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0660B1 - 복합 시트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복합 시트 및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0660B1
KR101050660B1 KR1020087015362A KR20087015362A KR101050660B1 KR 101050660 B1 KR101050660 B1 KR 101050660B1 KR 1020087015362 A KR1020087015362 A KR 1020087015362A KR 20087015362 A KR20087015362 A KR 20087015362A KR 101050660 B1 KR101050660 B1 KR 101050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ropylene
solar cell
copolymer
composit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5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4191A (ko
Inventor
히로시 호야
마나부 가와모토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4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4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1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only one glass she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01L23/29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carb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01L23/31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81Encapsulation of modul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encapsulation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78Of metal
    • Y10T428/31692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13Monoolefin polymer

Landscapes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Structures Or Materials For Encapsulating Or Coating Semiconductor Device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과제] 종래 널리 사용되고 있던 EVA로 이루어지는 밀봉 시트를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밀봉 시트로서, 투명성, 내열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와의 접착성이 양호하고, 양호한 생산성을 갖는 밀봉 시트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시차 주사 열량계로 관측한 융점이 100℃ 이상인 프로필렌계 중합체(A) 0 내지 90중량부와,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탄소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올레핀과의 공중합체로서, 쇼어 A 경도가 30 내지 80이고, 시차 주사 열량계로 관측한 융점이 100℃ 미만이거나, 융점이 관측되지 않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B) 10 내지 100중량부((A)와 (B)의 합계는 100중량부)로 이루어지고, 23℃에서 측정한 압축 영구변형이 5 내지 35%이고, 70℃에서 측정한 압축 영구변형이 50 내지 70%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밀봉 시트(I).

Description

복합 시트 및 그 용도{COMPOSITE SHEET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태양전지를 비롯한 각종 전기전자 소자와 조합하여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복합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밀봉 시트와 기재 시트를 조합한 복합 시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복합 시트를 사용한, 태양전지 모듈, 발전 설비 등, 복합 시트의 각종 용도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최근 전기전자 소자의 발달은 현저하고, 사회, 산업, 생활의 모든 장면에서 전기전자 소자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전자 소자는, 습분(濕分), 산화성 물질 등의 영향을 받기 쉬우므로, 그 안정동작이나 장수명을 실현하기 위하여, 이것을 밀봉(sealing)하는 것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오늘날, 각종 소재가 전기전자 소자를 밀봉하기 위하여 제조, 공급되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유기 고분자를 사용한 밀봉 시트는 비교적 넓은 면적을 커버할 수 있는 것, 사용이 간단한 것 등 때문에, 대단히 유용하다. 또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기 때문에, 광을 이용하는 전기전자 소자, 특히 태양전지를 밀봉하기 위하여, 특히 적합하게 사용되고 있다.
태양전지는 건물의 지붕 부분 등과 같이 옥외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그 때문에 태양전지를 밀봉한 태양전지 모듈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태양전지 모듈은, 통상, 다결정 실리콘 등에 의해 형성된 태양전지 소자를 연질 투명 수지로 이루어지는 태양전지 밀봉재로 끼워 적층하고, 또한 표리 양면을 태양전지 모듈용 보호 시트로 커버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전형적인 태양전지 모듈은 표면 보호 시트/밀봉 시트/태양전지 소자/밀봉 시트/기재 시트(이면 보호 시트)로 하는 적층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태양전지 모듈은, 내후성을 갖고, 건물의 지붕 부분 등의 옥외에서의 사용에도 적합한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의 구조에서 사용되는, 보호 시트/밀봉 시트, 또는, 밀봉 시트/기재 시트와 같은 조합의 복합 시트는 보호(및 형상 유지)와 밀봉을 상이한 층이 역할분담하고 있어, 소자를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태양전지뿐만 아니라 각종 전기전자 소자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적합하다.
종래, 복합 시트에 사용하는 재료로서는 투명성, 유연성 등이 우수한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EVA)를 밀봉 시트에 사용하고, 강도, 투명성 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기재 시트에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전기전자 소자 등의 수명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기재 시트는 습분 등을 차단하는 배리어성이 우수한 것이 요구된다. 그런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목적과의 관계에서, 습분 배리어성이 반드시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는 경우가 있어, 그 개선이 요망되고 있었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특히 2축 연신을 행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은 습분 배리어성이 우수하고, 비교적 저비용으로의 입수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것을 사용하여 습분 배리어성을 향상하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2 참조). 그러나, EVA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와의 접착성이 반드시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어, 이것을 사용한 밀봉 시트를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았다.
또, EVA를 태양전지 밀봉 시트에 사용하는 경우, 충분한 내열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가교 처리를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 가교 처리에는 1 내지 2시간 정도의 비교적 장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태양전지 모듈의 생산속도, 생산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었다. 또, EVA가 분해되어 발생하는 아세트산 가스 등의 성분이 태양전지 소자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염려되고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2-134768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2003-092421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널리 사용되고 있던 EVA로 이루어지는 밀봉 시트를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밀봉 시트로서, 폴리프로필렌 수지와의 접착성이 양호하고, 양호한 생산성을 갖는 밀봉 시트를 적절한 기재 시트와 조합하여, 우수한 특성을 갖는 복합 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특정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조합한 열가소성 조성물로서 압축 영구변형이 특정 범위 내인 것으로 이루어지는 밀봉 시트가,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와의 접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밀봉 시트에 적합한 여러 특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발견하고,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 시트와 이러한 밀봉 시트를 조합함으로써, 본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1) 시차 주사 열량계로 관측한 융점이 100℃ 이상인 프로필렌계 중합체(A) 0 내지 90중량부와,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탄소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올레핀과의 공중합체로서, 쇼어 A 경도가 30 내지 80이며 시차 주사 열량계로 관측한 융점이 100℃ 미만이거나, 융점이 관측되지 않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B) 10 내지 100중량부((A)와 (B)의 합계는 100중량부)로 이루어지고, 23℃에서 측정한 압축 영구변형이 5 내지 35%이고, 70℃에서 측정한 압축 영구변형이 50 내지 70%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밀봉 시트(I) 적어도 1층과,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 시트(II) 적어도 1층을 갖는 복합 시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A) 0 내지 90중량부와, ∼(B) 10 내지 100중량부와, ∼로 이루어지고,」란, 당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전부가 (A) 및 (B)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및, 당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일부가 (A) 및 (B)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의 쌍방을 포함하는 취지이다. 또, 여기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이란, 당해 밀봉 시트의 전부가 당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및, 당해 밀봉 시트의 일부가 당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의 쌍방을 포함하는 취지이다. 또한, 여기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지는」이란, 당해 기재 시트의 전부가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및, 당해 기재 시트의 일부가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의 쌍방을 포함하는 취지이다.
이하, (2)에서 (8)은,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하나이다.
(2) 상기 프로필렌계 공중합체(B)가 프로필렌 유래의 구성단위를 45 내지 92몰%, 에틸렌 유래의 구성단위를 5 내지 25몰, 및, 탄소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성단위(a)를 3 내지 30몰% 함유하는 공중합체인, 상기 (1)에 따른 복합 시트.
(3) 상기 기재 시트(II)가 2축 연신을 행한 것인, 상기 (1) 또는 (2)에 따른 복합 시트.
(4) 상기 기재 시트(II)가 그 표면에 금속 또는 무기 화합물층을 갖는 것인,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복합 시트.
(5) 상기 밀봉 시트(I)와 상기 기재 시트(II)가 직접 적층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복합 시트.
(6) 태양전지 밀봉용인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복합 시트.
(7)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복합 시트를 사용하여 제작된 태양전지 모듈.
(8) 상기 (7)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을 갖는 발전설비.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기재 시트와 밀봉 시트의 접착성이 양호하고, 양호한 생산성을 갖는 우수한 복합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 이 복합 시트에서는, 밀봉 시트와 기재 시트를 접착시키기 위하여 저온에서 가열·접착을 행해도 시트의 투명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이러한 복합 시트는 태양전지 소자를 비롯한 전기전자 소자의 제작에서 적합하게 사용되며, 실용상 높은 가치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인 태양전지 모듈의 1예의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3, 4 사이에서 밀봉이 행해진다.
(부호의 설명)
1 유리(표면 보호 시트)
2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기재 시트(이면 보호 시트))
3, 4 밀봉 시트
5 태양전지 소자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은 시차 주사 열량계로 관측한 융점이 100℃ 이상인 프로필렌계 중합체(A) 0 내지 90중량부와,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탄소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올레핀의 공중합체로서, 쇼어 A 경도가 30 내지 80이고, 시차 주사 열량계로 관측한 융점이 100℃ 미만이거나, 융점이 관측되지 않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B) 10 내지 100중량부((A)와 (B)의 합계는 100중량부)로 이루어지고, 23℃에서 측정한 압축 영구변형이 5 내지 35%이고, 70℃에서 측정한 압축 영구변형이 50 내지 70%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밀봉 시트(I) 적어도 1층과,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 시트(II) 적어도 1층을 갖는 복합 시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복합 시트
본 발명의 복합 시트는 적어도 1층의 상기 밀봉 시트(I)와, 적어도 1층의 상기 기재 시트(II)를 가지고 있으면 된다.
밀봉 시트(I)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복합 시트의 일부를 구성하는 밀봉 시트(I)는,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A) 및 프로필렌계 공중합체(B)가 하기 양으로 배합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복합 시트의 일부를 구성하는 밀봉 시트(I)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프로필렌계 중합체(A)가 0 내지 9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 내지 7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중량부와, 프로필렌계 공중합체(B)가 10 내지 1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다. 여기에서 (A), (B)의 합계량은 100중량부이다. 또한, 밀봉 시트(I)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A), (B) 이외의 성분, 예컨대 (A), (B) 이외의 수지, 고무, 무기 충전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A), (B)의 배합량이 상기의 범위에 있으면, 밀봉 시트(I)의 성형성이 양호함과 아울러 얻어지는 밀봉 시트(I)의 내열성, 투명성, 유연성 등이 양호하게 되어, 바람직하다.
밀봉 시트(I)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23℃에서 측정한 압축 영구변형이 5 내지 35%이고, 70℃에서 측정한 압축 영구변형이 50 내지 70%이다. 압축 영구변형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상온에서부터 고온까지의 폭넓은 조건에서 시트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특히 태양전지를 밀봉하는 경우에는, 태양전지의 발전효율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 특히 70℃에서 측정된 압축 영구변형이 상기 범위에 있는 것은, 태양전지 모듈에서의 유리 등의 부재의 자중 등에 의한 장기간에 걸친 부하에 대하여 시트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중요하다. 23℃에서 측정한 압축 영구변형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이다. 70℃에서 측정한 압축 영구변형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8%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6%이다. 압축 영구변형은 JIS K6301에 따라, 이하와 같이 측정할 수 있다. 즉, 두께 2mm의 프레스 시트를 6장 겹쳐 25% 압축하고, 소정의 온도(23℃, 또는 70℃)에서 24시간 유지한 후 해방하고, 시험 후 두께를 측정한다. 이 결과로부터, 하기 식에 따라 24시간 유지 후의 잔류 변형(압축 영구변형)을 산출한다.
잔류 변형=(시험전 두께-시험후 두께)/(시험전 두께-압축시의 두께)
밀봉 시트(I)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쇼어 A 경도는 통상 55 내지 92,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이다. 쇼어 A 경도가 이 범위에 있으면, 태양전지 소자 등을 봉입할 때에 소자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유연성을 가진 태양전지 등(밀봉된 것)이 얻어져, 변형이나 충격에 대하여 태양전지 소자 등을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프로필렌계 중합체(A)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A)로서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적어도 1종의 프로필렌 이외의 탄소 원자수가 2 내지 20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필렌 이외의 탄소 원자수가 2 내지 20의 α-올레핀으로서는 에틸렌, 1-뷰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 등을 들 수 있는데, 에틸렌 또는 탄소 원자수가 4 내지 10의 α-올레핀이 바람직하다.
이들 α-올레핀은 프로필렌과 랜덤 공중합체를 형성할 수도 있고, 블록 공중합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들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는 폴리프로필렌 중에 통상 35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의 비율로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프로필렌계 중합체(A)는 ASTM D1238에 준거하여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되는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가 0.01 내지 1000g/10분,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0g/10분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중합체(A)의 시차 주사 열량계로 관측되는 융점은 10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60℃,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50℃이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중합체(A)는 아이소택틱 구조, 신디오택틱 구조의 어느 쪽도 사용할 수 있지만 아이소택틱 구조쪽이 내열성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A)는 NMR법에 의해 측정한 아이소택틱 펜타드 분율이 0.94 이상, 바람직하게는 0.9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이소택틱 펜타드 분율(mmmm)은 13C-NMR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분자쇄 중의 펜타드 단위에서의 아이소택틱 연쇄의 존재 비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프로필렌 모노머 단위가 5개 연속해서 메소 결합한 연쇄의 중심에 있는 프로필렌 모노머 단위의 분율이다. 구체적으로는, 13C-NMR 스펙트럼으로 관측되는 메틸탄소 영역의 전체 흡수 피크 중에 차지하는 mmmm 피크의 분율로서 산출되는 값이다. 또한, 이 아이소택틱 펜타드 분율(mmmm)은, 통상,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된다.
mmmm 분율은 13C-NMR 스펙트럼에서의 Pmmmm(프로필렌 단위가 5단위 연속해서 아이소택틱 결합한 부위에서의 제 3 단위째의 메틸기에 유래하는 흡수강도) 및 PW(프로필렌 단위의 전체 메틸기에 유래하는 흡수강도)로부터 하기 식에 의해 구해진다.
mmmm 분율=Pmmmm/PW
NMR 측정은, 예컨대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해진다. 즉, 시료 0.35g을 헥사클로로뷰타다이엔 2.0ml에 가열 용해시킨다. 이 용액을 유리 필터(G2)로 여과한 후, 중수소화 벤젠 0.5ml를 가하고, 내경 10mm의 NMR 튜브에 장입한다. 그리고 닛폰덴시제 GX-500형 NMR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120℃에서 13C-NMR 측정을 행한다. 적산회수는 10,000회 이상으로 한다.
또 필요에 따라 복수의 프로필렌계 중합체(A)를 병용할 수 있고, 예컨대 융점이나 강성이 상이한 2종류 이상의 성분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프로필렌계 중합체(A)로서는, 내열성이 우수한 호모 폴리프로필렌(통상 프로필렌 이외의 공중합 성분이 3mol% 이하인 공지의 것), 내열성과 유연성의 밸런스가 우수한 블록 폴리프로필렌(통상 3 내지 30wt%의 노말 데케인 용출 고무 성분을 갖는 공지의 것), 게다가 유연성과 투명성의 균형이 우수한 랜덤 폴리프로필렌(통상 시차 주사 열량계(DSC)에 의해 측정되는 융해 피크가 1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50℃의 범위에 있는 공지의 것)을 목적의 물성을 얻기 위하여 선택되거나, 또는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필렌계 중합체(A)는, 예컨대 마그네슘, 타이타늄, 할로젠 및 전자공여체를 필수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체 촉매 성분과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및 전자공여체로 이루어지는 지글러 촉매계, 또는 메탈로센 화합물을 촉매의 1성분으로서 사용하고 메탈로센 촉매계로 프로필렌을 중합 또는 프로필렌과 상이한 α-올레핀을 공중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프로필렌계 공중합체(B)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B)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탄소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올레핀과의 공중합체로서, 쇼어 A 경도가 3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70이며, 또한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관측되는 융점이 100℃ 미만 또는 융점이 관측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융점이 관측되지 않는」이란, -150 내지 200℃의 범위에서, 결정 융해열이 1J/g 이상의 결정 융해열 피크가 관측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측정조건은 실시예 기재와 같다.
또, 에틸렌, 프로필렌 및 탄소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을 모두 통틀어 α-올레핀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B)에서, 코모노머로서 사용되는 α-올레핀은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내지 10의 α-올레핀이 바람직하다. 탄소수 4 내지 10의 α-올레핀으로서는 1-뷰텐, 1-헥센, 및 1-옥텐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α-올레핀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B)는 프로필렌 단위를 45 내지 92몰%, 바람직하게는 56 내지 90몰% 포함하고, 코모노머로서 사용되는 에틸렌 및 탄소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의 합계 함량으로서는 8 내지 55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4몰%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B)는, ASTM D1238에 준거하여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되는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가 0.01 내지 1000g/10분,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0g/10분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B)의 제조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컨대 올레핀을 아이소택틱 구조로 입체 규칙성 중합할 수 있는 공지의 촉매, 예컨대 고체상 타이타늄 성분과 유기 금속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촉매, 또는 메탈로센 화합물을 촉매의 1성분으로서 사용한 메탈로센 촉매의 존재하에서 프로필렌을 중합 또는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을 공중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후술과 같이, 메탈로센 촉매의 존재하에, 프로필렌, 에틸렌 및 탄소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을 공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B)는 또한 이하의 성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B)는, JIS K6301에 준거하여, JIS 3호 덤벨을 사용하고, 스팬 간격: 30mm, 인장속도: 30mm/min으로 23℃에서 측정한 100% 변형에서의 응력(M100)이 통상 4MPa 이하, 바람직하게는 3MPa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MPa 이하이다. 프로필렌계 공중합체의 특성이 이러한 범위에 있으면 유연성, 투명성, 고무탄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B)는 X선 회절로 측정한 결정화도가 통상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5%이다. 또 본 발명에서의 프로필렌계 공중합체(B)는 단일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지며, 또한 시차 주사 열량계(DSC)에 의해 측정한 유리전이온도(Tg)가 통상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B)의 유리전이온도(Tg)가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내한성, 저온 특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는 시차 주사형 열량계(DSC)에서의 흡열곡선에서 융점(Tm, ℃)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통상, 융해열량(ΔH)이 30J/g 이하이며, 또한 프로필렌 유래의 구성단위(이하, 프로필렌 함량이라고 함) C3 함량(mol%)과 융해 열량(ΔH)(J/g)의 관계에서 이하의 관계식이 성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ΔH<345Ln(프로필렌 함량(mol%))-1492,
단, 이 경우, 76≤프로필렌 함량(mol%)≤90
프로필렌계 공중합체(B)의 C3 함량(몰%)과 융해열량(ΔH)q/g)이 상기 관계를 충족시키면, 프로필렌계 중합체(A)와의 상용성, 및 유연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열처리 후의 백화나 실리콘 셀 균열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프로필렌 함량(몰%)과 융해열량(ΔH)(J/g)이 상기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과 같은 프로필렌계 공중합체(B)는 중합의 조건을 적당하게 설정하여, 공중합체의 결정성을 저하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예컨대 촉매를 적당하게 선택함으로써, 결정성을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결과, 동일한 프로필렌 함량이더라도, 융해열량(ΔH)이 저하되어, 프로필렌 함량(몰%)과 융해열량(ΔH)(J/g)이 상기 관계를 충족시키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B)를 얻을 수 있다. 결정성을 저하시키기 위하여 바람직한 촉매로서는, 예컨대 하프늄피리딜아민 촉매의 헵테인 용액, 암모늄테트라(펜타플루오로페닐)메틸 비스 수소화 탈로알킬보레이트의 톨루엔 용액 및, PMAO의 톨루엔 용액을 조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중합온도, 중합압력을 적당하게 설정함으로써, 프로필렌계 공중합체(B)의 결정성을 조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중합온도를 높게 설정함으로써 얻어지는 공중합체의 결정성을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중합압력을 낮게 설정하는 것으로도, 얻어지는 공중합체의 결정성을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결과, 동일한 프로필렌 함량이더라도, 융해열량(ΔH)이 저하되어, 프로필렌 함량(몰%)과 융해열량(ΔH)(J/g)이 상기 관계를 충족시키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B)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B)의 GPC에 의해 측정한 분자량 분포(Mw/Mn, 폴리스타이렌 환산, Mw: 중량평균 분자량, Mn: 수평균 분자량)는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이하이다.
프로필렌계 공중합체(B)는, 13C-NMR로 측정되는 트라이아드 택티시티(mm분율)가 통상 85% 이상,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7.5%, 보다 바람직하게는 87 내지 97%,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97%의 범위에 있다. 트라이아드 택티시티(mm분율)가 이 범위에 있으면, 특히 유연성과 기계강도의 균형이 우수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적합하다. mm 분율은, 국제공개 2004-087775호 팸플릿의 21쪽 7행째부터 26쪽 6행째까지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B)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이하의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1)를 들 수 있다. 이러한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1)를 사용함으로써 유연성과 내열성, 기계강도, 소자 밀봉성 및 투명성이 양호한 밀봉 시트가 된다. 여기에서 소자 밀봉성이란 양호한 유연성에 의해, 소자를 충전할 때의 소자의 균열률을 줄이는 것을 의미한다.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1)는 프로필렌 유래의 구성단위를 45 내지 92몰%, 바람직하게는 56 내지 9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61 내지 86몰%, 에틸렌 유래의 구성단위를 5 내지 25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4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4몰%, 탄소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성단위를 3 내지 30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6 내지 25몰%의 양 포함하고 있다. α-올레핀에 관해서는, 1-뷰텐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양으로 프로필렌 유래의 구성단위, 에틸렌 유래의 구성단위, 탄소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 구성단위를 함유하는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1)는 프로필렌계 중합체(A)와의 상용성이 양호하게 되어, 얻어지는 밀봉 시트는 충분한 투명성, 유연성, 내열성, 내찰상성을 발휘한다.
그 밖의 성분
본 발명의 밀봉 시트(I)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외의 성분을 적당하게 함유할 수 있다.
예컨대,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커플링제를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커플링제(Y)는, 상기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층과 극성기 함유 수지 또는 금속 등의 무기 화합물을 50중량% 이상의 양으로 포함하는 다른 층과의 접착성을 향상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는데, 실레인계, 티타네이트계, 크롬계의 각 커플링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특히 실레인계의 커플링제(실레인 커플링제)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실레인 커플링제에 대해서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구체적으로는, 바이닐트라이에톡시실레인, 바이닐트라이메톡시실레인, 바이닐트리스(β-메톡시에톡시실레인),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γ-아미노프로필트라이에톡시실레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실레인 커플링제의 배합량으로서는, 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여기에서는, 편의상 (A) 및 (B)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실레인 커플링제 0.1 내지 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중량부이다.
또, 커플링제는 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유기 과산화물을 사용함으로써, 그래프트 반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커플링제량은 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여기에서는, 편의상 (A) 및 (B)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중량부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 실레인 그래프트화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해도, 유리, 플라스틱에 대하여 실레인 커플링제 블렌드와 동일한 접착성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는 밀봉 시트(I)는, 부분적으로 가교되어 있어도 되지만 비가교가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비가교란 시트에 포함되는 전체 유기물 중의 비등 자일렌 불용분이 0.1중량%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유기 과산화물에 대해서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구체적으로는, 다이라우로일퍼옥사이드, 1,1,3,3-테트라메틸뷰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다이벤조일퍼옥사이드, t-아밀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뷰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뷰틸퍼옥시아이소뷰티레이트, t-뷰틸퍼옥시말레산, 1,1-다이(t-아밀퍼옥시)-3,3,5-트라이메틸사이클로헥세인, 1,1-다이(t-아밀퍼옥시)사이클로헥세인, t-아밀퍼옥시아이소노나노에이트, t-아밀퍼옥시노말옥토에이트, 1,1-다이(t-뷰틸퍼옥시)-3,3,5-트라이메틸사이클로헥세인, 1,1-다이(t-뷰틸퍼옥시)사이클로헥세인, t-뷰틸퍼옥시아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 t-뷰틸퍼옥시-2-에틸헥실카보네이트, 2,5-다이메틸-2,5-다이(벤조일퍼옥시)헥세인, t-아밀-퍼옥시벤조에이트, t-뷰틸퍼옥시아세테이트, t-뷰틸퍼옥시아이소노나노에이트, t-뷰틸퍼옥시벤조에이트, 2,2-다이(뷰틸퍼옥시)뷰테인, n-뷰틸-4,4-다이(t-뷰틸퍼옥시)뷰티레이트,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에틸3,3-다이(t-뷰틸퍼옥시)뷰티레이트, 다이큐밀퍼옥사이드, t-뷰틸큐밀퍼옥사이드, 다이-t-뷰틸퍼옥사이드, 1,1,3,3-테트라메틸뷰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아세틸아세톤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복합 시트의 일부를 구성하는 밀봉용 시트(I)에는, 그 밖의 각종 첨가제가 배합된다. 이러한 첨가제로서는, 예컨대 태양광 중의 자외선에 의한 열화를 막기 위한 자외선흡수제, 광안정제, 산화방지제 등이 예시된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다이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4-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옥톡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2-(2-하이드록시-3,5-다이-t-뷰틸페닐)벤조트라이아졸,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의 벤조트라이아졸계, 페닐살리실레이트, p-옥틸페닐살리실레이트 등의 살리실산 에스터계의 것이 사용된다.
광안정제로서는 힌더드 아민계의 것이 사용된다. 또, 산화방지제로서는 힌더드 페놀계나 포스파이트계의 것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이외의 각종 첨가제, 상기 (A), (B) 이외의 각종 폴리올레핀, 폴리올레핀 이외의 각종 수지 및/또는 고무, 가소제, 충전제, 안료, 염료, 대전방지제, 항균제, 곰팡이 방지제, 난연제, 및 분산제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첨가제를 적당하게 함유할 수 있다. 또,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2003-09242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각종 첨가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밀봉 시트(I)의 구성, 성형 방법
본 발명의 복합 시트의 일부를 구성하는 밀봉 시트(I)의 두께는, 통상, 0.1mm 내지 5mm,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mm이다. 두께가 이 범위 내이면, 라미네이트 공정에서의, 각종 부재, 태양전지 소자 등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태양전지 모듈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광선 투과율을 확보함으로써 높은 광발전량을 얻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밀봉 시트(I)의 성형 방법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공지의 압출 성형(캐스트 성형, 압출 시트 성형, 인플레이션 성형, 사출 성형 등), 압축 성형, 캘린더 성형 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시트에는 엠보스 가공을 시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엠보스 가공에 의해 시트의 표면을 장식함으로써 시트끼리의 블로킹을 방지하고, 또한, 엠보스가 라미네이트 시의 태양전지 소자 등의 각종 소자에 대한 쿠션으로 되어, 이것들의 파손을 방지하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합 시트의 일부를 구성하는 밀봉 시트(I)는 두께 0.5mm 이하의 시료에서 측정했을 때의 내부 헤이즈가 0.1%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복합 시트의 일부를 구성하는 밀봉 시트(I)는, 필름 표면의 요철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기 위하여 PET 등의 표면이 평활한 이형 필름으로 보호하면서 160℃ 이상으로 가열용융 후, 냉각하여 얻어진 두께 0.5mm 이하의 프레스 성형 후의 시트(필름 제거 후)에서의 광선 투과율(트랜스)이 86% 이상, 바람직하게는 8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건에서 얻어진 시트로 상기 광선 투과율을 충족시키는 것은 발전효율의 저하가 적어 본 발명에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기재 시트( II )
본 발명의 복합 시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재 시트(II)는, 적어도 그 일부가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내열성, 투명성, 강인성, 경제성이 우수하고, 실용적으로 높은 가치를 갖는 기재 시트(II), 및 복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습분 배리어성이 우수하므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리하다.
또한, 상기 밀봉 시트(I)와 굴절율이 가까운 경우가 많아, 적층 계면에서의 반사, 산란에 의한 광학 손실의 억제가 용이한 것도,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 시트(II)의 이점의 하나로서 들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기재 시트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일 수도 있고, 또 프로필렌과 소량의 다른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일 수도 있다. 상기 공중합체에 사용가능한 α-올레핀으로서는 에틸렌, 1-뷰텐, 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1-도데센, 4-메틸-1-펜텐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α-올레핀은 2종 이상 공중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공중합체일 경우에 있어서는, 프로필렌 함량이 95몰% 이상, 특히 97몰% 이상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밀도는 900g/cm3 이상 바람직하게는 905 내지 950g/cm3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수지에서는, 230℃, 2.16kg 하중에서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0.1 내지 5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열연화 온도가 80 내지 125℃(JIS K7191: 4.6kg/cm2)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신디오택틱 폴리프로필렌, 어택틱 폴리프로필렌의 어느 것일 수도 있는데, 그중에서도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아이소택틱 펜타드 분율은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중합체일 경우에 있어서는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의 어느 것일 수도 있다.
그 밖의 성분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는 기재 시트(II)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이외의 각종 성분을 함유하고 있을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이외의 각종 수지 및/또는 고무, 충전제를 함유하고 있을 수도 있다. 또, 예컨대 상기 밀봉 시트(I)에 첨가할 수 있는 각종 첨가제(실레인 커플링제로 대표되는 각종 커플링제, 유기 산화물 및/또는 내후안정제)를 적당하게 첨가할 수도 있고, 가소제, 함량, 염료, 대전방지제, 항균제, 곰팡이 방지제, 난연제 및/또는 분산제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기재 시트( II )의 구성, 성형 방법
상기 기재 시트(II)의 두께는, 통상, 20㎛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이다. 두께가 이 범위 내이면, 라미네이트 공정에서의, 유리, 태양전지 셀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충분한 광선 투과율을 확보함으로써 높은 광발전량을 얻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들 기재 시트(II)는 T 다이 캐스트 필름법을 비롯한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단층 필름으로서 작성할 수도 있고, 또는 공압출 방식에 의해 2종 이상의 상기 재료나 상기 재료 이외의 다른 수지(밀봉 필름(I)으로 되는 것을 포함함)를 사용한 공압출 필름으로서 제조할 수도 있다. 예컨대 밀봉 필름(I)과 저온에서의 열융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접착시키는 측의 면에, 보다 저융점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을 설치한 2층 구성의 것을 예시할 수 있다.
기재 시트(II)는 무연신의 것일 수도 있지만, 1축 연신이나 2축 연신 등의 연신 처리가 시행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필름의 강인성, 투명성, 내열성, 가스 배리어성, 방습성 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점에서, 2축 연신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또는 무기 화합물층
기재 시트(II)는, 그 표면의 한쪽 또는 양쪽의 전부 또는 일부가, 금속 또는 무기 화합물층에 의해 덮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금속 또는 무기 화합물층이 존재함으로써, 습분 배리어성을 비롯한 각종 배리어성이 향상되므로, 그러한 기재 필름(I)을 사용하는 복합 필름은 실용상 높은 가치를 갖는다.
금속 또는 무기 화합물층에 사용되는 재료로서는, 예컨대 Al 등의 금속 또는 Si, Al, In, Sn, Zn, Ti, Cu, Ce, Ge, Ta, Zr, V 등의 1종 이상의 금속을 사용한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금속 질화산화물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규소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마그네슘 산화물, ITO 등의 금속 산화물이 적합하게 사용되며, 비용, 투명성 등의 관점에서 규소 산화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금속 또는 무기 화합물층은 지나치게 두꺼우면 굽힘 응력에 의한 크랙의 우려가 있고, 지나치게 얇으면 그 막이 섬 형상으로 분포되기 때문에, 모두다 배리어성이 나빠진다. 따라서, 무기 화합물층의 두께는 5nm 내지 1000nm의 범위가 바람직하지만, 이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금속 또는 무기 화합물층의 성막 방법으로서는, 스퍼터링용, CVD법, MBE법, 증착법 등의 방법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간편함의 점에서는 CVD법이 바람직하고, 조성, 물성 등이 정밀한 제어의 관점에서는 상압 CVD법, 플라즈마 CVD법 등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들의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금속 또는 무기 화합물층은 단층일 수도 있고, 다른 종류의 무기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막이 다수 적층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 비용이나 간편함의 관점에서는 단층이 바람직하고, 배리어의 신뢰성의 관점에서는 다층 구조가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복합 시트의 구성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시트는 적어도 1층의 본 발명의 밀봉 시트(I)와, 적어도 1층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 시트(II)를 가지고 있으면 된다. 따라서, 밀봉 시트(I)의 층수는 1층이거나, 2층 이상일 수도 있다. 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비용을 낮추는 관점, 및 광을 이용하는 소자를 밀봉할 때에 층 사이에서의 계면반사를 최대한 작게 하여 광을 유효하게 활용하는 관점 등에서는, 1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기재 시트(II)의 층수도 1층일 수도 있고, 2층 이상일 수도 있다. 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비용을 낮추는 관점, 및 광을 이용하는 소자를 밀봉할 때에 층 사이에서의 계면반사를 최대한 작게 하여 광을 유효하게 활용하는 관점 등에서는, 1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합 시트는 상기 밀봉 시트(I)와 상기 기재 시트(II) 이외의 층(이하, 「그 밖의 층」이라고도 부른다.)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고, 그 밖의 층을 가지지 않고, 상기 층(I)과 층(II)만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그 밖의 층으로서는, 목적으로 분류하면, 표면 또는 이면보호를 위한 하드 코트층, 접착층, 반사방지층, 가스 배리어층, 방오층 등을 설치할 수 있다. 재질로 분류하면,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 카복실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 불소함유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 등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밀봉 시트(I), 및 상기 기재 시트(II)와, 그 밖의 층의 위치관계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발명의 목적과의 관계에서 바람직한 층 구성이 적당하게 선택된다. 즉, 그 밖의 층은 밀봉 시트(I)와 기재 시트(II)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고, 복합 시트의 최외층에 설치될 수도 있고, 그 이외의 개소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 밖의 층의 층수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임의의 수의 그 밖의 층을 설치할 수 있고, 그 밖의 층을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비용을 낮추는 관점, 및 광을 이용하는 소자를 밀봉할 때에 층 사이에서의 계면반사를 최대한 작게 하여 광을 유효하게 활용하는 관점 등에서는, 그 밖의 층을 설치하지 않고, 밀봉 시트(I) 및 기재 시트(II)를 각각 1층만 설치하고, 이것들을 직접 접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복합 시트의 제작은 복수의 층을 적층함으로써 행해진다. 그 때의 적층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공압출에 의해 적층하는 방법, 기재 시트(II) 상에 용융시킨 밀봉 시트(I)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압출 라미네이트 시키는 방법, 밀봉 시트(I)와 기재 시트(II)를 열(熱)라미네이션하여 얻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게다가 적당한 접착제(예컨대,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예컨대, 미쓰이 카가쿠제의 아드머, 미쓰비시 카가쿠사제의 모디크 등), 불포화 폴리올레핀 등의 저(비)결정성 연질 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에스터/무수 말레산 3원 공중합체(예컨대, 스미카 시디에프 화학제의 본다인 등)를 비롯한 아크릴계 접착제,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계 공중합체 또는 이것들을 포함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 등)를 사용한 드라이 라미네이트법 또는 히트 라미네이트법 등에 의해 적층할 수 있다. 접착제로서는 120℃ 내지 150℃ 정도의 내열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폴리에스터계 또는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등이 적합한 것으로서 예시된다. 또, 양층의 접착성을 개량하기 위하여, 예컨대, 실레인계 커플링 처리, 타이타늄계 커플링 처리,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복합 시트의 용도
본 발명의 복합 시트는, 내열성, 투명성, 및 유연성이 우수하고, 또한 습분 배리어성, 및 비용의 점에서도 우수하기 때문에, 습분에 약한 전기전자 소자, 강한 광을 이용하는 전기전자 소자, 특히, 태양전지용의 밀봉 및 보호용의 복합 시트로서의 이용에 적합하다. 태양전지의 밀봉 및 보호용의 복합 시트로서 사용할 때는, 본 발명의 복합 시트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다른 층을 더 추가하는 등의 가공을 행하고나서 사용할 수도 있다.
태양전지 모듈
태양전지 모듈은, 통상, 다결정 실리콘 등에 의해 형성된 태양전지 소자를 태양전지용 밀봉 시트로 끼워 적층하고, 또한 표리 양면을 보호 시트로 커버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전형적인 태양전지 모듈은, (1) 태양전지 모듈용 보호 시트(표면 보호 시트)/(2) 태양전지용 밀봉 시트/(3) 태양전지 소자/(4) 태양전지용 밀봉 시트/(5) 태양전지 모듈용 보호 시트(이면 보호 시트)라고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복합 시트는, 상기의 (1) 태양전지 모듈용 보호 시트(표면 보호 시트)/(2) 태양전지용 밀봉 시트에 상당하는 복합 시트, 및/또는, (4) 태양전지용 밀봉 시트/(5) 태양전지 모듈용 보호 시트(이면 보호 시트)에 상당하는 복합 시트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4) 태양전지용 밀봉 시트/(5) 태양전지 모듈용 보호 시트(이면 보호 시트)에 상당하는 복합 시트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하나인 태양전지 모듈은 상기의 구성에는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이외의 층을 적당하게 설치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접착층, 충격흡수층, 코팅층, 반사방지층, 이면 재반사층, 광확산층 등을 설치할 수 있는데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층을 설치하는 위치에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그러한 층을 설치하는 목적, 및, 그러한 층의 특성을 고려한 후에, 적절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태양전지 소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인 태양전지 모듈에서의 태양전지 소자는, 반도체의 광기전력 효과를 이용하여 발전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컨대 실리콘(단결정계, 다결정계, 비결정(아몰퍼스)계) 태양전지, 화합물 반도체(3-5족, 2-6족, 기타) 태양전지, 습식 태양전지, 유기 반도체 태양전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는 발전성능과 비용의 균형 등의 관점에서, 다결정 실리콘 태양전지가 바람직하다.
실리콘, 화합물 반도체 모두 태양전지 소자로서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외부로부터의 응력, 충격 등에 의해 파손되기 쉬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복합 시트는, 유연성이 우수한 특정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져 있는 밀봉 시트(I)를 가지고 있으므로, 태양전지 소자에 대한 응력, 충격 등을 흡수하여, 태양전지 소자의 파손을 막는 효과가 크다. 이 때 상기 밀봉 시트(I)는 태양전지 소자와 직접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봉 시트(I)는 특정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본 발명의 복합 시트를 사용하여 일단 태양전지 모듈을 제작한 후이더라도, 비교적 용이하게 태양전지 소자를 꺼내는 것이 가능하여, 리사이클성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발전설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인 태양전지 모듈은 생산성, 발전효율, 수명 등이 우수하다. 이 때문에, 이러한 태양전지 모듈을 사용한 발전설비는 비용, 발전효율, 수명 등이 우수하여, 실용상 높은 가치를 갖는다.
상기의 발전설비는 가옥의 지붕에 설치하거나, 캠프 등 야외용 이동전원으로서 이용하거나, 자동차 배터리의 보조전원으로서 이용하는 등의, 옥외, 옥내를 막론하고 장기간의 사용에 적합하다.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어떠한 의미에서도,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측정 방법)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복합 시트의 특성을 이하의 측정 방법에 따라 평가했다.
·내열성(TMA)
JIS K7196에 준거하여, 밀봉 시트에 대하여, 승온속도 5℃/min이고 1.8mmφ의 평면 압자에 2Kg/cm2의 압력을 가하고, TMA 곡선을 측정하고, 이것으로부터 바늘 진입온도(℃)를 구했다.
·압축 영구변형(CS)
밀봉 시트에 대해서, JIS K6301에 따라, 이하와 같이 측정했다. 즉, 두께 2mm의 프레스 시트를 6장 겹치고 25% 압축하고, 소정의 온도(23℃, 또는 70℃)에서 24시간 유지한 후 해제하고, 시험 후 두께를 측정했다. 이 결과로부터, 하기 식에 따라 24시간 유지 후의 잔류 변형(압축 영구변형)을 산출했다.
잔류 변형=100×(시험전 두께-시험후 두께)/(시험전 두께-압축시의 두께)
·투명성(내부 헤이즈)
니혼덴쇼쿠고교(주)제의 디지털 탁도계 「NDH-2000」을 사용하고, 사이클로 헥산올 용액 중에서 시트의 확산 투과광량 및 전체 투과광량을 측정하고, 하기 식에 의해 내부 헤이즈를 계산했다.
내부 헤이즈(%)=100×(확산 투과광량)/(전체 투과광량)
·투명성(광선 투과율)
필름 표면의 요철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기 위하여 PET(토레이(주)제 루미러)로 보호하면서 160℃에서 가열가압(160℃, 2기압, 10min) 후, 공랭으로 방치한 후 PET 필름을 벗겨서 얻어진 샘플(두께 0.4mm)을, 니혼덴쇼쿠고교(주)제의 디지털 탁도계 「NDH-2O00」을 사용하여, 하기 식에 의해 광선 투과율을 측정했다.
광선 투과율(%)=100×(전체 투과광량)/(입사광량)
·기재와의 접착성
밀봉 시트와 기재(BOPP, 또는 PET 필름)를, 150℃, 2기압에서, 10분간 접착했다. 접착상태를, 이하의 기준에 따라 분류했다.
○: 양호하게 접착(박리 불가)
△: 약간 접착(박리 가능)
×: 접착되지 않음
·재가열에 의한 가소화
밀봉 시트를 190℃까지 가열한 후, 가소 유동화하는지를 관측했다.
(원재료)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샘플의 제작에 사용한 수지의 종류, 물성 등 은 이하와 같다.
(A)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rPP):
융점(Tm)=140℃,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230℃)=7g/10min,
아이소택틱 펜타드 분율(mmmm)=0.96,
분자량 분포(Mw/Mn)=4.8,
에틸렌 유래의 구성단위(이하, 에틸렌 함량이라고 함)=2.0몰%
1-뷰텐 유래의 구성단위(이하, 1-뷰텐 함량이라고 함)=1.5몰%,
의 프로필렌·에틸렌·1-뷰텐 랜덤 공중합체를 사용했다.
(B) 프로필렌·에틸렌·1-뷰텐 공중합체(PEBR)
이하의 방법으로 제조한 것을 사용했다.
충분히 질소치환한 2000ml의 중합장치에, 917ml의 건조 헥세인, 1-뷰텐 90g과 트라이아이소뷰틸 알루미늄(1.0mmol)을 상온에서 투입한 후, 중합장치 내부온도를 65℃로 승온하고, 프로필렌으로 계 내의 압력을 0.77MPa가 되도록 가압한 후에, 에틸렌으로, 계 내 압력을 0.79MPa로 조정했다. 이어서, 다이메틸메틸렌(3-tert-뷰틸-5-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플루오렌일지르코늄다이클로라이드 0.002mmol과 알루미늄 환산으로 0.6mmol의 메틸알루미노옥세인(토소·파인켐사제)을 접촉시킨 톨루엔 용액을 중합기 내에 첨가하고, 내부온도 65℃, 계 내 압력을 0.78MPa로 에틸렌으로 유지하면서 20분간 중합하고, 20ml의 메탄올을 첨가하여 중합을 정지했 다. 탈압 후, 2L의 메탄올 중에서 중합용액으로부터 폴리머를 석출하고, 진공상태 130℃, 12시간 건조했다. 얻어진 폴리머는 60.4g이고, MFR(230℃)이 7.0g/10min이고, 유리전이온도(Tg)는 -27℃이고, 에틸렌 함량은 14몰%이고, 1-뷰텐 함량은 20몰%이고, GPC에 의해 측정한 분자량 분포(Mw/Mn)는 2.0, mm값은 92%, 쇼어 A 경도는 42이었다. 또 DSC 측정에 의한 융해열량은 0.5(J/g) 미만으로, 명확한 융점은 관측되지 않았다.
(C)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PBR)
쓰미토모 카가쿠 주식회사제의 비결정성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상품명: 타프세렌 T3512),
융점(Tm)=158℃,
쇼어 A 경도=63,
을 사용했다.
(D)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EVA)
아세트산 바이닐 유래의 구성단위(이하, 아세트산 바이닐 함량이라고 함)=28wt%,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190℃)=15g/10min,
의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를 사용했다.
(X) 실레인 커플링제
토레이·다우코닝제의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을 사용했다.
(Y) 과산화물
알케마 요시토미 주식회사의 DCP(다이큐밀퍼옥사이드)를 사용했다.
(P) BOPP 필름
토셀로(주)제의 두께 50㎛의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HC-OP, 편면 열밀봉 타입)을 사용했다.
(Q) PET 필름
토레이(주)제(상품명: 루미러 S10, 두께 50μ)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했다.
[ 실시예 1]
상기 (A)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rPP) 20중량부와, 상기 (B) 프로필렌·에틸렌·1-뷰텐 공중합체(PEBR) 80중량부, 또한 (X) 실레인 커플링제 0.5(PHR), 및 (Y) 과산화물 0.06(PHR)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조성물(도요세이키제 라보플라스트밀을 사용하여, 190℃에서 5분간 혼련)을 사용하여, 190℃에서 두께 2mm의 프레스 시트를 제작했다. 이것을 사용하여 내열성(TMA) 및 압축 영구변형(23℃, 및, 70 ℃)을 측정하고, 또한 재가열에 의한 가소화의 가부를 평가했다.
또, 동일하게 하여 얻은 조성물을 사용하여, 190℃에서 두께 400㎛의 프레스 시트를 제작하고, 이것을 사용하여 (P) BOPP 필름과의 접착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B) 프로필렌·에틸렌·1-뷰텐 공중합체(PEBR) 대신 (C)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PBR)를 사용한 것 이외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시료 제작, 및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 비교예 2]
(D)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EVA) 100중량부, (X) 실레인 커플링제1.5중량부, 및 (Y) 과산화물 1.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도요세이키제의 라보플라스트밀을 사용하여, 120℃에서 5분간 혼련)을 얻었다. 이것을 140℃에서 프레스 성형하여, 두께 2mm 및 두께 400㎛의 프레스 시트를 작성(비가교)했다.
두께 2mm의 프레스 시트를 140℃, 2기압에서 10분간 열처리(기재와의 접착 시험과 동일조건)시킨 것을 사용하여 내열성(TMA) 및 압축 영구변형(23℃ 및 70℃)을 측정하고, 또한 재가열에 의한 가소화의 가부를 평가했다.
또, 두께 400㎛의 프레스 시트를 사용하여 (P) BOPP 필름과의 접착성을 평가 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P) BOPP 필름 대신 (Q) PET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접착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45286232-pct00001

Claims (8)

  1. 시차 주사 열량계로 관측한 융점이 100℃ 내지 160℃인 프로필렌계 중합체(A) 0 초과 내지 90중량부와,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탄소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올레핀과의 공중합체로서, 쇼어 A 경도가 30 내지 80이며 시차 주사 열량계로 관측한 융점이 100℃ 미만이거나, 융점이 관측되지 않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B) 10 내지 100 미만 중량부((A)와 (B)의 합계는 100중량부)로 이루어지고, 23℃에서 측정한 압축 영구변형이 5 내지 35%이며, 70℃에서 측정한 압축 영구변형이 50 내지 70%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밀봉 시트(I) 적어도 1층과,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 시트(II) 적어도 1층을 갖는 복합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계 공중합체(B)가 프로필렌 유래의 구성단위를 45 내지 92몰%, 에틸렌 유래의 구성단위를 5 내지 25몰%, 및, 탄소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성단위(a)를 3 내지 30몰% 함유하는 공중합체인 복합 시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시트(II)가 2축 연신을 행한 것인 복합 시트.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시트(II)가 그 표면에 금속 또는 무기 화합물층을 갖는 것인 복합 시트.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시트(I)와 상기 기재 시트(II)가 직접 적층되어 있는 복합 시트.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태양전지 밀봉용인 복합 시트.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복합 시트를 사용하여 제작된 태양전지 모듈.
  8. 제 7 항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을 갖는 발전설비.
KR1020087015362A 2005-11-25 2006-11-24 복합 시트 및 그 용도 KR1010506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40363 2005-11-25
JP2005340363 2005-11-25
PCT/JP2006/323389 WO2007061026A1 (ja) 2005-11-25 2006-11-24 複合シートおよびその用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4191A KR20080074191A (ko) 2008-08-12
KR101050660B1 true KR101050660B1 (ko) 2011-07-19

Family

ID=38067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362A KR101050660B1 (ko) 2005-11-25 2006-11-24 복합 시트 및 그 용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044853A1 (ko)
EP (1) EP1955844B1 (ko)
JP (1) JP4964782B2 (ko)
KR (1) KR101050660B1 (ko)
CN (1) CN101312829B (ko)
TW (1) TWI335269B (ko)
WO (1) WO20070610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21346B (zh) * 2006-04-13 2011-05-11 三井化学株式会社 热塑性树脂组合物、太阳能电池密封用片材及太阳能电池
JP2010109348A (ja) * 2008-10-03 2010-05-13 Techno Polymer Co Ltd 太陽電池用裏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を備える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0109349A (ja) * 2008-10-03 2010-05-13 Techno Polymer Co Ltd 太陽電池用裏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を備える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0984136B1 (ko) * 2008-12-02 2010-09-28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태양전지 모듈용 봉지재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DE102008062130A1 (de) * 2008-12-16 2010-06-17 Tesa Se Verfahren zur Kapselung einer elektronischen Anordnung
JP5588433B2 (ja) * 2009-05-13 2014-09-10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太陽電池封止材用シー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US9178189B2 (en) * 2010-01-19 2015-11-03 Enax, Inc. Sheet-typ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WO2011125843A1 (ja) * 2010-04-02 2011-10-13 株式会社フジクラ 電子機器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10272025A1 (en) * 2010-05-04 2011-11-10 Du Pont Apollo Limited Photovoltaic module
EP2390093B1 (en) * 2010-08-16 2013-04-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lyolefin-based solar backsheet
JP5631254B2 (ja) * 2011-04-22 2014-11-26 三井化学東セロ株式会社 太陽電池封止材及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5631255B2 (ja) * 2011-04-22 2014-11-26 三井化学東セロ株式会社 太陽電池封止材及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EP2750201A4 (en) * 2011-11-11 2015-07-01 Sanyo Electric Co SOLAR CELL MODULE
JP6057519B2 (ja) * 2012-02-15 2017-01-11 三井化学東セロ株式会社 太陽電池の製造方法、及び、太陽電池封止用フィルム
KR102037377B1 (ko) * 2013-04-15 2019-10-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3205212B (zh) * 2013-04-27 2014-04-09 广东安德力新材料有限公司 一种eva胶片及其制造方法
WO2018141672A1 (en) * 2017-02-01 2018-08-09 Borealis Ag Article comprising a layer element
KR102231005B1 (ko) * 2018-02-02 2021-03-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봉지 필름
TWI837859B (zh) * 2022-10-04 2024-04-01 慶鴻科技有限公司 氣體阻障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3732A (ja) * 2001-09-28 2003-04-09 Gunze Ltd 水性インキを含むフレキシブル包装材料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0509A (en) * 1987-05-18 1989-08-29 Laaly Heshmat O Photovoltaic cells in combination with single ply roofing membranes
JP3205783B2 (ja) * 1992-04-06 2001-09-04 グンゼ株式会社 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包装用ラミネート袋
JPH0994929A (ja) * 1995-10-02 1997-04-08 Toray Ind Inc 金属酸化物蒸着用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複合フイルム及び金属酸化物蒸着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複合フイルム
US6335479B1 (en) * 1998-10-13 2002-01-01 Dai Nippon Printing Co., Ltd. Protective sheet for solar battery module,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nd solar battery module
US6750284B1 (en) * 1999-05-13 2004-06-15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Thermoplastic filled membranes of propylene copolymers
JP2001354814A (ja) * 2000-06-16 2001-12-25 Chisso Corp プロピレン系樹脂シート
JP2003152212A (ja) * 2001-11-13 2003-05-23 Dainippon Printing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ル用裏面保護シ−ト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太陽電池モジュ−ル
DE10393252T5 (de) * 2002-09-06 2005-09-08 Dai Nippon Printing Co., Ltd. Rückseitenschutzschicht für ein Solarzellenmodul und Solarzellenmodul unter Verwendung derselben
JP2004223925A (ja) * 2003-01-23 2004-08-12 Mitsubishi Plastics Ind Ltd 積層シート、太陽電池用裏面保護シート、並びに太陽電池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4520721B2 (ja) * 2003-10-22 2010-08-11 東セロ株式会社 二軸延伸防湿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4314146B2 (ja) * 2004-04-26 2009-08-12 三井化学株式会社 シーラント用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から得られる易ヒートシール性シーラント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3732A (ja) * 2001-09-28 2003-04-09 Gunze Ltd 水性インキを含むフレキシブル包装材料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44853A1 (en) 2009-02-19
TWI335269B (en) 2011-01-01
WO2007061026A1 (ja) 2007-05-31
CN101312829B (zh) 2015-09-23
EP1955844A4 (en) 2012-09-19
EP1955844A1 (en) 2008-08-13
CN101312829A (zh) 2008-11-26
TW200734175A (en) 2007-09-16
JP4964782B2 (ja) 2012-07-04
KR20080074191A (ko) 2008-08-12
JPWO2007061026A1 (ja) 2009-05-07
EP1955844B1 (en)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660B1 (ko) 복합 시트 및 그 용도
TWI405842B (zh) 太陽電池密封材與其用途、及聚合體組成物
US10770609B2 (en) Multilayered polyolefin-based films having a layer comprising a crystalline block copolymer composite or a block copolymer composite resin
JP5344909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太陽電池封止用シートおよび太陽電池
EP2402392B1 (en) 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use thereof
JP6059721B2 (ja) 結晶性ブロックコポリマー複合体又はブロックコポリマー複合体を含む層を含む、一体化バックシート及び封入性能を有する多層化ポリオレフィン系フィルム
US8569437B2 (en) Encapsulating material for solar cell
JP5072211B2 (ja) 太陽電池封止材、太陽電池封止用シート、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US20080302417A1 (en) Filler sheet for solar cell module, and solar cell module using the same
KR20130100999A (ko) 태양 전지용 커버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하여 제작된 태양 전지 모듈
JP5209540B2 (ja) 太陽電池封止用シー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3035937A (ja) カレンダー成形用樹脂組成物、太陽電池封止膜フィルム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