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639B1 - 해수 흡입용 제진기 - Google Patents

해수 흡입용 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639B1
KR101786639B1 KR1020150036837A KR20150036837A KR101786639B1 KR 101786639 B1 KR101786639 B1 KR 101786639B1 KR 1020150036837 A KR1020150036837 A KR 1020150036837A KR 20150036837 A KR20150036837 A KR 20150036837A KR 101786639 B1 KR101786639 B1 KR 101786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ort
filter
unit
filter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6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8620A (ko
Inventor
송상기
신은혜
송영환
최용기
Original Assignee
송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상기 filed Critical 송상기
Publication of KR20160048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8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저가이면서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해수 흡입용 제진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제 1 필터링 부재를 수용하는 제 1 내부공간을 가지며 제 1 내부공간에 연통하는 제 1 유입구 및 제 1 유출구가 형성된 제 1 필터부; 제 2 필터링 부재를 수용하는 제 2 내부공간을 가지며 제 2 내부공간에 연통하는 제 2 유입구 및 제 2 유출구가 형성된 제 2 필터부; 제 1 유입구와 연결되는 제 1 공급구, 제 2 유입구와 연결되는 제 2 공급구, 및 흡입되는 해수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된 제 1 밸브부; 및 제 1 유출구와 연결되는 제 1 회수구, 제 2 유출구와 연결되는 제 2 회수구, 및 제 1 필터부 또는 제 2 필터부에서 여과된 해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제 2 밸브부를 포함하는 해수 흡입용 제진기가 제공된다. 이러한 제진기는 유지보수 및 교체가 간편하여 작동을 정지시키지 않고도 부품의 수리 및 교체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해수 흡입용 제진기{FILTERING DEVICE FOR SUCTIONING OF SEAWATER}
본 발명은 해수 흡입시 사용되는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지보수 및 교체가 용이한 해수 흡입용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 사용되는 해수 흡입시 해수와 함께 유입되는 찌꺼기 등의 불필요한 물질을 필터링하는 제진기는 청동으로 이루어져 무게가 무겁고 단가가 고가이다.
현재 선박에는 오래되어 노후된 제진기가 설치되어 있어서 교체가 필요하나, 교체시 비용이 고가여서 교체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제진기의 구조가 복잡하여 고장시 비용이 상승하고 많은 정비 인원이 필요하다. 또한, 선박 내부에서 고장난 제진기를 수리하기가 어렵다.
KR 1122294 B KR 2010-0051351 A
본 발명의 일측면은 저가이면서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해수 흡입용 제진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유지보수 및 교체가 간편하여 작동을 정지시키지 않고도 부품의 수리 및 교체가 가능한 해수 흡입용 제진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제 1 필터링 부재를 수용하는 제 1 내부공간을 가지며 제 1 내부공간에 연통하는 제 1 유입구 및 제 1 유출구가 형성된 제 1 필터부; 제 2 필터링 부재를 수용하는 제 2 내부공간을 가지며 제 2 내부공간에 연통하는 제 2 유입구 및 제 2 유출구가 형성된 제 2 필터부; 제 1 유입구와 연결되는 제 1 공급구, 제 2 유입구와 연결되는 제 2 공급구, 및 흡입되는 해수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된 제 1 밸브부; 및 제 1 유출구와 연결되는 제 1 회수구, 제 2 유출구와 연결되는 제 2 회수구, 및 제 1 필터부 또는 제 2 필터부에서 여과된 해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제 2 밸브부를 포함하는 해수 흡입용 제진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필터링 부재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내부공간에 연통하는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된 복수의 필터부; 흡입되는 해수가 유입되는 흡입구 및 적어도 하나의 공급구가 형성되며 공급구 내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 1 밸브를 포함하는 제 1 밸브부; 및 복수의 필터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여과된 해수가 배출되는 배출구 및 적어도 하나의 회수구가 형성되며 회수구 내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 2 밸브를 포함하는 제 2 밸브부를 포함하되, 제 1 밸브는 그 위치에 따라 유입된 해수가 상기 복수의 필터부로 유동하는 유량 비율을 결정하고, 상기 제 2 밸브는 그 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의 필터부로부터 유동하는 유량 비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흡입용 제진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진기는 저가이며 구조가 단순하다. 따라서, 제진기의 교체 비용이 낮고 선박 내에서 수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진기의 유지보수 및 교체가 간편하여 작동을 정지시키지 않고도 부품의 수리 및 교체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필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밸브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제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진기는 선박에 사용되는 필터링 장치로서, 내부로 해수 흡입시 해수와 함께 유입되는 찌꺼기 등의 불필요한 물질을 필터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진기는 저가이며 단순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진기의 구조 및 동작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진기는 제 1 필터부(100), 제 2 필터부(102), 제 1 밸브부(104) 및 제 2 밸브부(106)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진기는 저가이면서 가벼운 SUS 31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SUS 316 계열의 재질은 인장력, 강도, 내부식성, 내마모성 등 특성 면에서도 청동보다 우수하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진기가 가벼워지고 저가로 구현할 수 있으면서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필터부(100)는 필터부 몸체(110) 및 덮개(112)를 포함하고, 제 2 필터부(102)는 필터부 몸체(120) 및 덮개(1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필터부(100)는 해수의 유입을 위한 제 1 유입구(151) 및 여과된 해수의 유출을 위한 제 1 유출구(161)를 포함하고, 제 2 필터부(102)는 해수의 유입을 위한 제 2 유입구(153) 및 여과된 해수의 유출을 위한 제 2 유출구(16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필터부(100)와 제 2 필터부(102)는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불필요한 물질이 선박의 내부로 흡입되지 않도록 필터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부 몸체(110 및 112)는 각기 필터링 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링 부재(200)는 필터부 몸체(110 또는 112)의 내측면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고, 격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격자 구조에서 격자의 크기는 상기 불필요한 물질을 통과시키지 않는 크기일 수 있다.
여기서, 격자 구조라 함은 다수의 홀들이 형성되어 홀의 크기보다 작은 물질은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메쉬(mesh)의 형태를 의미하는 것이며, 격자 구조가 반드시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홀을 구성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제 1 밸브부(104)는 필터부들(100 및 102) 사이에 연결되며, 해수가 통과하는 경로를 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밸브부(104)는 밸브부 몸체(130), 제 1 밸브(132) 및 흡입구(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밸브부(104)는 연결부들(150 및 152)을 통하여 필터부들(100 및 102)에 연결된다.
더 자세히 표현하자면, 제 1 밸브부(104)는 제 1 공급구(131), 제 2 공급구(133) 및 흡입구(134)의 세 개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3방 밸브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 공급구(131)는 연결부(150)를 통해 제 1 필터부(100)에 형성된 제 1 유입구(151)와 연결되고 제 2 공급구(133)는 연결부(152)를 통해 제 2 필터부(102)에 형성된 제 2 유입구(153)에 연결될 수 있다.
해수가 화살표(A) 방향으로 하여 흡입구(134)를 통하여 밸브부 몸체(130)로 유입된다. 이 때, 제 1 밸브(132)의 제어에 따라 상기 유입된 해수는 제 1 필터부(100) 또는 제 2 필터부(102)로 선택적으로 흐른다. 즉, 상기 제진기가 2개의 필터부들(100 및 102)을 포함함으로 인해, 하나의 필터부의 필터링 기능이 저하되면 다른 필터부를 통하여 불필요한 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밸브부(104)와 연결부(150)의 결합 부분(170)은 제 1 밸브부(104)와 연결부(150)의 분리가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밸브부(104)와 연결부(150)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밸브부(104)와 연결부(152)의 결합 부분(172)은 제 1 밸브부(104)와 연결부(152)의 분리가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필터부(100 또는 102)로 유입되어 필터링된 해수는 연결부(160 또는 162)를 통하여 제 2 밸브부(106)로 흐른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밸브부(106)는 밸브부 몸체(140), 제 2 밸브(142) 및 배출구(1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밸브부(106)는 연결부들(160 및 162)을 통하여 필터부들(100 및 102)에 연결된다.
더 자세히 표현하자면, 제 2 밸브부(106)는 제 1 회수구(141), 제 2 회수구(143) 및 배출구(144)의 세 개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3방 밸브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 회수구(141)는 연결부(160)를 통해 제 1 필터부(100)에 형성된 제 1 유출구(161)와 연결되고 제 2 회수구(143)는 연결부(162)를 통해 제 2 필터부(102)에 형성된 제 2 유출구(163)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밸브부(106)로 흐른 해수는 배출구(144)를 통하여 화살표 방향(B)으로 하여 선박의 내부로 이동한다.
한편, 필터부(100 또는 102)로 유입되어 필터링된 해수는 제 2 밸브(142)의 제어에 따라 제 2 밸브부(106)로 유입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밸브부(106)와 연결부(160)의 결합 부분(180)은 제 2 밸브부(106)와 연결부(160)의 분리가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2 밸브부(106)와 연결부(162)의 결합 부분(182)은 제 2 밸브부(106)와 연결부(162)의 분리가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밸브부들(104 및 106)은 필터링부들(100 및 102)로부터 분리 가능하며, 따라서 제진기 수리시 밸브부들(104 및 106)을 필터링부들(100 및 102)로부터 분리시킨 후 내부 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위에서는 제 1 밸브부(104)가 제 1 공급구(131)와 제 2 공급구(132) 중 하나는 개방하고 다른 하나는 폐쇄하여 선택적으로 둘 중 하나로만 해수가 유동하게 하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밸브부(104)에 적용되는 밸브의 구조 및 형태에 따라 제 1 밸브부(104)는 유입되는 해수가 소정의 비율로 제 1 공급구(131)와 제 2 공급구(132)로 동시에 유동하게 할 수 있다. 제 2 밸브부(106)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흡입구(134)를 통해 유입되는 해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가 제 1 밸브부(104)에 또는 흡입구(134)에 연결된 관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수 흡입용 제진기를 사용할 때, 관리자는 유입되는 해수가 제 1 필터부(100)와 제 2 필터부(102) 중 하나로만 유동하도록 제 1 밸브부(104)의 제 1 밸브(132)를 설정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해당 제 1 필터부(100) 또는 제 2 필터부(102)로부터만 유동 경로가 이어지도록 제 2 밸브부(106)의 제 2 밸브(142)를 설정할 수 있다.
장기간 사용 후 사용되어 온 제 1 필터부(100) 또는 제 2 필터부(102)의 교체 또는 수리가 필요한 경우, 관리자는 제 1 필터부(100)와 제 2 필터부(102) 중 교체/수리되지 않는 쪽으로 제 1 밸브(132)와 제 2 밸브(142)의 위치를 변경하여 유입되는 해수의 유동 경로를 전환시킨 후, 해수 흡입에 지장 없이 유동 경로 밖에 있는 필터부(100 또는 102)를 분리시키거나 수리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해수가 제 1 필터부(100)와 제 2 필터부(102) 모두에 동시에 유입되게 하는 경우, 수리 또는 교체시에만 제 1 공급구(131) 또는 제 2 공급구(133)를 폐쇄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제진기는 저가이면서 구조가 간단하며, 고장시 외부에 맡기지 않고 선박 내부에서 수리가 가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필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는 본 실시예가 제 1 필터부(100)를 예로 사용하여 설명되나, 제 1 필터부(100)뿐만 아니라 제 2 필터부(10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필터링 부재(200)는 유입구(151)를 통해 유입되는 해수를 실제로 필터링하는 구성요소이다. 필터링 부재(200)는 유입구(151)와 유출구(161) 사이의 유동 경로 상에 위치하여, 유동하는 해수가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여과되게 할 수 있다.
필터링 부재(200)는 매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순한 한 가지 예로서, 필터링 부재(200)는 유입구(151)와 유출구(161) 사이에서 소정 단면을 따라 필터부 몸체(110) 전체를 가로지르는 평면형의 형상을 가지는 다공성 여재(濾材) 또는 스크린(screen)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필터링 부재(200)를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필터링 부재(200)에 걸러져 남아 있는 이물질이 필터링 부재(200)의 홀을 차단하게 될 수 있는데, 이는 해수가 통과하는 것을 어렵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필터링 부재(200)를 교체하는 방법으로 필터부(100)에 대한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는 필터링 부재(200)의 한 형태로서 필터링 부재(200)의 유지보수가 더 용이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필터링 부재(200)는 필터부 몸체(110) 내에 수용되면서 자체적으로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용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필터링 부재(200)는 필터부 몸체(110)와 유사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면에서와 같이 더 작은 직경의 원통형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링 부재(200)는 그 내부공간이 필터부 몸체(110)에 형성된 유입구(151)와 연통하되, 유출구(161)와는 연통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필터링 부재(200)는 필터부 몸체(110)의 유입구(151)에 연결되는 연결구(2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필터부 몸체(110)에는 연결구(250)의 탈착을 위한 결합수단(152)이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필터링 부재(200)의 장착 및 이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탈착가능한 결합수단(152)으로는 매우 다양한 형태가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필터링 부재(200)는 일부 또는 전부가 전술한 바와 같이 메쉬 형태로 구성되어 유입되는 해수는 통과하되 소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은 통과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해수 흡입용 제진기를 장기간 사용하면서, 필터링 부재(200) 내에는 상기 이물질이 축적될 것이며, 이는 물의 유동을 방해하여 해수의 흡입량이 감소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링 부재(200)를 꺼내어 필터링 부재(200) 내에 축적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해수의 유동 경로가 타측 필터부(102)를 향하도록 제 1 밸브(132) 및 제 2 밸브(142)의 위치를 변경시키고, 교체하려는 필터부(100)의 필터부 덮개(114)를 분리시킨 후, 결합수단(152)을 해제하여 유입구(151)에 연결된 연결구(250)를 분리시키고, 필터링 부재(200)를 필터부 몸체(110)에서 꺼내어 내부공간에 축적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작업자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링 부재(200)의 상면에도 손잡이(214)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필터링 부재(200) 또한 서로 탈착가능한 덮개와 몸체가 결합한 형태로 구현되어 이물질을 제거할 때 덮개와 몸체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필터링 부재(200)의 덮개와 몸체를 분리시켜 내부공간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신속히 다시 필터링 부재(200)를 재장착하여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필터링 부재(200)의 여유분이 있는 경우, 교체해야 할 필터링 부재(200)를 분리시킨 후 새로운 필터링 부재(200)를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 가능한 부품들을 이용하여 해수 흡입용 제진기의 유지보수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밸브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밸브부(130)는 흡입구(134)로 유입되는 해수를 제 1 공급구(131)와 제 2 공급구(133) 중 하나만으로 유동하게 하거나, 소정의 유량 비율로 제 1 공급구(131)와 제 2 공급구(133) 모두로 유동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밸브부(140)는 제 1 밸브부(130)가 개방한 제 1 공급구(131) 또는 제 2 공급구(133)에 대응하는 제 1 회수구(161) 또는 제 2 회수구(163)를 개방하거나 동일한 유량 비율로 제 1 회수구(161)와 제 2 회수구(163)를 개방할 수 있다.
즉, 유입되는 해수가 제 1 밸브(132)의 위치에 의해 a:b의 비율로 제 1 공급구(131) 및 제 2 공급구(133)로 유동하게 되면, 제 2 밸브(142)의 위치도 제 1 회수구(161) 및 제 2 회수구(163)가 a:b의 비율로 개방되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는, 제 1 밸브부(130)에서 결정된 유량으로 제 1 필터부(100) 및 제 2 필터부(102)에 유입되는 해수가 동일한 유량으로 제 1 회수구(161) 및 제 2 회수구(163)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 1 밸브(132)와 제 2 밸브(142)가 도 4에서와 같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된 제 1 밸브(132)와 제 2 밸브(142)에는 예를 들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핸들(148)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밸브(132, 142)의 개방 비율을 결정할 때, 제 1 밸브(132)와 제 2 밸브(142)가 동시에 움직여져 제 1 밸브부(130)와 제 2 밸브부(140)에서 제 1 공급구(131)와 제 2 공급구(133) 사이의 유량 비율이 언제나 제 1 회수구(161)와 제 2 회수구(163) 사이의 유량 비율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제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진기는 제 1 필터부(100)와 제 2 필터부(102) 사이를 연통하는 연결관(18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관(186)을 이용하여 유입되는 해수가 제 1 필터부(100)와 제 2 필터부(102)를 모두 통과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밸브부(130)는 제 1 공급구(131)를 온전히 개방하고 제 2 공급구(133)는 폐쇄하고, 제 2 밸브부(140)는 제 1 회수구(141)를 폐쇄하고 제 2 회수구(143)를 개방할 수 있다. 이 경우, 흡입구(134)를 통해 유입되는 해수가 제 1 필터부(100)로 유동하게 된다. 제 1 필터부(100)에서 필터링 부재(200)에 의해 여과된 해수는 연결관(186)을 통해 제 2 필터부(200)로 유동할 수 있다. 제 2 필터부(200)를 통과한 해수는 제 2 회수구(143)를 통해 제 2 밸브부(140)로 이동하고 배출구(14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필터부(100)의 필터링 부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필터부(100) 내의 유입구(151)와 유출구(161) 사이의 유동 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제 2 필터부(102)의 필터링 부재는 연결관(186)으로 통하는 개구부와 유출구(163) 사이의 유동 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필터부(100)와 제 2 필터부(102) 사이에 연결관(186)이 구비되어 유입 해수가 제 1 필터부(100)와 제 2 필터부(102) 모두를 통과하는 경우, 제 1 필터부(100)에 사용되는 제 1 필터링 부재와 제 2 필터부(102)에 사용되는 제 2 필터링 부재에서 홀의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해수가 제 1 필터부(100)에 유입된 후 연결관(186)을 통해 제 2 필터부(102)로 유동하는 경우, 제 1 필터링 부재에 포함된 메쉬의 홀의 크기보다 제 2 필터링 부재에 포함된 메쉬의 홀의 크기가 더 작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필터부(100)에서 소정의 크기의 이물질을 걸러낸 후, 제 2 필터부(102)에서는 이보다 더 작은 크기의 이물질을 걸러내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분화하여 이물질을 걸러내게 하면, 제 2 필터부(102) 내의 필터링 부재가 더 작은 홀을 구비하더라도 막힘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지연하여 수명 및 교체시기를 연장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 1 필터링 부재도 소정 크기 이하의 이물질은 통과하게 함에 따라 막힘 현상이 지연되고 수명 및 교체시기가 연장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해수가 연결관(186)을 통과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해 연결관(186)에 개폐 밸브 등 연결관(186) 내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를 설치하여 연결관(186)이 없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필터부(100)와 제 2 필터부(102) 사이의 연결관(186)은 제 1 밸브부(130)로 통하는 연결부(150, 152) 또는 제 2 밸브부(140)로 통하는 연결부(160, 162)의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연결관(186)에는 제 3 밸브부(190)가 형성될 수 있고, 제 3 밸브부(190)는 연결관(186)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3 밸브부(190)는 제 1 밸브부(130) 및 제 2 밸브부(14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져 연결관(186)에 이어지는 개구부 두 개와 추가의 개구부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에 있어서 제 1 필터부(100) 또는 제 2 필터부(102)에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제 1 밸브부(130)와 제 2 밸브부(140)에서 흡입되는 해수의 유동 경로를 나머지 필터부(102, 100)로 향하도록 전환하여 해당 필터부(100, 102)를 수리 또는 교체할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 제 1 밸브부(130) 또는 제 2 밸브부(140) 자체에 유지보수가 필요할 수 있다.
유지보수를 위해 제 1 밸브부(130) 또는 제 2 밸브부(140)를 분리해야 하는 경우, 교체되는 밸브부(130, 140)의 흡입구(134) 또는 배출구(144)에 연결된 관을 분리한 후 제 3 밸브부(190)의 개구부에 연결하면, 해당 밸브부(130, 140)를 수리하는 중에도 본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가동을 계속할 수 있다.
제 1 밸브부(130) 또는 제 2 밸브부(140)의 수리 또는 교체가 가능하도록, 제 1 밸브부(130) 및 제 2 밸브부(140) 각각에 연결되는 연결부들(150, 152, 160, 162) 또는 제 1 필터부(100)와 제 2 필터부(102) 내부에 형성된 유입구(151, 153) 및 유출구(161, 163)에는 개폐 밸브 등이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제 1 밸브부(130) 또는 제 2 밸브부(140)로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밸브부(130), 제 2 밸브부(140) 및 제 3 밸브부(190)가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지게 하여 서로 치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제 3 밸브부(190)를 포함한 연결관(186)의 소정 위치, 또는 필터부(100, 102) 상의 소정 위치에 추가 배출구(미도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유지보수를 위해 제 2 밸브부(140)를 분리시키더라도 상기 배출구(미도시)를 통해 여과된 해수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제 1 밸브부(130)를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제 2 밸브부(140) 또는 제 3 밸브부(190)가 제 1 밸브부(130)의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및 제 2 필터부(100, 102) 중 적어도 하나에는 필터링 부재(20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판형의 필터링 부재 등을 유입구(151 또는 153)와 유출구(161 또는 163) 사이의 유동 경로뿐만 아니라 유출구(161 또는 163)와 배출구(미도시) 사이의 유동 경로 상에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위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필터부가 두 개이고 각 밸브부가 두 필터부 중 하나 이상으로 해수를 유동시키는 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수 흡입용 제진기는 세 개 또는 그 이상의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 1 밸브부 및 제 2 밸브부가 세 개 이상의 필터부에 대하여 유량 비율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밸브부는 매니폴드(manifold) 형식의 배관 연결부 및 분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입되는 해수의 이동 경로를 제어할 수 있는 밸브부 및 탈착가능한 결합구조를 가진 부품들을 이용함으로써 저가이면서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해수 흡입용 제진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해수 흡입용 제진기는 유지보수 및 교체가 간편하며 작동을 정지시키지 않고도 부품의 수리 및 교체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제 1 필터링 부재를 수용하는 제 1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 1 내부공간에 연통하는 제 1 유입구 및 제 1 유출구가 형성된 제 1 필터부;
    제 2 필터링 부재를 수용하는 제 2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 2 내부공간에 연통하는 제 2 유입구 및 제 2 유출구가 형성된 제 2 필터부;
    상기 제 1 유입구와 연결되는 제 1 공급구, 상기 제 2 유입구와 연결되는 제 2 공급구, 및 흡입되는 해수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된 제 1 밸브부;
    상기 제 1 유출구와 연결되는 제 1 회수구, 상기 제 2 유출구와 연결되는 제 2 회수구, 및 상기 제 1 필터부 또는 상기 제 2 필터부에서 여과된 해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제 2 밸브부; 및
    상기 제 1 필터부와 상기 제 2 필터부 사이를 연통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필터링 부재에 포함된 홀의 크기는 상기 제 1 필터링 부재에 포함된 홀의 크기보다 작고,
    상기 제 1 밸브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공급구가 개방하고 상기 제 2 공급구가 폐쇄하며 상기 제 2 밸브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회수구를 폐쇄하고 상기 제 2 회수구를 개방하면,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해수가 상기 제 1 필터부의 제 1 필터링 부재에 의해 필터링된 후 상기 연결관을 통하여 상기 제 2 필터부로 이동하고, 상기 제 2 필터부로 이동된 해수는 상기 제 2 필터링 부재에 의해 필터링된 후 상기 제 2 회수구를 통하여 상기 제 2 밸브부로 이동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해수 흡입용 제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밸브부는 그 위치에 따라 제 1 공급구 및 제 2 공급구를 통과하는 유량의 비율을 결정하는 제 1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밸브부는 그 위치에 따라 제 1 회수구 및 제 2 회수구를 통과하는 유량의 비율을 결정하는 제 2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흡입용 제진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밸브와 상기 제 2 밸브는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공급구와 제 2 공급구 사이의 유량 비율이 상기 제 1 회수구와 제 2 회수구 사이의 유량 비율과 동일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흡입용 제진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링 부재는 상기 제 1 유입구와 상기 제 1 유출구 사이의 유동 경로 상에 위치하여 이물질을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흡입용 제진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링 부재는 상기 이물질이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의 홀들을 포함하는 메쉬(mesh)로 이루어지고 정해진 크기의 공간을 구획하되, 상기 제 1 필터링 부재의 상기 정해진 크기의 공간이 상기 제 1 유입구에 연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흡입용 제진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부는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필터링 부재는 상기 제 1 유입구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흡입용 제진기.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 내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 3 밸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흡입용 제진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밸브부, 상기 제 2 밸브부 및 상기 제 3 밸브부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흡입용 제진기.


  10. 삭제
  11. 삭제
KR1020150036837A 2014-10-24 2015-03-17 해수 흡입용 제진기 KR1017866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516 2014-10-24
KR20140145516 2014-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620A KR20160048620A (ko) 2016-05-04
KR101786639B1 true KR101786639B1 (ko) 2017-10-18

Family

ID=56022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837A KR101786639B1 (ko) 2014-10-24 2015-03-17 해수 흡입용 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66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00835A1 (en) * 2010-06-03 2012-01-05 Titan Flow Control, Inc. Duplex strainer apparatuses and methods
KR101122294B1 (ko) * 2008-11-21 2012-03-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밸러스트수의 여과 및 살균 장치
CN202410343U (zh) 2011-12-15 2012-09-05 江苏德克环保设备有限公司 双联过滤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294B1 (ko) * 2008-11-21 2012-03-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밸러스트수의 여과 및 살균 장치
US20120000835A1 (en) * 2010-06-03 2012-01-05 Titan Flow Control, Inc. Duplex strainer apparatuses and methods
US8961792B2 (en) 2010-06-03 2015-02-24 Titan Flow Control, Inc. Duplex strainer apparatuses and methods
CN202410343U (zh) 2011-12-15 2012-09-05 江苏德克环保设备有限公司 双联过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620A (ko) 201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96304A1 (en) Fuel filter
CN105682766A (zh) 过滤装置
JP5189549B2 (ja) 逆洗浄機能付濾過システムおよび濾過器の洗浄方法
KR102469606B1 (ko) 특히 선박 엔진과 같은 선박 기계를 위한 오일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 시스템
JP5886964B2 (ja) フィルタ装置
KR101291299B1 (ko) 역세 가능한 수처리 필터 시스템 및 역세 방법
DE102014002631B4 (de) Filterelement und Fluidfilter mit radialer Entlüftungsbohrung
EP3219372A2 (en) Pre-filter with a detachable filter core for un-interruptible water supply
KR101509234B1 (ko) 스트레이너 필터조립체
CN208518659U (zh) 一种除砂效率高的除砂器
CN103157317A (zh) 一种水过滤器装置及其冲洗方法
KR100821655B1 (ko) 유체제어밸브의 복합제어 밸브바디
KR101064635B1 (ko) 자체 세정 기능을 갖춘 필터
US20220381355A1 (en) Bypass Strainer Valve Assembly and Method
KR101786639B1 (ko) 해수 흡입용 제진기
WO2019069520A1 (ja) 濾過装置
KR101573682B1 (ko) 스트레이너장치
JP5203171B2 (ja) ストレーナ装置
US1161284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ving particulates of a fissile material
KR100792590B1 (ko) 여과시스템
EP2181745A1 (en) Vortex generator for a fluid filter
JP4283233B2 (ja) 夾雑物除去装置
KR20170099168A (ko) 스트레이너장치
JP2012192317A (ja) ストレーナ
KR102140263B1 (ko) 스트레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