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1557B1 - 비타민 k1을 포집시킨 고분자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방법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타민 k1을 포집시킨 고분자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방법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1557B1
KR101051557B1 KR1020040111200A KR20040111200A KR101051557B1 KR 101051557 B1 KR101051557 B1 KR 101051557B1 KR 1020040111200 A KR1020040111200 A KR 1020040111200A KR 20040111200 A KR20040111200 A KR 20040111200A KR 101051557 B1 KR101051557 B1 KR 101051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crylate
polymer
vitamin
cholester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1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2533A (ko
Inventor
조성아
조준철
한상훈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40111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1557B1/ko
Publication of KR20060072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2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타민 K1(Phytonadione: 2-methyl-3phytyl-1,4-naphthoquinone)을 포집시킨 고분자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방법 및 상기 고분자 마이크로캡술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고분자와 액정의 상 분리를 이용하여 비타민 K1을 고분자 속에 안정화 시킴으로써 난용성 물질인 비타민 K1의 제형화를 용이하게 하고 활성 성분인 비타민 K1의 안정도를 높인 고분자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타민 K1*콜레스테롤 액정*고분자*마이크로캡슐*화장료

Description

비타민 K1을 포집시킨 고분자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Process for preparating Vitamin K1 polymer microcapsules and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입자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다(x 500).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캡슐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다(x 500).
본 발명은 비타민 K1(Phytonadione: 2-methyl-3phytyl-1,4-naphthoquinone)을 포집시킨 고분자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분자와 액정의 상 분리를 이용하여 비타민 K1을 고분자 속에 안정화 시킴으로써 난용성 물질인 비타민 K1의 제형화를 용이하게 하고 활성 성분인 비타민 K1의 안정도를 높인 고분자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타민 K1은 비타민 K의 한 종류로서 피토나디온(Phytonadione) 혹은 필로퀴논(Phylloquinone)으로 알려져 있고 브로콜리, 상추와 같은 식물에서 합성되는 성분이다. 또한, 비타민 K1은 혈액응고에 있어서 중요한 감마-글루타밀-카르복실라제 (gamma-glutamyl-carboxylase)의 보조인자(cofactor)로 여러 혈액 응고인자의 생성에 관여하며 최근 연구를 통해 뼈를 단단하게 하는 중요한 영양성분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비타민 K1은 이러한 검증된 생물학적 프로필을 통해 최근 화장료의 원료로 응용되고 있으며 특히, 아이링(Eye-ring)과 혈관 흔적 개선을 위한 화장품에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1999년 코스메틱 더마토러지(Cosmetic Dermatology)에 실린 논문 ‘눈주위 과색소침착에 대한 국소적인 비타민 K/비타민 A의 처리(Treatment of periorbital hyperpigmentation with topical vitamin K/vitamin A)’에서는 비타민 K가 산화적 손상이나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ROS)]에 의해 과유발된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Matrix metalloprotease(MMP)]에 의한 혈관의 미세출혈(microhaemorrhage)에 대하여 혈액응고 작용이 있어 장기적으로 다크써클의 심화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최근 2003년 아테로스클러시스(Atherosclerosis)에 실린 ‘배양된 랫트의 혈관 평활근 세포에서 세포 외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티아제의 생성에 대한 마그네슘의 효과(Effects of magnesium on the production of extracellular matrix metalloproteinases in cultured rat vascular smooth muscle cells)’에서는 비타민 K가 칼슘결합활성(calcium binding activity)을 가지고 있는데, 만약 비타민 K가 피부혈관 내피세포에서 칼슘과 결합함으로써 혈관수축이 억제되면 혈액순환 촉진에 있어서도 좋은 결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라는 내용도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효능을 가진 비타민 K1은 대부분의 유용성 활성물질의 경우 와 마찬가지로, 빛이나 열, 물과 같은 외부환경에 노출되었을 때 효능이 급격히 저하되며, 특히, 화장품 제형에서 효능을 부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형 내에 존재하는 계면활성제, 물, 오일 성분 등에 의하여 변성이 야기되기 때문에 비타민 K1을 화장품 원료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상기의 다양한 자극들을 차단할 수 있어야 한다는 어려움을 갖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비타민 K1이 화장료 안에서 그 활성과 색상이 변성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고분자 캡슐화 방법을 연구하였고, 그 결과, 콜레스테롤계 열방성 액정을 이용하여 비타민 K1 고분자 마이크로 캡슐을 제조하고, 또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 비타민 K1이 화장품 제형 내에서 우수한 안정도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타민 K1을 포집시킨 고분자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비타민 K1을 포집시킨 고분자 마이크로 캡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비타민 K1을 포집시킨 고분자 마이크로 캡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고분자 마이크로 캡슐은 열 방성 액정과 용매를 이용하여 비타민 K1을 고분자에 포집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 마이크로 캡슐은,
현탁 중합을 통해 고분자 입자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고분자 입자와 열방성 액정 그리고 비타민 K1을 용매에 단일상으로 용해시킨 후, 상기 용액을 분산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수상에 첨가하고 이를 유화시켜 에멀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에멀젼에 용매 증발 단계를 거쳐 고분자 캡슐을 수득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비타민 K1 고분자 액정 고분자 캡슐을 제조하는 방법을 각 단계별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단량체를 용매에 용해시킨 후, 개시제를 첨가하는 단계
본 발명에서는 단량체를 용매에 균일하게 용해시키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조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중합반응을 진행시키기 위하여 용액에 개시제를 첨가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량체는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것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스티렌, p- 또는 m-메틸스티렌, p- 또는 m-에틸스티렌, p- 또는 m-클로로스티렌, p- 또는 m-클로로메틸스티렌, 스티렌설포닉 엑 시드, p- 또는 m- 또는 t-부톡시스티렌,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비닐아세테이트, 비닐프로피오네이트, 비닐부티레이트, 비닐에테르, 알릴부틸에테르,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메타)아크릴산, 말레인산과 같은 불포화카르복시산, 알킬(메타)아크릴아마이드,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등을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용매는 상기한 단량체를 용해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물과 거의 섞이지 않으면서 끓는점이 높지 않은 특성을 가진 것들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클로로메탄,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테트라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알칸류,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시클로헥산, 벤젠, 톨루엔 등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개시제로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라우릴 퍼옥사이드, o-클로로벤조일 퍼옥사이드, o-메톡시벤조일 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부틸퍼옥시이소부틸레이트, 1,1,3,3-테트라메틸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디옥타노일 퍼옥사이드, 디데카노일 퍼옥사이드 등과 같은 퍼옥사이드계와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2,2- 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등과 같은 아조 화합물을 사용한다.
개시제는 유효 개시효율을 고려할 때 전체 단량체 대비 1~2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중량% 미만의 농도에서도 중합은 가능하지만 90% 이상의 중합도를 얻기 위해서는 장기간 중합시간이 필요하고, 2중량%를 초과하는 농도에서는 중합속도가 급격히 높아, 낮은 분자량의 고분자를 형성시키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고분자 입자의 물성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이 단계에서 가교제를 더 첨가할 수 있다. 가교제는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것이면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디비닐벤젠, 1,4-디비닐옥시부탄, 디비닐술폰, 디알릴 프탈레이트, 디알릴아크릴아미드,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리트리멜리테이트 등의 알릴 화합물과,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릴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릴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릴트리톨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릴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이펜타에릴트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는 고분자 총량에 대하여 0.1~0.3중량%의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상기 (1)의 용액을 분산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수상에 첨가한 후, 유화시켜 에멀젼을 수득하는 단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분산 안정화제는 수상에 녹을 수 있는 고분자로서, 예를 들면 젤라틴, 스타치,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카복시메틸셀룰로오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킬에테르, 폴리비닐알콜, 폴리디메틸실록산/폴리스티렌 블록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산 안정화제의 사용량은 분산 중합 과정에서 생성된 고분자 입자가 중력에 의한 침적이나 입자간 응집을 억제할 수 있을 정도로, 전체 반응물에 대하여 1~5중량%가 바람직하다. 1중량% 미만의 경우에는 안정화능이 급격히 저하되고 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계의 점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안정화능도 평형에 이르게 되어 안정화능에 기여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나타낸다.
(3) 상기 (2)의 에멀젼에 중합억제제를 첨가한 후, 현탁중합시켜 고분자 입자를 수득하는 단계
현탁중합은 에멀젼내에서만 이루어져야 하는데, 반응 단계상 에멀젼입자를 수상에 분산시킨 후 현탁중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상에서 개시제에 의해 반응이 이루어져 너무 작은 고분자입자들이 제조되고, 고분자입자들이 비효율적으로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수상에서의 중합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 단계에서 중합억제제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중합억제제로는 수용액 상에서 용해되는 것이면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라이진, 소디윰나이트라이트와 포타슘나이트라이트 같은 무기물; 및 하이드로퀴논, 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에테르, 피로카테콜과 같은 유기물 등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중합억제제의 사용량은 전체반응물에 대하여 0.01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0.01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오히려 개시효율이 저하되어 중합금지 효과를 나타낸다.
현탁중합은 당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한다.
(4) 상기 (3)에서 얻어진 고분자 입자, 열방성 액정 및 비타민 K1을 용매에 단일상으로 용해시키는 단계
상기 고분자 단량체, 열방성 액정 및 비타민 K1을 용매에 첨가한 후, 초음파를 조사함으로써 균일하게 용해시킨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액정은 열방성 액정으로, 콜레스테롤계 액정을 사용한다. 콜레스테롤계 액정은 콜레스테롤 액정 또는 콜레스테릴 유도체로서, 예를 들어, 콜레스테릴 옥타노에이트, 콜레스테릴 노나노에이트, 콜레스테릴 올레일 카보네이트, 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릴 카보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액정의 사용량은 전체 캡슐입자에 대하여 5~10중량%의 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10중량%를 초과하면 용매 증발 시 캡슐의 외벽이 얇아져 안정한 캡슐이 형성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비타민 K1(피토나디온)은 전체 캡슐입자에 대하여 0.1-1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여 안정화시킨다. 비타민 K1의 첨가량이 0.1중량% 미만일 경우, 캡슐 제조는 용이하나 최종 캡슐의 액티브 포집량이 적게 되며, K1의 양이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역시 캡슐의 외벽이 얇아져 용매 증발 단계에서 포집된 액티브 성분이 다시 빠져 나올 수 있다.
용매는 상기에 단량체 용해 시 사용된 용매와 유사한 종류가 사용되며 단량체, 열방성 액정 및 비타민 K1을 균일하게 용해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물과 거의 섞이지 않고 끓는점이 그리 높지 않은 특성을 가진 것들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클로로메탄,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테트라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알칸류,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시클로헥산, 벤젠, 톨루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5) 상기 (4)의 용액을 분산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수상에 첨가하고 이를 유화시켜 에멀젼을 수득하는 단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분산 안정화제는 수상에 녹을 수 있는 고분자 또는 소량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분산 안정화제로는 예를 들어,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카복시메틸셀룰로오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킬에테르, 폴리비닐알콜,소듐라우릴설페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첨가량은 전체 반응물에 대하여 0.5~3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용액이 수상에 안정하게 분산되고 용매 휘발 단계에서 중력에 의한 침적이나 입자간 응집을 억제할 수 있는 범위이다.
(6) 용매 증발 단계를 거쳐 상기 (5)의 에멀젼으로부터 고분자 캡슐을 수득 하는 단계
상기의 분산된 에멀젼을 감압하여 용매를 증발시키는 과정을 통해 균일화 되어있던 고분자, 열방성 액정 및 비타민 K1의 상 분리를 유도하여 고분자 캡슐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열방성 액정 고분자 캡슐은 고분자가 액정을 싸고 있는 형태로서, 액정의 거동, 즉 액정의 배향성을 그대로 나타낼 수 있어, 가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방성 액정 고분자 캡슐은 온도에 따라 액정의 거동이 발휘되기 때문에 온도 의존성을 갖는 스마트 약물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온도가 상승하면 액정의 거동이 발휘되지 않아 유동성이 강화되므로 약물이 빠르게 방출될 수 있고, 반면에 저온에서는 액정으로 인해 약물의 방출이 지연될 수 있으므로 약물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액정 고분자 캡슐은 액정 내에 불안정한 비타민 K1을 포집시키면서, 액정 및 고분자에 의해 비타민 K1을 이중으로 안정화 하기 때문에 화장품 조성 내에서 비타민 K1의 안정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비타민 K1 고분자 마이크로 캡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에센스, 립스틱, 메이컵 베이스, 파운데이션,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및 분무제 등의 제형으로 적의선정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고분자 마이크로 입자의 제조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단량체를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20㎖에 넣고, 초음파를 조사하여 균일하게 용해시켰다. 이 때, 단량체 대비 1중량%의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2,2'-azobis (2-methylbutyronitrile)]을 개시제로 첨가하였다. 그 다음, 상기 용액을 검화도 87~89%의 폴리비닐알콜(polyvinylalcohol) 1.5%가 녹아있는 수용액에 첨가한 후, 5,000rpm의 전단응력으로 5분간 유화시켰다. 상기 에멀젼을 60℃로 가열된 반응기에 넣고, 0.01중량%의 소디윰 나이트라이트(sodium nitrite)를 첨가한 후, 4시간 동안 중합하였다. 중합이 끝나면, 잔존하는 유기용매를 감압하여 증발시키고, 여과한 후 물에 세척하는 과정을 수 차례 반복하고, 이어서 진공오븐에서 건조시켜 분말형태의 고분자 입자를 얻었다.
[실시예 2]
가교제로 단량체 대비 0.3중량%의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를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용해시킨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비타민 K1을 포집시킨 고분자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고분자 입자를 비타민 K1의 안정화 제재로 적용하기 위 해 하기와 같이 용매 증발법을 이용하여 액정과 비타민 K1을 고분자 입자 내에 포집 시켰다.
먼저, 비타민 K1 0.5g, 콜레스테릴 노나노에이트(Cholesteryl nonanoate) 0.5g, 실시예 1의 고분자 입자 9g을 20㎖의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완전히 녹인 다음, 0.25중량% 소디윰라우릴설페이트(Sodium laury lsulfate)가 녹아있는 물과 에탄올 혼합액 80㎖에 첨가하고, 25,000rpm의 전단 응력으로 5분간 유화시켜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유기용매를 감압하여 증발시키고, 여과 후 물에 세척하는 과정을 수 차례 반복한 후, 진공오븐에서 건조시켜 분말형태의 캡슐을 얻었다.
[시험예 1] 캡슐의 형태관찰
실시예 1과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입자의 형태(morphology)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관찰결과, 도 1 및 도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고분자 입자와 실시예 3에서 제조한 고분자 캡슐의 전체적인 형태는 큰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고분자 캡슐 내에 포집된 비타민 K1의 안정성 향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실시예 4 및 비교예 1의 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4 비교예 1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8 1.8
클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5 1.5
스테아린산 1.2 1.2
식물성스쿠알란 10 10
프로필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1 1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0.3 0.3
방부제 및 항산화제 적량 적량
카보머 0.13 0.13
글리세린 4 4
트리에틸아민 0.12 0.12
고분자캡슐(실시예 3)/비타민 K1 1.0/- -/0.05
정제수 잔량 잔량
각 시료를 25℃와 40℃의 오븐에서 보관한 후, 일정기간 뒤 시료를 취하여 액상크로마토그래피로 잔여 비타민 K1의 양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캡슐 보관온도(℃) 초기 농도 유지율(%)
1일 후 7일 후 14일 후 28일 후
실시예 4 25 100 99 98.2 97.5
40 100 97 95.6 93.7
비교예 1 25 100 92.1 87.1 82.3
40 100 85.3 70.4 55.9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정 고분자 캡슐 내에 존재하는 비타민 K1을 함유한 실시예 4의 크림은 처리되지 않은 비타민 K1을 함유한 비교예 1과 비교하여 탁월한 안정도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용성 활성 성분인 비타민 K1이 근본적으로 액정성분과 높은 혼합성을 지니고 있고 액정의 결정성분과 유사한 분자배열 특성을 지니고 있어 액정 형성과정에 참여 하여 고정화되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게다가, 외각 껍질층을 형성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고분자 자체가 외부자극에 대한 1차적인 차단성을 지니고 있어 그 안정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비타민 K1을 포집시킨 고분자 마이크로 캡슐은 콜레스테롤 액정과 외각의 고분자의 이중 안정화 효과로 화장료 조성물에서 비타민 K1의 안정도를 크게 개선할 수 있다.

Claims (6)

  1. 고분자 마이크로 캡슐은 콜레스테롤계 열방성 액정을 싸고 있는 형태이고,
    상기 고분자는 가교화되어 있으며,
    상기 콜레스테롤계 열방성 액정은 콜레스테릴 옥타노에이트, 콜레스테릴 노나노에이트, 콜레스테릴올레일 카보네이트 및 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릴 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 K1이 포집된 고분자 마이크로 캡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현탁 중합을 통해 고분자 입자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고분자 입자; 콜레스테릴 옥타노에이트, 콜레스테릴 노나노에이트, 콜레스테릴올레일 카보네이트 및 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릴 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콜레스테롤계 열방성 액정; 및 비타민 K1;을 용매에 단일상으로 용해시킨 후, 상기 용액을 분산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수상에 첨가하고 이를 유화시켜 에멀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에멀젼에 용매 증발 단계를 거쳐 고분자 캡슐을 수득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비타민 K1이 포집된 고분자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현탁 중합시 단량체로서 스티렌, p- 또는 m-메틸스티렌, p- 또는 m-에틸스티렌, p- 또는 m-클로로스티렌, p- 또는 m-클로로메틸스티렌, 스티렌설포닉 엑시드, p- 또는 m- 또는 t-부톡시스티렌,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비닐아세테이트, 비닐프로피오네이트, 비닐부티레이트, 비닐에테르, 알릴부틸에테르,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메타)아크릴산, 말레인산과 같은 불포화카르복시산, 알킬(메타)아크릴아마이드 및 (메타)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 K1이 포집된 고분자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현탁 중합시 가교제를 고분자 총 중량에 대하여 0.1~0.3중량%의 양으로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 K1이 포집된 고분자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고분자 마이크로 캡슐은 콜레스테롤계 열방성 액정을 싸고 있는 형태이고,
    상기 고분자는 가교화되어 있으며,
    상기 콜레스테롤계 열방성 액정은 콜레스테릴 옥타노에이트, 콜레스테릴 노나노에이트, 콜레스테릴올레일 카보네이트 및 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릴 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 K1이 포집된 고분자 마이크로 캡슐.
  6. 삭제
KR1020040111200A 2004-12-23 2004-12-23 비타민 k1을 포집시킨 고분자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방법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51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200A KR101051557B1 (ko) 2004-12-23 2004-12-23 비타민 k1을 포집시킨 고분자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방법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200A KR101051557B1 (ko) 2004-12-23 2004-12-23 비타민 k1을 포집시킨 고분자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방법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533A KR20060072533A (ko) 2006-06-28
KR101051557B1 true KR101051557B1 (ko) 2011-07-22

Family

ID=37165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1200A KR101051557B1 (ko) 2004-12-23 2004-12-23 비타민 k1을 포집시킨 고분자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방법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15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3118A1 (ko) * 2014-06-30 2016-01-07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콜레스테롤 액정을 포함하는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
KR20190022305A (ko) 2017-08-24 2019-03-06 한국콜마주식회사 세포 수용체 결합능이 있는 펩티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383B1 (ko) 2015-04-02 2016-07-07 한국콜마주식회사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고형 화장료 조성물에 적합한 메이크업 셋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0279A (ko) * 1999-11-17 2002-09-05 타그라 바이오테크놀러지 엘티디. 마이크로 캡슐화 방법
KR20030033224A (ko) * 2001-10-19 2003-05-01 주식회사 태평양 열방성 액정 고분자 마이크로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및이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30071312A (ko) * 2002-02-28 2003-09-03 주식회사 태평양 액정 배열 안정화 시스템(lass)을 이용한 유용성활성물질 안정화 열방성 액정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030170187A1 (en) * 2002-03-01 2003-09-11 Alfred Marchal Skin treatments containing nano-sized vitamin 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0279A (ko) * 1999-11-17 2002-09-05 타그라 바이오테크놀러지 엘티디. 마이크로 캡슐화 방법
KR20030033224A (ko) * 2001-10-19 2003-05-01 주식회사 태평양 열방성 액정 고분자 마이크로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및이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30071312A (ko) * 2002-02-28 2003-09-03 주식회사 태평양 액정 배열 안정화 시스템(lass)을 이용한 유용성활성물질 안정화 열방성 액정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030170187A1 (en) * 2002-03-01 2003-09-11 Alfred Marchal Skin treatments containing nano-sized vitamin K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3118A1 (ko) * 2014-06-30 2016-01-07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콜레스테롤 액정을 포함하는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
CN106456497A (zh) * 2014-06-30 2017-02-22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含有胆固醇液晶的多层相化妆品组合物
CN106456497B (zh) * 2014-06-30 2019-12-13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含有胆固醇液晶的多层相化妆品组合物
KR20190022305A (ko) 2017-08-24 2019-03-06 한국콜마주식회사 세포 수용체 결합능이 있는 펩티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22306A (ko) 2017-08-24 2019-03-06 한국콜마주식회사 세포 수용체 결합능이 있는 펩티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11242366B2 (en) 2017-08-24 2022-02-08 Kolmar Korea Co., Ltd. Microcapsule including peptide having cell receptor binding affinity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533A (ko) 200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1304B2 (en) Thermotropic liquid crystal polymer microcapsules,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JP4326026B2 (ja) 結晶性ポリマーの水分散体および使用
KR101415994B1 (ko) 카로티노이드를 안정화한 이중층 구조의 고분자 캡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4806360A (en) Synthetic melanin aggregates
AU2012280319B2 (en) Micelle-coated crystalline particles
JP5312922B2 (ja) 有機紫外線吸収剤内包マイクロカプセル
ES2227236T3 (es) Procedimiento para la obtencion de capsulas que contienen producto activo con capa de pared ultradelgada.
JPH02111715A (ja) 合成メラニン凝集体
CN103340197B (zh) 一种缓/控释微胶囊农药及其制备方法
RU2008120633A (ru) Наночастичные композиции действующего вещества
KR102102499B1 (ko) 활성 성분 미세입자
JPWO2018110638A1 (ja) マイクロカプセルの製造方法
EP2276797A1 (en) Polymer encapsulated colourants by spray drying
KR101051557B1 (ko) 비타민 k1을 포집시킨 고분자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방법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4650282A (zh) 昆虫诱芯缓释载体材料的制备方法及其应用
KR101272741B1 (ko) 유용성 활성물질 안정화 양이온성 고분자 나노캡슐 및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62261B1 (ko) 수분산성 고분자 나노캡슐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0825834B1 (ko) 액정 배열 안정화 시스템(lass)을 이용한 유용성활성물질 안정화 열방성 액정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ulkarni et al. Metformin hydrochloride microparticles for oral controlled release: effect of formulation variables
KR100422760B1 (ko) 열방성 액정 고분자 마이크로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및이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96374B1 (ko) 폴리올/고분자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한 유효성분 안정화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36032B1 (ko) L-아스코빌산 함유 다중공 고분자 마이크로캡슐,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9966174A (zh) 一种胶囊分散体的制备方法及其应用
Bhawal et al. Effect of a polymerizable cosurfactant on the microstructure and drug‐release properties of nanoparticles synthesized through emulsion polymerization
KR100883870B1 (ko) 3,4,5-트리메톡시 신남산 티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고분자 캡슐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