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839B1 -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 - Google Patents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839B1
KR102577839B1 KR1020220095956A KR20220095956A KR102577839B1 KR 102577839 B1 KR102577839 B1 KR 102577839B1 KR 1020220095956 A KR1020220095956 A KR 1020220095956A KR 20220095956 A KR20220095956 A KR 20220095956A KR 102577839 B1 KR102577839 B1 KR 102577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oreign substances
inlet pipe
foreign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5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관순
신태용
Original Assignee
터보솔루션 주식회사
신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터보솔루션 주식회사, 신태용 filed Critical 터보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5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8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8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9/6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pressure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8Straine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개시되는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는, 이물질이 혼합된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이물질이 걸러진 처리수를 조업 장비 측으로 공급하는 유출관과, 이물질의 배출을 안내하는 이물질 배출관이 연결되는 바디; 원수에 혼합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망과, 여과망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처리수를 유출관으로 안내하는 매니폴드를 가지는,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크린부재; 및 유입관 및 유출관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 1 센서모듈 및 제 2 센서모듈과, 이물질 배출관에 설치되는 전동밸브 및 유입관과 유출관 사이의 차압 발생 시 바디 내부에 침적된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전동밸브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를 가지는 이물질 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FOREIGN SUBSTANCES AUTOMATIC DISCHARGE STRAINER}
본 발명(Disclosure)은, 작업자의 개입 없이 이물질을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게 하는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일반적으로, 증기나 물 등의 유체에 포함된 고체 이물질(모래, 금속조각) 등을 제거하기 위해 배관라인 상에는 스트레이너(strainer)가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 스트레이너는 장기간 사용 시 침적되는 이물질에 의해 여과망이 막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스트레이너를 분해하여 침적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종래 스트레이너의 이물질 제거 작업은 조업을 중지시킨 상태에서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해 수행되기 때문에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작업자의 피로도를 상승시키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30352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96512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3563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56279호.
본 발명(Disclosure)은, 유입관 및 유출관의 압력 차이가 기 설정된 차압기준값 이상이면 이물질을 자동 배출할 수 있게 하는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Disclosure)은, 이물질이 배출되더라도 유출관를 통해 이물질이 걸러진 유체를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Disclosure)은,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유체가 여과망을 세척할 수 있게 하는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는, 이물질이 혼합된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이물질이 걸러진 처리수를 조업 장비 측으로 공급하는 유출관과, 이물질의 배출을 안내하는 이물질 배출관이 연결되는 바디; 원수에 혼합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망과, 여과망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처리수를 유출관으로 안내하는 매니폴드를 가지는,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크린부재; 및 유입관 및 유출관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 1 센서모듈 및 제 2 센서모듈과, 이물질 배출관에 설치되는 전동밸브 및 유입관과 유출관 사이의 차압 발생 시 바디 내부에 침적된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전동밸브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를 가지는 이물질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에서, 바디는, 내부가 중공되고 상부 및 하부는 열린 수직한 원통형상으로 제공되는 실린더부; 및 실린더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실린더부의 하부에서 하부 외측으로 직경이 점층적으로 좁아지게 연장되는 원추부;를 포함하며, 실린더부에는 유입관 및 유출관이 실린더의 내부와 이어지게 연결되고, 원추부의 하부에는 원추부의 내부와 이어지는 이물질 배출관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에서, 실린더부의 열린 상부는 탈부착 가능한 커버에 의해 폐쇄되며, 실린더부에는 바디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에서, 여과망은 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연장된 원통형상으로 제공되되, 여과망의 열린 상부 및 하부는 각각 상부 및 하부 엔드 캡에 의해 마감되고, 상부 엔드 캡에는 매니폴드의 내부로 처리수를 월류시키는 월류관이 여과망의 내부와 이어지게 일체로 형성되며, 월류관의 외주면 상에는 매니폴드에 체결되는 수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에서, 여과망의 내측에는 수직한 원통형상으로 제공되는 타공판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에서, 매니폴드는 내부가 빈 함체 형상으로 제공되며, 유입관 및 유출관과 마주하도록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되, 매니폴드의 하부면 상에는 여과망의 월류관이 체결되는 월류공이 형성되고, 월류공의 내주면 상에는 월류관의 수나사가 맞물리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유출관과 마주하는 매니폴드의 일측면 상에는 연장단 측이 유출관의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관이 매니폴드의 내부와 이어지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에서, 유입관과 마주하는 매니폴드의 타측면은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를 바디의 내주면 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경사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에서, 제 1 센서모듈은 유입관에 설치되어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감지한 압력정보를 실시간으로 컨트롤러로 전송하며, 제 2 센서모듈은 유출관에 설치되어 유출관을 통해 공급되는 처리수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감지한 압력정보를 실시간으로 컨트롤러로 전송하며, 컨트롤러는 제 1 센서모듈 및 제 2 센서모듈로부터 압력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유입관과 유출관 사이의 압력 차이를 기 설정된 차압기준값과 비교하고, 유입관과 유출관 사이의 압력 차이가 차압기준값 이상이면 전동밸브를 작동시켜 전동밸브가 이물질 배출관의 유로를 개방시키게 하며, 유입관과 유출관 사이의 압력 차이가 차압기준값 미만이거나 기 설정 개방시간을 초과하면 전동밸브를 작동시켜 전동밸브가 이물질 배출관의 유로를 폐쇄시키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에서, 차압기준값 및 개방시간은 작업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에서, 이물질 배출부는, 수동밸브;를 더 포함하며, 수동밸브는 이물질 배출관에 설치되되, 전동밸브의 상류 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입관 및 유출관의 압력 차이가 기 설정된 차압기준값 이상이면 이물질을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작업자들의 피로도를 현저히 낮출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물질이 배출되더라도 유출관를 통해 이물질이 걸러진 유체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조업을 중지하지 않아도 되며, 이에 의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혼합된 유체가 볼텍스 플로(vortex flow; 소용돌이)를 형성하기 때문에 여과망에 응집된 슬러지(sludge)를 세척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디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버를 분리하여 바디의 내부를 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100)는 바디(110), 스크린부재(130) 및 이물질 배출부(150)를 포함한다.
먼저, 바디(110)는 이물질이 혼합된 유체(이하 "원수"라 한다.)가 유입되고, 이물질이 걸러진 유체(이하 "처리수"라 한다.)를 조업 장비(도시되지 않음) 측으로 공급한다. 또한 바디(110)는 침적되는 이물질의 배출을 안내한다.
여기서, 이물질은 누구나 알 수 있듯이 유체에 혼합된 모래, 금속조각 등일 수 있다.
바디(110)는 내부가 중공되고 상부 및 하부는 열린 수직한 원통형상으로 제공되는 실린더부(112)와, 실린더부(112)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실린더부(112)의 하부에서 하부 외측으로 그 직경이 점층적으로 좁아지게 연장되는 원추부(114)를 포함한다.
이때, 실린더부(112)의 상부에 인접하게는 실린더부(112)의 내부와 이어지는 유입관(116) 및 유출관(118)이 연결된다.
유입관(116)은 원수를 바디(110)의 내부로 유입시키고, 유출관(118)은 스크린부재(130)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처리수를 바디(110)의 내부로부터 조업 장비 측으로 공급한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유입관(116) 및 유출관(118)이 마주하게 실린더부(112)에 연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지만, 유입관(116)과 유출관(118)은 다양한 사잇각을 형성하도록 실린더부(112)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부(112)의 열린 상부는 탈부착 가능한 커버(120)에 의해 폐쇄된다.
커버(120)는 바디(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크린부재(130) 유지보수 및 교체 시 실린더부(112)의 상부를 개방시키는데, 커버(120)와 실린더부(112)의 연결 관계를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일례로, 커버(120)는 통상의 2절 또는 3절 브이 밴드 클램프를 매개로 실린더부(112)에 탈부착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부(112)에는 유입관(116) 및 유출관(118)에 간섭되지 않게 바디(110)의 내부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122)이 장착된다.
한편, 원추부(114)의 하부에는 원추부(114)의 내부와 이어지는 이물질 배출관(124)이 연결된다.
이물질 배출관(124)은 원추부(114) 및 실린더부(112)의 내부에 침적되어 쌓이는 이물질을 바디(1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여기서, 이물질 배출관(124)은 대기 중으로 이물질이 배출되게 하거나 작업장에 마련된 폐수처리라인(도시되지 않음) 등과 연결되어 폐수처리라인으로 이물질이 배출되게 한다.
스크린부재(130)는 바디(110)로 유입되는 원수에 혼합된 이물질을 걸러내고, 이물질이 걸러진 처리수를 바디(110)의 유출관(118)으로 안내한다.
이를 위해서, 스크린부재(130)는 바디(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여과망(132) 및 매니폴드(140)를 포함한다.
여과망(132)은 원수에 혼합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것으로, 여과망(1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연장된 원통형상으로 제공된다.
이때, 여과망(132)의 열린 상부 및 하부는 각각 상부 및 하부 엔드 캡(134, 136)에 의해 마감된다.
그리고 상부 엔드 캡(134)에는 매니폴드(140)의 내부로 처리수를 월류시키는 월류관(138)이 여과망(132)의 내부와 이어지게 일체로 형성되며, 월류관(138)의 외주면 상에는 매니폴드(140)에 체결되는 수나사가 형성된다.
즉, 바디(110) 내부로 유입되어 바디(110)의 내부를 채우는 이물질이 혼합된 원수는 여과망(132)의 측면부를 통해 여과망(132)의 내부로 유입되는데, 이때 원수에 혼합된 이물질은 여과망(132)의 기공을 통과하지 못하고 걸러지면서 원추부(114) 및 실린더부(112)의 내부에 침적되고, 이물질이 걸러진 처리수는 월류관(138)을 통해 매니폴드(140) 내부로 월류된다.
바람직하게는, 여과망(132)의 내측에는 여과망(132)이 이물질 등에 의해 그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수직한 원통형상으로 제공되는 타공판(도시되지 않음)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여과망(132)의 체적(넓이와 높이)을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여과망(132)의 체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매니폴드(140)는 여과망(132)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처리수를 바디(110)의 유출관(118)으로 안내하는 것으로, 매니폴드(140)는 내부가 빈 함체 형상으로 제공되며, 유입관(112) 및 유출관(118)과 마주하도록 바디(1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매니폴드(140)의 하부면 상에는 월류관(138)이 체결되는 월류공(142)이 형성되고, 월류공(142)의 내주면 상에는 월류관(138)의 수나사가 맞물리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그리고 유출관(118)과 마주하는 매니폴드(140)의 일측면 상에는 연장단 측이 바디(110)의 유출관(118)의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관(144)이 매니폴드(140)의 내부와 이어지게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유출관(118)의 내부로 삽입된 연결관(144)의 외주면 상에는 바디(110) 내부를 채우는 원수에 혼합된 이물질이 유출관(118)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통상의 O-링 등이 하나 이상 개재될 수 있다.
즉, 여과망(132)의 내부로 유입된 처리수는 월류공(142)에 체결된 월류관(138)을 월류해 매니폴드(140)의 내부를 채우며, 매니폴드(140)의 내부를 채우는 처리수는 연결관(144)을 통해 유출관(118) 측으로 유입되고, 유출관(118)은 유입되는 처리수를 조업 장비 측으로 공급한다.
한편, 바디(110)의 유입관(116)과 마주하는 매니폴드(140)의 타측면은 유입관(116)을 통해 바디(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바디(110)의 내주면 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경사면(146)으로 제공된다.
이때, 경사면(146)에 의해 바디(110)의 내주면 측으로 유도되는 원수는 바디(110)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볼텍스 플로(vortex flow; 소용돌이)를 형성하는데, 이에 의해 원수에 혼합된 이물질은 바디(110)의 내주면과 충돌하며 빠르게 침적되고(도 4 참조), 볼텍스 플로(vortex flow; 소용돌이)를 형성하며 회전하는 원수 및 이물질에 의해 여과망(132)에 응집되는 슬러지(sludge)는 여과망(132)에서 떨어져나가 이물질과 함께 침적된다.
즉, 경사면(146)에 의해 바디(110)의 내주면 측으로 유도되어 볼텍스 플로(vortex flow; 소용돌이)를 형성하는 원수에 의해 여과망(132)의 측면부는 세척이 이루어진다.
이물질 배출부(150)는 이물질의 배출을 단속하되, 바디(110)의 유입관(116)과 유출관(118) 사이의 차압 발생 시 바디(110) 내부에 침적된 이물질을 자동으로 바디(110)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물질 배출부(150)는 제 1 및 제 2 센서모듈(152, 154)과, 전동밸브(156) 및 컨트롤러(158)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센서모듈(152, 154)은 각각 유입관(116) 및 유출관(118)에 설치된다.
이때, 제 1 센서모듈(152)은 유입관(116)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며, 제 2 센서모듈(154)은 유출관(118)을 통해 공급되는 처리수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센서모듈(152, 154)은 각각 감지한 압력정보를 실시간으로 컨트롤러(158)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센서모듈(152, 154)을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시 말해 제 1 및 제 2 센서모듈(152, 154)이 유입관(116) 및 유출관(118)을 통해 유입 및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면 제 1 및 제 2 센서모듈(152, 154)은 어떠한 구성을 가지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제 1 센서모듈(152)과 유입관(116)의 연결관계 및 제 2 센서모듈(154)과 유출관(118)의 연결관계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동밸브(15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배출관(124)에 설치되며, 컨트롤러(158)의 제어에 따라 이물질 배출관(124)의 유로를 개폐시킨다.
즉, 전동밸브(156)가 컨트롤러(158)의 제어에 따라 이물질 배출관(124)의 유로를 개방시키면 바디(110)의 원추부(114) 및 실린더부(112)에 침적된 이물질은 이물질 배출관(124)을 통해 바디(110)의 외부로 배출되고(도 5 참조), 전동밸브(156)가 컨트롤러(158)의 제어에 따라 이물질 배출관(124)의 유로를 폐쇄시키면 이물질의 배출이 중단된다(도 4 참조).
이때, 전동밸브(156)는 바디(110)의 유입관(116)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의 유량과 같거나 작은 유량으로 이물질을 배출시키는데, 이에 의해 전동밸브(156)가 이물질 배출관(124)의 유로를 개방시키더라도 유출관(118)을 통해 처리수는 조업 장비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전동밸브(156)는 공지의 기술로, 본 발명에서는 전동밸브(156)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전동밸브(156)가 컨트롤러(158)의 제어에 따라 이물질 배출관(124)를 개폐시킬 수 있다면 전동밸브(156)는 어떠한 구성을 가지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전동밸브(156)와 이물질 배출관(124)의 연결관계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컨트롤러(158)는 제 1 및 제 2 센서모듈(152, 154)로부터 압력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유입관(116)과 유출관(118) 사이의 압력 차이를 기 설정된 차압기준값과 비교한다.
또한, 컨트롤러(158)는 유입관(116)과 유출관(118) 사이의 압력 차이가 차압기준값 이상이면 전동밸브(156)를 작동시켜 전동밸브(156)가 이물질 배출관(124)의 유로를 개방시키게 하며, 유입관(116)과 유출관(118) 사이의 압력 차이가 차압기준값 미만이거나 기 설정 개방시간을 초과하면 전동밸브(156)를 작동시켜 전동밸브(156)가 이물질 배출관(124)의 유로를 폐쇄시키게 한다.
이때, 차압기준값 및 개방시간은 작업자에 의해 설정되며, 컨트롤러(158)에는 작업자가 설정한 차압기준값 및 개방시간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표시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제공된다.
즉, 컨트롤러(158)는 유입관(116)과 유출관(118) 사이의 압력 차이가 기 설정된 차압기준값 이상이면 여과망(132)의 측면부가 침적된 이물질에 의해 막힌 것으로 판단하고, 이와 동시에 침적된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전동밸브(156)를 작동시켜 전동밸브(156)가 이물질 배출관(124)을 유로를 개방시키게 하는데, 이때 바디(110)의 내부에 침적되어 쌓인 이물질은 배출된다(도 5 참조).
반대로, 컨트롤러(158)는 유입관(116)과 유출관(118) 사이의 압력 차이가 차압기준값 미만이거나 기 설정 개방시간을 초과하면 여과망(132)의 측면부를 막고 있던 이물질이 배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와 동시에 전동밸브(156)를 작동시켜 전동밸브(156)가 이물질 배출관(124)의 유로를 폐쇄시키게 하는데, 이에 의해 이물질의 배출은 중단된다(도 4 참조).
한편, 이물질 배출부(150)는 전동밸브(156) 고장 시 이물질 배출관(124)을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게 하는 수동밸브(160)를 더 포함한다.
수동밸브(1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밸브(156)에 간섭되지 않게 이물질 배출관(124)에 설치되되, 수동밸브(160)는 전동밸브(156)의 상류 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수동밸브(160)와 이물질 배출관(124)의 연결관계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100)는 유입관(116) 및 유출관(118)의 압력 차이가 기 설정된 차압기준값 이상이면 이물질을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작업자들의 피로도를 현저히 낮출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100)는 이물질 배출되더라도 유출관(118)를 통해 처리수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조업을 중지하지 않아도 되며, 이에 의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100)는 유입관(116)으로 유입되는 원수가 볼텍스 플로(vortex flow; 소용돌이)를 형성하기 때문에 여과망에 응집된 슬러지(sludge)를 세척할 수 있게 한다.

Claims (10)

  1. 이물질이 혼합된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상기 이물질이 걸러진 처리수를 조업 장비 측으로 공급하는 유출관과, 상기 이물질의 배출을 안내하는 이물질 배출관이 연결되는 바디;
    상기 원수에 혼합된 상기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망과, 상기 여과망에 의해 상기 이물질이 걸러진 처리수를 상기 유출관으로 안내하는 매니폴드를 가지는, 상기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크린부재; 및
    상기 유입관 및 상기 유출관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 1 센서모듈 및 제 2 센서모듈과, 상기 이물질 배출관에 설치되는 전동밸브 및 상기 유입관과 상기 유출관 사이의 차압 발생 시 상기 바디 내부에 침적된 상기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상기 전동밸브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를 가지는 이물질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매니폴드는 내부가 빈 함체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유입관 및 상기 유출관과 마주하도록 상기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매니폴드의 하부면 상에는 상기 여과망의 월류관이 체결되는 월류공이 형성되고, 상기 월류공의 내주면 상에는 상기 월류관의 수나사가 맞물리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유출관과 마주하는 상기 매니폴드의 일측면 상에는 연장단 측이 상기 유출관의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관이 상기 매니폴드의 내부와 이어지게 연결되고,
    상기 유입관과 마주하는 상기 매니폴드의 타측면은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원수를 상기 바디의 내주면 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경사면으로 제공되는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내부가 중공되고 상부 및 하부는 열린 수직한 원통형상으로 제공되는 실린더부; 및
    상기 실린더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실린더부의 하부에서 하부 외측으로 직경이 점층적으로 좁아지게 연장되는 원추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부에는 상기 유입관 및 상기 유출관이 상기 실린더의 내부와 이어지게 연결되고,
    상기 원추부의 하부에는 상기 원추부의 내부와 이어지는 상기 이물질 배출관이 연결되는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의 열린 상부는 탈부착 가능한 커버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실린더부에는 상기 바디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이 장착되는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과망은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연장된 원통형상으로 제공되되,
    상기 여과망의 열린 상부 및 하부는 각각 상부 및 하부 엔드 캡에 의해 마감되고,
    상기 상부 엔드 캡에는 상기 매니폴드의 내부로 상기 처리수를 월류시키는 월류관이 상기 여과망의 내부와 이어지게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월류관의 외주면 상에는 상기 매니폴드에 체결되는 수나사가 형성되는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여과망의 내측에는 수직한 원통형상으로 제공되는 타공판이 배치되는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서모듈은 상기 유입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감지한 압력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며,
    상기 제 2 센서모듈은 상기 유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유출관을 통해 공급되는 처리수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감지한 압력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 1 센서모듈 및 상기 제 2 센서모듈로부터 압력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상기 유입관과 상기 유출관 사이의 압력 차이를 기 설정된 차압기준값과 비교하고, 상기 유입관과 상기 유출관 사이의 압력 차이가 상기 차압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전동밸브를 작동시켜 상기 전동밸브가 상기 이물질 배출관의 유로를 개방시키게 하며, 상기 유입관과 상기 유출관 사이의 압력 차이가 상기 차압기준값 미만이거나 기 설정 개방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전동밸브를 작동시켜 상기 전동밸브가 상기 이물질 배출관의 유로를 폐쇄시키게 하는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차압기준값 및 상기 개방시간은 작업자에 의해 설정되는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배출부는,
    수동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동밸브는 상기 이물질 배출관에 설치되되, 상기 전동밸브의 상류 측에 설치되는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





KR1020220095956A 2022-08-02 2022-08-02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 KR102577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956A KR102577839B1 (ko) 2022-08-02 2022-08-02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956A KR102577839B1 (ko) 2022-08-02 2022-08-02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7839B1 true KR102577839B1 (ko) 2023-09-14

Family

ID=88013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5956A KR102577839B1 (ko) 2022-08-02 2022-08-02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839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7125B2 (ja) * 1995-08-04 2000-05-29 博 横田 自噴洗浄による濾過装置
KR100857421B1 (ko) * 2007-03-14 2008-09-08 케이엠네이쳐 주식회사 정수 장치
KR20110004402U (ko) * 2009-10-28 2011-05-04 태광에이텍 주식회사 농업용수 여과기의 상부몸통에 필터의 결합구조
KR101230352B1 (ko) 2010-08-02 2013-02-06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세척기능을 갖는 여과기
KR20130063563A (ko) 2011-12-07 2013-06-17 (주) 디엠아이씨 자동 여과 장치
KR20180056279A (ko) 2016-11-18 2018-05-28 엔텍스 주식회사 무차단 자동 스트레이너
KR102022187B1 (ko) * 2018-03-23 2019-09-17 오순웅 스트레이너 장치
KR20200005213A (ko) * 2018-07-06 2020-01-15 오순웅 스팀트랩 장치용 스트레이너
KR102196512B1 (ko) 2020-07-22 2020-12-29 에이치씨테크(주) 자동 세척이 가능한 여과기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7125B2 (ja) * 1995-08-04 2000-05-29 博 横田 自噴洗浄による濾過装置
KR100429118B1 (ko) * 1995-08-04 2004-06-16 가부시끼가이샤 요꼬따 세이사꾸쇼 자동 분사 세정에 의한 여과 장치
KR100857421B1 (ko) * 2007-03-14 2008-09-08 케이엠네이쳐 주식회사 정수 장치
KR20110004402U (ko) * 2009-10-28 2011-05-04 태광에이텍 주식회사 농업용수 여과기의 상부몸통에 필터의 결합구조
KR101230352B1 (ko) 2010-08-02 2013-02-06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세척기능을 갖는 여과기
KR20130063563A (ko) 2011-12-07 2013-06-17 (주) 디엠아이씨 자동 여과 장치
KR20180056279A (ko) 2016-11-18 2018-05-28 엔텍스 주식회사 무차단 자동 스트레이너
KR102022187B1 (ko) * 2018-03-23 2019-09-17 오순웅 스트레이너 장치
KR20200005213A (ko) * 2018-07-06 2020-01-15 오순웅 스팀트랩 장치용 스트레이너
KR102196512B1 (ko) 2020-07-22 2020-12-29 에이치씨테크(주) 자동 세척이 가능한 여과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623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filtering particles and organisms from flowing liquids
EP147008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filtering particles and organisms from flowing liquids
KR102000229B1 (ko) 배관용 스트레이너
KR20130004102A (ko) 필터 헤드와 이를 포함하는 필터 어셈블리, 수처리 장치
KR100700026B1 (ko) 상수도 배관용 스트레이너의 플랩밸브구조.
KR102577839B1 (ko)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
CN218294603U (zh) 一种高压止逆高性能液压阀门
KR101573682B1 (ko) 스트레이너장치
CN110384973A (zh) 全自动反冲洗排污过滤器
KR102558137B1 (ko) 바이패스 경로를 구비한 회전결합식 정수시스템 필터헤드
KR102022187B1 (ko) 스트레이너 장치
CN108159755B (zh) 一种自动无堵塞过滤器
JP4951473B2 (ja) 濾過装置
CN217538651U (zh) 一种油嘴套装置
JP5956267B2 (ja) ろ過システム
CN205298496U (zh) 一种润滑油过滤器
KR200389953Y1 (ko) 유수분리기
JP2005193161A (ja) ストレーナーの逆洗システム
KR102332063B1 (ko) 회전결합식 정수기 필터조립체
KR102552390B1 (ko) 듀얼 스트레이너
KR102364747B1 (ko) 용수 여과기
RU57629U1 (ru) Фильтрова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KR100775256B1 (ko) 순환탱크의 배출수 처리장치
KR200229076Y1 (ko) 스트레이너를 구비한 수도앵글밸브
KR101786639B1 (ko) 해수 흡입용 제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