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512B1 - 자동 세척이 가능한 여과기 - Google Patents

자동 세척이 가능한 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512B1
KR102196512B1 KR1020200090897A KR20200090897A KR102196512B1 KR 102196512 B1 KR102196512 B1 KR 102196512B1 KR 1020200090897 A KR1020200090897 A KR 1020200090897A KR 20200090897 A KR20200090897 A KR 20200090897A KR 102196512 B1 KR102196512 B1 KR 102196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otation shaft
foreign matter
unit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홍
Original Assignee
에이치씨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씨테크(주) filed Critical 에이치씨테크(주)
Priority to KR1020200090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5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07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brushes
    • B01D29/6415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brushes with a rota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9/6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pressure measu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세척이 가능한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입되는 오염수의 수압에 의해 회전하여 여과망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자동 세척이 가능한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세척이 가능한 여과기{Self-cleaning filter}
본 발명은 자동 세척이 가능한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입되는 오염수의 수압에 의해 회전하여 여과망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자동 세척이 가능한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유입되는 용수에는 이물질이 혼합되어 있어 이물질을 제거하여 산업용수, 공업용수, 농업용수 등에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용수에 혼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여과기가 설치되어 있으나, 장기간 사용시 많은 양의 용수가 통과하면서 누적된 이물질에 의해 효율적으로 용수의 이물질을 여과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여과기의 내부를 수시로 청소하기 위해 여과기를 개방하여 장시간 청소가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시간 등의 효율이 저하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여과가"가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하우징의 바닥판을 긁어내는 바닥 브러시를 장착하여, 바닥에 누적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하우징의 하판을 긁어내는 바닥 브러시가 흡입통체에 채택 결합됨으로써, 바닥판에 쌓이거나 붙어있는 이물질을 부유 제거하여 하우징의 분해 청소하는 주기 및 시점을 대폭적으로 늘려 유지보수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동력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되어 설치장소에 제한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제거한 이물질을 별도로 배출할 수 없어 내부에 유입된 물에 혼합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184307호(2012.09.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수에 혼합된 이물질을 여과망을 통해 여과하며, 여과망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자동 세척이 가능한 여과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입 및 배출되는 용수의 차압을 통해 여과망의 여과효율 저하를 판단하여, 시간, 횟수 등의 통해 상기 여과망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자동 세척이 가능한 여과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이물질이 부유하는 용수를 흡입하여 이물질과 함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자동 세척이 가능한 여과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물질 제거상태를 및 작동여부를 전송하여 손쉽게 유지관리가 가능한 자동 세척이 가능한 여과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에서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부에서 용수가 배출되는 배수구가 형성되며, 하면에 이물질배출공이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용수에 혼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망, 상기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여과망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물질제거부는, 상기 여과망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용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회전하는 날개가 형성되며, 내부에 용수가 배출되는 배수홀이 구비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여과망의 내측면에 밀착되며, 이물질 및 용수를 흡입하여 상기 배수홀로 이동하는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망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질제거부에는, 상기 회전축이 하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유입된 용수 및 이물질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개폐밸브가 형성된 배출관과, 상기 회전축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제한하는 고정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구에서 유입되는 용수와, 상기 배수구에서 배출되는 용수의 압력을 통해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계와, 상기 차압계에서 측정된 압력차가 설정된 설정값에 따라 상기 이물질제거부 및 상기 개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전송하는 IOT내장통신부와, 상기 제어부 및 IOT내장통신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고정바와,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내부에서 외주면을 향해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바에 밀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토퍼를 상기 고정바에 접촉될 수 있도록 이동하는 작동수단이 더 포함되되,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몸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회전축의 상단부분에 래칫기어를 통해 일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권취부와, 상기 권취부에 권취되고 끝단이 상기 스토퍼에 연결된 와이어와, 상기 가이드홈의 외측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스토퍼 지지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의 상부로 노출된 상기 회전축에 고정된 밀착판과, 상기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밀착판을 가압하여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제어하는 가압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압부는, 상기 몸체의 상단에 설치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밀착판을 가압하는 가압핀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밀착판을 가압하는 실린더와, 상기 가압핀과 상기 실린더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가압핀을 상기 밀착판에 밀착시키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세척이 가능한 여과기에 따르면, 용수에 혼합된 이물질을 여과망을 통해 여과하며, 여과망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입 및 배출되는 용수의 차압을 측정하여 여과망의 여과효율을 판단한 후, 여과효율이 저하되면, 이물질제거부는 시간, 횟수 등을 통해 작동시켜 여과망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과망에서 분리되어 용수에 부유하는 이물질은 용수와 함께 흡입하여 외부로 배추하여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물질 제거상태를 및 작동여부를 전송하여 손쉽게 유지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수의 유입되는 수압에 의해 회전하여 여과망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되, 이물질제거부는 마찰, 가압 밀착시켜 고정하는 방식을 통해 작동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세척이 가능한 여과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제거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망의 이물질 제거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세척이 가능한 여과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세척이 가능한 여과기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제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망의 이물질 제거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자동 세척이 가능한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입되는 오염수의 수압에 의해 회전하여 여과망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한 후 배출할 수 있는 자동 세척이 가능한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용수에 혼합된 이물질을 별도로 포집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몸체(10), 여과망(20), 이물질제거부(3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하부에서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와, 상부에서 용수가 배출되는 배수구(12)가 형성되며, 하면에 이물질배출공(13)이 구비된다.
상기 여과망(20)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용수에 혼합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이물질제거부(30)는 상기 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여과망(20)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러한 상기 이물질제거부(30)는 상기 유입구(11)에서 유입된 용수의 수압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여과망(20)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이를 통해 장기간 사용시 상기 여과망(20)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이물질에 의한 여과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각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몸체(10)는 유입구(11)와 배수구(12)를 통해 용수가 유입 및 배출되며, 대량의 용수를 저장할 수 있는 통상적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상부는 개폐 가능한 커버를 형성하여 내부를 점검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내부 하단에는 상기 여과망(20)이 안착되는 걸림턱(14)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대량의 용수가 유입 및 배출되며, 상기 커버를 통해 내부를 확인 및 유지보수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여과망(20)은 상기 몸체(10)로 유입된 용수에 혼합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여기서 상기 여과망(20)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걸림턱(14)에 안착될 수 있도록 걸림판(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여과망(20)의 중앙부분은 상기 몸체(10)의 하단을 향해 돌출되며, 용수가 유동할 수 있는 미세한 크기를 가지는 다수개의 통공(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여과망(20)은 상기 유입구(11)에서 유입된 용수는 측면을 통과하면서 혼합된 이물질을 제거한 후 상기 배수구(12)를 통해 배출된다.
다음으로, 상기 이물질제거부(30)는 상기 몸체(10)로 유입되는 용수의 수압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여과망(20)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한 후 상기 몸체(10)의 외부로 배출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이물질제거부(30)는 회전축(31), 흡입관(32) 및 브러시(33)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축(31)은 상기 여과망(20)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11)로 유입된 용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회전하는 날개(31a)가 형성되며, 내부에 용수가 배출되는 배수홀(31b)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31)은 상부는 상기 몸체(10)의 상단 외부로 노출되고, 하부는 상기 몸체(10)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축(31)의 하단에는 베어링, 슬립링 등을 형성하여 상기 몸체(10)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11)에서 유입되는 용수와 맞닿는 위치에 상기 날개(31a)를 배치하여 유입되는 용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회전축(31)이 회전한다.
또한, 상기 유입구(11)는 상기 흡입구(32a)를 통해 유입된 용수 및 상기 이물질을 하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31)의 내부에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회전축(31)은 유입되는 용수의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흡입된 용수 및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관(32)은 상기 회전축(31)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여과망(20)의 내측면에 밀착되며, 이물질 및 용수를 흡입하여 상기 배수홀(31b)로 이동하는 흡입구(32)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흡입관(32)은 상기 회전축(31)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상기 여과망(20)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흡입관(32)의 상기 여과망(20)과 밀착되는 끝단에는 상기 회전축(31)을 향해 개방되어 용수 및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32a)가 형성된다.
상기 브러시(33)는 상기 흡입관(32)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망(20)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러한 상기 브러시(33)는 상기 흡입관(32)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형성되어 상기 여과망(20)에 밀착시켜 이물질을 제거한다.
즉, 상기 회전축(31)은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용수의 수압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흡입관(32)에 설치된 상기 브러시(33)가 상기 여과망(20)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
그리고 제거된 이물질은 상기 흡입관(32)의 상기 흡입구(32a)에 의해 용수와 이물질을 흡입하여 상기 배수홀(31b)을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이때, 상기 이물질제거부(30)에는 배출관(40)과 고정수단(50)을 포함된다.
상기 배출관(40)은 상기 회전축(31)이 하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유입된 용수 및 이물질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개폐밸브(4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관(40)은 상기 회전축(31)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몸체(10)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홀(31b)을 통해 배출되는 용수 및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한다.
이때, 상기 배출관(40)에는 상기 개폐밸브(41)를 구비하여 용수 및 상기 이물질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수단(50)은 상기 회전축(31)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31)의 회전을 제한한다.
즉, 상기 고정수단(50)은 상기 몸체(10)의 상단에 형성되어 용수의 수압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회전축(31)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고정수단(50)의 일예로, 상기 회전축(31)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고정바(51), 스토퍼(52)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바(51)는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회전축(31)에 결합된다.
상기 스토퍼(52)는 상기 몸체(10)의 상부면에 내부에서 외주면을 향해 형성된 가이드홈(15)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바(51)에 밀착되어 상기 회전축(31)의 회전을 제어한다.
즉, 상기 고정바(51)는 상기 몸체(10)의 상단으로 노출되어 양측을 향해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52)는 상기 몸체(10)의 상기 가이드홈(15)에 고정된 후 회전하는 상기 고정바(51)가 접촉되어 상기 회전축(31)의 회전을 억제한다.
이를 통해 상기 스토퍼(52)의 설치상태에 따라 상기 회전축(31)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토퍼(52)를 상기 고정바(51)에 접촉될 수 있도록 이동하는 작동수단(60)이 더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작동수단(60)은 상기 스토퍼(52)를 상기 몸체(10)의 중심에서 외주면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도록 권취부(61), 와이어(62) 및 지지부(63)로 이루어진다.
상기 권취부(61)는 상기 몸체(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회전축(31)의 상단부분에 래칫기어(61a)를 통해 일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권취부(61)는 상기 회전축(31)과 결합되는 사이에 래칫기어(61a)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31)의 회전방향과 같이 회전하고, 반대방향으로 자유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와이어(62)는 상기 권취부(61)에 권취되고 끝단이 상기 스토퍼(52)에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와이어(62)는 상기 권취부(61)에 권취되어 상기 회전축(31)의 회전방향을 따라 권취되고, 상기 래칫기어(61a)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인출된다.
이를 통해 상기 회전축(31)의 회전시 상기 와이어(62)가 권취되어 상기 스토퍼(52)는 상기 회전축(31)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고정바(51)와 접촉되어 상기 회전축(31)의 회전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52)를 상기 몸체(10)의 외주면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권취부(61)는 자유회동을 통해 상기 와이어(62)가 인출된다.
상기 지지부(63)는 상기 가이드홈(15)의 외측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스토퍼(52)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63)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15)의 양측 내면에 형성되어 탄성력을 가지며, 돌출되어 상기 스토퍼(52)를 고정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52)는 상기 가이드홈(15)을 따라 상기 몸체(10)의 외주면을 향해 이동한 뒤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31)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상기 스토퍼(52)는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상기 가이드홈(15)을 따라 상기 몸체(10)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전축(31)이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1)이 일정횟수 이상 회전하면서 상기 와이어(62)를 권취하여 상기 스토퍼(52)가 상기 회전축(31)방향을 향해 이동되고, 이동된 상기 스토퍼(52)가 상기 고정바(51)와 접촉되어 상기 회전축(31)의 회전을 억제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31)이 상기 와이어(62)의 길이에 맞춰 일정횟수 회전한 후, 상기 스토퍼(52)에 의해 회전이 억제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스토퍼(52)를 상기 몸체(10)의 외주면을 향해 이동시키는 이동수단(70)이 더 포함된다.
이러한 이동수단(70)은 상기 가이드홈(15)의 끝단부분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10)의 상부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52)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10)의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이동수단(57)은 상기 스토퍼(52)를 이동할 수 있는 실린더방식, 기어방식, 와이어방식, 탄성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상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70)은 버튼 또는 상기 제어부(80)를 통해 제어하여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이동수단(70)은 작동에 의해 상기 스토퍼(52)를 상기 몸체(10)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와이어(62)에 의해 상기 회전축(31)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이동수단(70)을 통해 후술되는 제어부(80) 또는 사용자의 동작을 통해 상기 스토퍼(52)를 상기 몸체(10)의 외측방향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상기 고정수단(50)의 일예로, 상기 회전수단을 가압하여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밀착판(53), 가압부(54)로 이루어진다.
상기 밀착판(53)은 상기 몸체(10)의 상부로 노출된 상기 회전축(31)에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밀착판(53)은 회전축(31)에 설치되며, 상기 가압부(54)가 밀착되는 외면에 가압력을 용이하게 발생시켜 정지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돌기, 널링 등을 통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부(54)는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밀착판(53)을 가압하여 상기 회전축(31)의 회전을 제어한다.
이러한 상기 가압부(54)는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상기 가압판에 접촉 또는 이격될 수 있도록 프레임(55), 가압핀(56), 실린더(57) 및 탄성부재(58)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55)은 상기 몸체(10)의 상단에 설치된다.
상기 가압핀(56)은 상기 프레임(55)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밀착판(53)을 가압한다.
상기 실린더(57)는 상기 프레임(55)에 결합되어 상기 밀착판(53)을 가압한다.
상기 탄성부재(58)는 상기 가압핀(56)과 상기 실린더(57)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가압핀(56)을 상기 밀착판(53)에 밀착시킨다.
즉, 상기 가압부(54)는 상기 몸체(10)의 상단에 설치된 프레임(55)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실린더(57)를 통해 상기 가압핀(56)을 상기 밀착판(53)에 가압하여 상기 회전축(31)을 향해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가압핀(56)은 상기 밀착판(53)에 접촉한 후 상기 실린더(57)의 압에 의해 상기 밀착판(53)에 마찰력을 발생시켜 회전축(31)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린더(57)와 상기 밀착판(53) 사이에 배치된 상기 탄성부재(58)를 통해 충격을 완충하고, 상기 밀착판(53)이 상기 회전축(31)의 회전을 부드럽게 접촉하여 가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에는 유입되는 용수 및 배출되는 용수의 차압을 측정하여 상기 여과망(20)의 오염을 판단하여 상기 이물질제거부(30)를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차압계(81), 제어부(80), IOT내장통신부(82) 및 전원부(83)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압계(81)는 상기 유입구(11)에서 유입되는 용수와, 상기 배수구(12)에서 배출되는 용수의 압력을 통해 차압을 측정한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차압계(81)에서 측정된 압력차가 설정된 설정값에 따라 상기 이물질제거부(30) 및 상기 개폐밸브(41)를 제어한다.
상기 IOT내장통신부(82)는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상태를 전송한다.
상기 전원부(83)는 상기 제어부(80) 및 IOT내장통신부(82)에 전력을 공급한다.
즉, 상기 차압계(81)를 통해 상기 유입구(11)와 상기 배수구(12)로 유입 및 배출되는 용수의 압력을 대비하여 차압을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80)는 설정된 설정값 보다 차압이 높게 감지되면, 상기 이물질제거부(30) 및 상기 개폐밸브(41)를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80)의 설정값은 차압계(81)를 통해 측정되는 차압의 % 또는 유량의 수치를 설정한다.
따라서, 상기 차압계(81)의 차압이 1%~20%의 차압 중 용수의 사용용도, 목적 등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하거나 또는 유입되는 유량의 기준을 100 유량으로 산정 한 후 -99 ~ -80유량 중 용수의 사용용도, 목적 등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한다.
이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과 배출되는 유량에서 발생되는 차압을 설정값과 대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물질제거부(30)는 상기 고정수단(50)에 의해 정지된 상기 회전축(31)과 이탈되어 상기 수압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밸브(41)를 열어 상기 이물질제거부(30)로 흡입된 용수 및 이물질을 상기 배출관(4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차압이 낮아지거나, 상기 이물질제거부(30)가 일정횟수 이상 작동하면 상기 회전축(31)의 회전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개폐밸브(41)를 닫아 용수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IOT내장통신부(82)는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상태를 관리자가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전달하며,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상기 제어부(80)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83)는 전력을 통해 상기 차압계(81), 상기 제어부(80) 및 상기 IOT내장통신부(82)가 작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전원부(83)에는 충전형 배터리가 내장되어 충전을 통해 자가구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전원부(83)는 전원 공급이 용이한 지역에서는 외부에서 전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외부에서 전원공급이 용이 하지 않은 경우 내부의 충전형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한다.
아울러 충전형 배터리는 전력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IOT내장통신부(82)를 통해 외부에 충전상태를 전송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몸체(10) 내부의 상태를 항시 감지하며, 감지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이물질제거부(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전원 연결이 용이하지 않은 지역에서 내장된 배터리를 통해 구동이 가능하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상기 여과망(20)과 상기 이물질제거부(30)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용수가 유입되며, 상기 여과망(20)을 거쳐 용수에 혼합된 이물질을 제거한 후 상기 배수구(12)에서 배수된다.
이때, 대량의 용수가 장기간 유입되면서 발생한 이물질은 상기 여과망(20)에 흡착되어 유입되는 용수와 배출되는 용수의 차압을 측정하여 상기 이물질제거부(30)의 작동을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차압계(81)를 통해 측정된 차압과 설정된 값에 대비하여 상기 제어부(80)를 통해 상기 이물질제거부(30) 및 상기 개폐밸브(41)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이물질제거부(30)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축(31)은 상기 고정수단(50)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스토퍼(52)가 이탈되면 수압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일예의 고정수단(50)은 상기 작동수단(60)에 의해 상기 회전축(31)의 회전을 고정한다.
이러한 상기 작동수단(60)은 스토퍼(52)를 상기 회전축(31)의 회전에 의해 와이어(62)를 권취하여 일정 횟수 이상 회전하면 상기 스토퍼(52)를 상기 회전축(31)으로 이동시켜 고정한다.
이렇게 고정된 상기 스토퍼(52)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이동수단(70)을 통해 이동시켜 상기 고정바(51)와 이탈시켜 수압에 의해 회전한다.
이를 통해 상기 회전축(31)의 회전 횟수에 따라 상기 스토퍼(52)가 상기 고정바(51)를 고정하여 회전을 제어한다.
또한, 일예의 고정수단(50)은 가압부(54)를 통해 상기 회전축(31)의 회전을 고정한다.
이러한 상기 가압부(54)는 상기 회전축(31)에 결합된 밀착판(53)을 상기 가압핀(56)을 통해 가압시켜 발생하는 가압력, 마찰력을 통해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가압핀(56)이 상기 밀착판(53)에 가압되는 가압력을 통해 상기 회전축(31)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거나 정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제거부(30)가 작동하면,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개폐밸브(41)를 개방하여 상기 흡입관(32) 및 배수홀(31b)을 통해 유입된 용수 및 이물질을 상기 배출관(40)을 통해 상기 몸체(10)의 외부로 배출한다.
이를 통해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밸브(41)는 상기 이물질제거부(30)의 작동에 따라 개폐되어 용이하게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몸체 11: 유입구 12: 배수구
13: 이물질배출공 14: 걸림턱
15: 가이드홈
20: 여과망 21: 걸림판 22: 통공
30: 이물질제거부 31: 회전축 31a: 날개
31b: 배수홀 32: 흡입관
32a: 흡입구 33: 브러시
40: 배출관 41: 개폐밸브
50: 고정수단 51: 고정바 52: 스토퍼
53: 밀착판 54: 가압부
55: 프레임 56: 가압핀
57: 실린더 58: 탄성부재
60: 작동수단 61: 권취부 61a: 래칫기어
62: 와이어 63: 지지부
70: 이동수단
80: 제어부 81: 차압계 82: IOT내장통신부
83: 전원부

Claims (6)

  1. 하부에서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와, 상부에서 용수가 배출되는 배수구(12)가 형성되며, 하면에 이물질배출공(13)이 구비된 몸체(10);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용수에 혼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망(20),
    상기 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여과망(20)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부(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물질제거부(30)는
    상기 여과망(20)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11)로 유입된 용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회전하는 날개(31a)가 형성되며, 내부에 용수가 배출되는 배수홀(31b)이 구비된 회전축(31)과,
    상기 회전축(31)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여과망(20)의 내측면에 밀착되며, 이물질 및 용수를 흡입하여 상기 배수홀(31b)로 이동하는 흡입구(32a)가 형성된 흡입관(32)과,
    상기 흡입관(32)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망(20)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시(33)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물질제거부(30)는, 상기 회전축(31)이 하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유입된 용수 및 이물질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개폐밸브(41)가 형성된 배출관(40)과, 상기 회전축(31)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31)의 회전을 제한하는 고정수단(50)이 더 포함되며,
    상기 고정수단(50)은, 상기 몸체(10)의 상부로 노출된 상기 회전축(31)에 고정된 밀착판(53)과,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밀착판(53)을 가압하여 상기 회전축(31)의 회전을 제어하는 가압부(54)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압부(54)는, 상기 몸체(10)의 상단에 설치된 프레임(55)과, 상기 프레임(55)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밀착판(53)을 가압하는 가압핀(56)과, 상기 프레임(55)에 결합되어 상기 밀착판(53)을 가압하는 실린더(57)와, 상기 가압핀(56)과 상기 실린더(57)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가압핀(56)을 상기 밀착판(53)에 밀착시키는 탄성부재(5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척이 가능한 여과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11)에서 유입되는 용수와, 상기 배수구(12)에서 배출되는 용수의 압력을 통해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계(81)와,
    상기 차압계(81)에서 측정된 압력차가 설정된 설정값에 따라 상기 이물질제거부(30) 및 상기 개폐밸브(41)를 제어하는 제어부(80)와,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상태를 전송하는 IOT내장통신부(82)와,
    상기 제어부(80) 및 IOT내장통신부(82)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8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척이 가능한 여과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90897A 2020-07-22 2020-07-22 자동 세척이 가능한 여과기 KR102196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897A KR102196512B1 (ko) 2020-07-22 2020-07-22 자동 세척이 가능한 여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897A KR102196512B1 (ko) 2020-07-22 2020-07-22 자동 세척이 가능한 여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6512B1 true KR102196512B1 (ko) 2020-12-29

Family

ID=74090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897A KR102196512B1 (ko) 2020-07-22 2020-07-22 자동 세척이 가능한 여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51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341B1 (ko) * 2021-08-24 2021-12-16 주식회사 에프씨인터내셔널 무동력 세척 기능을 구비하는 스트레이너
CN114146631A (zh) * 2021-12-02 2022-03-08 中国电建集团江西省电力建设有限公司 一种兆瓦级锌铁液流电池电解液配置装置及配置方法
KR102577839B1 (ko) 2022-08-02 2023-09-14 터보솔루션 주식회사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
KR102597519B1 (ko) * 2022-05-12 2023-11-01 장승식 우수 재활용 처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1341A (ko) * 2008-10-14 2010-04-22 한국수자원공사 무동력 자동 역세척 여과장치
KR20110123389A (ko) * 2010-05-07 2011-11-15 주식회사 레인보우 여과기
KR20170127850A (ko) * 2016-05-13 2017-11-22 조윤호 유체 필터 장치
KR20190020943A (ko) * 2017-08-22 2019-03-05 주식회사 영인 자체 세척 스크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1341A (ko) * 2008-10-14 2010-04-22 한국수자원공사 무동력 자동 역세척 여과장치
KR20110123389A (ko) * 2010-05-07 2011-11-15 주식회사 레인보우 여과기
KR101184307B1 (ko) 2010-05-07 2012-09-21 주식회사 레인보우 여과기
KR20170127850A (ko) * 2016-05-13 2017-11-22 조윤호 유체 필터 장치
KR20190020943A (ko) * 2017-08-22 2019-03-05 주식회사 영인 자체 세척 스크린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341B1 (ko) * 2021-08-24 2021-12-16 주식회사 에프씨인터내셔널 무동력 세척 기능을 구비하는 스트레이너
WO2023027385A1 (ko) * 2021-08-24 2023-03-02 주식회사 에프씨인터내셔널 무동력 세척 기능을 구비하는 스트레이너
CN114146631A (zh) * 2021-12-02 2022-03-08 中国电建集团江西省电力建设有限公司 一种兆瓦级锌铁液流电池电解液配置装置及配置方法
KR102597519B1 (ko) * 2022-05-12 2023-11-01 장승식 우수 재활용 처리 시스템
KR102577839B1 (ko) 2022-08-02 2023-09-14 터보솔루션 주식회사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6512B1 (ko) 자동 세척이 가능한 여과기
KR102104344B1 (ko) 막힘 방지기능이 구비된 오배수 펌프장치
JP2020509791A (ja) ローラ清掃装置及び清掃ロボット
KR100921921B1 (ko) 습식 필터세척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KR20050090719A (ko) 진공청소기의 필터 청소 장치
CN112717502B (zh) 一种污水厂污水处理装置
KR101479397B1 (ko) 여과 장치
KR102046694B1 (ko) 자체 세척 스크린 장치
CN105300732B (zh) 手持式水质采样器
KR20100121278A (ko) 여과장치
CN206881251U (zh) 一种净水器
CN211215631U (zh) 一种自动防堵塞ppr安全阀
KR102201424B1 (ko)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한 가공유 필터링 장치
KR100496038B1 (ko) 진공 신발 털이기
JP4183591B2 (ja) 夾雑物除去装置
KR100519966B1 (ko) 청소기의 호스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습건식진공청소기
KR102064953B1 (ko) 습식 공기 청정기
CN207308485U (zh) 污水水质传感器自动清洗装置
CN110387652B (zh) 洗衣设备
KR200389968Y1 (ko) 상수도배관용 스트레이너 설치구조
KR101336536B1 (ko) 공기 조화기
CN215227295U (zh) 清洁基站及清洁装置
CN116253397A (zh) 一种抗污染膜处理污水装置及方法
CN215163890U (zh) 一种用于洗衣机废水排放的微纤维源头阻断装置
KR20150039965A (ko) 집진기용 더스트 재부착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