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234B1 - 파이프형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입감지시스템 - Google Patents

파이프형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입감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234B1
KR101493234B1 KR20140121798A KR20140121798A KR101493234B1 KR 101493234 B1 KR101493234 B1 KR 101493234B1 KR 20140121798 A KR20140121798 A KR 20140121798A KR 20140121798 A KR20140121798 A KR 20140121798A KR 101493234 B1 KR101493234 B1 KR 101493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cillation
intrusion
height
frequency
co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21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용대
Original Assignee
권용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용대 filed Critical 권용대
Priority to KR20140121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32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08B13/24Electrical 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electromagnetic field distribution
    • G08B13/2491Intrusion detection systems, i.e. where the body of an intruder causes the interference with the electromagnetic fie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08B13/26Electrical actuation by proximity of an intruder causing variation in capacitance or inductance of a circu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파이프형 감지장치는,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금속봉에 각각 감겨 형성되는 복수의 발진코일과, 복수의 발진코일에 각각 연결되어 설정된 감지 주파수를 발진하는 복수의 발진부와, 복수의 발진부에서 출력되는 복수의 발진 주파수의 변화를 감지하여 침입을 판단함에 있어서, 감지되는 물체의 높이에 따라 침입 여부를 판단하는 침입 판단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파이프형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입감지시스템{PIPE TYPE DETECTION DEVICE AND INTRUSION DETECTION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파이프형 감지장치 및 침입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LC 발진회로를 이용하여 무단 침입을 감지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입감지시스템은 진동 감지센서와 적외선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1016530호는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철조망에 여러 개의 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진동이 감지되면 감지된 센서 방향으로 카메라가 자동 회전 되도록 하는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진동 감지센서를 이용할 때, 진동 감지센서의 감도가 너무 예민할 경우, 비, 바람 및 우박 등과 같은 자연현상에 의해서 오감지가 될 수 있다. 또한, 진동 감지센서의 감도가 너무 둔할 경우, 침입상황을 정확히 감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적외선 감지센서를 이용할 경우, 구조물에 의해서 반사되는 적외선을 침입으로 감지하는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코일을 이용한 감지장치의 경우, 크기 등에 관계없이 모든 물체를 침입으로 판단하여, 침입 판단 정확도가 낮은 단점이 있다.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101653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발진코일을 이용하여, 감지 높이에 따라서 주의, 경고 및 침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파이프형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감시지역에 일정한 간격으로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파이프형 감지장치를 통해서 물체의 이동속도, 이동높이 및 이동 패턴을 파악하여 침입여부를 최종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침입감지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금속봉에 각각 감겨 형성되는 복수의 발진코일; 상기 복수의 발진코일에 각각 연결되어 설정된 감지 주파수를 발진하는 복수의 발진부; 및 상기 복수의 발진부에서 출력되는 복수의 발진 주파수의 변화를 감지하여 침입을 판단함에 있어서, 감지되는 물체의 높이에 따라 침입 여부를 판단하는 침입 판단부;를 포함하는 파이프형 감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침입 판단부는, 상기 지면에서 제1 높이까지의 위치에 배치된 발진코일들에 의한 발진 주파수들이 변화할 때 침입으로 판단하고, 상기 지면에서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 이하에 배치된 발진코일들에 의한 발진 주파수가 변화할 때 경고로 판단하고, 상기 제1 높이 이상의 위치에 배치된 발진코일들에 의한 발진 주파수들이 변화할 때 주의로 판단하며, 모든 상기 복수의 발진 주파수가 일정 범위 내에서 동시에 변화할 때는 침입아님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침입 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발진 주파수를 카운팅하는 주파수 카운터; 기준 주파수와 상기 주파수 카운터에서 카운팅된 주파수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의 비교결과를 토대로 침입을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이프형 감지장치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복수의 금속봉 사이에 삽입되는 부도체형 완충제; 및 상기 복수의 발진코일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발진부에서 발진하는 상기 복수의 발진 주파수는 모두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이프형 감지장치는, 상기 침입 판단부의 판단결과를 송신하기 위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금속봉에 각각 감겨 형성되는 복수의 발진코일과, 상기 복수의 발진코일에 각각 연결되어 설정된 감지 주파수를 발진하는 복수의 발진부와, 상기 복수의 발진부에서 출력되는 복수의 발진 주파수의 변화를 감지하여 침입을 판단함에 있어서, 감지되는 물체의 높이에 따라 침입 여부를 판단하는 침입 판단부로 구성되며 감시지역에 일정한 간격으로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파이프형 감지장치; 및 상기 복수의 파이프형 감지장치에 각각 할당된 복수의 침입 판단부의 판단결과를 토대로 최종적인 침입여부를 결정함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침입 판단부의 판단결과가 발생하는 각각의 시점과 상기 복수의 파이프형 감지장치 사이의 이격 거리를 기반으로, 물체의 이동속도, 이동높이 및 이동 패턴을 파악하여 침입여부를 최종적으로 판단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침입감지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침입 판단부는, 상기 지면에서 제1 높이까지의 위치에 배치된 발진코일들에 의한 발진 주파수들이 변화할 때 침입으로 판단하고, 상기 지면에서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 이하에 배치된 발진코일들에 의한 발진 주파수가 변화할 때 경고로 판단하고, 상기 제1 높이 이상의 위치에 배치된 발진코일들에 의한 발진 주파수들이 변화할 때 주의로 판단하며, 모든 상기 복수의 발진 주파수가 일정 범위 내에서 동시에 변화할 때는 침입아님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침입 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발진 주파수를 카운팅하는 주파수 카운터; 기준 주파수와 상기 주파수 카운터에서 카운팅된 주파수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의 비교결과를 토대로 침입을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이프형 감지장치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복수의 금속봉 사이에 삽입되는 부도체형 완충제; 및 상기 복수의 발진코일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파이프형 감지장치에서 사용하는 발진 주파수는, 모두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거나,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파이프형 감지장치 및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각각, 서로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형 감지장치 및 침입감지시스템은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발진코일을 이용하여 침입여부를 판단할 때, 감지 높이에 따라서 주의, 경고 및 침입 여부 판단한다. 즉, 파이프형 감지장치는 특정 높이 이하로 이동하는 동물이나, 특정 높이 이상으로 이동하는 조류 등에는 경고 및 주의 정도로 판단하고, 사람의 키 높이나, 앉은 키 높이로 이동하는 생명체를 침입으로 판단하여 침입여부를 보다 세밀하게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이프형 감지장치 및 침입감지시스템에 따르면, 비, 눈, 바람 및 낙뢰 등과 같은 자연현상에 대해서는 수직으로 배열된 모든 발진부에서 거의 동일한 특정 패턴의 주파수 변화가 생기므로, 이러한 특정 패턴의 주파수 변화는 침입으로 판단하지 않아 자연현상으로 인한 오작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침입감지시스템에 따르면, 감시지역에 일정한 간격으로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파이프형 감지장치로 구성되는데, 각 파이프형 감지장치 사이의 이격 거리를 기반으로, 물체의 이동속도, 이동높이 및 이동 패턴을 파악하여 침입여부를 최종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침입감지시스템이 설치된 지역에 자주 출몰하는 동물의 이동패턴을 고려하여 침입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침입 감지를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감지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파이프형 감지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진부의 회로도
도 4는 도 1의 파이프형 감지장치의 감지파형을 나타낸 파형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입감지시스템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침입감지시스템의 설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감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감지장치(1)는 제안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사상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구성만을 포함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파이프형 감지장치(1)는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금속봉(110,120,130,140)과, 복수의 금속봉(110,120,130,140)에 각각 감겨 형성되는 복수의 발진코일(210,220,230,240)과, 회로기판(300)으로 구성된다. 참고적으로 회로기판(300)에는 복수의 발진코일(210,220,230,240)에 각각 연결되어 설정된 감지 주파수를 발진하는 복수의 발진부와, 복수의 발진부에서 출력되는 발진 주파수의 변화를 감지하여 침입여부를 판단하는 침입 판단부가 형성되어 있다.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금속봉(110,120,130,140) 사이에는 부도체형 완충제(21)가 삽입되어 있다. 부도체형 완충제(21)는 인접한 발진코일 사이의 상호 간섭으로 인한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삽입된다. 또한, 복수의 발진코일(210,220,230,240)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케이스(11)가 외곽에 형성되어 있는데, 보호 케이스(11)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발진코일(210,220,230,240)과 보호 케이스(11)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바닥 고정판(31)이 형성되어 있는데, 바닥 고정판(31)은 회로기판(300)을 보호하고, 지면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금속봉(110,120,130,140)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부도체로 형성된 박피테이프(41)가 금속봉(110)을 감싸고, 그 박피테이프(41)를 에나멜선으로 감아 발진코일(210)을 형성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파이프형 감지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파이프형 감지장치(1)는, 복수의 발진코일(210,220,230,240)과, 복수의 발진코일(210,220,230,240)에 각각 연결되어 설정된 감지 주파수를 발진하는 복수의 발진부(310,320,330,340)와, 복수의 발진부(310,320,330,340)에서 출력되는 복수의 발진 주파수(F1,F2,F3,F4)의 변화를 감지하여 침입여부를 판단하는 침입 판단부(400)로 구성된다.
또한, 침입 판단부(400)는, 복수의 발진 주파수(F1,F2,F3,F4)를 카운팅하는 주파수 카운터(410,420,430,440)와, 기준 주파수(REF)와 주파수 카운터(410,420,430,440)에서 카운팅된 주파수(F1_O, F2_O, F3_O, F4_O)를 비교하는 비교부(450)와, 비교부(450)의 비교결과를 토대로 침입을 판별하는 제어부(46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파이프형 감지장치(1)의 세부구성과 주요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복수의 발진코일(210,220,230,240)은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발진코일(210), 제2 발진코일(220), 제3 발진코일(230) 및 제4 발진코일(240)의 순서대로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복수의 발진부(310,320,330,340)는 복수의 발진코일(210,220,230,240)에 각각 연결되어, 각각 연결된 발진코일과 함께 발진회로를 구성하여 설정된 감지 주파수를 발진하게 된다. 즉, 제1 발진부(310)는 제1 발진코일(210)과 함께 발진회로를 구성하고, 제2 발진부(320)는 제2 발진코일(220)과 함께 발진회로를 구성하고, 제3 발진부(330)는 제3 발진코일(230)과 함께 발진회로를 구성하며, 제4 발진부(340)는 제4 발진코일(240)과 함께 발진회로를 구성한다. 이때, 복수의 발진부(310,320,330,340)는 모두 동일한 발진 주파수를 발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발진 주파수의 범위는 수백 헤르츠에서 수십만 헤르츠의 범위 내로 설정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 4개의 발진코일과 발진부로 파이프형 감지장치(1)를 구성하였으나, 감지하고자 하는 높이에 따라 발진코일과 발진부의 수는 조절될 수 있다.
침입 판단부(400)의 주파수 카운터(410,420,430,440)는 4개가 구비되어, 각 발진부(310,320,330,340)의 발진 주파수를 카운팅한 후, 카운팅된 주파수(F1_O, F2_O, F3_O, F4_O)를 출력한다. 비교부(450)는 기준 주파수(REF)와 카운팅된 주파수(F1_O, F2_O, F3_O, F4_O)를 비교하여, 주파수의 변화가 발생했는지를 결과로써 출력한다. 마지막으로, 제어부(460)는 비교부(450)의 비교결과를 통해서, 감지 높이를 고려하여 주의, 경고 및 침입 여부를 판별(DET)하게 된다.
파이프형 감지장치(1)가 물체 즉, 동물 및 사람을 감지하는 원리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만약, 어떤 움직이는 물체, 특히 동물이 파이프형 감지장치(1)에 접근할 경우, 지면에서 동물의 키 높이까지 해당하는 발진코일의 자속변화로 인해 발진코일의 임피던스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해당 발진코일과 연결되어 특정 발진 주파수를 발진하는 발진부는, 초기에는 일정한 감지용 발진 주파수를 발진하다가, 물체가 다가오는 경우 임피던스가 커지게 되어 주파수가 점점 느려지게 된다. 침입 판단부(400)는 이와 같은 주파수의 변화를 감지하여 침입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참고적으로, 물체가 다가올 때, 주파수가 점점 빨라지도록 파이프형 감지장치(1)를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침입 판단부(400)는 감지 높이에 따라서 주의, 경고 및 침입 여부를 판단한다.
우선, 지면에서 제1 높이(H1)까지의 위치에 배치된 발진코일들에 의한 발진 주파수들이 동시에 변화할 때는, 침입으로 판단하게 된다. 제1 높이는 사람의 키나, 사람의 앉은 키 및 엎드려서 이동할 때의 높이 등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지면에서 상기 제1 높이(H1)보다 낮은 제2 높이(H2) 이하에 배치된 발진코일들에 의한 발진 주파수가 변화할 때 경고로 판단하게 된다. 제2 높이(H2)는 크기상 사람과 구별될 수 있는 동물의 높이나, 자주 출몰하는 동물의 높이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높이(H1) 이상의 위치에 배치된 발진코일들에 의한 발진 주파수들이 변화할 때 주의로 판단하게 된다. 제1 높이(H1) 이상의 높이로는 사람이 계속해서 이동할 수 없으므로, 이와 같은 감지범위는 조류 등의 동물로 유추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모든 발진코일들에 의한 발진 주파수들이 일정 범위 내에서 동시에 변화할 때는 침입 아님으로 판단하게 된다. 즉, 낙뢰 등이 발생할 경우, 침입 판단부(400)는 아주 짧은 펄스 형태의 파형을 감지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특정 범위 내에서 모든 발진 주파수들이 일정하게 변할 때는 자연현상에 의한 변화로 유추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진부의 회로도이다. 참고적으로 도 3의 발진부는 'Clapp' 형 발진회로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발진부(310)는 발진코일(210)을 구비한 엘씨 발진기(311)와, 증폭기(312)와, 버퍼(313)로 구성된다. 엘씨 발진기(311)는 수동소자에 의해서 설정된 주파수를 발진하게 된다. 또한, 증폭기(312)는 엘씨 발진기(311)에 의한 발진신호를 증폭하게 되고, 버퍼(313)는 발진신호를 버퍼링 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참고적으로 버퍼(313)는 신호를 버퍼링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특정 파형을 갖는 신호로 변환하는 파형 정형회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발진부(310)의 회로 구성은 수정 진동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발진회로가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파이프형 감지장치의 감지파형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4의 파형도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파이프형 감지장치(1)에 물체, 예를 들면 동물이 접근하지 않을 경우, 균일한 발진 주파수가 연속적으로 감지된다. 하지만, 사람 등과 같은 동물이 접근했을 경우, 지면에서 그 동물의 키 높이까지에 해당하는 발진부의 발진 주파수가 동물이 다가올수록 점점 느려지게 된다. 한편, 낙뢰가 발생했을 경우는 낙뢰에 의한 아주 짧고 강한 전압을 갖는 파형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사람을 포함한 동물이 접근했을 때와, 자연현상 특히, 낙뢰가 발생했을 때를 구분해 낼 수 있다. 또한, 낙뢰가 아닌 다른 자연현상, 비, 눈 및 안개 등과 같은 상황일 경우에도, 주파수가 느려지거나 빨라지는 파형이 감지될 수 있으나, 이는 모든 높이에 균일하게 발생하는 것이므로 일정 범위 내에서 접근하는 물체와 자연현상을 구분해 낼 수 있다. 또한, 감지되는 높이를 고려하여 따라서 사람과 동물도 일정 범위 구분해 낼 수 있다.
참고적으로, 실시예에 따라 파이프형 감지장치는, 침입 판단부의 판단결과를 송신하기 위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판단결과를 소리 및 빛을 통해서 알려주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파이프형 감지장치는 수중에 배치될 수 있도록 방수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입감지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침입감지시스템(2)은 복수의 파이프형 감지장치(500)와, 모니터링 장치(600)로 구성된다. 복수의 파이프형 감지장치(500)는 각각, 도 2의 파이프형 감지장치(2)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파이프형 감지장치는 도 2와 같이,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금속봉(110,120,130,140)에 각각 감겨 형성되는 복수의 발진코일(210,220,230,240)과, 복수의 발진코일(210,220,230,240)에 각각 연결되어 설정된 감지 주파수를 발진하는 복수의 발진부(310,320,330,340)와, 복수의 발진부(310,320,330,340)에서 출력되는 복수의 발진 주파수(F1,F2,F3,F4)의 변화를 감지하여 침입을 판단함에 있어서, 지면에서 제1 높이(H1)까지의 위치에 배치된 발진코일들에 의한 발진 주파수들이 변화할 때 침입으로 판단하고, 지면에서 제1 높이(H1)보다 낮은 제2 높이(H2) 이하에 배치된 발진코일들에 의한 발진 주파수가 변화할 때 경고로 판단하고, 제1 높이(H1) 이상의 위치에 배치된 발진코일들에 의한 발진 주파수들이 변화할 때 주의로 판단하며, 모든 복수의 발진 주파수가 일정 범위 내에서 동시에 변화할 때는 침입 아님으로 판단하는 침입 판단부(400)로 구성된다. 침입감지시스템(2)을 구성하는 파이프형 감지장치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복수의 파이프형 감지장치(500)는 감시가 필요한 지역에 일정한 간격으로 두고 설치된다. 설치되는 방법은 철책이나 펜스 등에 일렬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으며, 특정 출입구나 창문 등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파이프형 감지장치(500)는 수풀로 우거지 일정 범위의 공간에 2차원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파이프형 감지장치(500)는 수로 등과 같은 수중의 일정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침입감지시스템(2)은 기본적으로 파이프형 감지장치들로 구성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높이를 고려하여 침입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동일하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침입감지시스템(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이프형 감지장치들로 구성되므로, 파이프형 감지장치들 간의 판단결과를 조합하여 최종적인 침입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침입감지시스템(2)의 감시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침입감지시스템(2)의 모니터링 장치(600)는 복수의 파이프형 감지장치(500)에 각각 할당된 복수의 침입 판단부 - 미도시됨 - 의 판단결과를 통해서 최종적인 침입여부를 결정한다. 즉, 모니터링 장치(600)는 복수의 파이프형 감지장치(500)의 판단결과가 발생하는 각각의 시점과, 복수의 파이프형 감지장치(500) 사이의 이격 거리를 기반으로, 물체의 크기, 물체의 이동속도, 이동높이 및 이동 패턴을 파악하여 침입여부를 최종적으로 판단한다.
즉, 파이프형 감지장치 간의 거리는 이미 설정되어 있으므로, 인접한 파이프형 감지장치들 간의 감지시점을 고려하면, 물체의 이동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감지되는 물체의 이동속도 및 감지범위 고려하면 차량 등과 같은 물체가 이동하는지, 사람이 이동하는지, 동물이 이동하고 있는 것인지를 유추할 수 있다.
또한, 고라니 등과 같이 점프 하면서 이동하는 동물의 이동패턴은, 사람과 확연히 구분이 되므로, 이동속도에 이동패턴 까지 고려하면 더욱 정확히 사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침입감지시스템이 설치된 지역에 자주 출몰하는 동물의 이동패턴을 고려하여 침입여부를 보다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제안한 침입감지시스템(2)은, 복수의 파이프형 감지장치(500)가 2차원 적으로 배치되므로 감시 대상의 이동패턴 및 속도에 따른 주파수 변화를 통해서 침입여부를 감지해 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파이프형 감지장치는 개별적으로 높이에 따른 침입여부를 판단하므로, 결과적으로, 침입감지시스템(2)은 복수의 파이프형 감지장치(500)가 설치된 일정지역을 3차원 공간상으로 감시할 수 있게 된다.
참고적으로, 복수의 파이프형 감지장치(500)에서 사용하는 발진 주파수는, 모두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도록 설정될 수도 있으며, 설치되는 지역이 부분적으로 특수 환경 - 늪, 습지 등 - 일 경우, 해당 지역에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도록 설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복수의 파이프형 감지장치와 모니터링 장치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유선 및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경우 각각의 파이프형 감지장치에는 고유의 아이디(ID)가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침입감지시스템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파이프형 감지장치(1_1,1_2,1_3,1_4,1_5)가 펜스 주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파이프형 감지장치(1_1,1_2,1_3,1_4,1_5) 사이의 이격 거리는, 각 파이프형 감지장치의 감지 감도를 고려하여 조절할 수 있으며, 복수의 파이프형 감지장치(1_1,1_2,1_3,1_4,1_5)는 펜스 안쪽 또는 바깥쪽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파이프형 감지장치 2 : 침입감지시스템
110,120,130,140 : 금속봉 210,220,230,240 : 발진코일
300 : 회로기판 500 : 복수의 파이프형 감지장치
21 : 부도체형 완충제 11 : 보호 케이스
311 : 엘씨 발진기 312 : 증폭기
313 : 버퍼

Claims (10)

  1. 삭제
  2.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금속봉에 각각 감겨 형성되는 복수의 발진코일;
    상기 복수의 발진코일에 각각 연결되어 설정된 감지 주파수를 발진하는 복수의 발진부; 및
    상기 복수의 발진부에서 출력되는 복수의 발진 주파수의 변화를 감지하여 침입을 판단함에 있어서, 감지되는 물체의 높이에 따라 침입 여부를 판단하는 침입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침입 판단부는,
    상기 지면에서 제1 높이까지의 위치에 배치된 발진코일들에 의한 발진 주파수들이 변화할 때 침입으로 판단하고, 상기 지면에서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 이하에 배치된 발진코일들에 의한 발진 주파수가 변화할 때 경고로 판단하고, 상기 제1 높이 이상의 위치에 배치된 발진코일들에 의한 발진 주파수들이 변화할 때 주의로 판단하며, 모든 상기 복수의 발진 주파수가 일정 범위 내에서 동시에 변화할 때는 침입아님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감지장치.
  3.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금속봉에 각각 감겨 형성되는 복수의 발진코일;
    상기 복수의 발진코일에 각각 연결되어 설정된 감지 주파수를 발진하는 복수의 발진부; 및
    상기 복수의 발진부에서 출력되는 복수의 발진 주파수의 변화를 감지하여 침입을 판단함에 있어서, 감지되는 물체의 높이에 따라 침입 여부를 판단하는 침입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침입 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발진 주파수를 카운팅하는 주파수 카운터;
    기준 주파수와 상기 주파수 카운터에서 카운팅된 주파수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의 비교결과를 토대로 침입을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감지장치.
  4.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금속봉에 각각 감겨 형성되는 복수의 발진코일;
    상기 복수의 발진코일에 각각 연결되어 설정된 감지 주파수를 발진하는 복수의 발진부;
    상기 복수의 발진부에서 출력되는 복수의 발진 주파수의 변화를 감지하여 침입을 판단함에 있어서, 감지되는 물체의 높이에 따라 침입 여부를 판단하는 침입 판단부;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복수의 금속봉 사이에 삽입되는 부도체형 완충제; 및
    상기 복수의 발진코일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감지장치.
  5.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금속봉에 각각 감겨 형성되는 복수의 발진코일;
    상기 복수의 발진코일에 각각 연결되어 설정된 감지 주파수를 발진하는 복수의 발진부; 및
    상기 복수의 발진부에서 출력되는 복수의 발진 주파수의 변화를 감지하여 침입을 판단함에 있어서, 감지되는 물체의 높이에 따라 침입 여부를 판단하는 침입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발진부에서 발진하는 상기 복수의 발진 주파수는 모두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감지장치.
  6.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금속봉에 각각 감겨 형성되는 복수의 발진코일과, 상기 복수의 발진코일에 각각 연결되어 설정된 감지 주파수를 발진하는 복수의 발진부와, 상기 복수의 발진부에서 출력되는 복수의 발진 주파수의 변화를 감지하여 침입을 판단함에 있어서, 감지되는 물체의 높이에 따라 침입 여부를 판단하는 침입 판단부로 구성되며 감시지역에 일정한 간격으로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파이프형 감지장치; 및
    상기 복수의 파이프형 감지장치에 각각 할당된 복수의 침입 판단부의 판단결과를 토대로 최종적인 침입여부를 결정함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침입 판단부의 판단결과가 발생하는 각각의 시점과 상기 복수의 파이프형 감지장치 사이의 이격 거리를 기반으로, 물체의 이동속도, 이동높이 및 이동 패턴을 파악하여 침입여부를 최종적으로 판단하는 모니터링 장치;
    를 포함하는 침입감지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침입 판단부는,
    상기 지면에서 제1 높이까지의 위치에 배치된 발진코일들에 의한 발진 주파수들이 변화할 때 침입으로 판단하고, 상기 지면에서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 이하에 배치된 발진코일들에 의한 발진 주파수가 변화할 때 경고로 판단하고, 상기 제1 높이 이상의 위치에 배치된 발진코일들에 의한 발진 주파수들이 변화할 때 주의로 판단하며, 모든 상기 복수의 발진 주파수가 일정 범위 내에서 동시에 변화할 때는 침입아님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감지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침입 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발진 주파수를 카운팅하는 주파수 카운터;
    기준 주파수와 상기 주파수 카운터에서 카운팅된 주파수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의 비교결과를 토대로 침입을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감지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형 감지장치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복수의 금속봉 사이에 삽입되는 부도체형 완충제; 및
    상기 복수의 발진코일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감지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이프형 감지장치에서 사용하는 발진 주파수는, 모두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거나,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감지시스템.
KR20140121798A 2014-09-15 2014-09-15 파이프형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입감지시스템 KR101493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1798A KR101493234B1 (ko) 2014-09-15 2014-09-15 파이프형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입감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1798A KR101493234B1 (ko) 2014-09-15 2014-09-15 파이프형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입감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3234B1 true KR101493234B1 (ko) 2015-02-16

Family

ID=52593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21798A KR101493234B1 (ko) 2014-09-15 2014-09-15 파이프형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입감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32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5431B1 (ko) * 2021-11-08 2022-06-07 주식회사 한텍컨버전스 복합 발진코일이 내장된 배관을 광망 지지대로 사용하여 침입을 감지하는 시스템
KR102405430B1 (ko) * 2021-10-21 2022-06-07 주식회사 한텍컨버전스 복합 발진코일을 이용한 칩입감지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4518A (en) * 1977-07-28 1979-11-13 Stellar Systems, Inc. Intrusion warning system
JP2006208061A (ja) * 2005-01-26 2006-08-10 Comsec:Kk 侵入検知センサー
KR101255083B1 (ko) 2011-10-12 2013-04-15 주식회사 에스원 열선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4518A (en) * 1977-07-28 1979-11-13 Stellar Systems, Inc. Intrusion warning system
JP2006208061A (ja) * 2005-01-26 2006-08-10 Comsec:Kk 侵入検知センサー
KR101255083B1 (ko) 2011-10-12 2013-04-15 주식회사 에스원 열선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5430B1 (ko) * 2021-10-21 2022-06-07 주식회사 한텍컨버전스 복합 발진코일을 이용한 칩입감지시스템
KR102405431B1 (ko) * 2021-11-08 2022-06-07 주식회사 한텍컨버전스 복합 발진코일이 내장된 배관을 광망 지지대로 사용하여 침입을 감지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30804B (zh) 智能屏障报警装置
US9311793B2 (en) Motion and area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6989746B2 (en) Alarm chip and use of the alarm chip
ES2396577T3 (es) Dispositivo sensor de doble tecnología con sensibilidad regulada por rangos
CN100561532C (zh) 多传感器入侵探测系统
DE50106863D1 (de) Optoelektronische Eindringalarm-Vorrichtung
KR101575011B1 (ko) 영상을 이용한 적외선감지기와 그 동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안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
KR20160092637A (ko) 철조망 침입감지 및 보안 시스템
US5021766A (en) Intrusion detection system
KR100878047B1 (ko) 장력 감지 센서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US20050104764A1 (en) Portable proximity-sensing safety device
KR101493234B1 (ko) 파이프형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입감지시스템
JP2018519559A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CN104854634A (zh) 监测系统和方法
US5223817A (en) Alarm signal processing means
JP2011159268A (ja) 侵入者検知装置
RU2617666C2 (ru)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я нарушителя, преодолевающего сетчатое ограждение объекта
KR102457210B1 (ko) 머신러닝 기반의 울타리 침입 감지 시스템
KR100628500B1 (ko) 펜스진동 감지기
WO2016092536A1 (en) Earthquake detector and method for detecting earthquakes
CN204537376U (zh) 用于烟雾报警器障碍物检测系统的传感器安装结构
CN107862820A (zh) 一种周界报警系统
KR102405430B1 (ko) 복합 발진코일을 이용한 칩입감지시스템
GB2137789A (en) Intrusion detector installation
US89020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on of device displacement and tamp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