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2250B1 - 서비스데이터유닛의 가변적 분할 송신 방법 및 그를이용한 송신 장치 - Google Patents

서비스데이터유닛의 가변적 분할 송신 방법 및 그를이용한 송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2250B1
KR100662250B1 KR1020040105787A KR20040105787A KR100662250B1 KR 100662250 B1 KR100662250 B1 KR 100662250B1 KR 1020040105787 A KR1020040105787 A KR 1020040105787A KR 20040105787 A KR20040105787 A KR 20040105787A KR 100662250 B1 KR100662250 B1 KR 100662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du
transmitting
data unit
transmission
pd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5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7025A (ko
Inventor
여건민
유병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105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2250B1/ko
Publication of KR20060067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7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2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2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1Inter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or service data unit [SDU] definitions; Interfaces between 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4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recovering from a failure of a protocol instance or entity, e.g. service redundancy protocols, protocol state redundancy or protocol service re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서비스데이터유닛의 가변적 분할 송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송신 장치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수신장치로부터 기 전송한 PDU에 대한 NACK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해당 SDU를 무선채널 환경에 따라 가변적으로 분할한 후 각각의 SDU에 소정의 헤더를 삽입하여 생성한 PDU를 재전송함으로써, 무선채널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정상적으로 모든 SDU를 전송하기 위한, 서비스데이터유닛의 가변적 분할 송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송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서비스데이터유닛의 가변적 분할 송신 방법에 있어서, SDU(Service Data Unit)를 PDU(Protocol Data Unit)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전송 단계; 상기 전송한 PDU(Protocol Data Unit)에 대한 NACK(uNACKnowledge)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해당 SDU를 무선채널 환경에 따라 가변적으로 분할하는 분할 단계; 상기 분할하여 생성한 각각의 전송 엔터티(TE)에 소정의 헤더를 삽입하여 다수의 PDU를 생성하는 생성 단계; 및 상기 생성한 다수의 PDU를 재전송하는 재전송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 등에 이용됨.
서비스데이터유닛(SDU), 프로토콜데이터유닛(PDU), 가변적, 분할 송신, 무선채널 환경, 전송 엔터티(TE)

Description

서비스데이터유닛의 가변적 분할 송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송신 장치{Method for division transmitting service data unit variably and its using transmitter}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데이터유닛의 가변적 분할 송신 기능을 가지는 송신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송신 버퍼에서 SDU의 초기 전송 엔터티 및 ACK/NACK 상태를 나타내는 일실시예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송신 버퍼에서 SDU의 재전송 엔터티 및 ACK/NACK 상태를 나타내는 일실시예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SDU 및 SDU 내의 초기 전송 엔터티들 및 재전송 엔터티들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5a 내지 도 5g 는 본 발명에 따른 PDU의 구조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SDU를 다수의 전송 엔터티로 분할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측 간의 피드백 상태를 나타내는 일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 버퍼 관리기에서의 SDU 상태 천이를 나타내는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송신장치 103 : 송신 버퍼
104 : 송신버퍼 관리기 105 : 무선 채널
107 : 수신장치 108 : 수신 버퍼
109 : 수신버퍼 관리기
본 발명은 서비스데이터유닛의 가변적 분할 송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송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신장치로부터 기 전송한 프로토콜데이터유닛(PDU : Protocol Data Unit, 이하 PDU 라함)에 대한 NACK(uNACKnowledge)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해당 서비스데이터유닛(SDU : Service Data Unit, 이하 SDU 라함)를 무선채널 환경에 따라 가변적으로 분할한 후 각각의 SDU에 소정의 헤더를 삽입하여 생성한 PDU를 재전송함으로써, 무선채널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정상적으로 모든 SDU를 전송하기 위한, 서비스데이터유닛의 가변적 분할 송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송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수신 장치를 예로들어 설명 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 중의 하나인 3GPP W-CDMA(Wideband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RLC(Radio Link Control) 계층(protocol)의 송신측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알맞은 크기로 분할하여 전송하고, 오류가 발생하면 재전송 과정을 통해 오류를 정정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때, 송신측은 수신측에서 오류가 발생했는지를 검출하는데 이용되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 비트(bit)를 데이터에 붙여 전송한다.
또한, 수신측은 분할되어 수신된 데이터를 조립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수신한 데이터의 CRC 비트를 이용해 오류 발생 여부를 검사하여, 오류가 검출되면 데이터를 폐기처분하고 수신하지 못한 것으로 처리한다.
한편, RLC 계층은 투명모드(Transparent Mode), 비응답모드(Unacknowledged Mode), 응답모드(Acknowledged Mode) 등의 세가지 전송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투명 모드는 재전송 기능이 없으며,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그대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즉, 송신측은 데이터 분할기를 통해 전송할 수 있는 단위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전송하고, 수신측은 데이터 CRC 검사결과 오류가 없다고 판단된 데이터를 조립기(assembly)를 통해 조립한다.
그리고, 비응답모드는 재전송 기능이 없으며, 송신측은 데이터 분할기를 통해 전송하기 알맞은 크기로 데이터를 분할하고, 수신측에서 분할되어 수신한 데이터를 조립할 수 있도록 헤더추가기를 통해 조립정보(고유번호)를 헤더에 추가하여 전송한다.
그러면, 수신측의 데이터 순서 관리기는 CRC 검사결과 성공적으로 수신했다고 판단된 데이터의 헤더내의 고유번호(Sequence Number)를 검사한 후, 수신하지 못한 데이터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빠짐없이 데이터를 모두 수신하였다면 헤더를 제거한다. 이렇게 헤더가 제거된 데이터는 조립기를 통해 조립되어 곧바로 상위계층으로 전송된다.
그리고, 응답모드의 송신측은 입력받은 데이터를 적당한 크기로 분할하고 재전송할 데이터가 있으면 재전송한다. 수신측은 헤더내의 고유번호를 검사하여 오류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이 때, 오류가 발생했으면 어떤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는가를 나타내는 수신상태 정보(Status information)를 송신측에 알려 데이터의 재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은 시간적으로 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CRC에 에러가 난 경우에 재전송이 불가피하다. 일반적으로 MAC(Media Access Control)계층에서 입력된 SDU(Service Data Unit)로부터 PDU(Protocol Data Unit)를 구성하게 되는데, 이 때 무선 채널의 전송 상황이 하나의 SDU를 전송할 수 없을 경우에 AMC(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옵션에 따라 동일한 크기로 SDU 분할이 일어나게 되고, 수신기에서의 재조립을 위해서 SDU 분할로부터 생성되는 각각의 PDU에 일련 번호(Sequence Number)가 부여된다.
수신기는 무선 채널을 통과한 해당 PDU의 CRC 검사결과 에러가 발생하면 해당 PDU의 CRC 에러를 통보하기 위한 NACK(uNACKnowledge) 메시지를 송신기로 전송 한다.
그러면, NACK 메시지를 통보 받은 송신기는 해당 PDU를 재전송해야 하는데, 재전송 시점에서의 무선채널 환경이 최초 전송 시점의 무선채널 환경과 다를 경우, 즉 재전송 시점에서의 무선채널 환경이 최초 전송 시점의 무선채널 환경보다 악화될 경우, 상기 소정의 크기를 갖는 해당 PDU를 전송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수신장치로부터 기 전송한 PDU에 대한 NACK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해당 SDU를 무선채널 환경에 따라 가변적으로 분할한 후 각각의 SDU에 소정의 헤더를 삽입하여 생성한 PDU를 재전송함으로써, 무선채널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정상적으로 모든 SDU를 전송하기 위한, 서비스데이터유닛의 가변적 분할 송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송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서비스데이터유닛의 가변적 분할 송신 방법에 있어서, SDU(Service Data Unit)를 PDU(Protocol Data Unit)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전송 단계; 상기 전송한 PDU(Protocol Data Unit)에 대한 NACK(uNACKnowledge)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해당 SDU를 무선채널 환경에 따라 가변적으로 분할하는 분할 단계; 상기 분할하여 생성한 각각의 전송 엔터티(TE)에 소정의 헤더를 삽입하여 다수의 PDU를 생성하는 생성 단계; 및 상기 생성한 다수의 PDU를 재전송하는 재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장치는, 서비스데이터유닛의 가변적 분할 송신 기능을 가지는 송신장치에 있어서, SDU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송신 버퍼; 및 수신장치로부터 기 전송한 PDU에 대한 NACK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해당 SDU를 무선채널 환경에 따라 가변적으로 분할한 후 각각의 전송 엔터티에 소정의 헤더를 삽입하여 생성한 PDU를 재전송하기 위한 송신 버퍼 관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데이터유닛의 가변적 분할 송신 기능을 가지는 송신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데이터유닛의 가변적 분할 송신 기능을 가지는 송신장치(102)는 송신하고자 하는 SDU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송신 버퍼(103) 및 수신장치로부터 기 전송한 PDU에 대한 NACK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해당 SDU를 무선채널 환경에 따라 가변적으로 분할한 후 각각의 전송 엔터티에 소정의 헤더를 삽입하여 생성한 PDU를 재전송함으로써, 무선채널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정상적으로 모든 SDU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버퍼 관리기(10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송신 버퍼(103)는 다수의 세션과 연결되어 있어 각 세션으로부터 발생한 패킷을 세션별로 저장한다.
또한, 상기 송신 버퍼(103) 및 버퍼 관리기(104)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MAC 계층에 위치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신장치(107)는 송신장치(102)로부터 전송받은 PDU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수신 버퍼(108) 및 상기 수신 버퍼(108)에 저장되어 있는 PDU를 SDU로 변환하여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기 위한 수신 버퍼 관리기(109)를 포함한다. 이 때, 수신 버퍼 관리기(109)는 상기 수신 버퍼(108)에 저장되어 있는 PDU들이 분할된 PDU일 경우에 상기 분할된 PDU들을 하나의 SDU로 조립하여 상위 계층으로 전달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송신 버퍼에서 SDU의 초기 전송 엔터티 및 ACK/NACK 상태를 나타내는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1"은 송신 버퍼(103)를 나타낸다.
또한, "204"는 송신 버퍼(103)내의 첫번째 SDU를, "203"은 송신 버퍼(103)내의 두번째 SDU를, "202"는 송신 버퍼(103)내의 마지막 SDU를 나타낸다.
또한, "209", "210", "211"은 첫번째 SDU(204)에서 초기 전송에 사용된 SDU 분할들을 나타낸다. 이 때, "211"은 수신장치(107)로부터 NACK을 받은 상태를 나타내며, "210"은 ACK를, "209"는 NACK을 받은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208"은 두번째 SDU(203)를 나타낸다. 이 경우는 무선 채널의 전송 상황이 해당 SDU 전체를 한꺼번에 전송할 수 있을 경우에 해당되며, SDU 분할 자체가 바로 SDU가 된다. 이 때, "208"은 수신장치로부터 ACK을 받은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205", "206", "207"은 세번째 SDU(202)에서 초기 전송에 사용된 SDU 분할들을 나타낸다. 이 때, "207"은 수신장치(107)로부터 NACK을 받은 상태를 나타내고, "206"은 ACK을, "205"는 아직 전송이 되지 않은 SDU 분할을 나타낸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송신 버퍼에서 SDU의 재전송 엔터티 및 ACK/NACK 상태를 나타내는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전송 엔터티(301)는 분할된 SDU를 초기 전송한 결과로서, "304"는 수신장치(107)로부터 ACK을 받은 상태를 나타내며, "303"은 NACK을, "302"는 아직 재전송하지 않은 SDU 분할을 나타낸다. 이 때, "302", "303"은 초기 전송 엔터티(301) 내에서 재전송에 사용될 재전송 엔터티들을 나타낸다.
또한, "321"은 초기전송 엔터티 "301"에서 NACK을 받은 "303"을 재전송한 결과와 아직 전송되지 않은 "302"를 전송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 때, "305", "306", "307"은 "302", "303"을 재전송할 때 사용된 SDU 분할들로서, 각각 시간차를 두고 전송된다. 즉, 가장 먼저 "307"을 전송한 다음 "306"을 전송하고, 마지막으로 "305"을 전송한다. 여기서, "307"은 수신장치(107)로부터 NACK을 받은 상태를 나타내며, "306"은 ACK을, "305"는 NACK을 받은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331"은 "321"에서 NACK을 받은 SDU 분할 "305", "307"을 재전송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 때, "309", "311", "312"는 "305", "307"을 재전송할 때 사용된 SDU 분할들이며, 각각 시간차를 두고 전송된다. 즉, 가장 먼저 "312"를 전송한 다음 "311"을 전송하고, 마지막으로 "309"를 전송한다. 여기서, "309", "311"은 ACK을, "312"는 NACK을 받은 상태를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314"는 "331"에서 NACK을 받은 "312"를 재전송하여 최종적으로 ACK을 받은 상태로서, 하나의 SDU 내에서 하나의 초기 전송 엔터티(301)의 전송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 는 도 5b 내지 도 5g 를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SDU 및 SDU 내의 초기 전송 엔터티들 및 재전송 엔터티들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먼저, "412"는 하나의 SDU를 나타내고, "401", "402", "403"은 "412"의 초기 전송에 사용된 초기 전송 엔터티를 나타낸다.
또한, "413"은 "412"의 크기를 나타내며, 단위는 N 바이트(N≥1)이다. 이 때, "405"는 시작점(SP)(409)이 1이고 끝점(EP)(409)은 8이며, "404"는 시작점이 14이고 끝점이 16이다.
도 5a 는 본 발명에 따른 PDU의 구조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5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PDU는 하기의 정보 필드를 포함한다.
먼저, SN(Sequence Number)(501)은 초기 전송 엔터티에 고유하게 부여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그리고, FC(Fragment Control(502)는 2 비트로 표현되며, 하나의 SDU 내에 첫 번째 SDU 분할일 경우 01 값을, 중간 SDU 분할일 경우 10 값을, 마지막 SDU 분할일 경우 11 값을, SDU 전체일 경우(SDU 분할이 아닌 경우)에 00 값을 갖는다.
그리고, SP(Start Point)(503)는 하나의 SDU 내에서 패이로드(Payload)(506)에 포함되는 초기 전송 엔터티 또는 재전송 엔터티를 구성하는 SDU 분할의 상대적 시작 위치를 나타낸다.
그리고, EP(End Point)(504)는 하나의 SDU 내에서 패이로드(Payload)(506)에 포함되는 초기 전송 엔터티 또는 재전송 엔터티를 구성하는 SDU 분할의 상대적 마지막 위치를 나타낸다.
그리고, P/R(Primary transmission/Retransmission)(505)은 1 비트로 표현되며, 초기 전송 엔터티일 경우 1, 재전송 엔터티일 경우 0으로 세팅된다.
마지막으로 패이로드(Payload)(506)는 초기 전송 엔터티 및 재전송 엔터티의 데이터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4 를 참조하여 PDU 구성 방식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PDU는 하기와 같은 3가지 경우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 경우 1: 해당 SDU 전체를 하나의 PDU로 구성하는 경우
- 경우 2: 초기 전송 엔터티를 하나의 PDU로 구성하는 경우
- 경우 3: 재전송 엔터티를 하나의 PDU로 구성하는 경우
먼저, 경우 1은 AMC 옵션이 해당 SDU 전체를 하나의 PDU 패이로드(Payload)로 구성할 수 있는 경우로, 그 구성은 도 5b 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FC는 분할되지 않은 SDU(412)를 이용하여 생성하였으므로 00 값을 갖고, SP는 1이 되며, EP는 "412" 전체의 크기를 의미하므로 35가 된다. 또한, P/R은 초기 전송 엔터티이므로 1이 된다.
다음으로, 경우 2는 AMC 옵션이 해당 SDU 전체를 하나의 PDU 패이로드(Payload)로 구성할 수 없는 경우로, 그 구성은 도 5c 내지 도 5e 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도 5c 는 "403"을 이용하여 생성한 PDU로서, SN은 x를 갖으며, FC는 하나의 SDU(412)를 분할한 첫번째 SDU(403)를 이용하여 생성하였으므로 01 값을 갖고, SP는 1이 되며 EP는 21이 된다. 또한, P/R은 초기 전송 엔터티이므로 1이 된다.
도 5d 는 "402"를 이용하여 생성한 PDU로서, SN은 x+1를 갖으며, FC는 하나의 SDU(412)를 분할한 중간 SDU(402)를 이용하여 생성하였으므로 10 값을 갖고, SP는 22이 되며 EP는 30이 된다. 또한, P/R은 초기 전송 엔터티이므로 1이 된다.
도 5e 는 "401"을 이용하여 생성한 PDU로서, SN은 x+2를 갖으며, FC는 하나 의 SDU(412)를 분할한 마지막 SDU(401)를 이용하여 생성하였으므로 11 값을 갖고, SP는 31이 되며 EP는 35가 된다. 또한, P/R은 초기 전송 엔터티이므로 1이 된다.
마지막으로, 경우 3은 NACK를 받은 초기 전송 엔터티를 재전송할 때 적용될 수 있는 경우로, "405"는 첫번째 재전송 엔터티, "404"는 네번째 재전송 엔터티라고 하면, 이를 위한 PDU의 구성은 도 5f 및 도 5g 에 도시된 바와 같다.
먼저, 도 5f 에 도시된 PDU는 SDU(405)를 이용하여 생성한 PDU로서, SN은 x를 갖으며, FC는 하나의 SDU(403)를 분할한 첫번째 SDU(405)를 이용하여 생성하였으므로 01 값을 갖고, SP는 1이 되며 EP는 8이 된다. 또한, P/R은 재전송 엔터티이므로 0이 된다.
또한, 도 5g 에 도시된 PDU는 SDU(404)를 이용하여 생성한 PDU로서, SN은 x를 갖으며, FC는 하나의 SDU(403)를 분할한 중간 SDU(404)를 이용하여 생성하였으므로 10 값을 갖고, SP는 14이 되며 EP는 16이 된다. 또한, P/R은 재전송 엔터티이므로 0이 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SDU를 다수의 전송 엔터티로 분할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예시도이다.
송신 버퍼 관리기(104)는 도 7 에 도시된 PHY 계층의 ACK/NACK 피드백을 통해 전송 엔터티(TE : Transmit Entity)의 상태를 갱신한다. 이 때, 전송 엔터티는 다음과 같은 상태를 가진다.
- TE_NOT_SENDING: 전송 엔터티가 전송되지 않은 상태.
- TE_SENDING: 전송 엔터티가 전송 중인 상태.
- TE_ACK: 전송 엔터티가 PHY 계층으로부터 ACK를 받은 상태.
- TE_NACK: 전송 엔터티(TE : Transmit entity)가 PHY 계층으로부터 NACK를 받은 상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SDU를 분할하여 전송한 결과, 첫번째 전송한 전송 엔터티에 대해서는 NACK를, 두번째 전송한 전송 엔터티에 대해서는 ACK를, 세번째 전송 엔터티는 현재 전송 중임을, 마지막 네번째 전송 엔터티는 현재 전송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낸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측 간의 피드백 상태를 나타내는 일예시도이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신측의 PHY 계층간의 ACK/NACK는 전송 엔터티에 대한 ACK/NACK 피드백을 나타내고, MAC 계층간의 ack/nack는 하나의 SDU에 대해서 ack/nack 피드백을 나타낸다.
따라서, SDU를 구성하는 모든 전송 엔터티들에 대해서 PHY ACK를 받거나 해당 SDU에 대해서 MAC ack를 받으면 해당 SDU는 전송이 완료되고 버퍼에서 삭제된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 버퍼 관리기에서의 SDU 상태 천이를 나타내는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먼저, SDU 상태는 다음과 같은 6가지 상태를 가진다.
- NOT_SENDING: SDU가 전송되지 않은 상태.
- SENDING(N): N개의 전송 엔터티들이 부분적으로 전송 중인 상태.
- SENDING_ALL(N): N개의 전송 엔터티들이 모두 전송 중인 상태이며, 나머지 전송 엔터티들은 모두 ACK를 받은 상태.
- DISCARDING(N): N개의 TE들이 전송 중이면서 해당 SDU가 폐기 상태로 진입한 상태.
- DISCARDED: SDU 폐기가 완료된 상태.
- DONE: SDU 전송이 완료되고 버퍼에서 삭제된 상태.
SDU 상태는 타원형으로, 상태 천이 이벤트는 화살표로 표시하고, 해당 이벤트는 Event[A][B]로 표시한다. Event는 이벤트 명칭이며, A는 전이 전 상태에서의 조건 또는 파라미터를 나타내며, B는 전이하려고 하는 상태에 주는 조건 또는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 또는 이벤트 명칭만 있는 것은 파라미터가 없음을 나타낸다. 상태 천이 이벤트는 다음과 같다(PHY ACK/NACK는 대문자를, MAC ack/nack는 소문자로 표시한다).
- ACK: PHY ACK.
- NACK: PHY NACK.
- ack: MAC ack.
- nack: MAC nack.
- Transmit_A[][N]: 해당 이벤트로 인해 SDU를 구성하는 N개의 전송 엔터티들이 TE_SENDING 상태이며, 나머지 전송 엔터티들은 TE_NACK 또는 TE_NOT_SENDING 상태.
- Transmit_B[][N]: 해당 이벤트로 인해 SDU를 구성하는 N개의 전송 엔터티들이 TE_SENDING 상태이며, 나머지 TE들은 TE_ACK 상태(해당 SDU를 구성하는 모든 전송 엔터티들이 TE_SENDING 상태도 포함).
- Lifetime: SDU의 수명이 다한 상태(수명 시간은 구현시 별도로 규정함).
- Timeout: DISCARDING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된 상태(일정 시간은 구현시 별도로 규정됨)
여기서, SDU의 상태 천이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먼저, NOT_SENDING 상태에서, N개의 전송 엔터티들을 전송하고 나머지 전송 엔터티들은 TE_NOT_SENDING 상태일 때(Transmit_A[][N] 이벤트 발생), SENDING(N) 상태로 천이하고, N개의 전송 엔터티들을 모두 전송할 때(Transmit_B[][N] 이벤트 발생), SENDING_ALL(N) 상태로 천이한다. 이 때, SDU의 수명이 다하면(Lifetime 이벤트 발생), DISCARDED 상태로 천이한다.
다음으로, SENDING(N) 상태에서, ACK 또는 NACK를 받으면(ACK or NACK[][N<-N-1] 이벤트 발생), N을 1 감소시킨 후 다시 SENDING(N) 상태로 천이하고, TE_NACK 및 TE_NOT_SENDING 상태에 있는 모든 전송 엔터티들을 전송하면(Transmit_B 이벤트가 발생), SENDING_ALL(N) 상태로 천이하며, MAC ack를 받으면(ack 이벤트 발생), DONE 상태로 천이한다. 이 때, 수명이 다하면(Lifetime 이벤트 발생), DISCARDED 상태로 천이한다.
다음으로, SENDING_ALL(N) 상태에서, N>1일 때 ACK를 받으면(ACK[][N<-N-1] 이벤트 발생), N을 1 감소시킨 후 다시 SENDING_ALL(N) 상태로 천이하고, N=1일 때 ACK를 받으면(ACK[N=1][] 이벤트 발생), DONE 상태로 천이하며, N>1일 때 NACK를 받으면(NACK[N>1][N<-N-1] 이벤트 발생), N을 1 감소시킨 후 다시 SENDING_ALL(N) 상태로 천이한다. 그리고 MAC ack를 받으면(ack 이벤트 발생), DONE 상태로 천이한다. 이 때, 수명이 다하면(Lifetime 이벤트 발생), DISCARDED 상태로 천이한다.
다음으로, DISCARDING(N) 상태에서, ACK 또는 NACK를 받으면(ACK or NACK[][N<-N-1] 이벤트 발생), N을 1 감소시킨 후 다시 DISCARDING(N) 상태로 천이하고, MAC nack를 받으면(nack 이벤트 발생) DISCARDED 상태로 천이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Timeout 이벤트 발생) DISCARDED 상태로 천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수신장치로부터 기 전송한 PDU에 대한 NACK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해당 SDU를 무선채널 환경에 따라 가변적으로 분할한 후 각각의 SDU에 소정의 헤더를 삽입하여 생성한 PDU를 재전송함으로써, 무선채널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정상적으로 모든 SDU를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서비스데이터유닛의 가변적 분할 송신 방법에 있어서,
    SDU(Service Data Unit)를 PDU(Protocol Data Unit)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전송 단계;
    상기 전송한 PDU(Protocol Data Unit)에 대한 NACK(uNACKnowledge)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해당 SDU를 무선채널 환경에 따라 가변적으로 분할하는 분할 단계;
    상기 분할하여 생성한 각각의 전송 엔터티(TE)에 소정의 헤더를 삽입하여 다수의 PDU를 생성하는 생성 단계; 및
    상기 생성한 다수의 PDU를 재전송하는 재전송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데이터유닛의 가변적 분할 송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PDU 재전송 결과, 물리 계층을 통해 재전송한 모든 PDU에 대한 ACK(ACKnowledge)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송신 버퍼에서 상기 PDU에 상응하는 SDU를 삭제하는 삭제 단계; 및
    상기 다수의 PDU 재전송 결과, 상기 물리 계층을 통해 재전송한 모든 PDU에 대한 ACK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함에 따라 해당 PDU에 상응하는 SDU를 무선채널 환경에 따라 가변적으로 재차 분할하여 전송하는 반복 전송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데이터유닛의 가변적 분할 송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단계는,
    무선채널 환경을 확인하는 확인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무선채널 환경이 하나의 SDU가 전송 가능할 경우에 상기 SDU를 분할하지 않는 미분할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데이터유닛의 가변적 분할 송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헤더는,
    SN(Sequence Number), FC(Fragment Control), SP(Start Point), EP(End Point), P/R(Primary transmission/Retransmission)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데이터유닛의 가변적 분할 송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엔터티의 상태는,
    전송 엔터티가 전송되지 않은 상태, 전송 엔터티가 전송 중인 상태, 전송 엔터티가 물리(PHY) 계층으로부터 ACK를 받은 상태, 전송 엔터티가 물리 계층으로부터 NACK를 받은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데이터유닛의 가변적 분할 송신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SDU의 상태는,
    SDU가 전송되지 않은 상태, N개의 전송 엔터티들이 부분적으로 전송중인 상태, N개의 전송 엔터티들이 모두 전송중인 상태, 나머지 전송 엔터티들은 모두 ACK를 받은 상태, N개의 전송 엔터티들이 전송중이면서 해당 SDU가 폐기 상태로 진입한 상태. SDU 폐기가 완료된 상태, SDU 전송이 완료되고 버퍼에서 삭제된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데이터유닛의 가변적 분할 송신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SDU의 상태 천이 이벤트는,
    물리 계층으로부터의 ACK/NACK를 받은 상태, MAC(Media Access Control)계층으로부터의 ACK/NACK, SDU를 구성하는 N개의 전송 엔터티들이 부분적으로 전송중이고 나머지 전송 엔터티들은 NACK를 받거나 전송하지 않은 상태, SDU를 구성하는 N 개의 전송 엔터티들이 부분적으로 전송중이고 나머지 전송 엔터티들은 ACK를 받은 상태, SDU를 구성하는 모든 전송 엔터티들이 전송중인 상태, SDU의 수명이 다한 상태(수명 시간은 구현시 별도로 규정함), N개의 전송 엔터티들이 전송중이면서 해당 SDU가 폐기 상태로 진입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된 상태(일정 시간은 구현시 별도로 규정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데이터유닛의 가변적 분할 송신 방법.
  8. 서비스데이터유닛의 가변적 분할 송신 기능을 가지는 송신장치에 있어서,
    SDU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송신 버퍼; 및
    수신장치로부터 기 전송한 PDU에 대한 NACK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해당 SDU를 무선채널 환경에 따라 가변적으로 분할한 후 각각의 전송 엔터티에 소정의 헤더를 삽입하여 생성한 PDU를 재전송하기 위한 송신 버퍼 관리수단
    을 포함하는 서비스데이터유닛의 가변적 분할 송신 기능을 가지는 송신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버퍼 관리수단은,
    상기 다수의 PDU 재전송 결과, 물리 계층을 통해 재전송한 모든 PDU에 대한 ACK(ACKnowledge)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송신 버퍼에서 상기 PDU에 상응하는 SDU를 삭제하고, 상기 물리 계층을 통해 재전송한 모든 PDU에 대한 ACK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함에 따라 해당 PDU에 상응하는 SDU를 무선채널 환경에 따라 가변적으로 재차 분할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데이터유닛의 가변적 분할 송신 기능을 가지는 송신장치.
KR1020040105787A 2004-12-14 2004-12-14 서비스데이터유닛의 가변적 분할 송신 방법 및 그를이용한 송신 장치 KR100662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787A KR100662250B1 (ko) 2004-12-14 2004-12-14 서비스데이터유닛의 가변적 분할 송신 방법 및 그를이용한 송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787A KR100662250B1 (ko) 2004-12-14 2004-12-14 서비스데이터유닛의 가변적 분할 송신 방법 및 그를이용한 송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025A KR20060067025A (ko) 2006-06-19
KR100662250B1 true KR100662250B1 (ko) 2007-01-02

Family

ID=37161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5787A KR100662250B1 (ko) 2004-12-14 2004-12-14 서비스데이터유닛의 가변적 분할 송신 방법 및 그를이용한 송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22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350B1 (ko) * 2006-02-28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토콜 데이터단위 정보 전송방법
KR100899827B1 (ko) * 2007-03-16 2009-05-27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채널 상태를 고려한PDU(Protocol Data Unit) 생성 방법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025A (ko) 200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00414B1 (en) Method for creating feedback messages for arq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737724B1 (ko) 반 신뢰성의 재전송 프로토콜용 패킷 폐기 통지
KR10077975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상태를 폴링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08413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송수신 단에서의 상태 pdu송수신방법
JP4826559B2 (ja) 無線通信装置、送信方法、受信方法
US7801142B2 (en) Method to avoid potential deadlocks in a SDU discard function
JP5215413B2 (ja) 再送プロトコルのためのステータス報告
EP1953945B1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method with variable length data
US20090319850A1 (en) Local drop control for a transmit buffer in a repeat transmission protocol device
US20080056148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data retransmission
JP2006523042A (ja) 再送信の方法とシステム
KR101224334B1 (ko) 고속 데이터 처리를 위한 재전송 장치 및 방법
EP1677449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transmitt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EP1626518B1 (en) Method for reporting reception result of packet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90268706A1 (en) Optimised packet data transmission protocol in a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a transmission window
EP1641190B1 (en) Radio link control protocol
US7924710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cluding an error control mechanism designed for unreliable networks and error resilience applications
KR100662250B1 (ko) 서비스데이터유닛의 가변적 분할 송신 방법 및 그를이용한 송신 장치
KR10091873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057291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0668680B1 (ko)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자동 재전송 요구 연결에서 효율적인데이터 폐기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