 33: A/D 변환부
34: 통신부 100: 장력 감지기
101: 장력 전달부 110: 서포트
111: 고정 홀 112: 마운트 홀
113: 샤프트 홀 120: 샤프트
130: 와이어 마운트 131: 수집선 가이드부
132: 수집선 가이드 홈
133: 수집선 고정부재 135: 연동부
136: 가압부 137: 축 결합 홀
200: 로컬부 210: 프로세싱 유닛
220, 310: 광통신부 300: 중앙통제부
320: 알람 수신 유닛

Claims (5)

  1. 섹션을 구성하는 고정 기둥 사이에서 수평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장력선과 상기 고정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감지기 기둥과 상기 감지기 기둥에 고정되고 상기 장력선과 수직으로 결선되어 상기 장력선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상하로 움직이는 수집선을 포함하는 펜스의 상기 장력선의 장력 변화를 검지하여 침입을 모니터링 하는 장력감지시스템을 이용한 침입위치감지시스템에 있어서,
    고유의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섹션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장력선의 장력 변화 감지 시 상기 고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침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장력 감지기와,
    상기 침입 감지 신호를 수신 받아 포함되어 있는 식별정보에 의해 상기 침입 감지 신호를 송신한 장력 감지기가 설치된 섹션정보를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섹션 위치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력 감지기는,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되는 공간부와, 외측에서 상기 내측 공간부로 관통되는 연결 홀과 상기 연결 홀에 대응하는 상기 공간부에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집선이 상기 연결 홀 상부를 지나도록 상기 감지기 기둥에 고정되는 본체부와;
    상기 연결 홀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장력선의 흔들림에 의한 상기 수집선의 상하 이동을 감지하는 제1압전센서와 제2압전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압전센서들을 통해 상기 장력선의 장력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섹션 위치 검출부로 침입 감지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회로부가 구성되는 기판과;
    마운트 홀을 포함하여 상기 연결 홀과 상기 기판의 제1압전센서 및 제2압전센서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본체부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본체부의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서포트와, 상기 수집선을 가이드 및 고정하고 상기 수집선에 대해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기 마운트 홀에 삽입되고 상기 서포트와 축 결합되어 상기 수집선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압전센서 및 제2압전센서에 압력을 가하는 와이어 마운트를 포함하는 장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장력감지시스템을 이용한 침입위치감지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마운트부는,
    상기 수집선을 가이드 및 고정하는 수집선 가이드부와,
    상기 수집선 가이드부에 수직이 되도록 상기 수집선 가이드부의 하부에 구성되고 상기 서포트의 마운트 홀에 관통되도록 삽입되고, 샤프트에 의해 축 결합되어 상기 수집선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압전센서 및 제2압전센서에 압력을 가하는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감지시스템을 이용한 침입위치감지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회로부는,
    상기 제1 및 제2압전 센서와,
    상기 제1 및 제2압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증폭하는 신호 증폭부와,
    상기 증폭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인 침입 감지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와,
    상기 침입 감지 신호를 미리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중앙통제부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감지시스템을 이용한 침입위치감지시스템.
  4. 삭제
  5. 삭제
KR1020110021890A 2011-03-11 2011-03-11 장력감지시스템을 이용한 침입위치감지시스템 KR101052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890A KR101052561B1 (ko) 2011-03-11 2011-03-11 장력감지시스템을 이용한 침입위치감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890A KR101052561B1 (ko) 2011-03-11 2011-03-11 장력감지시스템을 이용한 침입위치감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2561B1 true KR101052561B1 (ko) 2011-07-29

Family

ID=44924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890A KR101052561B1 (ko) 2011-03-11 2011-03-11 장력감지시스템을 이용한 침입위치감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56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056B1 (ko) * 2013-06-03 2014-12-02 권영억 철책용 능동형 감시방법
KR20160143958A (ko) * 2015-06-05 2016-12-15 수원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전환 기능을 가지는 장력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13520A (ko) * 2019-03-25 2020-10-07 이계승 장력 감지형 울타리를 이용한 보안 테스트 시스템
KR20220064502A (ko) 2020-11-12 2022-05-19 이투시스템주식회사 움직임-전류 센싱 기반 외곽 침입감지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882B1 (ko) * 2004-01-19 2006-03-30 주식회사 도래정보시스템 센서케이블을 이용한 휀스 감시장치
KR20090046128A (ko) * 2007-11-05 2009-05-11 (주)하이디어 솔루션즈 유비퀴터스 일체형 보안영상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882B1 (ko) * 2004-01-19 2006-03-30 주식회사 도래정보시스템 센서케이블을 이용한 휀스 감시장치
KR20090046128A (ko) * 2007-11-05 2009-05-11 (주)하이디어 솔루션즈 유비퀴터스 일체형 보안영상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056B1 (ko) * 2013-06-03 2014-12-02 권영억 철책용 능동형 감시방법
KR20160143958A (ko) * 2015-06-05 2016-12-15 수원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전환 기능을 가지는 장력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708559B1 (ko) * 2015-06-05 2017-02-22 수원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전환 기능을 가지는 장력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13520A (ko) * 2019-03-25 2020-10-07 이계승 장력 감지형 울타리를 이용한 보안 테스트 시스템
KR102198582B1 (ko) * 2019-03-25 2021-01-06 이계승 장력 감지형 울타리를 이용한 보안 테스트 시스템
KR20220064502A (ko) 2020-11-12 2022-05-19 이투시스템주식회사 움직임-전류 센싱 기반 외곽 침입감지 시스템
KR20230143980A (ko) 2020-11-12 2023-10-13 이투시스템주식회사 움직임 센싱 기반 외곽 침입감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2561B1 (ko) 장력감지시스템을 이용한 침입위치감지시스템
KR101287079B1 (ko) 면 부착형 계층 구조식 3d센서를 이용한 울타리 감시 시스템
US9778227B2 (en) Device and system for and a method of monitoring a cable for a physical disturbance
KR20160092637A (ko) 철조망 침입감지 및 보안 시스템
KR20180058919A (ko) 가상 펜스용 감지장치
KR101431120B1 (ko) 선배열형 파고 및 해저면 수온 관측 장치
KR101151405B1 (ko) 영상과 usn을 이용한 울타리 경계장치
KR100564882B1 (ko) 센서케이블을 이용한 휀스 감시장치
WO2009014304A1 (en) An external trespass sensing system
KR100628500B1 (ko) 펜스진동 감지기
JP4401232B2 (ja) 侵入検知システム
CN203562061U (zh) 集成有光纤传感器、声音传感器和图像监测器的安防装置
KR100881179B1 (ko) 월장감지용 압력감지절단장치
KR101497107B1 (ko) 건물 안전도 측정시스템
US20060239603A1 (en) Distributed sensor system coupled with a plurality of secondary sensors
CN107862820A (zh) 一种周界报警系统
EP4012678A1 (en) Security system
JP7384601B2 (ja) 監視システム
JP4980687B2 (ja) 監視システム
KR101493234B1 (ko) 파이프형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입감지시스템
KR101497106B1 (ko) 방범 시스템
KR200299593Y1 (ko) 음향센서를 이용한 무인경보시스템
CN111127794A (zh) 一种光纤栅栏隐蔽探测系统
KR20190111212A (ko) 케이블 센서 상태에 근거한 방범방재시스템의 비상상황 감지시스템
KR101889359B1 (ko)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침입감지 시각화를 구현한 외곽감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