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056B1 - 철책용 능동형 감시방법 - Google Patents

철책용 능동형 감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056B1
KR101468056B1 KR1020130063497A KR20130063497A KR101468056B1 KR 101468056 B1 KR101468056 B1 KR 101468056B1 KR 1020130063497 A KR1020130063497 A KR 1020130063497A KR 20130063497 A KR20130063497 A KR 20130063497A KR 101468056 B1 KR101468056 B1 KR 101468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unit
fence
displacement
sens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3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억
Original Assignee
권영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억 filed Critical 권영억
Priority to KR1020130063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0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2Mechanical actuation by the breaking or disturbance of stretched cords or wires
    • G08B13/122Mechanical actuation by the breaking or disturbance of stretched cords or wires for a perimeter fen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nfrared-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싱유니트를 펜스의 수직방향에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치하며, 상기 센싱유니트는 측정신호의 전달시 고유번호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전송토록 설치되고, 각 센싱유니트가 중계기에 연결될 때 상황실에 유,무선을 통하여 신호를 전달토록 하며, 상기 상황실에서 각 센싱유니트의 측정값에 의해 사람에 의한 충돌, 월담등을 확인토록 하는 철책용 능동형 감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철책용 능동형 감시방법{an active monitoring method using barbed-wire fence}
본 발명은 센싱유니트를 펜스의 수직방향에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치하며, 상기 센싱유니트는 측정신호의 전달시 고유번호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전송토록 설치되고, 각 센싱유니트가 중계기에 연결될 때 상황실에 유,무선을 통하여 신호를 전달토록 하며, 상기 상황실에서 각 센싱유니트의 측정값에 의해 사람에 의한 충돌, 월담등을 확인토록 하는 철책용 능동형 감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러, 주요 보안장소, 기간산업공장, 주요 인사 거주지 등에 대한 방호시스템의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철조망이나 육안감시에 의존하던 제1세대 방호시스템으로부터 전자 휀스와 감시카메라를 이용한 제2세대 방호시스템을 거쳐 최근 첨단기술을 이용한 제3세대 방호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제3세대 방호시스템은 GPS와 무선통신을 이용한 감시, 첨단 감지휀스와 경보시스템, 첨단기술의 출입통제시스템 등으로 구성되고 중앙통제실에서 이를 통합 관리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되어 특허 제946574호에 수동형 침입감지 휀스 시스템의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전하감지케이블(1)이 연결케이블(6)을 경유하여 ASU(7)에 연결되면서 상기 연결케이블(6)은 ASU(7)에 연결된되고, 상기 전하감지케이블(1) 중 한쪽의 케이블을 전하감지케이블 대신에 전하진동감지케이블을 설치하여도 되며, 상기 ASU(7)는 DCU(10)에 연결될 때 ASU(7)와 DCU(10)는 옥외용 콘트롤 판넬(12) 내에 함께 설치되며, 상기 옥외영 콘트롤 판넬(12) 내에는 그 밖에도 전원장치(9), 비상전지(8) 및 케이블 분전반(11)이 함께 설치되어 DCU(1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수동형 침입감지 휀스시스템을 네트워크(13)를 통하여 원격의 중앙통제실(14)에 연결되며, 상기 DCU(10)를 원격의 중앙통제실(14)의 중앙통제 서버나 CCTV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휀스 시스템은, 동물이나 사람 등의 접촉 및 충돌에 의해서도 휀스에 설치되는 전하감지케이블(1)이 동작토록 되어 부하를 증가시키게 되고, 오작동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월담 등의 경우 월담 방향을 정확하게 알 수 없으며,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의 위치를 알 수 없어 신속한 대응이 힘들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람에 의해 펜스에 가해지는 충격 등을 알 수 있도록 되어 현장의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원격지는 물론 현장 관리자에게 현장의 위치 및 상황을 정확하게 전파할 수 있도록 하며, 현장의 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토록 되어 무인화가 가능토록 하고, 펜스의 절단이나 월담 등을 파악하여 이동경로 등의 확인이 가능토록 하는 철책용 능동형 감지시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펜스의 수직방향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유니트를 설치하며,
상기 센싱유니트는 변위신호의 전달시 고유번호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전송토록 설치되고,
각 센싱유니트와 연결되면서 펜스에 연결되는 중계기를 통하여 상황실에 센싱유니트의 측정값을 유,무선으로 전달하며,
상기 상황실은 사람이나 짐승의 펜스 충돌여부, 펜스의 절단, 펜스의 월담 및 월담경로를 파악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갖는 관리자서버가 구비되어 개별 센싱유니트가 동작하거나 복수의 센싱유니트가 각각 동작될 때 측정값에 의해 펜스에의 충돌, 월담, 절단을 확인토록 하는 철책용 능동형 감시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센싱유니트는, 변위계와 이에 연결되는 케이블로 이루어지면서 외측에 피복재가 씌워지는 변위센서 또는 진동센서, 적외선센서 중에서 선택되어 하중이나 진동 및 움직임감지에 의해 동물이나 사람에 의해 가해지는 변위나 움직임에 의해 펜스에의 충돌, 월담, 절단을 확인토록 하는 철책용 능동형 감시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황실은, 초병 등의 평균몸무게를 산정한 후 그 이상의 무게로 일정시간 이상동안 변위값이 측정될 경우 출력수단을 통하여 경고토록 설치되는 철책용 능동형 감시방법을 제공한다.
더하여, 상기 상황실은, 센싱유니트의 동작시 관리자의 PDA등으로 이루어진 관리자단말에 정보를 전달하도록 하는 철책용 능동형 감시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황실은 센싱유니트의 동작시 현 위치의 디머가 설치되는 조명등의 조도를 상향토록 하고, 가변수단을 갖는 CCTV의 방향을 이동시키도록 설치되는 철책용 능동형 감시방법을 제공한다.
계속하여, 상기 펜스는, 철망의 수평방향 및 펜스 상부의 원형철망에 센싱유니트가 각각 구비되는 철책용 능동형 감시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펜스는, 수평방향에 설치되는 변위센서로 이루어진 하나의 센싱유니트가 설치될 때 상기 센싱유니트에 연결되면서 철망에 연결되는 수직방향의 복수의 연결케이블이 센싱유니트에 각각 연결되는 철책용 능동형 감시방법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펜스에 가해지는 충격 등을 알 수 있어 현장의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원격지는 물론 현장 관리자에게 현장의 위치 및 상황을 정확하게 전파하며, 어디에서나 현장의 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하여 무인화가 가능하고, 펜스의 절단이나 월담 등에 상관없이 이동경로의 확인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휀스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감지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싱유니트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센싱유니트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센싱유니트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유니트의 적용상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유니트의 적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감지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싱유니트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센싱유니트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센싱유니트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유니트의 적용상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유니트의 적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펜스(200)는, 변위계(110)와 상기 변위계에 연결되는 케이블(130)로 이루어지면서 외측에 피복재(150)가 씌워지는 변위센서 또는 진동센서(190)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센싱유니트(100)가 철망(210)의 수직방향에 이격되는 복수개 구비된다.
상기 센싱유니트(100)가 변위센서로 이루어지면서 동물이나 침투자가 펜스에 충돌하거나 펜스를 타고 넘을 때 수반되는 동작인 케이블(130)을 밟거나 철망(210)을 밟을 때 상기 동작이 발생되는 근접위치의 각 변위계(110)에 최대 변위값이 작용하여 위치를 확인토록 설치된다.
또한, 펜스를 타고 넘을 때 각 변위계(110)에 작용하는 최대 측정값의 발생시간을 비교하여 변위계(110)에 변위의 측정위치에 따른 순서에 따라 침투자의 월담시 진행방향을 확인토록 설치된다.
더하여, 상기 센싱유니트(100)는, 펜스(200)의 수직방향에 이격 설치되는 2개 이상의 진동센서(190)로 이루어질 때 각 진동센서에서 측정되는 진동값의 비교에 의해 펜스에서의 진동위치를 측정토록 설치된다.
또한, 침투자가 각 펜스를 타고 넘을 때 각 진동센서(190)에서 최대 진동치의 발생시간 비교하여 진동센서(190)에 측정위치에 따른 순서에 따라 침투자의 월담시 진행방향을 확인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센싱유니트(100)는, 높이 방향에 설치되면서 적외선의 방출각도 한정에 의해 감지 방향이 제한되는 복수의 적외선센서(190)로서 이루어져 펜스의 월담등을 측정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적외선센서(190)는, 하부에서 상부로 월담시 먼저 상측의 적외선센서가, 다음 상,하측의 적외선센서가, 그리고 하측의 적외선센서가 동작토록 되어 이상과 같은 순서로 적외선센서가 동작될 경우 월담이 확인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센싱유니트(100)는 변위센서의 경우 변위계(110)와 이에 연결되는 케이블(130)로 이루어지면서 외측에 피복재(150)가 씌워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싱유니트(100)는 설치시 펜스(200)의 수평방향에서 설치하면서 철망(210)에 변위계 및 변위계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각각 지지한다.
이때, 상기 센싱유니트(100)는, 철망(210)에 수평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면서 철망(210)의 수직방향에 이격되어 적어도 한 층 이상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변위계(110)는, 광섬유센서, 압력센서, 전기저항센서, 진동현센서, 접촉식자기센서, 자기센서, 기울기센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센싱유니트(100)는, 변위센서 또는 진동센서, 적외선센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마이콤이 일체로 구비되거나 연결되는 구성으로 변위신호 또는 진동신호 및 적외선의 움직임 감지신호의 전달시 고유번호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전송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고유번호에 대한 정보는 각 센서의 설치위치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센싱유니트(100)는, 수직방향에 복수의 변위센서가, 수직방향에 변위센서 및 진동센서, 수직방향에 변위센서 및 적외선 센서, 수직방향에 복수의 적외선센서, 수직방향에 진동센서 및 적외선센서가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펜스(200)의 일측에는 각 센싱유니트(100)의 변위측정신호를 상황실(400)에 전달하도록 중계기(30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중계기(300)는, 상황실(400)에 유,무선을 통하여 신호를 전달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황실(400)은, 각 센싱유니트(100)의 동작시 사람이나 짐승의 충돌이나 월담 및 월담경로 등을 감지하거나 센싱유니트의 순차동작시 월담방향을 파악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미리 설치되는 관리자서버(410)가 구비된다.
더하여, 상기 상황실(400)의 관리자서버(410)는, 센싱유니트(100)의 동작시 관리자의 PDA등으로 이루어진 현장단말(500)에 정보를 전달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관리자서버(410)는, 센싱유니트(100)의 동작시 현 위치의 디머(610a)가 설치되는 조명등(610)의 조도를 상향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관리자서버(410)는, 가변수단(630a)을 갖는 cctv(630)의 방향을 조절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관리자서버(410)는, 현장이나 상황실에 구비되면서 스피커나 표시램프등으로 이루어진 출력수단(650)에 연결되어도 좋다.
계속하여, 상기 펜스(200)는, 철망의 수평방향 및 펜스 상부의 원형철망(230)에 센싱유니트(100)가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센싱유니트(100)는, 내측에 엘이디발광부로 이루어진 출력수단(650)이 내장되어 일정량 이상의 변위가 발생되면 점멸토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펜스(200)는, 수평방향에 설치되는 하나의 센싱유니트(230)가 설치될 때 상기 센싱유니트(230)에 연결되면서 철망(210)의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연결되는 수직방향의 연결케이블(290)이 하나의 센싱유니트(230)에 복수개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7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관리자서버(410)에는 센싱유니트(100)에 연결되는 케이블(130)를 밝거나 끊어 변위계(110)의 출력값이 변화할 때 미리 입력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그 변위의 측정값이 일정값 이상이거나 이하 또는 각 센싱유니트(100)에 변위값이 순차로 발생될 때 대응되는 출력값을 출력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센싱유니트(100)는 변위센서를 진동센서 또는 적외선세서로 대체하고, 진동센서와 변위센서, 진동센서 및 변위센서와 적외선센서가 동시에 설치되어도 된다.
즉, 상기 출력값의 예를 들면, 실험값에 의해 사람의 평균몸무게를 산정한 후 그 이상의 몸무게로 충돌하거나 누르는 힘에 의한 변위에 동작하고, 그 힘 이상일 경우 출력수단(650)을 통하여 완전인 녹색에서 위험인 적색으로 다단 점등토록 한다.
또한, 상기 출력값은 복수의 센싱유니트(100)에 변위가 순차로 작용될 때 각 센싱유니트(100)에 작용하는 변위가 상부에서 하부로 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동작함에 따라 월담(W)의 지역 및 방향을 확인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센싱유니트(100) 하나에서 발생되는 반복적인 출력값에 의해 월담인원의 확인 및 체격의 확인도 가능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출력값은 펜스에 동물이나 사람 등의 순각적인 충돌시 센싱유니트(100)에 변위가 작용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일정시간 이하일 경우 단순 충격에 의한 충돌로 감지하여 출력수단을 동작시키게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센싱유니트(100)가 진동센서일 경우 바람등에 의해 일정한 압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할 경우에는 기준값 이하의 압력이 반복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사람등에 의한 펜스의 충격이 아님을 알수 있게 된다.
그리고, 관리자서버는, 강한 바람에 의한 움직임의 경우 변위의 작용시간이 일정시간이상 지속되고, 동물에 의한 충격의 경우 월담등이 불가능하여 충돌등에 의한 변위만이 작용되어 단시간에 변위가 나타나도록 되어 이를 제거한 후 출력수단을 동작시키도록 설치된다.
더하여, 상기 출력값은 센싱유니트(100)의 절단시 일정시간동안 동일한 변위가 발생될 때 절단으로 감지하여 펜스의 절단(C) 위치 확인이 가능토록 된다.
즉, 상기 케이블(130)은 그 외측에 씌워지는 피복재(150)가 철망(210)의 각 부분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각 철망을 절단할 경우 서로연결되는 철망의 장력이 축소되면서 이에 연결되는 변위계의 값이 일정량 이상으로 연속하여 감소되는 값으로 출력되어 절단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관리자서버(410)는, 각 센싱유니트(100)의 고유 ID가 동시에 수신토록 되어 펜스에서 변위를 감지하는 각 센싱유니트(100)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토록 한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사람이나 짐승이 펜스(200)에 충돌하거나 월담할 경우 또는 절단된 경우 월담방향이나 월담인원 및 체격등의 확인이 가능토록 된다.
이때, 상기 센싱유니트(100)는, 변위계(110)와 이에 연결되는 케이블(130)로 이루어지면서 외측에 피복재(150)가 씌워지는 구성으로 변위계(110) 및 케이블(130)의 양단이 펜스(200)의 철망(210)에 연결되고, 상기 철망(210)은 그 단부에 연결되는 턴버클(213)에 의해 일정 장력으로 조절된 상태에서 초기화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130)은 그 외측에 씌워지는 피복재(150)가 철망(210)의 각 부분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각 철망을 밟고 월담등을 수행할 때 철망의 격자에 하중이 전달되면서 그 하중에 케이블(130)을 통하여 변위계(110)에 전달되어 반응토록 된다.
이때, 상기 센싱유니트(100)는, 철망(210)에 수평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면서 철망(210)의 수직방향에 이격되어 적어도 한 층 이상이 설치되어 월담자가 철망을 타고 넘을 때 수직방향에 각 센싱유니트(100)가 반응하여 월담을 확인하게 된다.
또한, 상기 펜스(200)의 일측에는 각 센싱유니트(100)의 변위측정신호를 상황실(400)에 전달하도록 중계기(300)가 설치되어 각 센싱유니트(100)에서 측정되는 변위값을 상황실(400)에 전달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중계기(300)는, 상황실(400)에 RFID나, RS485등의 양방향 통신을 통하여 유,무선을 연결되어 측정값을 상황실에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황실(400)에 설치되는 관리자서버(410)나 각 센싱유니트(100)에는 엘이디램프등으로 이루어진 출력수단(650)이 구비되어 각 센싱유니트가 일정값 이상의 변위를 감지할 때 현장 또는 상황실에서 점멸토록 되어 현장 및 상황실에서 동시 확인이 가능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상황실(400)의 관리자서버(410)는, 센싱유니트(100)의 동작시 PDA등으로 이루어진 초병이나 경비원의 현장단말(500)에 전달할 때 센서의 동작 및 센서의 위치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관리자서버(410)는, 센싱유니트(100)의 동작시 센싱유니트(100)가 설치되는 위치의 조명등(610)의 디머(610a)를 조작하여 더 밝은 조도를 구현하여 원거리에서도 센싱유니트(100)의 동작 위치확인이 가능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관리자서버(410)는, 가변수단(630a)을 갖는 cctv(630)의 방향을 조절토록 설치되어 센싱유니트(100)의 동작 위치의 상황을 화상으로 확인토록 된다.
이때, 상기 관리자서버(410)는, 스피커등의 출력수단(650)에 연결되어도 경보방송등의 출력도 가능토록 된다.
계속하여, 상기 펜스(200)는, 철망의 수평방향 및 펜스 상부의 원형철망(230)에 센싱유니트(230)가 각각 구비되어 월담시 원형철망이 변형되면서 센싱유니트가 동작된다.
한편, 상기 펜스(200)는, 수평방향에 설치되는 하나의 센싱유니트(230)가 설치될 때 상기 센싱유니트(230)에 연결되면서 철망(210)의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연결되는 수직방향의 연결케이블(290)이 하나의 센싱유니트(230)에 복수개 연결되는 구성으로 철망을 밟을 때 각 연결케이블(290)이 하나의 센싱유니트(230)에 하중을 전달하여 센싱유니트(230)가 동작함으로써 최소의 센싱유니트(230)로서도 월담이나 충격감지 및 절단등을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10...변위계 130...케이블
150...피복재 200...펜스
210...철망 230...원형철망
300...중계기 400...상황실
410...관리자서버

Claims (8)

  1. 펜스의 수직방향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유니트를 설치하며,
    상기 센싱유니트는 측정신호의 전달시 고유번호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전송토록 설치되고,
    각 센싱유니트와 연결되면서 펜스에 연결되는 중계기를 통하여 상황실에 센싱유니트의 측정값을 유,무선으로 전달하며,
    상기 상황실은 사람이나 짐승의 펜스 충돌여부, 펜스의 절단, 펜스의 월담 및 월담경로를 파악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갖는 관리자서버가 구비되어 개별 센싱유니트가 동작하거나 복수의 센싱유니트가 각각 동작될 때 측정값에 의해 펜스의 충돌, 월담, 절단을 확인토록 하고,
    상기 펜스는, 센싱유니트가 하부에 조밀한 배치로 상부에는 이격되는 배치이며, 상부에 연결되는 원형철망 역시 센싱유니트가 배치되고,
    상기 센싱유니트는, 변위계와 상기 변위계에 연결되는 케이블로 이루어지면서 외측에 피복재가 씌워지는 변위센서 및 진동센서가 동시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진동및 변위에 의해 월담을 측정토록 하는 철책용 능동형 감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실은, 센싱유니트의 동작시 PDA등으로 이루어진 현장단말에 정보를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책용 능동형 감시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실은, 센싱유니트의 동작시 현 위치의 디머가 설치되는 조명등의 조도를 상향토록 하고,
    가변수단을 갖는 cctv의 방향을 동작되는 센싱유니트의 위치로 조절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책용 능동형 감시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는, 수평방향에 설치되면서 변위센서로 이루어진 하나의 센싱유니트가 설치될 때 상기 센싱유니트에 연결되면서 철망에 연결되는 수직방향의 연결케이블이 센싱유니트에 복수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책용 능동형 감시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유니트는, 변위계와 상기 변위계에 연결되는 케이블로 이루어지면서 외측에 피복재가 씌워지는 변위센서로 이루어지고,
    케이블을 밟거나 철망을 밟을 때 각 변위계에 최대 변위값이 작용하여 위치를 측정토록 하고,
    각 변위계에서 최대 측정값의 측정시간을 비교하여 변위의 진행방향을 측정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책용 능동형 감시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130063497A 2013-06-03 2013-06-03 철책용 능동형 감시방법 KR101468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497A KR101468056B1 (ko) 2013-06-03 2013-06-03 철책용 능동형 감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497A KR101468056B1 (ko) 2013-06-03 2013-06-03 철책용 능동형 감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8056B1 true KR101468056B1 (ko) 2014-12-02

Family

ID=52677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3497A KR101468056B1 (ko) 2013-06-03 2013-06-03 철책용 능동형 감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805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9233A (ko) * 2015-02-12 2016-08-22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일루미네이션 펜스
KR20160134271A (ko) * 2015-05-15 2016-11-23 이명식 스마트 침입인식 및 대응 시스템
KR101827260B1 (ko) * 2016-09-29 2018-03-22 (유)원테크 스마트 펜스
KR101963789B1 (ko) 2018-03-29 2019-03-29 최동훈 철책선 감지 시스템
JPWO2021059507A1 (ko) * 2019-09-27 2021-04-01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3659A (ja) * 2004-12-06 2006-06-22 Japan Atom Power Co Ltd:The 侵入検知システム
KR101046635B1 (ko) * 2011-01-05 2011-07-06 (주)아이제이일렉트론 보안펜스 침입감지시스템 및 침입감지방법
KR101052561B1 (ko) * 2011-03-11 2011-07-29 지티비(주) 장력감지시스템을 이용한 침입위치감지시스템
KR20120052015A (ko) * 2010-11-15 2012-05-23 주식회사 에프나인 영상과 usn을 이용한 울타리 경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3659A (ja) * 2004-12-06 2006-06-22 Japan Atom Power Co Ltd:The 侵入検知システム
KR20120052015A (ko) * 2010-11-15 2012-05-23 주식회사 에프나인 영상과 usn을 이용한 울타리 경계장치
KR101046635B1 (ko) * 2011-01-05 2011-07-06 (주)아이제이일렉트론 보안펜스 침입감지시스템 및 침입감지방법
KR101052561B1 (ko) * 2011-03-11 2011-07-29 지티비(주) 장력감지시스템을 이용한 침입위치감지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9233A (ko) * 2015-02-12 2016-08-22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일루미네이션 펜스
KR101715232B1 (ko) * 2015-02-12 2017-03-10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일루미네이션 펜스
KR20160134271A (ko) * 2015-05-15 2016-11-23 이명식 스마트 침입인식 및 대응 시스템
KR101708017B1 (ko) * 2015-05-15 2017-02-17 이명식 스마트 침입인식 및 대응 시스템
KR101827260B1 (ko) * 2016-09-29 2018-03-22 (유)원테크 스마트 펜스
KR101963789B1 (ko) 2018-03-29 2019-03-29 최동훈 철책선 감지 시스템
JPWO2021059507A1 (ko) * 2019-09-27 2021-04-01
WO2021059507A1 (ja) * 2019-09-27 2021-04-01 日本電気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センシング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JP7359216B2 (ja) 2019-09-27 2023-10-11 日本電気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センシング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8056B1 (ko) 철책용 능동형 감시방법
US7123785B2 (en) Optic fiber security fence system
EP1651027B1 (en) Deflection sensing system
CN102938179A (zh) 周界防护系统和周界防护方法
CN110634254A (zh) 一种电子围栏
KR101575011B1 (ko) 영상을 이용한 적외선감지기와 그 동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안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
EP3059716A1 (en) Device for detecting intrusion on security fences
KR102499410B1 (ko) 무인 경비를 위한 스마트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US7728725B2 (en) Intrusion detection system for underground/above ground applications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ransponders
CN110706442B (zh) 一种电容感应式探测系统
KR102028515B1 (ko) 머신러닝 기반의 울타리 침입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266548B1 (ko) 오작동 방지와 침입 감지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보안 울타리 시스템
CN108628209A (zh) 一种建筑工程检测安全装置
WO2009014304A1 (en) An external trespass sensing system
US8730030B2 (en) Hazard/perimeter safety system
CN210515561U (zh) 一种电子围栏
JP6769821B2 (ja) 作業現場監視装置
JP3145797U (ja) 工事現場の仮設足場監視システム
KR20160134271A (ko) 스마트 침입인식 및 대응 시스템
CN201993936U (zh) 防入侵报警实训系统
KR20160114375A (ko) 실시간 낙석 피해 경고/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5508045U (zh) 一种基于多传感器的火灾测温系统
CN202650169U (zh) 智能振动电子围栏及周界防入侵报警系统
CN213781143U (zh) 一种带有智能门禁的周界防翻越系统
CN102622839A (zh) 智能振动电子围栏及周界防入侵报警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