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4882B1 - 센서케이블을 이용한 휀스 감시장치 - Google Patents

센서케이블을 이용한 휀스 감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4882B1
KR100564882B1 KR1020040004001A KR20040004001A KR100564882B1 KR 100564882 B1 KR100564882 B1 KR 100564882B1 KR 1020040004001 A KR1020040004001 A KR 1020040004001A KR 20040004001 A KR20040004001 A KR 20040004001A KR 100564882 B1 KR100564882 B1 KR 100564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etection
sensor cable
alar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4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6170A (ko
Inventor
엄주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래정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래정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래정보시스템
Priority to KR1020040004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4882B1/ko
Publication of KR20050076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6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1/00Children's 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e.g. children's chairs or benches convertible into beds or constructional play-furniture
    • A47D11/002Children's chairs convertible into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02Chutes; Helter-skelters without rails

Landscapes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케이블을 이용해 외곽 휀스를 감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는데, 본 발명은 감시하고자 하는 휀스를 따라 설치되어 충격, 절단, 흔들림 등에 의해 진동신호를 검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센서 케이블과; 상기 센서 케이블의 인입부에 설치되어 센서 케이블의 진동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감지신호 인가부와; 상기 센서케이블의 이상 감지에 의한 진동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부와; 상기 신호 검출부의 검출신호를 분석처리하여 이상 발생 거리정보를 구하고 그 거리정보에 의해 이상발생 위치를 파악하는 신호분석부와; 상기 신호 분석부의 위치 검출에 대하여 각종 경보제어를 함과 아울러 감지현장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경보 및 모니터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이상상태 감지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이를 경보신호와 함께 제공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센서 케이블, 휀스, 감시, 위치, 경보

Description

센서케이블을 이용한 휀스 감시장치{Monitoring system for fence use seasorcabl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휀스 감시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센서 케이블의 구성을 보인 단명도 및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신호 분석부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센서 케이블 10a : 종단저항
20 : 휀스감시장치 21 : 신호인가부
22 : 신호 검출부 23 : 신호분석부
23a : 충격 검출부 23b : 충격정보 메모리
23c : 감도 설정부 23d : 조작부
23e : 신호분석 제어부 23f : 저항-위치(거리) 테이블
23g : 경보 및 위치정보 출력부 24 : 경보 및 모니터링수단
30 : 경보기 40 : 감시 카메라 시스템 제어부
본 발명은 외곽 휀스 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센서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이상 발생 위치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도록 한 센서케이블을 이용한 외곽 휀스 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설을 보호하기 위하여 외곽 휀스를 설치하는데, 외곽휀스로서 철조망 또는 휀스 울타리등을 설치하는 경우, 외부 침입자에 의한 충격, 절단, 또는 월담등의 이상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감지장치들을 설치하게 된다. 감지장치로서는 감시카메라 시스템과 아울러 휀스의 권역별로 침입 및 이상상태 감지를 위하여 센서등을 설치하여 침입이나 파손 등등을 감지하게 된다.
그러나, 배수지나, 정수장, 대단위 공장시설 등등의 외곽 휀스는 휀스의 길이가 수백에서 수키로미터 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장소에서는 센서나 기타 다른 감지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다수의 센서 장치들을 설치하여 이를 모니터링 하여야 하므로 비용 및 관리등의 측면에서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곽 휀스 감시장치를 설치한 경우에 \종래에는 대단위 구역별로 감시 센서장치를 설치하게 되는데 충격이나 이상 상태를 감지한 경우에 대단위 구역으로 분할된 영역중 어느 부분에서 감지가 이루어졌는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경비실이나 관리실에서 현장 확인이 용이하지 않고 인력을 더 배치하거나 순찰을 더 여러 번 다녀야 하는 등의 현장 확인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센서 케이블을 이용하여 외곽휀스를 감시하되, 긴 길이의 케이블중 임의의 지점에서 발생되는 이상 발생 위치 를 가장 근접되게 검출하여 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 센서케이블을 이용한 휀스 감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도 센서케이블을 이용해서 휀스의 충격이나 침입 감지 시스템이 알려져 있는데 종래에는 센서케이블 자체의 특성인 진동신호만을 검출하여 충격이나 침입 등의 이상상태 유무만을 감지하고 있고, 이 경우 어느 위치에서 이상이 감지되었는지를 알기 어려웠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신호 분석부에서 센서케이블의 종단 저항까지의 저항치를 검출하고, 각 위치별로 이상 감지 위치가 달라짐에 따라 저항치가 변한다는 사실을 활용하여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 상태를 검출하면 이를 음성 메시지로 출력하여 정확한 위치 및 이상 상태 감지를 알려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는 센서 케이블을 설치하고, 상기 센서케이블로부터 진동신호를 감지하였을 때 정확히 어느 위치에서 감지되었는지를 알 수 없고, 감지 사실만을 검출할 수 있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단저항을 설치하고, 신호 분석부에 의해 신호를 분석하되, 최초의 종단 저항에 의해 검출되는 저항치를 기준으로, 감지 저항치의 가변 거리를 선정하여 이에 대한 저항치 데이터값을 저장하여 두고서, 신호 검출이 이루어지면 이때의 저항치를 검출하여 미리 저장하여둔 저항치 데이터와 비교하여 검출위치를 세부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감시하고자 하는 휀스를 따라 설치되어 충격, 절단, 흔들림 등에 의해 진동신호를 검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센서 케이블과; 상기 센서 케이블의 인입부에 설치되어 센서 케이블의 진동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감지신호 인가부와; 상기 센서케이블의 이상 감지에 의한 진동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부와; 상기 신호 검출부의 검출신호를 분석처리하여 이상 발생 거리정보를 구하고 그 거리정보에 의해 이상발생 위치를 파악하는 신호분석부와; 상기 신호 분석부의 위치 검출에 대하여 각종 경보제어를 함과 아울러 감지현장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경보 및 모니터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모니터링 수단에서 검출되는 이상검지 위치에 대해 감시카메라를 회전 제어하여 자동으로 해당 영역을 감시촬영하여 모니터링하게 하는 감지카메라 및 그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휀스 감시장치의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휀스 감시 시스템은, 센서 케이블(10)과, 휀스 감시장치(20)와, 경보기(30)와, 감시 카메라 시스템(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센서 케이블(10)은, 감시하고자 하는 휀스를 따라 설치되어 충격, 절단, 흔들림 등에 의해 진동신호를 검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센서 케이블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센서 케이블(10)은, 진동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도전성 케이블 피복재(11)의 내부에 접지선(13)과 상기 접지선(13)과 접촉되어 내부를 감싸는 도전성 박막(12)과, 상기 도전성 박막(12)의 내측에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지(비닐)(12a)가 부착되어 상기 절연지(12a)의 내측에 감싸지고 자성을 가지는 자유롭게 구브러지는 자성체(14)와, 상기 자성체(14)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다수의 도선들(17)과 비도전성 피복재로 피복된 2개의 신호선(15)(16)이 상기 자성체(14)에 의해 감싸져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케이블(10)의 종단에는 종단저항(10a)이 설치되어 진동 감지에 의한 저항치 가변으로 휀스를 감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이러한 센서 케이블(10)은 이미 알려진 케이블로서 그 제조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휀스 감시 장치(20)는, 상기 센서 케이블(10)에 전기적 신호를 공급하는 감지 신호 인가부(21)와; 상기 센서케이블(10)의 이상 감지에 의한 진동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부(22)와; 상기 신호 검출부(22)의 검출신호를 분석처리하여 이상 발생 거리정보를 구하고 그 거리정보에 의해 이상발생 위치를 파악하는 신호분석부(23)와; 상기 신호 분석부(23)의 위치 검출에 대하여 각종 경보제어를 함과 아울러 감지현장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경보 및 모니터링수단(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휀스 감시장치(20)는, 감지 신호 인가부(21)에서 센서 케이블(10)로 전기적 신호를 공급하고, 센서케이블(10)의 종단저항(10a)에 의해 피드백되는 저항치를 신호 검출부(22)에서 검출하게 된다. 이때 임의의 위치에서 진동이나 단선 또는 파손등이 발생하면, 센서케이블(10)의 검출신호가 변하게되고, 이를 신호분석부(23)에서 분석하게 된다.
신호분석부(23)는 진동신호를 감지하게되면, 저항치를 측정하게 되는데, 미리 설정해둔 각 저항치 비교 테이블에 의해 검출된 저항치를 비교하여, 위치정보를 파악한다. 저항치 변화에 의해 검출할 수 있는 거리범위는 감도 조절수단을 구비하여 감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신호 분석부의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검출부(2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소정의 충격 감지 진동신호인지를 검출하는 충격검출부(23a)와, 상기 충격 검출부(23a)의 충격 검출 감도 및 충격 검출 시간 간격 등을 설정하여 저장해두는 충격정보 메모리(23b)와, 상기 충격 검출을 위한 감도 및 충격검출을 위한 시간 간격 등을 설정하는 감도 설정부(23c)와, 사용자가 충격 감도 및 감지시간 간격 등을 조작하여 설정하기 위한 조작부(23d)와, 상기 충격 검출부(23a)에 의해 충격이 검출되면, 검출되는 신호의 저항치를 계산하고, 이를 미리 정해둔 저항치-거리 테이블(23f)의 정보와 비교하여 충격 감지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신호분석제어부(23e)와, 상기 신호분석 제어부(23e)에 의해 충격 감지와 감지위치정보가 파악되면 이를 경보함과 아울러 위치 정보를 출력시키는 경보 및 위치정보 출력부(23g)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호분석부(23)는 센서 케이블(1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신호 검출부(22)에서 수신하여 입력시키면, 충격 검출부(23a)에서 정상 상태의 진동신호와 다른 충격 신호인지를 검출하게 된다. 이는 감도 설정부(23c)에 의해 설정되는 충격감도에 따라 충격검출을 하게 된다. 충격 상태가 검출되면 신호 분석 제어부(23e)는 수신된 신호의 저항치를 검출하여 현재 검출 저항치가 상기 저항치-위치 테이블(23f)에 저장된 범위 중 어디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해당 위치를 검출한다. 상기 신호분석 제어부(23e)에서 위치 검출이 이루어지면, 상기 경보 및 위치 정보 출력부(23g)를 통해 경보 및 모니터링 수단(24)으로 출력되어 해당 위치정보를 표시하고 충격 감지상태에 의한 경보음이나 램프들을 점멸시켜 충격 감지 상태를 알리게 된다.
한편, 감시 수단으로는 경보장치(30)와 감시 카메라 시스템(40)을 더 포함하는데, 경보장치는 관리자가 있는 경비실과 종합 감시실 등으로 경보 램프나 경보음을 출력하여 충격 감지 상태를 알리고, 위치정보도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모든 종류의 경보 수신기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감시구역의 정확한 구역 위치와 상태를 스피커를 통해 자동 음성으로 알려주어 경비실에서 해당 지역만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력과 경비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감시 카메라 시스템(40)을 제어하여 해당 위치의 감시카메라 영상을 자동 선택하게 하여 모니터에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정확하게 현장의 상황을 파악하고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센서 케이블을 휀스등의 울타리에 설치하여 외부 침입자에 의한 충격, 절단, 또는 월담시 발생하는 진동신호와 그때의 저항치를 감지하여 침입감지 및 그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든 종류의 경보 수신기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감시 구역의 휀스 상태를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신호로서 출력시켜 경비실에서 수시로 광범위한 외곽 휀스를 수시로 원격 점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센서케이블을 이용해 외곽 휀스를 감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감시하고자 하는 휀스를 따라 설치되어 충격, 절단, 흔들림 등에 의해 진동신호를 검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센서 케이블과;
    상기 센서 케이블의 인입부에 설치되어 센서 케이블의 진동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감지신호 인가부와;
    상기 센서케이블의 이상 감지에 의한 진동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부와;
    상기 신호 검출부의 검출신호를 분석처리하여 이상 발생 거리정보를 구하고 그 거리정보에 의해 이상발생 위치를 파악하는 신호분석부와;
    상기 신호 분석부의 위치 검출에 대하여 각종 경보제어를 함과 아울러 감지현장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경보 및 모니터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신호 분석부는,
    상기 신호 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충격 감지 진동신호인지를 검출하는 충격검출부(23a)와,
    상기 충격 검출부(23a)의 충격 검출 감도 및 충격 검출 시간 간격을 설정하여 저장해두는 충격정보 메모리(23b)와,
    상기 충격 검출을 위한 감도 및 충격검출을 위한 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감도 설정부(23c)와,
    사용자가 충격 감도 및 감지시간 간격을 조작하여 설정하기 위한 조작부(23d)와,
    상기 충격 검출부(23a)에 의해 충격이 검출되면, 검출되는 신호의 저항치를 계산하고, 이를 미리 정해둔 저항치-거리 테이블(23f)의 정보와 비교하여 충격 감지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신호분석제어부(23e)와,
    상기 신호분석 제어부(23e)에 의해 충격 감지와 감지위치정보가 파악되면 이를 경보함과 아울러 위치 정보를 출력시키는 경보 및 위치정보 출력부(23g)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케이블을 이용한 외곽휀스 감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장치는,
    상기 모니터링 수단에서 검출되는 이상검지 위치에 대해 감시카메라를 회전 제어하여 자동으로 해당 영역을 감시촬영하여 모니터링하게 하는 감시카메라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케이블을 이용한 외곽휀스 감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및 모니터링 수단은,
    각 경비실의 경보 수신기로 경보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으로 침임 감지 및 감지 위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케이블을 이용한 외곽휀스 감시장치.
  4. 삭제
KR1020040004001A 2004-01-19 2004-01-19 센서케이블을 이용한 휀스 감시장치 KR100564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001A KR100564882B1 (ko) 2004-01-19 2004-01-19 센서케이블을 이용한 휀스 감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001A KR100564882B1 (ko) 2004-01-19 2004-01-19 센서케이블을 이용한 휀스 감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170A KR20050076170A (ko) 2005-07-26
KR100564882B1 true KR100564882B1 (ko) 2006-03-30

Family

ID=37264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4001A KR100564882B1 (ko) 2004-01-19 2004-01-19 센서케이블을 이용한 휀스 감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48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561B1 (ko) * 2011-03-11 2011-07-29 지티비(주) 장력감지시스템을 이용한 침입위치감지시스템
WO2014209310A1 (en) * 2013-06-27 2014-12-31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using a cable as an input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003B1 (ko) * 2006-12-06 2008-06-27 (주)나노알앤씨 위치검출시스템 및 방법
KR101102420B1 (ko) * 2010-03-24 2012-01-05 주식회사 엔엔피 자동 경보 시스템
KR101008191B1 (ko) * 2010-07-29 2011-01-17 (주)아이제이일렉트론 침입방지용 경보장치
KR101646825B1 (ko) * 2013-08-30 2016-08-08 한국전력공사 감지 케이블 및 이를 이용한 울타리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CN111862505A (zh) * 2020-07-29 2020-10-30 杭州巨骐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全息感知外力破坏监测系统
CN111862506A (zh) * 2020-07-29 2020-10-30 杭州巨骐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全息感知外力破坏监测方法
KR20220064502A (ko) * 2020-11-12 2022-05-19 이투시스템주식회사 움직임-전류 센싱 기반 외곽 침입감지 시스템
KR20240008159A (ko) 2022-07-11 2024-01-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침입 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입 경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561B1 (ko) * 2011-03-11 2011-07-29 지티비(주) 장력감지시스템을 이용한 침입위치감지시스템
WO2014209310A1 (en) * 2013-06-27 2014-12-31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using a cable as an inpu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170A (ko) 2005-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2855B2 (en) Glassbreak noise detector and video positioning locator
KR100564882B1 (ko) 센서케이블을 이용한 휀스 감시장치
US20090160667A1 (en) Surveillance system
KR101646825B1 (ko) 감지 케이블 및 이를 이용한 울타리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1287079B1 (ko) 면 부착형 계층 구조식 3d센서를 이용한 울타리 감시 시스템
US11615699B2 (en) Smoke detector availability test
US9922511B2 (en) Fence with localized intrusion detection
KR20160092637A (ko) 철조망 침입감지 및 보안 시스템
US5610583A (en) Intrusion warning system
US5021766A (en) Intrusion detection system
US9064400B2 (en) Fencing
CN110706442B (zh) 一种电容感应式探测系统
WO2009014304A1 (en) An external trespass sensing system
KR100628500B1 (ko) 펜스진동 감지기
KR101868115B1 (ko) 재난발생 자동 검지 및 피난 관제 통신 시스템
KR101052561B1 (ko) 장력감지시스템을 이용한 침입위치감지시스템
RU2617666C2 (ru)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я нарушителя, преодолевающего сетчатое ограждение объекта
KR20110039791A (ko) 침입탐지 및 위치표시 센서케이블 시스템
KR100933239B1 (ko) 와이어센서 방식 담장 침입감지 보안시스템
KR100796264B1 (ko) 케이블 이상여부 감지장치
KR102255368B1 (ko) 통신선로의 실시간 원격 진단 시스템
US6441733B1 (en) Method for making security systems more tamper resistant and a security system
KR101264265B1 (ko) 화재 감지 선로의 오류에 유연한 p형 화재 경보 수신기 시스템
WO2011033517A1 (en) Intrusion detection system with location capability
US9202359B2 (en) Multilevel signaling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