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0932B1 - 무선 통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0932B1
KR101050932B1 KR20080076971A KR20080076971A KR101050932B1 KR 101050932 B1 KR101050932 B1 KR 101050932B1 KR 20080076971 A KR20080076971 A KR 20080076971A KR 20080076971 A KR20080076971 A KR 20080076971A KR 101050932 B1 KR101050932 B1 KR 101050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ransmission
data
rlc
pdu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76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5831A (ko
Inventor
가즈히사 오부찌
신야 오까모또
요시노리 소에지마
아끼히데 오또나리
가쯔마사 스기야마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5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5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21Group acknowledgement, i.e. the acknowledgement message defining a range of identifiers, e.g. of seque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35Buffer management
    • H04L1/1845Combining techniques, e.g. code comb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48Time-ou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6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회 재송이 발생한 경우에서의, 데이터 결합의 혼란을 회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M회째의 재송에 관련한 데이터에 대하여 재송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제M+1회째의 재송을 행하는데, 그 제M+1회째의 재송을 행할 때의 데이터 유닛의 이음매를, 상기 제M회째의 재송시의 데이터 유닛의 이음매와 다른 개소로 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에서, 상기 제M회째의 재송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데이터 유닛과, 상기 제M+1회째의 재송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데이터 유닛 사이에서, 서로 다른 재송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유닛인 것을 식별 가능하게 하는 재송간 식별 정보를 상기 M회째의 재송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데이터 유닛과, 상기 제M+1회째의 재송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데이터 유닛의 각각에 부가하는 재송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한다.
Figure R1020080076971
데이터, 무선 통신 장치, 유닛, 식별 정보, 절환, 재송 제어부

Description

무선 통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TRANSMITTING METHOD AND RECEIVING METHOD}
본 발명은, 재송신에 관한 무선 통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제M회째의 재송에 관련한 데이터에 대하여 재송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제M+1회째의 재송을 행하는데, 그 제M+1회째의 재송을 행할 때의 데이터 유닛의 이음매를, 상기 제M회째의 재송시의 데이터 유닛의 이음매와 다른 개소로 할 수 있는 상황하에서 이용하면 바람직하다.
현재, 제3 세대(3G)의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W-CDMA 시스템이 보급되고, 또한, W-CDMA의 데이터 통신을 고속화(최대 14Mbps)한 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로 불리는 규격이 실현되기 시작하고 있다. HSDPA는, 3G 방식의 개량판이기 때문에, 3.5G로도 불리고 있다. HSDPA의 구체적인 내용은, 3G 방식의 표준화 단체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HSDPA는, 다음의 특징을 갖고 있다.
(1) 하나의 물리 채널을 복수의 이동 단말기(UE)에서 공유하여 사용(예를 들면, 스케줄링 제어에 따라서 시분할적으로 사용)한다.
(2) 통신 환경(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에서의 무선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품질)에 따라서, 변조 방식이나 부호화 방식을 적응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이 제어는, AMC(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제어로도 칭해진다.
(3) 재송 제어(ARQ)와 오류 정정 부호화 처리를 조합한 하이브리드 ARQ를 채용한다.
다음으로, HSDPA의 프로토콜 아키텍처에 대하여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HSDPA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아키텍처(특히 레이어(2) 부분)를 도시한다. 또한, HSDPA에서는, 레이어(2)는, MAC(Medium Access Control)-hs, MAC-d, RLC(Radio Link Control)의 서브레이어를 포함한다.
송신측 장치에서의 RLC 레이어 처리부는, 상위 레이어로부터 IP 헤더가 부가된 IP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그 IP 데이터 패킷을 RLC SDU(Service Data Unit)로서 취급하여, 그 RLC-SDU를 복수의 데이터로 분할함과 함께, 분할한 각 데이터에, 순서대로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는 RLC 헤더를 부가함으로써, 복수의 RLC-PDU를 생성한다. 또한, RLC-PDU는 통신 중은 고정 길이로 되고, 그 고정 길이에 채워지지 않은 경우에는, 도면과 같이, 패딩 비트가 부족분에 따라서 추가된다. 생성된 RLC-PDU는, 하위의 MAC-d 레이어 처리부에 공급된다.
여기에서, RLC PDU(Protocol Data Unit)의 포맷에 대하여 설명해 둔다.
도 2는, RLC PDU(Protocol Data Unit)의 포맷예를 도시한다. 여기에 도시하는 RLC PDU는, 데이터의 송달 확인 제어 및 재송 제어가 가능한 Acknowledge Mode의 RLC PDU(RLC AMD PDU로 칭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하에서 이용하는 RLC PDU는 RLC AMD PDU를 나타내며, AMD: Acknowledge Mode Date임)이다. 이 RLC-PDU는, 유저 데이터와 제어 데이터를 구별하기 위한 D/C 비트, RLC PDU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 정보(시퀀스 번호(SN(Sequence Number))), 송달 확인 요구의 유무를 나타내는 폴링 비트 P, 유저 데이터의 확장 정보를 나타내는 영역 HE(Header Extension Type), 렝스 인디케이터 LI, E 비트, 데이터 저장 영역(Data) 및 패딩 비트(PAD) 또는 피기백(Piggybacked STATUS PDU)을 포함한다.
여기에서는, RLC PDU의 데이터 사이즈는, 예를 들면 42oct, 82oct, 122oct(1oct(octet)는 8bit) 등으로 고정되고, 통신 중에 변경되지 않는다. RLC PDU는, 시퀀스 번호 SN으로 식별되고, 시퀀스 번호 SN은 예를 들면 0∼최대 4095까지의 숫자이다.
그런데, RLC 레이어에서 생성된, RLC-PDU는 MAC-d 처리부에 공급되고, RLC-PDU에 MAC-d 헤더를 부가함으로써, MAC-d PDU를 생성하고, 복수의 MAC-d PDU를 조로 하여 MAC-hs 처리부에 인도한다.
MAC-hs 처리부는, 복수의 MAC-d PDU를 데이터부에 포함하고, MAC-hs 헤더가 부가된 MAC-hs PDU를 생성한다.
MAC-hs PDU는, 1송신 기간(TTI) 내에서 송신하도록, 물리 레이어 처리부에 인도되고, HS-PDSCH를 통하여 송신된다. 또한, 송신에 앞서 HS-SCCH를 통하여 송신처의 수신측 장치에 대하여 송신에 대한 통지(송신처, 송신 형식의 통지)가 이루어진다.
그런데, 수신측 장치에서는, 물리 레이어 처리부는 수신한 MAC-hs PDU를 MAC-hs 레이어 처리부에 인도하는 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MAC-hs 레이어 처리부는, MAC-hs 헤더를 종단하고, 데이터부에 포함되는 복수의 MAC-d PDU를 MAC-d 레이어 처리부에 인도한다. MAC-d 레이어 처리부는, 복수의 MAC-d PDU의 각 헤더의 종단을 행하여, 데이터부에 대응하는 RLC PDU를 RLC 레이어 처리부에 인도한다.
RLC 레이어 처리부는, 하위의 MAC-d 레이어 처리부로부터 RLC PDU를 수신하면, RLC 헤더에 포함되는 시퀀스 번호 SN순에 기초하여, RLC PDU의 재배열을 행하고, 이들 순서에 따라서 복수 결합하여 RLC SDU를 조립하여, 상위 레이어로 전송한다. 이 때, RLC 레이어 처리부는, 시퀀스 번호 SN에 누락이 있는 경우에는, 그 누락된 SN에 대응하는 RLC PDU의 재송 요구를 행하도록 제어한다. 즉, 수신측 장치의 RLC 레이어 처리부는, 송신측 장치의 RLC 레이어 처리부에 대하여 재송을 요구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하위 레이어를 통하여 송신측 장치에 송신한다.
또한, 송신측 장치의 RLC 레이어 처리부는, 수신측 장치의 RLC 레이어 처리부로부터 송달 확인의 통지를 수신할 때까지, 송신한 RLC PDU를 버퍼(메모리)에 유지함으로써 수신측 장치로부터의 재송 요구에 대비한다. 또한, 수신측 장치의 RLC 레이어 처리부는, RLC SDU의 조립에 필요한 몇분의 RLC PDU를 기억하는 버퍼(메모리)를 가지며, SDU PDU 조립에 필요한 RLC PDU가 모두 갖추어진 시점에서 RLC SDU를 조립한다.
또한, 송신측 장치의 RLC 레이어 처리부에서, RLC PDU에 포함되는 폴링 비트 P를 "1"로 설정함으로써, 송달 확인 제어가 행해진다. 수신측에서는, 폴링 비트 P가 "1"로 설정된 RLC PDU를 수신하면, 지금까지 수신한 RLC PDU의 시퀀스 번호 SN 에서 누락이 없는지 확인을 행하고, 누락이 없는 경우에는, STATUS PDU(ACK)를 응답한다. 누락이 있는 경우에는, 누락 정보를 STATUS PDU(NACK)로 응답한다.
수신측 장치에서는, STATUS PDU 응답 후, STATUS PDU 응답의 다발을 방지하기 위해 타이머가 준비되어 있고, NACK로 누락 정보를 통지한 경우, 그로부터 타이머를 스타트시켜, 타이머 만료까지 다음의 STATUS PDU 응답은 행하지 않는다.
송신측 장치에서는, 송달 확인 요구 후, 타이머를 스타트시키고, 타이머 만료 전에 수신측으로부터 STATUS PDU 응답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무선 대역에서의 데이터 손실 등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고, 재차, 폴링 비트 P를 "1"로 설정한 RLC PDU를 송신한다. 송신측 장치는, STATUS PDU(ACK)를 수신한 경우에는, 거기까지의 RLC PDU가 정상적으로 송수신된 것으로 인식한다. 한편, 송신측 장치는, STATUS PDU(NACK)에 의한 수신측 장치로부터의 재송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는, 재송 요구된 RLC PDU를 재송한다.
하기 특허 문헌 1은, MAC-hs 서브레이어에서, 가변 길이 데이터인 MAC-hs PDU를 RLC PDU 단위로 분할하여, 시퀀스 번호와 함께 공유 메모리(버퍼)에 저장함으로써, 복잡한 메모리 제어 방법을 이용하는 일도 없고, 또한 메모리량의 증가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메모리 관리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6-20044호 공보
전술한 HSDPA에 의한 3.5G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한층 더 고속화, 대용량화가 제4 세대(4G)에서 조기에 실현되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또한, 제4 세대로 이행하기 전에, 3.9G(LTE(Long Term Evolution))로 불리는 단계를 또 한단계 거쳐 4G로 이행하는 것도 예정되어 있다. LTE의 통신 속도는, 최대 속도 100Mbps 정도가 상정되고 있다. 3GPP에서는, 현재, LTE의 사양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통신 중, 고정 길이의 RLC PDU를 가변 길이로 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또한, RLC PDU 누락에 의해 RLC PDU 재송을 행하는 경우, 회선 품질 등에 따라서, RLC PDU를 복수의 가변 길이의 RLC Sub PDU로 분할하여 재송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도 3은, RLC Sub PDU를 가변 길이로 한 경우에 상정되는 RLC 서브레이어에서의 처리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RLC Sub PDU를 가변 길이로 한 경우, 시퀀스 번호 SN은 RLC PDU를 식별하는 번호로서 RLC-PDU의 헤더에 포함되는 SN을 이어받고, SO(Segment Offset)는 RLC Sub PDU가 RLC PDU 중의 어느 위치로부터 시작하는지를 나타내는 선두 위치 정보로서 이용되고, LF(Length Field)는 RLC Sub PDU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값으로서 이용되고, LSF(Last Segment Flag)는 RLC Sub PDU가 RLC PDU 중의 최후의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값으로서 도입되는 것이 상정된다. 또한, MAC-d, MAC-hs 레이어 등에서의 처리는 마찬가지이다.
도 4는, RLC Sub PDU를 가변 길이로 한 경우의 포맷예를 도시한다.
RLC Sub PDU는 RLC PDU의 일부를 구성하기 때문에, 어느 RLC PDU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식별하기 위해, RLC PDU에 부가되는 시퀀스 번호 SN을 RLC Sub PDU를 식 별하는 부호로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RLC PDU 중의 어느 부분을 재송하였는지를 식별하는 부호로서, 세그먼트 오프셋 SO와 렝스 필드 LF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LSF(Last Segment Flag)는 분할시에서의 최종 세그먼트인 것을 나타낸다.
RLC Sub PDU를 가변 길이로 한 경우의 재송 제어에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생긴다. 회선 품질 등의 영향에 의해 재송마다 RLC Sub PDU의 데이터 분할 사이즈를 변경할 수 있도록, 재송 단위를, RLC Sub PDU 단위로부터 누락을 확인한 RLC Sub PDU 단위로 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수신측 장치에서는, 임의의 RLC PDU를 분할한 복수의 RLC Sub PDU 중의 적어도 1개의 누락을 인식하면, STATUS-PDU(NACK)를 응답하여 송신측 장치에 재송 요구를 행하고, 재송되어 오는 해당 RLC PDU의 RLC Sub PDU로서 대기한다.
그러나, 재송 대상으로 된 RLC PDU가 복수의 RLC Sub PDU로 분할되고, 해당 RLC PDU에 대응하는 모든 RLC Sub PDU를 수신하기 전에, 일부의 RLC Sub PDU의 누락을 인식하게 된 경우라도, 수신 지연 등에 기인하여, STATUS-PDU(NACK) 응답 후에 누락된 것으로 인식한 RLC Sub PDU를 늦게 수신하는 경우가 생각된다. 이 경우, 그 후, 새롭게 재송 요구한 RLC PDU의 RLC Sub PDU도 수신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수신측에서는, 수신한 RCL Sub PDU가 앞서의 재송 요구에 따라서 재송된 데이터인지, 금회의 재송 요구에 따라서 재송되어 온 데이터인지 인식할 수 없어, 데이터 결합을 행할 때에 혼란이 생기게 된다.
상기 문제에 대하여, 도 5를 이용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6은, 1회째의 재송에 관련한 RLC Sub PDU와 2회째의 재송에 관련한 RLC Sub PDU가 혼재하는 예를 도시한다. 가변 길이의 RLC Sub PDU는, 도 4의 포맷에서 송신되고, 수신된 RLC Sub PDU는 수신측 장치의 버퍼 메모리에 순차적으로 기억된다.
도 5, 6의 (1)에서, 송신측 장치는, 첫 송신 RLC PDU를 SN=2로 송신한다. 그러나, 수신측 장치에서는, 올바르게 수신할 수 없었기 때문에, (2)에서, STATUS-PDU(NACK)가 수신측 장치로부터 송신되고, 송신측 장치는 이것을 수신하여, SN=2의 RLC PDU에 대한 재송을 행한다. 이 때, 송신측에서는, RLC PDU의 분할수를 예를 들면, 3분할하여 RLC Sub PDU1∼3으로서 재송을 행한다. 수신측 장치는, RLC Sub PDU1 및 RLC Sub PDU3을 올바르게 수신하였지만, RLC Sub PDU2를 올바르게 수신할 수 없었기 때문에 누락 정보(SN=2, SO=50, LF=60(SN=0의 50octet째부터 60octet가 누락)를 포함하는 NACK 신호를 송신측 장치에 송신한다. 송신측 장치는, (3)에서 STATUS-PDU(NACK)를 수신하고, SN=2의 RLC PDU에 대하여 재송을 행한다. 이 때, 송신측 장치는, RLC Sub PDU2를 더욱 분할하여 예를 들면 2분할로 하여 RLC Sub PDU4, 5를 생성하고, 이들 송신에 의해 재송을 행한다. 회선 상황, 품질에 의해, 분할수는 리얼타임으로 변동할 수 있다.
수신측 장치는, RLC Sub PDU4, RLC Sub PDU5를 수신한다. 이에 의해, RLC PDU를 모두 수신한 것으로 되고, RLC Sub PDU 결합을 행하면, RLC PDU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는, RLC Sub PDU4, RLC Sub PDU5를 수신하기 전에, 1회째의 재 송에 의해 송신된 RLC Sub PDU2를 수신하고 있기 때문에(도 6 참조), 어느 RLC Sub PDU를 어떻게 사용 또는 파기하여 RLC PDU를 조립하면 되는지 혼란이 생긴다.
또한, 이러한 혼란은, RLC Sub PDU가 분할하여 재송신되는 경우 이외에도, 제M회째의 재송에 관련한 데이터에 대하여 재송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제M+1회째의 재송을 행하는데, 제M+1회째의 재송을 행할 때의 데이터 유닛의 이음매를, 제M회째의 재송시의 데이터 유닛의 이음매와 다른 개소로 할 수 있는 상황하에서, 복수회 재송이 발생한 경우에도 생길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회 재송이 발생한 경우에서의, 데이터 결합의 혼란을 회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의 어느 한 측면에서는, RLC Sub PDU가 가변 길이로 되어, RLC PDU의 분할 양태가 RLC Sub PDU의 송신(재송)마다 서로 다를 수 있는 경우에도, 수신한 RLC Sub PDU로부터 RLC PDU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M회째의 재송에 관련한 데이터에 대하여 재송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제M+1회째의 재송을 행하는데, 그 제M+1회째의 재송을 행할 때의 데이터 유닛의 이음매를, 상기 제M회째의 재송시의 데이터 유닛의 이음매와 다른 개소로 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에서, 상기 제M회째의 재송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데이터 유닛과, 상기 제M+1회째의 재송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데이터 유닛 사이에서, 서로 다른 재송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유닛인 것을 식별 가능하게 하는 재송간 식 별 정보를 상기 M회째의 재송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데이터 유닛과, 상기 제M+1회째의 재송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데이터 유닛의 각각에 부가하는 재송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M+1회째의 재송은, 상기 제M회째의 재송에 관련한 데이터를 분할하여 얻어진 복수의 데이터 유닛을 송신함으로써 행해지고, 상기 재송 제어부는, 분할된 해당 복수의 데이터 유닛의 모두에 상기 재송간 식별 정보를 부가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가변 길이의 RLC Sub PDU 데이터를 생성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서, 1개의 RLC PDU 데이터를 분할하여 복수의 RLC Sub PDU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복수의 RLC Sub PDU 데이터의 각각에 제1 세대 식별 정보를 첨부하여 송신하고, 상기 복수의 RLC Sub PDU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재송 요구를 수신하면, 그 재송 요구에 의해 재송을 요구받은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상기 제1 세대 식별 정보와 다른 제2 세대 식별 정보를 첨부한 RLC Sub PDU 데이터를 생성하여 재송하는 재송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세대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세대 식별 정보에 소정값을 가산한 값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세대 식별 정보 및 제2 세대 식별 정보는 2치 정보로서, 각각 2치의 한 쪽과 다른 쪽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재송 요구에 따라서 재송되는 제M회째의 재송에 관련한 데이터에 대하여 제2 재송 요구를 함으로써 행해지는 제M+1회째의 재송에 관련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서, 상기 제1 재송 요구를 행한 후에, 상기 제2 재송 요구를 행한 경우에, 수신한 재송 데이터에 첨부된 재송간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재송 요구에 관련한 데이터라고 판정하면 데이터 조립에는 이용하지 않고, 상기 제2 재송 요구에 관련한 데이터라고 판정하면 데이터 조립에 이용하는 제어를 행하는 재송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재송 요구를 행한 후에, 상기 제2 재송 요구를 행한 경우에, 수신한 재송 데이터에 첨부된 재송간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재송 요구에 관련한 데이터라고 판정하면 데이터 조립에는 이용하지 않고, 데이터 폐기를 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가변 길이의 RLC Sub PDU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그 RLC Sub PDU 데이터에 기초하여 RLC PDU 데이터를 조립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서, 기억부와, 수신한 그 RLC Sub PDU 데이터에 포함되는 세대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그 세대 식별 정보가 상정하는 세대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RLC Sub PDU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에 저장하고, 그 기억부에 기억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RLC PDU 데이터를 조립하는 재송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송 제어부는, 재송 요구의 송신마다, 상기 상정값을 갱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재송 요구를 송신할 때마다, 재송 요구에 따라 행해지는 다음의 재송에서 상정하는 상정값을 통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갱신은, 상기 상정값을 소정 단위값씩 증가함으로써 행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갱신은, 상기 상정값을 2치의 사이에서 교대로 절환함으로써 행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회 재송이 발생한 경우에서의, 데이터 결합의 혼란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RLC Sub PDU의 헤더에 포함되는 세대 식별 정보에 의해, 수신한 RLC Sub PDU가 소정의 재송 요구에 기초하여 송신된 것인지의 여부를 식별할 수 있고, 동일한 재송 식별 정보를 갖는 RLC Sub PDU를 결합함으로써, 용이하게 올바른 RLC PDU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7에서는, 무선 통신 장치의 예로서, 무선 통신 단말 장치(10), 무선 기지국 장치(20)를 예시하고 있다. 도면과 같이, 무선 통신 단말 장치(10), 무선 기지국 장치(20)는, 각각 기억부(11, 21), 재송 제어부(12, 22), 송수신 처리부(13, 23)를 구비하고 있다. 재송 제어부(12, 22)는, 재송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부재이 며, 예를 들면, RLC 레이어에 대한 처리를 행하는 RLC 레이어 처리부로 할 수 있다. 또한, 기억부(11, 21)는, RLC 레이어 처리부가 액세스 가능하며, 재송 제어부(12, 22)는, 기억부(11, 21)에 대하여 필요한 데이터의 판독, 기입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송수신 처리부(13, 23)는, 재송 제어부(12, 22)에서 생성된 데이터의 상대 장치에 대한 송신 및 상대 장치의 재송 제어부(12, 22)에서 생성된 데이터의 수신을 쌍방 무선으로 행하는 처리부이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예는, 재송 제어부로서, RLC 레이어 처리부로 하는 예를 나타내고, HSDPA와 같은 다운링크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무선 통신 단말 장치(10)가 수신측의 무선 통신 장치, 무선 기지국 장치(20)가 송신측의 무선 통신 장치로 되고, HSUPA와 같은 업링크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무선 통신 단말 장치가 송신측의 무선 통신 장치, 무선 기지국 장치(20)가 수신측의 무선 통신 장치로 된다.
이하, 무선 통신 단말 장치(10)가 수신측 장치이고, 무선 기지국 장치(20)가 송신측 장치인 다운링크의 경우를 예로 설명하지만, 업링크의 경우에도, 무선 통신 단말 장치(10)와 무선 기지국 장치(20)의 입장을 교체함으로써, 이하의 실시 형태는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재송 제어부(이하 RLC 레이어 처리부로 칭하기로 함)(12, 22)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양방의 조합에 의해 구성하여도 된다.
RLC 레이어 처리부(12, 22)는 송신측에서 적용되는 경우,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M회째의 재송에 이용한 데이터를, 제M+1회째의 재송시에는, 분할되어 서로 다른 데이터 유닛을 구성하여 송신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M회째의 재송에 관련한 데이터에 대하여 재송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제M+1회째의 재송을 행하는데, 제M+1회째의 재송을 행할 때의 데이터 유닛의 이음매를, 제M회째의 재송시의 데이터 유닛의 이음매와 다른 개소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RLC PDU를 도 5와 같이, 제M회째(여기에서는 M=1)의 재송시에는, RLC PDU를 분할하여 얻어진 복수의 RLC Sub PDU를 생성하여 송신하고, 제M+1회째의 재송시에는, 2개째의 RLC PDU2(제M회째의 재송에 이용한 데이터)를 복수의 RLC Sub PDU로 분할하고, 분할에 의해 얻어진 복수(여기에서는 2개)의 RLC Sub PDU4, 5를 송신한다. 이 때, 재송되는 각 데이터 유닛이 제M회째의 재송에 관련한 것과, 제M+1회째의 재송에 관련한 것으로 식별을 가능하게 하는 (재송간) 식별 정보를 부가한다. 예를 들면, 제M회째에 재송되는 데이터에, 식별 정보 1을 부가하고, 제M+1회째에 재송되는 데이터에 식별 정보 0을 부가한다. 물론, (재송간) 식별 정보는, 번호로 할 수도 있으며, 제M회째에 재송되는 데이터에, 수치 M을 부가하고, 제M+1회째에 재송되는 데이터에 수치 M+1을 부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제M회째의 재송에 관련한 데이터인지, 제M+1회째에 관련한 데이터인지를 식별 가능하게 하는 정보를 세대 식별 정보라고도 칭하기로 한다.
또한, RLC 레이어 처리부(12, 22)는 수신측에서 적용되는 경우,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수신한 RLC Sub PDU에 첨부된 재송간 식별 정보(세대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RLC PDU의 조립을 행한다. 예를 들면, M회째의 재송 요구를 행하면, 그에 대응하는 재송간 식별 정보를 설정하고, 설정한 재송간 식별 정보를 갖는 RLC Sub PDU는 기억부(11)에 저장한다. 한편, 이 설정한 재송간 식별 정보를 갖지 않는 RLC Sub PDU는 RLC PDU의 조립에는 이용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기억부(11)에 저장하지 않고, 폐기한다.
설정하는 재송간 식별 정보는, 재송 요구를 행할 때마다 갱신하고, 재송간 식별 정보를 갱신한 후에 갱신 전의 재송간 식별 정보를 갖는 RLC Sub PDU를 수신하였다고 하여도 RLC PDU의 조립에는 이용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기억부(11)에 저장하지 않고, 폐기한다.
또한, 수신측의 무선 통신 장치가 재송 요구를 행할 때에는, 그 재송 요구에 따라서 행해지는 재송에서 적용되는 세대 식별 정보를 그 재송 요구에 포함시켜 송신하고, 송신측의 무선 통신 장치는, 재송 요구에 포함되는 세대 식별 정보를 그 재송 요구에 따라서 행하는 다음의 재송시에 적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RLC Sub PDU의 포맷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ㆍ 「RLC Sub PDU의 제1 포맷예」
도 8은, 실시 형태에서의 RLC Sub PDU의 제1 포맷예를 도시한다. RLC Sub PDU는, 헤더에, 시퀀스 번호 SN 및 세그먼트 오프셋 SO 등 외에, 재송간 식별 정보(세대 식별 정보)로서, GI(Generation Indicator)를 갖는다. 송신측의 무선 기지국 장치(20)의 RLC 레이어 처리부(22)는, GI가 부가된 RLC-Sub PDU를 생성하고, 송수신 처리부(23)에 공급함으로써, 이것을 송신한다.
한편, 수신측의 무선 통신 단말 장치(10)의 RLC 레이어 처리부(12)는, 재송 요구를 행하기 전에는, 수신하는 RLC Sub PDU의 세대 식별 정보 GI의 상정값을 "0(디폴트값)"으로 인식하고, 재송 요구를 행할 때마다(STATUS PDU(NACK)를 송신할 때마다), 수신하는 RLC Sub PDU에 포함되는 재송간 식별 정보(세대 식별 정보) GI의 상정값에 소정값(예를 들면 1)을 가산해 간다. 또한, 상정값은, 예를 들면 기억부(11)에 기억할 수도 있지만, RLC 레이어 처리부(12) 자신이 갖는 레지스터에 기억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단말 장치(10)의 RLC 레이어 처리부(12)(RLC 레이어 처리부(12)가 송신측인 경우, 수신측은 RLC 레이어 처리부(22))는, GI를, RLC Sub PDU에 부가하고, 수신측의 RLC 제어부(12)로부터 STATUS PDU(NACK)를 수신하고, 재송 대상의 RLC Sub PDU를 송신할 때마다, 그 재송 대상의 RLC Sub PDU의 GI의 값을 재송 횟수에 따른 값으로 갱신 설정하고 나서 송신한다.
수신측의 RLC 레이어 처리부(12)는, 조립 처리를 행하는 대상의 RLC PDU의 시퀀스 번호와 동일한 시퀀스 번호를 갖는 수신 RLC Sub PDU에 포함되는 GI를 참조하여, 상정하고 있는 GI(예를 들면, 기억부(11), 레지스터 등에 기억하고 있는 GI)와 동일한 GI를 갖는 RLC Sub PDU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상정한 GI와 동일한 GI를 갖는 RLC Sub PDU를 수신하였다고 판정하면, 그 RLC Sub PDU를 결합 대상에 포함시킴으로써, RLC PDU의 조립을 행한다.
도 9를 이용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RLC 레이어 처리부(12)의 제1 동작예를 도시한다.
(1)에서, 송신측의 무선 기지국 장치(20)는, 첫 송신에서 RLC PDU를 SN=2로 송신한다. 그러나, 수신측의 무선 통신 단말 장치(10)는, 올바르게 수신할 수 없 었기 때문에, (2)에서, STATUS-PDU(NACK)를 송신한다. 무선 기지국 장치(2)는, 이 STATUS-PDU(NACK)를 수신함으로써 재송의 필요성을 검출하고, SN=2의 RLC PDU에 대하여 재송을 행한다. 그러나, 이 때, 시퀀스 번호 SN=2의 RLC PDU는, RLC PDU1, 2, 3으로 3분할되고, 최초의 재송(제1회째의 재송 제어)으로서 송신된다. 즉, 무선 기지국(20)의 RLC 레이어 처리부(22)는, 시퀀스 번호 SN=2, 세그먼트 오프셋 SO, 렝스 필드 LF, 재송간 식별 정보(세대 식별 정보) GI를 헤더에 갖는 RLC Sub PDU1, 2, 3을 생성하고, 송수신 처리부(23)에 공급함으로써 송신을 행한다. 이 때, 송신되는 RLC Sub PDU의 GI는 제1회째의 재송이기 때문에, RLC Sub PDU1, 2, 3은, 전부 GI=1을 갖는다.
한편, 수신측의 무선 통신 단말 장치(10)의 RLC 레이어 처리부(12)도, 시퀀스 번호 SN=2의 RLC Sub PDU의 최초의 재송을 기대하기 때문에, 재송간 식별 정보(세대 식별 정보) GI=1의 RLC Sub PDU의 수신을 상정하고 있다.
무선 통신 단말 장치(10)의 RLC 레이어 처리부(12)는, 송신되는 RLC Sub PDU를 순차적으로 수신하고, 수신한 RLC Sub PDU에 포함되는 GI가 상정하고 있는 "1"인 것을 확인하여, RLC 버퍼(11)에 저장한다.
도 9의 (2)에서, 무선 통신 단말 장치(20)는, SN=2의 RLC PDU의 SO=50, LF=60의 누락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STATUS-PDU에 의해 누락 정보(SN=2의 RLC PDU에 SO=50, LF=60에서 누락)를 첨부한 STATUS-PDU(NACK)로서 재송 요구를 무선 기지국 장치(10)에 보낸다. 무선 기지국 장치(10)는, (3)에서 STATUS-PDU(NACK)를 수신하고, SN=2의 RLC PDU의 SO=50, LF=60에 대하여 재송을 행한다. 이 때, 송신 측에서는, RLC Sub PDU2를 더 2분할하여 RLC Sub PDU4, 5를 생성하고, 이들을 제2회째의 재송신으로서 송신한다. 이 때에, GI의 값은, 제1회째의 재송신의 값 "1"에, "1"을 가산하여 GI=2(=1+1)로 하고, GI=2의 RLC Sub PDU를 재송한다. 회선 상황, 품질에 의해, 분할수는 리얼타임으로 변동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 장치(10)의 RLC 레이어 처리부(12)는, 2회째의 재송 요구를 송신하였기 때문에, 앞서의 GI의 상정값 "1"에 "1"을 가산하여 얻어지는 GI=2를 새로운 상정값으로서 갱신하고, GI=2의 RLC Sub PDU의 수신 대기를 행한다.
그 후, RLC 레이어 처리부(12)는, SN=2, GI=1의 RLC Sub PDU2를 수신하지만, 그 RLC Sub PDU2에 포함되는 GI는 "1"이며, 상정하고 있는 GI값(갱신된 상정 GI값) "2"와 다르기 때문에, GI값이 "1"인 RLC Sub PDU2는, 기억부(11)에 저장하지 않고 폐기한다.
이와 병행하여 RLC 레이어 처리부(12)는, SN=2, GI=2의 RLC Sub PDU4, 5를 수신하지만, 이 RLC Sub PDU4, 5에 포함되는 GI값은, 상정하고 있는 GI값 "2"와 일치하기 때문에, RLC Sub PDU4, 5를 기억부(11)에 저장한다.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하지만, 무선 기지국 장치(20)의 RLC 레이어 처리부(22)는, 누락이 더 생기고, 재차의 재송 제어가 행해지는 경우에는, GI값에 +1 가산을 더 행하여, GI=3으로서 마찬가지의 재송 처리를 행한다. 수신측의 무선 통신 단말 장치(10)의 RLC 레이어 처리부는, 재송된 RLC Sub PDU에 포함되는 GI를 참조하여, 상정하는 GI값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그 RLC Sub PDU를 RLC PDU의 조립에 이용하도록 제어한다.
RLC Sub PDU가 가변 길이로 되고, RLC Sub PDU의 재송마다 RLC PDU의 분할 양태가 변화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재송 사이에서 수신 순서에 혼란이 생기면, RLC Sub PDU의 취급이 복잡하게 되지만, 본 실시 형태의 동작에 따르면, 수신 RLC Sub PDU에 포함되는 GI가 상정하는 GI와 일치하는 경우에, 그 수신 RLC Sub PDU를 RLC PDU의 조립에 이용함으로써, RLC Sub PDU의 중복 수신 데이터를 결합하게 되는 등과 같은 것을 피할 수 있어, 올바르게 RLC PDU를 생성할 수 있다.
ㆍ 「RLC Sub PDU의 제2 포맷예」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RLC Sub PDU의 제2 포맷예를 도시한다. RLC Sub PDU는, 헤더에, 시퀀스 번호 SN 및 세그먼트 오프셋 SO 등 외에, 재송간 식별 정보(세대 식별 정보)로서, 재송될 때마다 1/0이 절환되는 DI(Data Index) 비트(2치 정보)를 갖는다.
수신측의 무선 통신 단말 장치(10)의 RLC 레이어 처리부(12)는, 재송 요구를 행하기 전(최초의 송신시)에는, 수신 RLC Sub PDU의 재송간 식별 정보(세대 식별 정보) 데이터 인덱스 DI의 상정값을 예를 들면 "0(디폴트값)"으로 설정하고, 재송 요구를 행할 때마다(STATUS PDU(NACK)를 송신할 때마다), DI 비트의 상정값을 1, 0, 1, 0 …으로 절환한다. 즉, 동일한 시퀀스 번호 SN의 1회째의 재송에서는, 상정하는 DI 비트는 "1"로 하고, 2회째의 재송에서는, 상정하는 DI 비트는 "0"으로 갱신한다.
DI 비트는, 송신측의 무선 기지국 장치(20)의 RLC 레이어 처리부(22)(RLC 레이어 처리부(12)가 수신측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RLC 레이어 처리부(22)가 송신측 에 대응함)에서 부가되고, 수신측의 무선 통신 단말 장치(10)의 RLC 레이어 처리부(12)로부터 STATUS PDU(NACK)를 수신하고, 재송 대상의 RLC Sub PDU를 송신할 때마다 DI 비트의 값을 1, 0으로 절환하여 송신한다.
수신측의 RLC 레이어 처리부(12)는, 수신한 RLC Sub PDU의 DI 비트를 참조하여, 임의의 시퀀스 번호 SN에 대하여, DI 비트가 동일한 값인 RLC Sub PDU를 모두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DI 비트가 동일한 RLC Sub PDU를 결합하여, RLC PDU를 조립한다.
또한, 이와 같이, 0, 1에서 교대로 절환하는 경우라도, 재송간(세대간)의 식별을 가능하게 하는 의미에서 재송간 식별 정보(세대 식별 정보)의 1종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은 HSDPA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아키텍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RLC PDU(Protocol Data Unit)의 포맷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RLC 서브레이어에서의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RLC Sub PDU를 가변 길이로 한 경우의 포맷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1회째의 재송에 관련한 RLC Sub PDU와 2회째의 재송에 관련한 RLC Sub PDU가 혼재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1회째의 재송에 관련한 RLC Sub PDU와 2회째의 재송에 관련한 RLC Sub PDU가 혼재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도.
도 8은 RLC Sub PDU의 제1 포맷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RLC 레이어 처리부(12)의 제1 동작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RLC Sub PDU의 제2 포맷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무선 통신 단말 장치
11: 기억부(RLC 버퍼)
12: 재송 제어부(RLC 레이어 처리부)
13: 송수신 처리부
20: 무선 기지국 장치
21: 기억부(RLC 버퍼)
22: 재송 제어부(RLC 레이어 처리부)
23: 송수신 처리부

Claims (12)

  1. 제M회째의 재송(再送)에 관련한 데이터에 대하여 재송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제M+1회째의 재송을 행하는데, 그 제M+1회째의 재송을 행할 때의 데이터 유닛의 이음매를, 상기 제M회째의 재송시의 데이터 유닛의 이음매와 다른 개소로 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로서,
    상기 제M회째의 재송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데이터 유닛과, 상기 제M+1회째의 재송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데이터 유닛 사이에서, 서로 다른 재송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유닛인 것을 식별 가능하게 하는 재송간 식별 정보를 상기 M회째의 재송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데이터 유닛과, 상기 제M+1회째의 재송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데이터 유닛의 각각에 부가하는 재송 제어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M+1회째의 재송은, 상기 제M회째의 재송에 관련한 데이터를 분할하여 얻어진 복수의 데이터 유닛을 송신함으로써 행해지고, 상기 재송 제어부는, 분할된 해당 복수의 데이터 유닛의 모두에 상기 재송간 식별 정보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3. 가변 길이의 RLC Sub PDU 데이터를 생성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1개의 RLC PDU 데이터를 분할하여 복수의 RLC Sub PDU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복수의 RLC Sub PDU 데이터의 각각에 제1 세대 식별 정보를 첨부하여 송신하고, 상기 복수의 RLC Sub PDU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재송 요구를 수신하면, 그 재송 요구에 의해 재송을 요구받은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상기 제1 세대 식별 정보와 다른 제2 세대 식별 정보를 첨부한 RLC Sub PDU 데이터를 생성하여 재송하는 재송 제어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대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세대 식별 정보에 소정값을 가산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대 식별 정보 및 제2 세대 식별 정보는 2치 정보로서, 각각 2치의 한 쪽과 다른 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6. 제1 재송 요구에 따라서 재송되는 제M회째의 재송에 관련한 데이터에 대하여 제2 재송 요구를 함으로써 행해지는 제M+1회째의 재송에 관련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상기 제1 재송 요구를 행한 후에, 상기 제2 재송 요구를 행한 경우에, 수신한 재송 데이터에 첨부된 재송간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재송 요구에 관련한 데이터인 것으로 판정하면 데이터 조립에는 이용하지 않고, 상기 제2 재송 요구에 관련한 데이터라고 판정하면 데이터 조립에 이용하는 제어를 행하는 재송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송 요구를 행한 후에, 상기 제2 재송 요구를 행한 경우에, 수신한 재송 데이터에 첨부된 재송간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재송 요구에 관련한 데이터라고 판정하면 데이터 조립에는 이용하지 않고, 데이터 폐기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8. 가변 길이의 RLC Sub PDU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그 RLC Sub PDU 데이터에 기초하여 RLC PDU 데이터를 조립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기억부와,
    수신한 상기 RLC Sub PDU 데이터에 포함되는 세대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그 세대 식별 정보가 상정하는 세대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RLC Sub PDU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에 저장하고, 그 기억부에 기억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RLC PDU 데이터를 조립하는 재송 제어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송 제어부는, 재송 요구의 송신마다, 상기 상정하는 세대 식별 정보의 상정값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재송 요구를 송신할 때마다, 재송 요구에 따라 행해지는 다음의 재송에서 상정하는 상정값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은, 상기 상정값을 소정 단위값씩 증가함으로써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은, 상기 상정값을 2치의 사이에서 교대로 절환함으로써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KR20080076971A 2007-08-08 2008-08-06 무선 통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 KR1010509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06182 2007-08-08
JP2007206182A JP4826559B2 (ja) 2007-08-08 2007-08-08 無線通信装置、送信方法、受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5831A KR20090015831A (ko) 2009-02-12
KR101050932B1 true KR101050932B1 (ko) 2011-07-20

Family

ID=40303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76971A KR101050932B1 (ko) 2007-08-08 2008-08-06 무선 통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39718B2 (ko)
EP (1) EP2037617B1 (ko)
JP (1) JP4826559B2 (ko)
KR (1) KR101050932B1 (ko)
CN (1) CN1013648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1127A (ja) * 2005-12-28 2007-07-12 Ntt Docomo Inc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781939B2 (ja) * 2006-08-21 2011-09-28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JP4826559B2 (ja) * 2007-08-08 2011-11-30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送信方法、受信方法
KR101531503B1 (ko) * 2007-09-10 2015-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harq를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
MX2011002880A (es) * 2008-09-23 2011-04-12 Ericsson Telefon Ab L M Segmentacion de rlc para agregacion de vehiculo.
JP5308802B2 (ja) * 2008-12-16 2013-10-09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Canノード
TWI483578B (zh) * 2009-04-24 2015-05-01 Korea Electronics Telecomm 傳輸裝置及再傳輸方法
JP5235171B2 (ja) 2009-07-02 2013-07-1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制御装置
US9232482B2 (en) 2011-07-01 2016-01-05 QUALO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multiple radio access bearer communications
US9167472B2 (en) 2011-07-01 2015-10-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nhanced UL RLC flow control for MRAB calls
US9591593B2 (en) 2011-07-22 2017-03-0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radio uplink power control
US9930569B2 (en) 2011-08-04 2018-03-2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ndition based multiple radio access bearer communications
US9686046B2 (en) 2011-09-13 2017-06-2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ndition based multiple radio access bearer communications
US8873535B2 (en) * 2011-09-26 2014-10-2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retransmitting protocol data units in wireless communications
BR112013031528A2 (pt) * 2011-11-04 2016-12-13 Ericsson Telefon Ab L M manipulação de dados redundantes em um sistema de comunicação
US9143957B2 (en) 2012-02-24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Mitigating cross-device interference
US9083623B2 (en) * 2012-03-12 2015-07-1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Inserting source, sequence numbers into data stream from separate sources
US20140071894A1 (en) * 2012-09-13 2014-03-13 Qualcomm Incorporated Variable block length and superposition coding for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WO2015008966A1 (en) * 2013-07-16 2015-01-2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egmenting and reordering a radio link control status protocol data unit and a device therefor
WO2018203622A1 (en) * 2017-05-02 2018-11-0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data unit
CN114629599B (zh) * 2022-03-10 2023-12-19 深圳市云语科技有限公司 一种实时传输协议的确认报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43017A2 (en) 2002-11-08 2004-05-21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Transmission of data packets in containers
US20040252719A1 (en) 2003-06-10 2004-12-16 Iqbal Jami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a station, and a method of sending packets of data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28838A (ja) * 1987-03-18 1988-09-22 Fujitsu Ltd 通信制御処理方法
JPH11215192A (ja) * 1998-01-29 1999-08-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可変長パケット通信方法およびパケット通信装置
EP2288202B1 (en) * 2000-10-07 2015-04-0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from RLC layer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DE10054473A1 (de) * 2000-11-03 2002-05-08 Siemens Ag Verfahren zum Austausch von Datenpaketen zwischen zwei Diensteerbringern eines Funkübertragungssystems
US20020064167A1 (en) 2000-11-29 2002-05-30 Khan Farooq Ullah Hybrid ARQ with parallel packet transmission
SE0200308D0 (sv) * 2001-12-27 2002-02-04 Ericsson Telefon Ab L M A method and apparatus relating to transmission of data
KR100713394B1 (ko) * 2004-06-16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송일련번호와 타임스탬프를 이용한 상향링크 데이터 패킷들의 재정렬 방법 및 장치
JP4497299B2 (ja) * 2004-07-01 2010-07-07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無線通信端末装置
KR100597585B1 (ko) * 2004-10-22 2006-07-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트리 구조를 사용하는 패킷의 분할 및 재조립 방법과 이를이용한 패킷의 전송 및 수신 방법
US20060251079A1 (en) * 2005-03-22 2006-11-09 Kwak No-Ju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acket data
CN1852075B (zh) * 2005-12-02 2010-05-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重传的方法及装置
JP2007181127A (ja) 2005-12-28 2007-07-12 Ntt Docomo Inc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782905B2 (en) * 2006-01-19 2010-08-24 Intel-N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tateless CRC calculation
JP4781939B2 (ja) * 2006-08-21 2011-09-28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CN101132260B (zh) * 2006-08-22 2010-06-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增强上行链路异步混合自动重传请求的重传控制方法
JP4374015B2 (ja) * 2006-11-30 2009-12-02 株式会社東芝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及びデータ通信システム
JP5087939B2 (ja) * 2007-02-02 2012-12-05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送信方法
JP4826559B2 (ja) * 2007-08-08 2011-11-30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送信方法、受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43017A2 (en) 2002-11-08 2004-05-21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Transmission of data packets in containers
KR20050071672A (ko) * 2002-11-08 2005-07-07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데이터 패킷 전송 방법, 데이터 패킷 전송 시스템, 데이터전송 시스템용 송신기 및 수신기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US20040252719A1 (en) 2003-06-10 2004-12-16 Iqbal Jami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a station, and a method of sending packets of data
KR20040111002A (ko) * 2003-06-10 2004-12-31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데이터 패킷 전송 방법, 무선 전자 통신 스테이션 및 무선전자 통신 네트워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64860A (zh) 2009-02-11
JP2009044370A (ja) 2009-02-26
US20090044067A1 (en) 2009-02-12
JP4826559B2 (ja) 2011-11-30
US8239718B2 (en) 2012-08-07
CN101364860B (zh) 2013-03-20
KR20090015831A (ko) 2009-02-12
EP2037617B1 (en) 2014-05-07
EP2037617A3 (en) 2013-03-06
EP2037617A2 (en) 200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932B1 (ko) 무선 통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
JP4781939B2 (ja) 無線通信装置
JP5087939B2 (ja) 無線通信装置、送信方法
US1065216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298730B2 (en) Scheme to prevent HFN un-synchronization for UM RLC in a high spe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310336B2 (en)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scheme with in-sequence delivery of packets
JP4842830B2 (ja) データパケットの伝送
KR100446502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재전송 장치 및 방법
EP1916796A2 (en) Transmitter, receiver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automatic repeat request
JP201252115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方法および装置
KR100662250B1 (ko) 서비스데이터유닛의 가변적 분할 송신 방법 및 그를이용한 송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