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5168B1 - 노즐 유닛 - Google Patents

노즐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5168B1
KR101185168B1 KR1020100108289A KR20100108289A KR101185168B1 KR 101185168 B1 KR101185168 B1 KR 101185168B1 KR 1020100108289 A KR1020100108289 A KR 1020100108289A KR 20100108289 A KR20100108289 A KR 20100108289A KR 101185168 B1 KR101185168 B1 KR 101185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fluid
filter
suction por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8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6568A (ko
Inventor
김철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8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5168B1/ko
Publication of KR20120046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6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0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annular, tubular or hollow conic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40Filters located upstream of the spraying outlets

Landscapes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노즐 유닛이 개시된다. 유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관로를 구비하고 있으며 관로의 측면에 흡입구가 형성된 노즐, 흡입구로 유입되는 유체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흡입구를 커버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노즐 유닛은, 유입구로 유입되는 양보다 많은 양의 유체가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유체의 흐름을 유도함으로써 많은 양의 유체를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노즐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균일한 분사 및 대상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노즐 유닛{Nozzle unit}
본 발명은 노즐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판 제조과정의 도금공정에서는 도금될 기판에 도금액을 충분한 양을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기판의 오염을 방지하고 균일한 도금액 분사를 위하여, 도금액을 분사하는 노즐에는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은 원하는 양의 유체를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노즐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노즐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관로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관로의 측면에 흡입구가 형성된 노즐,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유체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흡입구를 커버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노즐 유닛이 제공된다.
상기 노즐은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는 상기 파이프형 노즐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파이프형 노즐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는 탈착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파이프형 노즐을 감싸는 고리형의 필터부, 상기 고리형 필터부의 양단을 결합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는 그물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의 토출구에서 연장되도록, 상기 노즐에 조립되는 노즐 확장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노즐 확장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노즐과 상기 노즐 확장부재의 조립 시에 상기 노즐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을 수 있다.
상기 노즐 확장부재는, 유체가 토출되는 방향으로 직경이 확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노즐 유닛은 도금액에 침전되어, 상기 유입구 및 흡입구로 유입되는 도금액을 분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입구로 유입되는 양보다 많은 양의 유체가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유체의 흐름을 유도함으로써, 많은 양의 유체를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노즐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균일한 분사 및 대상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유닛의 노즐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에서 유체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유닛의 필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유닛의 노즐 확장부재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유닛은 관로(12)의 측면에 흡입구(14)가 형성된 노즐(10) 및 흡입구(14)를 커버하는 필터부재(20)를 포함한다.
노즐(10)은 유체를 대상물을 향하여 토출시키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노즐(10)은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2a) 및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12b)가 형성된 관로(12)를 구비한다. 특히, 본 실시예의 노즐(10)에는 관로(12)의 측면에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14)가 형성되어 유입구(12a)로 흡입되는 유체보다 많은 양의 유체를 토출할 수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유닛의 노즐(10)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10)에서 유체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노즐(10)은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관로(12)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노즐(10)의 양단에 각각 유입구(12a) 및 토출구(12b)가 형성된다. 그리고, 파이프형 노즐(10)의 외주면에는 관로(12)와 관통된 흡입구(14)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입구(12a)에서 토출구(12b)로의 유체 흐름이 형성되면, 흡입구(14)를 통하여 주변의 유체가 빨려 들어오게 되어 토출되는 유량이 증가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노즐 유닛이 도금액에 침전되어 도금액을 분사하는 노즐(10)로 사용될 경우, 유입구(12a)로 유입되는 양보다 많은 도금액이 토출구(12b)로 토출됨으로써, 많은 양의 도금액을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필터부재(20)는 흡입구(14)로 유입되는 유체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필터부재(20)는 흡입구(14)를 커버하며, 흡입될 유체를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필터부재(20)는 도금액에 침전되어 사용되는 노즐(10)의 흡입구(14)로 드라이 필름 등의 이물질이 유입을 막는 그물망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노즐(10)이 균일하게 도금액을 분사하며, 도금 대상물이 이물질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유닛의 필터부재(2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필터부재(20)는 파이프형 노즐(10)에 설치될 수 있도록, 파이프형 노즐(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필터부재(20)는 사용 후에 이물질의 제거 또는 교체가 용이하도록 노즐(10)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필터부재(20)는 파이프형 노즐(10)을 감싸는 'C'자 형상으로 형성된 고리형의 필터부(22)와 고리형 필터부(22)의 양단을 결합시키는 체결부(24)로 이루어져 파이프형 노즐(10)에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노즐(10)에는 노즐(10)을 연장시키는 다양한 형태의 노즐 확장부재(30)가 조립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유닛의 노즐 확장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노즐(10)에는 필터부재(20)가 결합된 노즐 확장부재(30)가 조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즐 확장부재(30)는 내부에 형성된 유로가 노즐(10)의 토출구(12b)와 연통되도록 노즐(10)에 조립된다. 그리고, 필터부재(20)는 조립 시에 흡입구(14)가 형성된 노즐(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노즐 확장부재(30)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노즐(10)에 필터부재(20)의 장착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노즐 유닛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더불어, 기존에 사용되던 노즐(10)을 그대로 이용하고도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때, 노즐 확장부재(30)는 노즐의 길이를 연장할 뿐만 아니라 노즐(10)의 직경을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토출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노즐 확장부재(30)는 유체가 토출되는 방향으로 직경이 확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10: 노즐
12: 관로
12a: 유입구
12b: 토출구
14: 흡입구
20: 필터부재
22: 필터부
24: 체결부
30, 35: 노즐 확장부재

Claims (8)

  1. 유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관로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관로의 측면에 흡입구가 형성된 노즐; 및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유체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흡입구를 커버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는 상기 파이프형 노즐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파이프형 노즐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유닛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탈착이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파이프형 노즐을 감싸는 고리형의 필터부; 및
    상기 고리형 필터부의 양단을 결합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그물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토출구에서 연장되도록, 상기 노즐에 조립되는 노즐 확장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노즐 확장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노즐과 상기 노즐 확장부재의 조립 시에 상기 노즐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확장부재는, 유체가 토출되는 방향으로 직경이 확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유닛은 도금액에 침전되어, 상기 유입구 및 흡입구로 유입되는 도금액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유닛.
KR1020100108289A 2010-11-02 2010-11-02 노즐 유닛 KR101185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289A KR101185168B1 (ko) 2010-11-02 2010-11-02 노즐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289A KR101185168B1 (ko) 2010-11-02 2010-11-02 노즐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568A KR20120046568A (ko) 2012-05-10
KR101185168B1 true KR101185168B1 (ko) 2012-09-24

Family

ID=46265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8289A KR101185168B1 (ko) 2010-11-02 2010-11-02 노즐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51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157B1 (ko) 2017-05-19 2018-11-02 윤동열 유체증폭노즐을 구비한 에어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907B1 (ko) * 2013-01-11 2014-08-08 주식회사 코리아써키트 이물질 제거용 노즐
KR101589206B1 (ko) * 2014-12-22 2016-01-27 주식회사 포스코 완충 부재가 구비된 노즐 유닛 및 이를 위한 체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794B1 (ko) * 2000-04-17 2003-05-16 주식회사 태백종합환경기술단 액체를 원동체로 하는 조립식 인젝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794B1 (ko) * 2000-04-17 2003-05-16 주식회사 태백종합환경기술단 액체를 원동체로 하는 조립식 인젝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157B1 (ko) 2017-05-19 2018-11-02 윤동열 유체증폭노즐을 구비한 에어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568A (ko) 201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3809B1 (ko) 분사노즐 및 필터의 자동 막힘 제거가 가능한 자동 분무시스템
KR20120065164A (ko) 배관용 스트레이너 구조
CN109641763A (zh) 净水滤筒和净水器
KR101185168B1 (ko) 노즐 유닛
US6051076A (en) Device for cleaning a transport belt
KR102002171B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스트레이너 및 이를 적용한 펌프
KR101917249B1 (ko) 비닐하우스의 약액 이동관 및 분사노즐 청소 시스템
CN105642000A (zh) 一种圆筒网式过滤器
TWI363653B (en) Wetted wall venturi scrubber with a 2-stage venturi throat
RU2578310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компактное распыляющее сопло, для очищения фильтровальной ткани в дисковом фильтре
JP5198826B2 (ja) 洗浄装置
JPH09103715A (ja) 粉体噴霧塗装用噴射装置
CN104512961B (zh) 散气装置及水处理装置
KR100679132B1 (ko) 관입형 분사관을 구비하는 여과사 세척장치
KR200228884Y1 (ko) 약액용 분사노즐
JP2005076162A5 (ko)
JP2009148651A (ja) 排水管の洗浄方法及び装置
KR20140131095A (ko) 세척가능한 필터를 갖는 샤워기
KR100973773B1 (ko) 수족관 정수장치
KR200436249Y1 (ko) 농업용 이중분수호스
JP3738277B2 (ja) 自洗式ストレーナ及び自洗式ストレーナを用いた曝気装置
KR20170000629A (ko) 항공기 연료탱크 세정장치
JP6835364B2 (ja) 粉体混合機及び粉体混合方法
JP6133102B2 (ja) 汚染土輸送洗浄装置および汚染土輸送洗浄方法
KR20110007635A (ko) 샤워기의 샤워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