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9285B1 - 일정한 배출 유량을 갖는 여과 시스템 - Google Patents

일정한 배출 유량을 갖는 여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285B1
KR101049285B1 KR1020100012453A KR20100012453A KR101049285B1 KR 101049285 B1 KR101049285 B1 KR 101049285B1 KR 1020100012453 A KR1020100012453 A KR 1020100012453A KR 20100012453 A KR20100012453 A KR 20100012453A KR 101049285 B1 KR101049285 B1 KR 101049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water
contaminated water
strainer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호
Original Assignee
(주) 코리아 인바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리아 인바이텍 filed Critical (주) 코리아 인바이텍
Priority to KR1020100012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92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8Straine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6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pressure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16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스트레이너에서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역세수를 드레인 경로로 배출하는 역세 공정이 이루어지더라도, 배출 경로를 통해 배출되는 여과수의 배출 유량은 항상 일정하도록 함으로써 일정한 유량의 여과수를 활용하는 곳에서 유용하다.

Description

일정한 배출 유량을 갖는 여과 시스템{Filtration System having consistent discharging flux}
본 발명은 여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스트레이너에서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역세수를 드레인 경로로 배출하는 역세 공정이 이루어지더라도, 배출 경로를 통해 배출되는 여과수의 배출 유량은 항상 일정하도록 하는 일정한 배출 유량을 갖는 여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이너(Strainer)라고 불리는 용수 여과기는 각종 설비 시스템에서 유입, 발생되는 유기적 부유물 등을 메쉬를 이용하여 걸러내는 장치로써, 농업, 공업 용수 등을 정수시키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공장 등에서는 오염된 냉각수 등을 여과하는 용수 여과기가 배치되어 많은 양의 오염수를 여과하고 있으며, 여과된 여과수를 이용하여 철강 등의 제품을 식혀주는 데 사용하고 있다.
도1은 종래의 용수 여과기(1) 중 자동 역세형 타입의 오토 스트레이너(100)(Auto Strainer, 이하 '스트레이너(100)'라 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종래의 스트레이너(100)는, 오염수를 여과하는 여과공정과 드레인 밸브(150)를 통해 오염수를 여과할 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포함된 역세수를 스트레이너(100)의 외부로 배출하는 역세공정을 동시에 수행 가능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1에 도시된 종래의 스트레이너(100)는, 펌프(161)를 통해 오염수가 유입되는 유입 경로(A)와, 오염물질이 걸러진 여과수를 배출하는 배출 경로(B)와, 오염물질과 오염수의 일부가 혼합된 역세수를 배출하는 드레인 경로(C)를 가진다. 여기서 유입 경로(A)에 위치하는 압력계(121)와 배출 경로(B)에 위치하는 압력계(122)에 의해 측정된 압력차가 일정 이상 증가하면, 오염물질이 스트레이너(100) 내부에 충만한 것으로 판단하여 스위치(130)가 드레인 밸브(150)를 개방하고 모터(142)를 구동시킴으로써 역세암(Backwash Arm)(미도시)을 통해 오염물질과 오염수의 일부가 혼합된 역세수가 스트레이너(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배출 경로(B)에는 체크밸브(151)가 설치되어 역세수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종래의 스트레이너(100)에서는, 역세공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드레인 경로(C)를 통해 역세수가 배출됨으로 인해, 배출 경로(B)를 통해 여과수가 배출되는 유량이 줄어들게 된다.
즉, 펌프(161)의 작동으로 인해 유입 경로(A)로 Q의 유량으로 오염수가 유입되고, 역세 공정으로 인해 드레인 경로(C)로 Q1의 유량으로 역세수가 빠져나간다면, 배출 경로(B)에서 배출되는 여과수의 유량은 유입된 오염수의 유량 Q에서 역세수가 배출되는 유량 Q1만큼이 줄어든 값이 될 것이다.
하지만, 스트레이너(100)가 여과수를 이용하여 온도와 압력에 민감한 철강 등의 제품을 냉각하는 곳에 설치된 경우라면, 역세 공정에서 배출 경로(B)를 통해 배출되는 여과수의 유량이 줄어드는 현상으로 인해 제품의 품질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고, 이 때문에 역세 공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제품을 냉각하는 작업을 중단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역세수를 드레인 경로로 배출하는 역세 공정이 이루어지더라도, 배출 경로를 통해 배출되는 여과수의 배출 유량은 항상 일정하도록 하는 일정한 배출 유량을 갖는 여과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정한 배출 유량을 갖는 여과 시스템은, 오염수가 공급되면 상기 오염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내어 여과수를 배출하는 스트레이너를 포함하는 여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 측으로 오염수를 공급하는 메인 펌프; 및 상기 스트레이너 측으로 추가 오염수를 공급하는 보조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레이너는, 상기 메인 펌프에 의해 오염수가 공급되는 메인 유입 경로; 상기 보조 펌프에 의해 추가 오염수가 공급되는 보조 유입 경로; 상기 메인 유입 경로 및 보조 유입 경로로 유입된 오염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에서 오염물질이 걸러진 여과수를 배출하는 배출 경로; 상기 스크린에서 걸러진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역세수를 배출하는 드레인 경로; 상기 스크린에서 걸러진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역세수를 상기 드레인 경로 측으로 유도하는 역세수단; 상기 드레인 경로를 개폐하는 드레인 밸브; 및 상기 드레인 밸브의 개폐와 상기 보조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스위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스위치는, 상기 메인 유입 경로를 통해 공급되는 오염수의 압력과 상기 배출 경로를 통해 배출되는 여과수의 압력의 차이가 기 지정된 수치 이상일 경우 상기 드레인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드레인 경로를 통해 역세수가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보조 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드레인 경로를 통해 배출되는 역세수 만큼의 오염수가 상기 보조 유입 경로를 통해 공급되도록 하여 역세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은 2 이상 마련되며, 상기 역세수단은 동일 회전축을 갖는 2 이상의 역세암들을 가지되, 상기 역세암 들 중 어느 하나의 역세암이 상기 스크린들 중 어느 하나의 스크린과 최대 면적으로 마주할 시, 다른 역세암들은 다른 스크린과 최대 면적으로 마주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일정한 배출 유량을 갖는 여과 시스템에 의하면, 별도의 유입 경로와 보조 펌프를 구비하고, 역세 공정이 이루어질 시 드레인 경로를 통해 배출되는 역세수의 유량만큼 보조 펌프를 통해 오염수를 유입시켜줄 수 있기 때문에, 역세 공정이 이루어지더라도 배출 경로를 통한 배출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가 있어서, 온도와 압력에 민감한 철강 등의 제품을 냉각할 시, 꾸준한 유량의 여과수를 제품에 공급할 수가 있어서,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역세 공정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도 제품을 냉각하는 작업이 중단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생산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여과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정한 배출 압력을 갖는 여과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도3은 도2에 도시된 여과 시스템에서 스트레이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4는 도3에 도시된 스트레이너에서 스크린에 대응하여 역세암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도4에 도시된 역세암에 의해 배출되는 역세수의 유량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6은 도3에 도시된 스트레이너에서 스크린에 대응하여 개량된 역세암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은 도6에 도시된 역세암에 의해 배출되는 역세수의 유량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8은 도3에 도시된 스트레이너에서 스크린의 배열을 변경한 후 역세암과의 위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정한 배출 유량을 갖는 여과 시스템(2)(이하 '여과 시스템'이라 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3은 도2에 도시된 여과 시스템(2)에서 스트레이너(2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2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과 시스템(2)은, 메인 펌프(261), 보조 펌프(262) 및 스트레이너(200)를 포함한다.
메인 펌프(261)는 스트레이너(200) 측으로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오염수를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고, 보조 펌프(262)는 스트레이너(200) 측으로 추가 오염수를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다. 여기서, 메인 펌프(261)는 스트레이너(200)에서 오염수의 오염물질을 걸러내고 여과수를 배출하는 동안 스트레이너(200) 측에 지속적으로 오염수를 공급하지만, 보조 펌프(262)는 스트레이너(200)에서 드레인 경로(C)를 통해 오염물질과 오염수의 일부가 포함된 역세수가 배출되는 역세 공정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만 작동되어 추가 오염수를 공급한다.
여기서, 스트레이너(200)는 메인 펌프(261)에 의해 공급되는 오염수가 유입되는 메인 유입 경로(A)와, 보조 펌프(262)에 의해 공급되는 추가 오염수가 유입되는 보조 유입 경로(A')와, 메인 유입 경로(A) 및 보조 유입 경로(A')를 통해 유입된 오염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211,212)과, 스크린(211,212)에서 오염물질이 걸러진 여과수를 배출하는 배출 경로(B)와, 스크린(211,212)에서 걸러진 오염물질과 오염수의 일부를 포함하는 역세수를 배출하는 드레인 경로(C)와, 역세수를 드레인 경로(C) 측으로 유도하는 역세수단(241)과, 드레인 경로(C)를 개폐하는 드레인 밸브(250)를 갖는다.
또한, 스트레이너(200)는 메인 유입 경로(A)를 통해 공급되는 오염수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계(221)와 배출 경로(B)를 통해 배출되는 여과수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2압력계(222)를 가지며, 제1압력계(221)에서 측정된 압력과 제2압력계(222)에서 측정된 압력의 차이가 기 지정된 수치 이상일 경우 드레인 밸브(250)를 개방하여 역세수가 드레인 경로(C)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제어 스위치(230)를 포함한다.
즉, 메인 유입 경로(A)를 통해 Q의 유량으로 오염수가 유입되면, 오염수가 스크린(211,212)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스크린(211,212)에 오염물질이 걸러지게 되고, 오염물질이 걸러진 여과수는 배출 경로(B)를 통해 Q의 유량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을 여과 공정이라 한다.
도3을 통해 스트레이너(200) 내에서 여과 공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더욱 자세히 설명해 보면, 메인 유입 경로(A)를 통해 유입된 오염수는 스트레이너(200) 하부 공간을 통해 스크린(211,212)의 하측으로 유입되고, 스크린(211,212)을 통과하면서 스크린(211,212) 내측에 오염물질이 걸러지게 되며, 오염물질이 걸러진 여과수가 배출 경로(B)를 통해 배출된다.
여기서, 여과 공정이 지속되다 보면 스크린(211,212) 내측에 오염물질이 쌓이게 되어, 같은 시간동안 오염수가 스크린(211,212)을 통과하는 비율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메인 유입 경로(A)를 통해 Q의 유량으로 오염수가 유입되더라도 배출 경로(B)를 통해 배출되는 여과수의 유량은 시간이 흐를수록 Q보다 점점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제어 스위치(230)는 제1압력계(221)와 제2압력계(222)를 통해 메인 유입 경로(A)를 통해 공급되는 오염수의 압력과 배출 경로(B)를 통해 배출되는 여과수의 압력을 확인하고, 제1압력계(221)에서 측정된 압력과 제2압력계(222)에서 측정된 압력의 차이가 기 지정된 수치 이상인 것을 확인하게 되면, 스크린(211,212) 내측에 오염물질이 충만한 것으로 판단하여 드레인 밸브(250)를 개방함으로써 스크린(211,212) 내측에 쌓인 오염물질이 오염수의 일부와 함께 역세수단(241)을 통해 드레인 경로(C)로 배출되도록 한다.
역세수단(241)은 스크린(211,212)과 드레인 경로(C)를 잇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되는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이너(200)의 상부와 하부를 가로막는 격벽을 경계로, 상부에는 스크린(211,212)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하부에 역세수단(241)이 설치된다. 여기서 도3에 도시된 스트레이너(200)는 다수의 스크린(211,212)이 장착된 멀티 스크린 타입인 것을 도시한 것이며, 역세수단(241)은 스크린(211,212) 하부와 마주하게 되면 스크린(211,212) 내측과 드레인 경로(C) 간의 통로를 형성시켜주어 역세수가 드레인 경로(C)를 통해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역세암(Backwash Arm)(241a,241b)을 포함하여 설치된다.
여기서 스크린(211,212)은 스트레이너(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반경이 서로 다른 동심원 상에 다수 마련되는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깥쪽에 설치된 것들을 외측 스크린(211), 그 안쪽에 설치된 것들을 내측 스크린(212)이라 하도록 한다. 이때, 역세수단(241)은 외측 스크린(211)과 마주하는 외측 역세암(241a)과 내측 스크린(212)과 마주하는 내측 역세암(241b)으로 이루어지며, 제어 스위치(230)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242)와 샤프트(243)를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제어 스위치(230)는 역세 공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드레인 밸브(250)를 개방할 때, 모터(242)를 구동시켜 모터(242)의 동력이 샤프트(243)를 통해 역세수단(241)으로 전달되어 회전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역세수단(241)이 회전하면서 외측 역세암(241a)은 외측 스크린(211)들의 하단과 마주하게 되고, 내측 역세암(241b)은 내측 스크린(212)들의 하단과 마주하게 된다.
이때, 스트레이너(200) 내측은 오염수의 유입으로 인해 높은 압력을 유지하고 있고, 드레인 경로(C) 바깥쪽은 대기압이다. 따라서 스크린(211,212) 하단과 역세암(241a,241b)이 마주하여 스크린(211,212) 내측과 드레인 경로(C) 바깥쪽 사이의 통로가 형성되면, 압력의 차이로 인해 스크린(211,212) 바깥쪽의 물이 스크린(211,212) 내측으로 유입되면서 스크린(211,212) 내측에 쌓여 있던 오염물질과 함께 역세암(241a,241b)을 통해 드레인 경로(C)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역세수단(241)이 회전하여 역세암(241a,241b)이 스크린(211,212)들의 하단과 순차적으로 마주하면서 스크린(211,212) 내측의 오염물질을 드레인 경로(C)를 통해 배출하는 역세 공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드레인 경로(C)를 통해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역세수가 빠져 나가면, 배출 경로(B)를 통해 배출되는 여과수의 유량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제어 스위치(230)는 역세 공정 시 드레인 밸브(250)를 개방하고 모터(242)를 구동시킬 때 보조 펌프(262)를 작동시킴으로써, 드레인 경로(C)를 통해 배출되는 역세수의 유량만큼 추가 오염수가 보조 유입 경로(A')를 통해 스트레이너(200)로 유입되도록 한다.
여기서 보조 유입 경로(A')는 메인 유입 경로(A)의 메인 펌프(261) 전단에서 연결되어 스트레이너(200) 측으로 추가 오염수가 공급되도록 설치된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 별도의 오염수 공급원과 연결되어 보조 펌프(262)를 통해 추가 오염수가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드레인 경로(C)를 통해 역세수가 빠져나가더라도, 보조 유입 경로(A')와 보조 펌프(262)를 통해 빠져 나가는 역세수의 유량만큼의 오염수가 추가로 유입되기 때문에 배출되는 여과수의 유량은 항상 일정할 수 있다. 즉, 메인 펌프(261)를 통해 Q의 유량으로 오염수가 유입될 때, 드레인 경로(C)를 통해 Q1의 유량으로 역세수가 빠져나가더라도 보조 펌프(262)를 통해 Q1의 유량으로 추가 오염수가 유입되기 때문에 배출 경로(B)를 통해 배출되는 여과수의 유량은 Q를 유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여과수를 냉각수로 활용하여 철강 등의 제품을 냉각시킬 시, 일정한 유량이 항상 유지되기 때문에 질 좋은 제품이 생산될 수 있는 것이며, 역세 공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배출 유량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역세 공정 시 제품의 냉각 작업을 중단시켜야 할 필요도 없어서 생산 효율이 높아진다.
여기서, 제어 스위치(230)는 기 지정된 시간동안 역세 공정이 이루어지고 나면, 드레인 밸브(250)를 폐쇄하고, 보조 펌프(262)의 작동을 중단시키며, 역세수단(241)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242)의 구동을 중단시킴으로써 역세 공정이 멈추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미설명 부호인 251은 역세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4 내지 도7을 통해 역세수단(241)의 회전에 따라 드레인 경로(C)를 통해 배출되는 역세수의 유량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4는 반지름이 다른 2개의 동심원 상에 다수의 스크린(211,212)이 설치된 멀티 스크린 타입의 스트레이너(200)에서 스크린(211,212)과 역세암(241a,241b)이 마주하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만약 역세수단(241)에 형성된 외측 역세암(241a)과 내측 역세암(241b)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을 기준으로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고 하자. 이 경우 외측 역세암(241a)과 내측 역세암(241b)이 각각 외측 스크린(211)과 내측 스크린(212)에 완전히 일치할 경우에는 가장 많은 양의 역세수가 드레인 경로(C)를 통해 배출된다. 하지만 역세수단(241)이 회전하여 외측 역세암(241a)과 내측 역세암(241b)이 모두 외측 스크린(211)과 내측 스크린(212)에 일부만 마주할 경우에는 역세수단(241)을 통해 배출되는 역세수의 양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에 따라 배출되는 역세수의 유량(Q1)은 큰 편차를 보이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보조 펌프(262)를 통해 일정한 유량의 추가 오염수를 스트레이너(200)에 공급하더라도, 역세수의 배출 유량이 일정치 않아 배출 경로(B)를 통한 여과수의 배출 유량 또한 일정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도6에서와 같이, 역세수단에 형성된 외측 역세암(241a')과 내측 역세암(241b')을 회전축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꺾어지게 하여 설계하면, 외측 역세암(241a')과 내측 역세암(241b')이 각각 외측 스크린(211)과 내측 스크린(212)에 모두 마주하는 경우는 생기지 않게 된다. 즉,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세암(241a',241b')들이 스크린(211,212)에 모두 일치하여 마주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드레인 경로(C)를 통해 배출되는 역세수의 유량(Q1)의 최대치는 줄어들겠지만, 최대치(Q1MAX)와 최저치(Q1min)의 차이 또한 줄어들게 된다. 즉, 보조 펌프(262)를 통해 일정한 유량의 추가 오염수를 스트레이너(200)에 공급하면, 역세수의 배출 유량이 거의 일정하게 되어 배출 경로(B)를 통한 여과수의 배출 유량 또한 매우 작은 편차를 보이면서 거의 일정하게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세암(241a,241b)은 일자형으로 유지하되, 스크린(211',212')들의 배치를 변경함으로써 배출 경로(B)를 통한 여과수의 배출 유량(Q1)의 편차를 줄여줄 수도 있다. 즉, 외측 스크린(211')과 내측 스크린(212') 및 역세암(241a,241b)의 회전중심이 일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스크린(211',212')들을 배치하면, 일자형의 역세암(241a,241b)이 회전하면서 외측 스크린(211')과 내측 스크린(212') 모두와 완전히 마주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드레인 경로(C)를 통해 배출되는 역세수의 유량(Q1)의 최대치는 줄어들고, 최대치(Q1MAX)와 최저치(Q1min)의 차이 또한 줄어들게 되어, 보조 펌프(262)를 통해 일정한 유량의 추가 오염수를 스트레이너(200)에 공급할 시, 역세수의 배출 유량이 거의 일정하게 되어 배출 경로(B)를 통한 여과수의 배출 유량 또한 매우 작은 편차를 보이면서 거의 일정하게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멀티 스크린 타입에서 스크린(211,212,211',212')들의 간격, 배열, 개수 및 역세암(241a,241b,241a',241b')들의 설계 변경을 통해 역세수의 배출 유량의 최대치와 편차를 조절함으로써 배출 경로(B)를 통한 여과수의 배출 유량 또한 더욱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2 : 여과 시스템
200 : 스트레이너
A : 메인 유입 경로 A' : 보조 유입 경로
B : 배출 경로 C : 드레인 경로
211 : 외측 스크린 212 : 내측 스크린
221 : 제1압력계 222 : 제2압력계
230 : 제어 스위치
241 : 역세수단
241a : 외측 역세암
241b : 내측 역세암
242 : 모터 243 : 샤프트
250 : 드레인 밸브 251 : 체크밸브
261 : 메인 펌프 262 : 보조 펌프

Claims (3)

  1. 오염수가 공급되면 상기 오염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내어 여과수를 배출하는 스트레이너를 포함하는 여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 측으로 오염수를 공급하는 메인 펌프; 및
    상기 스트레이너 측으로 추가 오염수를 공급하는 보조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레이너는,
    상기 메인 펌프에 의해 오염수가 공급되는 메인 유입 경로;
    상기 보조 펌프에 의해 추가 오염수가 공급되는 보조 유입 경로;
    상기 메인 유입 경로 및 보조 유입 경로로 유입된 오염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에서 오염물질이 걸러진 여과수를 배출하는 배출 경로;
    상기 스크린에서 걸러진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역세수를 배출하는 드레인 경로;
    상기 스크린에서 걸러진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역세수를 상기 드레인 경로 측으로 유도하는 역세수단;
    상기 드레인 경로를 개폐하는 드레인 밸브; 및
    상기 드레인 밸브의 개폐와 상기 보조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한 배출 유량을 갖는 여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스위치는, 상기 메인 유입 경로를 통해 공급되는 오염수의 압력과 상기 배출 경로를 통해 배출되는 여과수의 압력의 차이가 기 지정된 수치 이상일 경우 상기 드레인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드레인 경로를 통해 역세수가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보조 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드레인 경로를 통해 배출되는 역세수 만큼의 오염수가 상기 보조 유입 경로를 통해 공급되도록 하여 역세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한 배출 유량을 갖는 여과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2 이상 마련되며,
    상기 역세수단은 동일 회전축을 갖는 2 이상의 역세암들을 가지되, 상기 역세암 들 중 어느 하나의 역세암이 상기 스크린들 중 어느 하나의 스크린과 최대 면적으로 마주할 시, 다른 역세암들은 다른 스크린과 최대 면적으로 마주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한 배출 유량을 갖는 여과 시스템.
KR1020100012453A 2010-02-10 2010-02-10 일정한 배출 유량을 갖는 여과 시스템 KR101049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453A KR101049285B1 (ko) 2010-02-10 2010-02-10 일정한 배출 유량을 갖는 여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453A KR101049285B1 (ko) 2010-02-10 2010-02-10 일정한 배출 유량을 갖는 여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9285B1 true KR101049285B1 (ko) 2011-07-13

Family

ID=44923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453A KR101049285B1 (ko) 2010-02-10 2010-02-10 일정한 배출 유량을 갖는 여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92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01305A (zh) * 2019-03-12 2019-05-03 中国电建集团中南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自动反冲洗排污滤水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2078A (en) 1987-06-11 1988-12-20 Kiyohachi Takahashi Device for controlling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f flux
KR100792590B1 (ko) 2007-02-05 2008-01-09 (주) 코리아 인바이텍 여과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2078A (en) 1987-06-11 1988-12-20 Kiyohachi Takahashi Device for controlling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f flux
KR100792590B1 (ko) 2007-02-05 2008-01-09 (주) 코리아 인바이텍 여과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01305A (zh) * 2019-03-12 2019-05-03 中国电建集团中南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自动反冲洗排污滤水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9077B1 (ko) 필터 장치
JP6133497B2 (ja) 回転可能なスクリーンディスク用の駆動装置を備えるメルトフィルタ
EP2527021A1 (en) Filtering system with backwash capabilities
US20140183110A1 (en) Filter device
CN205699685U (zh) 一种自清洗过滤装置
KR20130004102A (ko) 필터 헤드와 이를 포함하는 필터 어셈블리, 수처리 장치
KR101616242B1 (ko) 필터 장치
DK2756874T3 (en) A filter device
KR101049285B1 (ko) 일정한 배출 유량을 갖는 여과 시스템
KR101617024B1 (ko) 유체여과장치
KR20130141034A (ko) 유체여과장치
JP6469198B1 (ja) 濾過装置
KR100792590B1 (ko) 여과시스템
JP4225997B2 (ja) 濾過装置
KR101109014B1 (ko) 자동역세척이 가능한 배관연결체
KR101491004B1 (ko) 균일한 역세가 가능한 용수 여과 장치
KR101064635B1 (ko) 자체 세정 기능을 갖춘 필터
KR102637384B1 (ko) 역세척 타입의 여과장치, 이를 포함하는 여과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KR20090106961A (ko) 셀프 클리닝 필터 장치
KR101049284B1 (ko) 일정한 배출 유량을 갖는 여과 시스템
KR200452308Y1 (ko) 자동 세정 필터 시스템
JP5956267B2 (ja) ろ過システム
KR102577839B1 (ko)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
KR20170011949A (ko) 직렬식 유로가 형성된 용수여과장치
JP5489120B2 (ja) 流体用スクリーンチェンジャ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