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6401A - 농업용수 모래 여과기 - Google Patents

농업용수 모래 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6401A
KR20210096401A KR1020200009801A KR20200009801A KR20210096401A KR 20210096401 A KR20210096401 A KR 20210096401A KR 1020200009801 A KR1020200009801 A KR 1020200009801A KR 20200009801 A KR20200009801 A KR 20200009801A KR 20210096401 A KR20210096401 A KR 20210096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sand
outlet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일
Original Assignee
김춘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일 filed Critical 김춘일
Priority to KR1020200009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6401A/ko
Publication of KR20210096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4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85Funnel filters;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용수의 공급시에 나선형의 흐름으로 공급하고 용수유입구의 대향측의 용수배출구와 연통하는 격벽관체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상승하여 용수배출구를 통해 배출함으로소 자연적으로 상광하협의 깔때기관의 하부 모래배출구를 통해 하부통체에 낙하시켜 여과함으로서 장기간 사용에도 고장 및 필터 교체없이 사용이 가능하고, 제조원가가 최대한 절감되는 농업용수 모래 여과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농업용수 모래 여과기는 상부통체의 용수유입구에 용수의 방향을 일측으로 유도하는 엘보유도관이 조립되고, 하부통체의 내측에는 상광하협으로서 하부에 모래배출구를 관통한 깔때기관이 조립되되, 깔때기관은 상단부에 외주면에 돌출된 상부단턱을 상기 하부통체의 상단부에 걸림상태로 끼움되고 상부통체의 하부 내측에 성형된 내측단턱이 걸림단턱의 상부을 누름하고 체결너트의 나사조립으로 결속되어 결합되되, 엘보유도관에 의해 농업용수가 상부통체의 내주면 일측으로 상기 격벽관체의 외주면 측으로 공급되면서 와류상태로 하향으로 흐름을 유도함과 동시에 깥때기관의 모래배출구를 통해 모래를 배출하여 상기 하부통체의 하부배수관에 수집하도록한 농업용수 모래 여과기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농업용수 모래 여과기{agriculture water sand filter}
본 발명은 작물 재배에 필요한 급수목적으로 스프링클러 등에 공급되는 농업용수에 포함된 모래를 여과하여 공급하는 농업용수 모래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소한 구조로서 사용의 편리성과 고장을 없애고, 제조원가를 절감하면서 효과적인 모래의 여과가 제공되는 농업용수 모래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연적인 농업용수의 공급이 어려울 경우(가뭄기)에는 재배작물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양수펌프를 이용하여 원거리에 있는 하천수를 끌어다 공급하거나, 지하수를 퍼 올려 공급하고 있다.
이렇게 공급되는 농업용수는 흙, 모래 등이 섞여진 상태로 공급됨으로써, 관수라인의 스프링클러와 같은 분배기구의 노즐 부분이 막히게 되어 사용할 수 없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급수되는 농업용수를 여과기에 의해 이물질, 특히 모래를 여과하여 스프링클러와 같은 용수 분배기에 여과된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이러한 여과기에 대해서는 종래에도 다양한 기술로 개시된 바 있고, 본 발명
과 관련하여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를 예로 들 수 있다.
특허문헌 1은 뚜껑과 본체가 구성되고 내부에는 다수의 여과기능의 걸름기능의 구멍을 전체적으로 형성한 원뿔형의 여과필터로 구성되되, 상기 여과필터는 지름이 큰 부분에 플랜지부를 형성하여 뚜껑과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상기 플랜지부를 안착한 상태로 상부통체를 조립하여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문헌 1은 뚜껑의 유입구을 통해 공급되는 농업용수가 농업용수에 포함된 모래 흙 등의 이물질이 원뿔형 여과필터의 구멍에 의해 걸러진 상태로 본체의 유출구를 통해 배출됨으로서, 양수펌프에 의해 강제적으로 공급되는 농업용수 중 모래가 순식간에 쌓이게 되어 장시간 사용이 어려워서 빈번적인 뚜껑과 본체를 분리하여 원뿔형 여과필터에 걸러진 모래를 배출해야 하는 단점으로 실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2는 여과필터체를 상부몸통에 결합하는 방법으로서 상부몸통 내측
중앙의 여과수입구 외곽에는 복수개의 지지축봉을 구비하고, 결속구의 상부에는 상기 여과수입구에 끼워지는 돌부와 상기 지지축봉과 조립되게 지지대에는 조립관을 구비하여서 구성하고, 상기 상부몸통의 여과수입구에 상기 결속구의 돌부가 끼워지고, 지지축봉에는 결속구의 조립관을 끼워 나사로 체결한 농업용수 여과기의 상부몸통에 필터의 결합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문헌 2는 여과필터를 고정하는 여과필터체는 디스크필터를 장치하는 필터지지체에 나사결합하는 필터고정캡을 마련하여 필터지지체에 디스크필터를 끼움하고 필터고정캡을 필터지지체에 나사결합하여 필터지지체에 끼워진 디스크필터를 가압고정하는 구성으로 이는 필터를 세척시에 필터지지체로 부터 필터고정캡을 열어 디스크필터를 분리하여 세척하는 것으로 디스크필터를 재조립이 번거롭고 불편한 크나큰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특허문헌 2는 디스크필터가 고가로서 노지와 같은 야외에서 설치 사용시에 짧은 시간에 교체 또는 세척하여 재조립하여 사용해야 함으로서 실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1. 실용신안등록 제20-0370766호(2004.12.08. 등록) 2. 실용신안등록 제20-0458945호(2012.02.22.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노지에서 사용되는 농업용수 여과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상부통체의 용수유입구에 공급되는 농업용수의 공급시에 나선형의 흐름으로 공급하고 상기 용수유입구의 대향측의 용수배출구와 연통하는 격벽관체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상승하여 용수배출구를 통해 배출함으로소 자연적으로 상광하협의 깔때기관의 하부 모래배출구를 통해 하부통체에 낙하시켜 여과함으로서 장기간 사용에도 고장 및 필터 교체없이 사용이 가능하고, 제조원가가 최대한 절감되는 농업용수 모래 여과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제시하는 과제의 해결 수단의 농업용수 모래여과기는,
용수유입구가 형성되고 그 대향측에 용수배출구 및 이 용수배출구와 수평으로 연통하면서 수직의 상부방향에 용수배출구를 형성한 격벽관체를 구성한 상부통체와, 상기 상부통체의 하부 나사와 체결너트에 의해 조임으로 조립되고 하부배수관이 형성된 하부통체와, 상기 하부배수관에 조립 구성되는 드레인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통체는 상기 용수유입구에 용수의 방향을 일측으로 유도하는 엘보유도관이 조립되고,
상기 하부통체의 내측에는 상광하협으로서 하부에 모래배출구를 관통한 깔때기관이 조립되되, 상기 깔때기관은 상단부에 외주면에 돌출된 상부단턱을 상기 하부통체의 상단부에 걸림상태로 끼움되고 상기 상부통체의 하부 내측에 성형된 내측단턱이 상기 걸림단턱의 상부을 누름하고 상기 체결너트의 나사조립으로 결속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부통체는 상기 용수유입구에 조립되는 상기 엘보유도관의 출수구 측에서 상기 격벽관체의 외주면에 하향으로 와류나선이 상기 용수배출구의 관체 외주면 하측에 일체로 연장 성형하여 농업용수를 하향의 나선상으로 유체흐름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여과필터의 구성이 없이 단순히 용수의 흐름을 엘보유도관에 의해 상부통체의 일측으로 유도공급하면서 물의 흐름을 와류시켜 용수속에 포함된 모래를 하향으로 자연낙하 시킴과 동시에 깔때기관에 의해 하부통체의 하부배수관에 수집하여 배출하도록 함으로서 장기간 사용에도 여과필터체의 세척이 필요없고, 막힘에 의한 고장 및 교체가 필요없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순구조 및 고가의 여과필터체의 구성없이 제공되어 공업적 양산으로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이점과, 장기간 사용에도 잔고장이 없음으로 제품의 신뢰성이 보장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여주는 조립상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구성부재의 분리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상부통체의 내부를 보여주는 일부절단 저면방향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VI-VI선 방향에서 본 상부통체의 횡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부재인 깔때기관의 평면도 및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구성부재인 깔때기관의 다른 실시예의 조립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에 따른 농업용수의 흐름과 모래의 낙하과정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상부통체을 통해 공급되는 농업용수의 배출흐름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농업용수 모래 여과기는, 용수유입구(110)가 형성되고 그 대향측에 용수배출구(120) 및 이 용수배출구와 수평으로 용수배출구와 수평으로 연통하면서 수직의 상부방향에 용수배출구(130)를 형성한 격벽관체(140)를 구성한 상부통체(100)와, 상기 상부통체(100)의 하부 나사와 체결너트(150)에 의해 조임으로 조립되고 하부배수관(210)이 형성된 하부통체(200)와, 상기 하부배수관(210)에 조립 구성되는 드레인밸브(220)를 포함한다.
상부통체(100)와 하부통체(200)는 상호간이 플랜지형 결합홈 및 결합돌부에 의한 요철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통체의 외주면에 성형된 나사(101)에 체결너트(150)의 나사조임에 상기 하부통체(200)의 결합돌부를 상기 상부통체(100)의 결합홈에 조임하는 상태로 체결된다.
물론, 외부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통체(200)의 외주면에 성형된 패킹홈에 패킹(P)을 결합한 상태에서 상부통체(100)과 결속된다.
이러한 상부통체(100)과 하부통체(200)의 결속은 이미 종래의 여과기 구조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임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해도 충분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상부통체(100)와 하부통체(200)의 결속은 상기 하부통체(200)의 내에 상광하협의 깔때기관(300)을 조립한 상태로 결속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통체(100)의 상기 용수유입구(110)에는 농업용수의 방향을 일측으로 유도하는 엘보유도관(160)이 조립된다.
상기 엘보유도관(160)은 펌프 등에 의해 공급되는 농업용수를 상부통체(100)의 내주면 일측으로 상기 격벽관체(140)의 외주면 측으로 공급되면서 와류상태로 하향으로 흐름을 유도한다.
이러한 농업용수의 흐름을 와류(소용돌이) 상태로 유도함과 동시에 농업용수 속에 포함되어 물보다 비중이 무거운 모래는 하향으로 자연낙한다.
이렇게 자연 낙하는 상기 하부통체(200) 내에 조립된 상기 깥때기관(300)의 상광하협의 구조적인 특징으로 모래배출구(310)를 통해 모래를 배출하여 상기 하부통체(200)의 하부배수관(210)에 수집할 수 있다.
상기 깔때기관(300)은 상단부에 외주면에 돌출된 상부단턱(320)을 상기 하부통체(200)의 상단부에 걸림상태로 끼움되고 상기 상부통체(100)의 하부 내측에 성형된 내측단턱(102)이 상기 걸림단턱(320)의 상부을 누름하고 상기 체결너트(150)의 나사조립으로 결속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깔때기관(300)의 내주면에는 일정간격으로 타격돌기(330)을 다수개 돌출하여 와류상태로 농업용수 속에 포함된 모래가 부딪치면서 신속한 낙하을 유도하도록 하여 모래여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하향 와류하는 농업용수 속의 모래가 회전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외향으로 토출과 동시에 회전시에 용수 속의 비중이 큰 모래가 부딪치면서 회전을 멈춤함과 동시에 낙하시키어서 별도의 필터기능 없이 모래의 여과기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다른 점은 하부통체(200)에 깔때기관(300)을 상협하광의 역방향으로 설치하되, 모래배출구(340)을 몸체의 지름이 넓은 하부 측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원추형 꼭지점 부분에 관통된 모래배출구(310)을 그대로 해서 거꾸로 설치할 수도 있으나, 상기 모래배출구(310)가 막힌 상태로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깔때기관(300)의 걸림단턱(320)의 외주면을 하부통체(200)의 내주면에 밀착 끼움으로 거꾸로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설치상태에서 용수가 하향 와류흐름하고 비중이 큰 모래가 깔때기관(300)의 외주면을 따라 하향 낙하하면서 모래배출구(340)을 통해 하부통체의 하부배수관(210)에 수집하여 드레인밸브(220)을 통해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통체(100)는 상기 용수유입구(110)에 조립되는 상기 엘보유도관(160)의 출수구(161) 측에서 상기 격벽관체(140)의 외주면에 하향으로 와류나선(170)이 상기 용수배출구(120)의 관체 외주면 하측에 일체로 연장 성형하여 농업용수를 하향의 나선상으로 유체흐름을 더욱 효과적으로 유도하여 와류 흐름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여과필터체 조립 구조를 탈피하고, 장기간 사용사에 빈번한 필터체의 세척 또는 교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되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양수펌프와 상부통체(100)의 용수유입구(110)와 연결호스(미도시함)로 연결한 상태에서 농업용수를 공급한다.
이렇게 공급되는 농업용수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통체(100)의 용수유입구(110)에 조립된 엘보유도관(160)에 의해 일측방향으로서 상기 격벽관체(140)의 외주면과의 사이 공간부를 통해 공급되고, 이러한 농업용수는 격벽관체(140)의 용수배출구(120,130)을 통해 배출된다.
그 결과, 용수 속에 포함된 비중이 큰 모래는 와류 하향과정에서 자중으로 자연낙하되고, 하부통체(200)의 깔때기관(300)을 통해 모래배출구(310)를 통해 배출되고 하부배수관(210)에 적층상태로 수집된다.
그리고 농업용수는 모래가 제거된 상태로 용수배출구(120,130)을 통해 배출되어 스프링클러와 같은 분배기구에 공급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상부통체(100)는 상기 격벽관체(140)의 외주면에 하향으로 와류나선(170)이 상기 용수배출구(120)의 관체 외주면 하측에 일체로 연장 성형된 구조는 공급되는 농업용수를 하향의 나선상으로 유체흐름을 더욱 효과적으로 유도하여 농업용수의 와류 작용을 더욱 용이하게 제공하여 모래의 자연낙하를 더욱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통체(200)의 하부배수관(210)에 수집된 모래는 드레인밸브(220)의 개방작동에 의해 용수와 함께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한 드레인밸브(220)는 통상적인 중량에 의해 자동개폐되는 자동드레인밸브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복잡한 구조 및 세척이 필요한 여과필터체의 사용이 없이 용수를 하향으로 와류 공급으로 유도하면서 비중이 큰 모래를 자연낙하하여 깔때기관(300)에 의해 하향으로 수집 배출하는 구조로 제공되어 장기간 사용에도 고장이 없이 수명보장이 제공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 상부통체 110 : 용수유입구
120,130 : 용수배출구 140 : 격벽관체
150 : 체결너트 160 : 엘보유도관
170 : 와류나선 200 : 하부통체
210 : 하부배수관 220 : 드레인밸브
300 : 깔때기관 310,340 : 모래배출구
320 : 걸림단턱 330 : 타격돌기

Claims (4)

  1. 용수유입구가 형성되고 그 대향측에 용수배출관 및 이 용수배출관과 수평으로 용수배출구를 연통하면서 수직의 상부방향에 용수배출구를 형성한 격벽관체를 구성한 상부통체와, 상기 상부통체의 하부 나사와 체결너트에 의해 조임으로 조립되고 하부배수관이 형성된 하부통체와, 상기 하부배수관에 조립 구성되는 드레인밸가 구성된 농업용수 모래 여과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통체는 상기 용수유입구에 용수의 방향을 일측으로 유도하는 엘보유도관이 조립되고,
    상기 하부통체의 내측에는 상광하협으로서 하부에 모래배출구를 관통한 깔때기관이 조립되되, 상기 깔때기관은 상단부에 외주면에 돌출된 상부단턱을 상기 하부통체의 상단부에 걸림상태로 끼움되고 상기 상부통체의 하부 내측에 성형된 내측단턱이 상기 걸림단턱의 상부을 누름하고 상기 체결너트의 나사조립으로 결속되어 결합되되,
    상기 엘보유도관에 의해 농업용수가 상부통체의 내주면 일측으로 상기 격벽관체의 외주면 측으로 공급되면서 와류상태로 하향으로 흐름을 유도함과 동시에 상기 깥때기관의 모래배출구를 통해 모래를 배출하여 상기 하부통체의 하부배수관에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수 모래 여과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통체는 상기 용수유입구에 조립되는 상기 엘보유도관의 출수구 측에서 상기 격벽관체의 외주면에 하향으로 와류나선이 상기 용수배출구의 관체 외주면 하측에 일체로 연장 성형하여 농업용수를 하향의 나선상으로 유체흐름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수 모래 여과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관의 내주면에는 일정간격 방사상으로 타격돌기을 다수개 돌출하여 와류흐름하는 용수 속의 모래가 타격되면서 낙하을 유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수 모래 여과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관은 상협하광의 역방향으로 설치하되, 모래배출구를 몸체의 지름이 넓은 하부 측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수 모래 여과기.
KR1020200009801A 2020-01-28 2020-01-28 농업용수 모래 여과기 KR202100964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801A KR20210096401A (ko) 2020-01-28 2020-01-28 농업용수 모래 여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801A KR20210096401A (ko) 2020-01-28 2020-01-28 농업용수 모래 여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401A true KR20210096401A (ko) 2021-08-05

Family

ID=77316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801A KR20210096401A (ko) 2020-01-28 2020-01-28 농업용수 모래 여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64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8105A1 (es) * 2022-05-11 2023-11-16 Javier Altabas Ibor Dispositivo autolimpiante para rieg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766Y1 (ko) 2004-09-13 2004-12-18 이대우 농업용수 여과기
KR200458945Y1 (ko) 2009-10-28 2012-03-19 태광에이텍 주식회사 농업용수 여과기의 상부몸통에 필터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766Y1 (ko) 2004-09-13 2004-12-18 이대우 농업용수 여과기
KR200458945Y1 (ko) 2009-10-28 2012-03-19 태광에이텍 주식회사 농업용수 여과기의 상부몸통에 필터의 결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8105A1 (es) * 2022-05-11 2023-11-16 Javier Altabas Ibor Dispositivo autolimpiante para rieg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81977B2 (ja) インラインストレーナ
US5108592A (en) Rotary self-cleaning strainer simultaneously cleaned and rotated by nozzle structure
KR102248549B1 (ko) 버켓 타입 스트레이너장치
KR20210096401A (ko) 농업용수 모래 여과기
KR100890547B1 (ko)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
US7077957B2 (en) Overflow screening device
CN210987486U (zh) 农用微喷灌装置
CN206473922U (zh) 水气分离器
US4902412A (en) Swimming pool water recirculation system
US4953788A (en) Water spray fitting
KR101150957B1 (ko) 농업용수 여과기
US1202723A (en) Strainer for humidifiers.
KR100888450B1 (ko) 지하수여과처리장치
CN108457721B (zh) 柴油机油气分离器
RU2006136181A (ru) Сетчатый горизонтальный фильтр
CN107484742B (zh) 一种基于生态园林的灭虫系统
US1297978A (en) Steam-strainer.
JP5748727B2 (ja) インラインストレーナ
CN107494495B (zh) 一种用于生态园林的杀虫设备
US1033544A (en) Steam-strainer.
KR20190122412A (ko) 필터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농업용 여과기
CN216492520U (zh) 一种防止堵塞的园林喷灌设备
KR102419863B1 (ko) 샤워기용 기능성 성분 공급모듈
KR102625168B1 (ko) 원뿔대 형태의 여과망 탑재로 압력손실 없이 필터 세척과 유량조절이 가능한 밀폐형 여과 볼밸브
RU2298913C1 (ru) Капельниц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