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402U - 농업용수 여과기의 상부몸통에 필터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농업용수 여과기의 상부몸통에 필터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402U
KR20110004402U KR2020090014009U KR20090014009U KR20110004402U KR 20110004402 U KR20110004402 U KR 20110004402U KR 2020090014009 U KR2020090014009 U KR 2020090014009U KR 20090014009 U KR20090014009 U KR 20090014009U KR 20110004402 U KR20110004402 U KR 201100044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upper body
agricultural water
bind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0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8945Y1 (ko
Inventor
곽영대
Original Assignee
태광에이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광에이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광에이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40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945Y1/ko
Publication of KR201100044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4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9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9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06Separation devices for industrial food processing or agricul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업용수 여과기의 상부몸통에 필터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며 농업용수 여과기의 상부몸통 내측 중심에는 결속구를 구비하고, 상기 결속구에는 필터를 결합하여 필터에 이물질이 차게 되면 분리하여 소제하고 결합을 신속히 하고 견고히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다.
본 고안은 농업용수 여과기의 상부몸통 내측 중앙의 여과수입구에 돌출핀이 구비된 결속구를 조립하고, 필터의 골심 상부의 환테에는 상기 결속구의 돌출핀을 가이드하고 결합하는 가이드부와 걸림홈부를 형성하여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농업용수 여과기의 필터에 이물질이 차게 되어 여과 성능이 떨어지게 되면 여과기의 상부몸통에 조립된 필터를 분리시켜서 소제한 다음 조립하는 구조가 간단하고 상부몸통에 조립된 필터는 용수의 압력에 이탈되지 않아 사용이 편리한 특징이 있다.
농업용수 여과기, 결속구, 가이드부, 걸림홈부, 돌출핀

Description

농업용수 여과기의 상부몸통에 필터의 결합구조{A filter agricultural water a filter upper trunk combination constitution}
본 고안은 농업용수 여과기의 상부몸통에 필터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며 농업용수 여과기 상부몸통의 내측 중심에는 결속구를 구비하고, 상기 결속구에는 필터를 결합하고 필터에 이물질이 차게 되면 분리시켜서 소제하여 신속하고 견고히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농촌에서 농작물 및 화훼 등을 촉성 재배하기 위하여 비닐하우스를 설치하게 되고, 상기 비닐하우스에는 재배되는 농작물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관수 라인이 설치된다.
상기 관수 라인은 용수관에 노즐을 일정간격으로 구비하여 용수가 노즐을 통해서 농작물에 자동분사되게 구성되고, 상기 관수 라인에 관수 되는 용수에 모래 등 이물질이 잔존하게 되면 분사지점의 노즐을 막아 관수가 중단되는 결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수 라인에는 용수에 함유된 모래 등 이물질을 걸러주는 여과기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여과기의 상부몸통에는 관체 외곽으로 중공된 필터판을 포개어 용수를 걸러주는 필터를 구성하고, 상기 필터는 망으로 된 관체 속으로 용수가 유입되면 용수는 관체와 필터판을 거치면서 모래 등 이물질은 걸러지고 여과된 용수는 필터 외측으로 나와 송출구로 통하여 송출된다.
상기의 여과기는 필터를 수시로 세척할 수 있도록 여과기 본체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여과기에서 필터의 탈부착 수단은 여과기의 상부몸통과 하부몸통을 분리구성하고, 상부몸통에는 암나사를, 하부몸통에는 수나사를 형성하여 상호 결합할 수 있게 하고 상부몸통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여과수입구의 내측에는 암나사를 구비하고 필터 상부의 수나사를 상호 체결하여 결합 구성된다.
또 상기에서 여과기 상부몸통과 하부몸통의 탈부착 수단은 나사결합을 배제하고 결착 고리로 결합하거나 또는 여과기 상부몸통과 하부몸통의 연결지점에 돌출부를 구성하고 밴드형 클램프로 결합구성하는 수단도 알려지고 있다.
또 상기에서 여과기 상부몸통의 암나사에는 필터 선단의 수나사로 체결하여 조립하게 되면 필터에 이물질이 차게 되면 필터의 하중이 무거워지고 여과기내로 유입되는 용수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필터가 여과기의 상부몸통에서 이탈되는 결점이 발생 된다.
상기의 농업용수 여과기의 선행수단들은 아래와 같다.
·국내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실1997-577호(공고일자 : 1997. 01. 27.)
·국내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실1993-3651호(공고일자 : 1993. 06. 21.)
·국내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실1997-3567호(공고일자 : 1997. 04. 18.)
·국내 실용신안등록제154742호(등록일자 : 1999. 05. 21.)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9-14419호(공개일자 : 1999. 02. 25.)
·국내 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9-39310호(공개일자 : 1999. 11. 05.)
·국내 실용신안등록제370767호(등록일자 : 2004. 12. 08.)
·국내 실용신안등록제357444호(등록일자 : 2004. 07. 16.)
·국내 실용신안등록제370766호(등록일자 : 2004. 12. 08.)
·국내 실용신안등록제403993호(등록일자 : 2005. 12. 09.)
·국내 실용신안등록제420812호(등록일자 : 2006. 06. 29.) 등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점을 해소하고 농업용수 여과기에서 여과기 상부몸통의 여과수입구에는 결속구를 구비하고, 상기 결속구에는 골심 선단과 결합하여 결합을 신속하고 견고히 하며 필터의 소제를 간편히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다.
본 고안에서 보인 도1의 (가)도는 여과기의 평면도
(나)도는 여과기의 정면도
도2는 여과기의 하부몸통
도3의 (가)도는 여과기의 상부몸통의 종단면도
(나)도는 여과기의 상부몸통의 저면도
도4는 여과기의 상부몸통에 필터를 결합하는 결속구를 발췌한 사시도
도5는 여과기에 내장되는 필터의 조립예시도
도6은 필터 골심과 손잡이 캡을 분해한 사시도
도7은 도6의 A-A′선단면도
도8은 결속구와 필터의 조립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9는 여과기의 종단면도
도10은 실시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본 고안은 도1의 (가) 내지 도3의 (나)도와 같이 농업용수 여과기는 상부몸통(1)과 하부몸통(2)을 밴드형 클램프(3)로 결합 구성하며 상기에서 상부몸통(1)의 양측으로는 유입구(10)와 압력게이지 연결구(11)를, 상부에는 송출구(12)를 형성하고, 하방에는 하부몸통(2)과 결합할 수 있도록 내측에는 걸림홈(13)을, 외측에는 돌출테(13a)를 형성하고, 내측 중앙의 여과수입구(14)에는 필터와 결합 되는 결속구(4)를 조립할 수 있도록 외측에는 지지축봉(15)을 구비하여서 구성된다.
상기 상부몸통(1)과 결합 되는 결속구(4)는 도4와 같이 중공관(20)의 상부에는 여과기 상부몸통(1) 내측 중앙의 여과수입구(14)에 끼워지는 돌부(20a)를, 외측 지지대(21)에는 지지축봉(15)과 조립되는 조립관(22)을 구비하고, 중공관(20)의 하부 벽면에는 내측으로 돌출핀(23)을 형성하여서 구성된다.
또 상부몸통(1)의 지지축봉(15)에 결속구(4)의 조립관(22)을 끼우고 피스(24)로 체결하면 상부몸통(1)의 여과수입구(14)에 결속구(4)의 돌부(20a)가 끼워져 도3의 (가)와 같은 상부몸통(1)을 구성하게 된다.
또 상부몸통(1) 중앙의 결속구(4)와 조립되는 필터(5)는 도6 및 도7과 같이 골심(30)은 단면을 +자형으로 하고, 상부의 환테(31)에는 가이드부(32)와 걸림홈부(33)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또 필터 관체(34)는 도5와 같이 망 형상의 필터 관체(34) 상부에는 필터판이 지지되는 단턱(35)을, 하방에는 수나사(36)를 형성하여서 구성된다.
상기의 필터 관체(34)에는 중공된 필터판(37)을 중첩되게 포개어서 끼운 다음 필터 관체(34)의 상부 중공부로 골심(30)을 끼우고, 하방을 손잡이 캡(38)의 돌 출부(39)에 형성한 요홈(39a)에 끼워 피스(40)로 조립하고, 필터 관체(34)의 필터판(37) 하방은 손잡이 캡(38)에 지지되도록 손잡이 캡(38)의 나사를 필터 관체(34) 하부의 하부 수나사(36)에 조립하여 도5와 같은 필터(5)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도3의 (가)와 같은 상부몸통(1)에 도5와 같은 필터(5)를 조립하게 되면 도8과 같이 필터(5)의 필터 관체(34) 상부 내측에 위치하는 골심(30) 상부의 가이드부(32)에 상부몸통(1)이 결합 된 결속구(4) 하방의 돌출핀(23)를 위치시켜 압입하면서 조임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돌출핀(23)는 걸림홈부(33)에 끼워져 결합 된다.
또 도9와 같이 상부몸통(1)에 끼워진 필터(5) 하방에 하부몸통(2)을 끼우고 상부몸통(1)의 돌출테(13a)와 하부몸통(2)의 돌출테 외곽에 밴드형 클램프(3)로 결합하여서 구성된다.
도면에서 미설명된 부호 50은 압력게이지, 51은 여과 용수공급관, 52는 노즐이 구비된 용수 분사호스를 표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여과기 상부몸통 중앙에 결합 된 결속구의 돌출핀은 필터를 구성하는 골심 상부의 환테에 구비된 가이드부를 통하여 걸림홈부에서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져 용수압력에 의해 상부몸통에서 필터가 이탈되는 우려가 해소되고 구조가 간단하고 상부몸통에서 필터의 착탈이 간편하여 소제와 사용이 편리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1의 (가) 내지 도3의 (나)와 같이 농업용 여과기는 상부몸통(1)과 하부몸통(2)을 밴드형 클램프(3)의 결합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몸통(1)은 양측으로는 유입구(10)와 압력게이지 연결구(11)를, 상부에는 송출구(12)를 형성하고, 하방에는 하부몸통(2)과 결합할 수 있도록 내측에는 걸림홈(13)을, 외측에는 돌출테(13a)를 형성하고, 내측 중앙의 여과수입구(14)에는 필터와 결합 되는 결속구(4)를 조립할 수 있도록 외측에는 지지축봉(15)을 구비하여서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여 사출 성형하여 일체로 제조된다.
또 상기에서 상부몸통(1)에 결합 되는 결속구(4)는 도4와 같이 중공관(20)의 상부에는 여과기 상부몸통(1) 내측 중앙의 여과수입구(14)에 끼워지는 돌부(20a)를 외측 지지대(21)에는 지지축봉(15)과 조립되는 조립관(22)을 구비하고, 중공관(20)의 하부 벽면에는 내측으로 돌출핀(23)을 형성하여서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여 성형 사출로 제조된다.
상기 상부몸통(1)의 내측 중앙에 상기 결속구(4)의 조립과정은 상부몸통(1)의 지지축봉(15)에 결속구(4)의 조립관(22)을 끼우고 피스(24)로 체결하면 상부몸통(1)의 여과수입구(14)에 결속구(4)의 돌부(20a)가 끼워져 도3의 (가)와 같은 상부몸통(1)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부몸통(1)의 지지축봉(15)은 결속구(4)의 조립관(22)이 결합 될 때 결합력을 공고히 할 수 있도록 지지축봉(15)과 조립관(22)의 접속지점을 테이퍼지게 하면 중심이 일치되어 정밀한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상부몸통(1) 중앙의 결속구(4)와 조립되는 필터(5)는 도6 및 도7과 같이 골심(30)은 단면이 +형으로 하고, 상부의 환테(31)에는 가이드부(32)와 걸림홈부(33)를 형성하여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여 사출성형으로 제조된다.
또 필터 관체(34)는 도5와 같이 망 형상의 필터 관체(34) 상부에는 필터판이 지지되는 단턱(35)을, 하방에는 수나사(36)를 형성하여서 구성하고, 상기의 필터 관체(34)에는 중공된 필터판(37)을 중첩되게 포개어서 끼우고, 필터 관체(34)의 상부 중공부로 골심(30)을 끼우고 하방은 손잡이 캡(38)의 돌출부(39)에 형성한 요홈(39a)에 끼워서 중앙을 피스(40)로 조립하고, 상기 필터 관체(34)의 필터판(37) 하방을 손잡이 캡(38)에 지지되도록 손잡이 캡(38)의 나사를 필터 관체(34) 하부 의 수나사(36)에 체결하면 도5와 같은 필터(5)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도3의 (가)와 같은 상부몸통(1)에 도5와 같은 필터(5)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도8과 같이 필터(5)의 필터 관체(34) 상부 내측에 위치하는 골심(30) 상부의 환테(31)에 구비된 가이드부(32)에 상부몸통(1)에 결합 된 결속구(4) 하방의 돌출핀(23)를 위치시켜 압입하고 조임방향으로 필터(5)를 돌리면 필터(5)의 돌출핀(23)는 결속구(4)의 걸림홈부(33)로 끼워져 조립되어 상부몸통(1)과 필터(5)는 한 몸통이 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몸통(1)에 필터(5)가 조립되면 하부몸통(2)을 끼우고 상부몸통(1)과 하부몸통(2)의 돌출테(13a) 외곽으로 밴드형 클램프(3)를 결합하여 결속하게 되면 도1의 (나) 및 도9와 같은 여과기가 구성된다.
상기의 여과기는 농작물을 촉성 재배하는 농촌의 비닐하우스 농작물에 용수 를 급수하는 용도로 사용할 때에는 도10과 같이 펌프로 압송되는 용수관을 여과기의 상부몸통(1)에 구비된 유입구(10)와 연결하고, 타측의 압력게이지 연결구(11)에는 압력게이지(50)를 연결하고, 여과 용수송출구(12)에는 여과 용수공급관(51)과 연결하고, 상기 여과 용수공급관(51)에는 용수공급 노즐이 구비된 용수공급호스(52)를 연결하고, 상기 용수공급호스(52)의 용수공급노즐은 농작물로 용수가 분사되도록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에서 펌프를 통하여 양수된 용수는 여과기의 필터(5) 중앙으로 유입되어 골심(30)과, 필터 관체(34)와, 필터판(37)을 통과하면서 용수에 함유하는 모래 등 이물질이 걸러지고 여과된 용수는 송출구(12)로 송출되어 사용되므로 분사노즐이 막히는 일이 없게 된다.
상기에서 여과기의 압력게이지(50)에 압력이 떨어지게 되면 모래와 이물질에 의해 필터(5)의 여과 성능이 떨어진 상태가 되므로 여과기의 상부몸통(1)과 하부몸통(2)을 결합한 밴드형 클램프(3)를 분리하고, 상부몸통(1)에 조립된 필터(5)를 풀림방향으로 돌리면 필터(5)의 골심(30) 상부의 환테(31) 걸림홈부(33)에 끼워진 결속구(4) 하방의 돌출핀(23)은 걸림홈부(33)를 벗어나 가이드부(32)를 통하여 분리되고 분리된 필터(5)는 소제를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상부몸통(1)에 결속구(4)를 결합하고 상기 결속구(4)에 필터(5)의 결합과 분리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되므로 필터(5)의 소제가 간편하게 되고, 또 상부몸통(1)에 결합되는 필터(5)는 걸림홈부(33)와 돌출핀(23)에서 결속이 이루어지므로 고압에도 상부몸통(1)에서 필터(5)가 이탈되는 우 려가 없게 된다.
또 상기에서 골심(30)의 환테(31)에 구성하는 가이드부(32)와 걸림홈부(33)의 수는 결속구(4)의 돌출핀(23)의 수와 동일하게 하고 필요에 따라 수는 조정할 수 있다.
도1의 (가)도는 여과기의 평면도
(나)도는 여과기의 정면도
도2는 본 고안에서 여과기의 하부몸통
도3의 (가)도는 여과기의 상부몸통의 종단면도
(나)도는 여과기의 상부몸통의 저면도
도4는 본 고안에서 여과기의 상부몸통에 필터를 결합하는 결속구를 발췌한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에서 여과기에 내장되는 필터의 조립예시도
도6은 본 고안에서 필터 골심과 손잡이 캡을 분해한 사시도
도7은 도6의 A-A′선단면도
도8은 본 고안에서 결속구와 필터의 조립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9는 본 고안에서 여과기의 종단면도
도10은 본 고안의 실시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상부몸통 2 : 하부몸통
3 : 밴드형 클램프 4 : 결속구
5 : 필터 10 : 유입구
11 : 압력게이지 연결구 12 : 송출구
13 : 걸림홈 13a : 돌출테
14 : 여과수입구 15 : 지지축봉
20 : 중공관 20a : 돌부
21 : 지지대 22 : 조립관
23 : 돌출핀 24, 40 : 피스
30 : 골심 31 : 환테
32 : 가이드부 33 : 걸림홈부
34 : 필터 관체 35 : 단턱
36 : 수나사 37 : 필터판
38 : 손잡이 캡 39 : 돌출부
39a : 요홈

Claims (3)

  1. 농업용수 여과기의 상부몸통(1) 내측 중앙의 여과수입구(14)에는 하방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핀(23)이 구비된 결속구(4)를 구비하고, 필터(5)의 골심(30) 상부에 구비된 환테(31)에는 상기 돌출핀(23)을 가이드하고 결합 되는 가이드부(32)와 걸림홈부(33)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몸통(1)의 결속구(4)에 구비된 돌출핀(23)이 상기 필터(5)의 걸림홈부(33)에서 착탈 할 수 있도록 결합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농업용수 여과기의 상부몸통에 필터의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몸통(1) 내측 중앙의 여과수입구(14) 외곽에는 복수개의 지지축봉(15)을 구비하고, 결속구(4)의 상부에는 상기 여과수입구(14)에 끼워지는 돌부(20a)와 상기 지지축봉(15)과 조립되게 지지대(21)에는 조립관(22)을 구비하여서 구성하고, 상기 상부몸통(1)의 여과수입구(14)에 상기 결속구(4)의 돌부(20a)가 끼워지고, 지지축봉(15)에는 결속구(4)의 조립관(22)을 끼워 피스(24)로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 농업용수 여과기의 상부몸통에 필터의 결합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부몸통(1)에 결합되는 결속구(4)의 돌출핀(23)과, 필터(5)의 골심(30) 상부에 구비된 환테(31)의 가이드부(32)와 걸림돌부(33)의 수를 복수개로 한 것을 특 징으로 한 농업용수 여과기의 상부몸통에 필터의 결합구조
KR2020090014009U 2009-10-28 2009-10-28 농업용수 여과기의 상부몸통에 필터의 결합구조 KR2004589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009U KR200458945Y1 (ko) 2009-10-28 2009-10-28 농업용수 여과기의 상부몸통에 필터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009U KR200458945Y1 (ko) 2009-10-28 2009-10-28 농업용수 여과기의 상부몸통에 필터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402U true KR20110004402U (ko) 2011-05-04
KR200458945Y1 KR200458945Y1 (ko) 2012-03-19

Family

ID=44241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009U KR200458945Y1 (ko) 2009-10-28 2009-10-28 농업용수 여과기의 상부몸통에 필터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94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187B1 (ko) * 2018-03-23 2019-09-17 오순웅 스트레이너 장치
KR102577839B1 (ko) * 2022-08-02 2023-09-14 터보솔루션 주식회사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6401A (ko) 2020-01-28 2021-08-05 김춘일 농업용수 모래 여과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651Y1 (ko) * 1990-11-27 1993-06-21 백근용 농업용수 여과기
KR200320020Y1 (ko) 2003-04-02 2003-07-18 주식회사 동양과학 일체형 정수 필터 베이스
KR200459320Y1 (ko) * 2006-12-08 2012-03-2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필터 카트리지 어댑터
KR101010432B1 (ko) * 2008-08-30 2011-01-21 이영수 여과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187B1 (ko) * 2018-03-23 2019-09-17 오순웅 스트레이너 장치
KR102577839B1 (ko) * 2022-08-02 2023-09-14 터보솔루션 주식회사 이물질 자동 배출 스트레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8945Y1 (ko) 2012-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8674B1 (ko) 디스크 필터를 조립하는 모듈
JP4870466B2 (ja) 撒液システム用の濾過装置
KR200458945Y1 (ko) 농업용수 여과기의 상부몸통에 필터의 결합구조
CN104145064A (zh) 排水链系统和清洗链条的方法
KR100950830B1 (ko)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
KR101662749B1 (ko) 용수탱크의 외부내장형 여과장치
KR101195456B1 (ko) 여과기능을 가진 비닐하우스용 분기관
JP3186132U (ja) 灌水設備のフィルター装置
CN103821283B (zh) 虹吸式屋顶排水雨水斗
KR102114545B1 (ko) 필터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농업용 여과기
KR20120075783A (ko) 농업용수 여과기의 필터 청소장치
KR101185168B1 (ko) 노즐 유닛
KR101711441B1 (ko) 인삼포 무인방제 시스템
KR101535713B1 (ko) 여과기의 필터 청소장치
KR20120075767A (ko) 농업용수 여과기의 필터 청소장치
KR20140131095A (ko) 세척가능한 필터를 갖는 샤워기
CN210645349U (zh) 过滤反冲洗器及具有其的喷淋系统
KR20110045346A (ko) 농업용수 여과기
CN105849339A (zh) 改进的排水链系统和清洁排水管的方法
JP4279609B2 (ja) ストレーナ
CN202893060U (zh) 一种过滤系统的过滤器和通透手柄
KR101394855B1 (ko) 청소기능을 구비한 농업용수 여과기
KR200172997Y1 (ko) 농예용 살수장치 여과기
CN213895361U (zh) 一种结构改进的阻垢滤芯
KR200469186Y1 (ko) 농업용수 여과기의 청소용 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