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7024B1 - 유체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유체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7024B1
KR101617024B1 KR1020140118857A KR20140118857A KR101617024B1 KR 101617024 B1 KR101617024 B1 KR 101617024B1 KR 1020140118857 A KR1020140118857 A KR 1020140118857A KR 20140118857 A KR20140118857 A KR 20140118857A KR 101617024 B1 KR101617024 B1 KR 101617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filter
flow path
filter mount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8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6046A (ko
Inventor
박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8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7024B1/ko
Publication of KR20140116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B01D29/5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arranged concentrically or c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03Filters in combination with devices for the removal of liquids
    • B01D36/006Purge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유체여과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여과장치는 유입구, 유출구 및 내부에 필터가 장착되는 복수의 필터 장착홀이 형성된 필터 케이싱을 갖는 본체와, 필터 케이싱 상부 및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복수의 필터 장착홀 중 적어도 하나의 필터 장착홀 양단을 밀폐하여 역세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형성부재 및 필터의 세정을 위한 역세 작동시 필터에 의해 정화된 후 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유체를 회수하여 유로형성부재에 전달하기 위한 회수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체여과장치{FLUID FILT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유체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의 세척이 가능한 유체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생산 공정에서는 기체나 액체 등의 유체의 전달을 필요로 한다. 유체는 순도가 해당 생산 공정의 수율 및 성능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따라서, 이러한 유체는 충분히 정화된 고순도의 유체로 공급되어야 한다. 그러나, 필터는 원수의 압력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필터의 효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필터의 구멍이 막히게 되어 여과 효율이 급격히 떨어지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필터를 교환하거나, 세척수를 거꾸러 흘러주어 필터를 세척하는 방법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4236호에 제안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한국등록특허 제1054236호(2011.08.08 공고)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필터의 여과 및 세정이 동시에 가능한 유체여과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입구, 유출구 및 내부에 필터가 장착되는 복수의 필터 장착홀이 형성된 필터 케이싱을 갖는 본체와, 상기 필터 케이싱 상부 및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필터 장착홀 중 적어도 하나의 필터 장착홀 양단을 밀폐하여 역세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형성부재 및 상기 필터에 의해 정화된 후 상기 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유체를 회수하여 상기 유로형성부재에 전달하도록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로형성부재를 연결하는 회수배관과, 상기 유출구에서 토출되는 유체를 펌핑하도록 상기 회수배관상에 마련되는 역세펌프와, 상기 회수배관에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상기 회수배관상에 마련되는 역세밸브를 포함하는 회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의 세정을 위한 역세 작동시 상기 유출구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압력과 상기 역세펌프의 펌핑력에 의해 상기 필터에 의해 여과된 유체가 상기 회수배관을 지나 상기 역세유로에 공급되는 유체여과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필터 장착홀 중 상기 유로형성부재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필터 장착홀에 장착된 필터는 상기 회수장치를 통해 회수된 유체에 의해 세척되고, 상기 복수의 필터 장착홀 중 나머지 필터 장착홀에 장착된 필터들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체의 여과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형성부재는 상기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필터 장착홀 중 적어도 하나의 필터 장착홀 상단을 밀폐하며 상기 회수배관으로부터 전달된 유체를 공급받는 상부유로를 형성하는 상부 회전암과, 상기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 회전암에 의해 밀폐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 장착홀 하단을 밀폐하며 상기 필터를 세정한 유체가 전달되는 하부유로를 형성하는 하부 회전암과, 상기 하부 회전암의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하부유로에 흐르는 유체를 전달받아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배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드레인배관에 흐르는 유체를 펌핑하기 위한 드레인펌프와, 상기 드레인배관에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드레인밸브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필터 장착홀은 상기 필터 케이싱의 중앙부 주위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1필터 장착홀과, 상기 필터 케이싱의 가장자리 근방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필터 장착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 회전암 및 상기 하부 회전암은 각각 상기 복수의 필터 장착홀 중 두 개의 필터 장착홀을 밀폐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를 길이를 갖는 한 쌍의 분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는 하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의 외면은 주름형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수배관에 상기 필터의 세척을 위한 유체를 공급하도록 상기 회수배관과 연결되는 유체공급배관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로형성부재에 전달되는 유체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장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입구 및 상기 유출구에 각각 설치된 제1압력센서 및 제2압력센서와, 상기 제1압력센서 및 상기 제2압력센서에 의해 계측된 압력의 차이값에 따라 상기 필터를 세정하기 위한 역세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차이값이 설정압력에 도달된 경우에는 상기 역세 작동을 수행하도록 상기 역세 밸브, 상기 역세 펌프, 상기 드레인 펌프 및 상기 드레인 밸브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역세 작동의 횟수가 미리 설정된 설정횟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공기공급장치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출구에서 토출되는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감지센서와, 상기 회수배관에 유체를 공급하도록 상기 회수배관에 연결되는 유체공급배관과, 상기 유체공급배관상에 마련되어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유체밸브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량감지센서에 의해 계측된 유랑값을 수신하고, 상기 유량값이 설정유량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유체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회수배관에 유체를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유체여과장치의 여과 작동 중에도 필터의 세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유체여과장치의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필터에 의해 정화된 유체를 이용하여 필터의 세척이 가능하므로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여과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여과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여과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추진장치의 지지링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유체여과장치의 역세 작동을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유체여과장치의 역세 작동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여과장치의 여과 작용시 유체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여과장치의 역세 작용시 유체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여과장치의 역세 작용시 공기 방울을 공급하는 경우의 유체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여과장치의 유출구에서 토출되는 유량이 부족한 경우의 유체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여과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여과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여과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여과장치(10)는 내부에 필터(30)가 장착되는 필터 케이싱(20)을 가지는 본체(11)를 구비하고, 본체(11)는 그 하부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2)가 마련되고 상부에는 필터(30)에 의해 정화된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구(13)가 마련될 수 있다.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된 오염된 유체는 본체(11) 내부에 마련된 필터(30)에 의해 여과된 후 유출구(13)를 통해 본체(11) 외부로 보내지게 된다.
필터 케이싱(20)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본체(11)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도록 본체(11) 내에 설치되고, 필터 케이싱(20)에 의해 구획된 본체(11) 하부공간은 유입구(12)와 연통되고, 본체(11) 상부공간은 유출구(13)와 연통된다.
필터 케이싱(20)에는 필터(30)가 설치되기 위한 복수의 필터 장착홀(21)이 마련되고, 복수의 필터 장착홀(21)은 각각 필터 케이싱(20)의 상하를 관통하여 개방된 양단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 필터 장착홀(21)은 서로 구분된 독립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필터 장착홀(21)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 케이싱(20)의 중앙부 주위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1필터 장착홀(21a)과, 필터 케이싱(20)의 가장자리 근방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필터 장착홀(21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필터 장착홀(21)에는 각각 유체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30)가 장착된다. 각 필터(30)는 상단이 밀폐되고 하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필터 장착홀(21)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길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테이퍼 단면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필터(30)의 하단은 필터 장착홀(21)의 하단과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필터(30)의 상단은 필터 장착홀(21)의 상단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는 본체(11) 하부의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필터링하여 본체(11) 상부의 유출구(13)로 유출되는 경우 정화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후술하는 필터(30)의 세척을 위한 역세 작용시 세척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또한, 필터(30)는 여과면적을 증가시켜 정화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외면에는 외주면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필터 장착홀(21) 내에 설치된 필터(30)는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된 유체의 이물질을 여과시키고, 필터(30)에 의해 정화된 유체는 유출구(13)를 통해 본체(11) 외부로 전달된다.
이 경우, 필터(30)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물질에 의해 필터(30)의 구멍이 막히게 되고, 이에 의해 필터(30)의 여과 성능은 저하되게 되므로 본 실시 예의 유체여과장치(10)는 필터(30)의 자동 세척을 위한 장치가 마련된다.
필터(30)의 자동 세척을 위하여 본 실시 예의 유체여과장치(10)는 본체(11) 내에서 필터 케이싱(20)의 상부 및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복수의 필터 장착홀(21) 중 적어도 하나의 필터 장착홀(21)의 양단을 밀폐하여 역세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형성부재(40)와, 필터(30)에 의해 정화되어 유출구(13)를 통해 토출되는 유체를 회수하여 유로형성부재(40)에 세척을 위한 유체를 공급하는 회수장치(60)를 포함한다.
유로형성부재(40)는 그 내부에 유체가 흐르는 유로를 구비하고, 유로형성부재(40)의 유로는 유출구(13)를 통해 유출되는 유체를 회수하는 회수장치(5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형성부재(40)는 본체(11) 외부의 구동원(50)에 의해 회전하는 상부 회전암(41) 및 하부 회전암(43)과, 하부 회전암(43)의 하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드레인 배관(70)을 구비하고, 상부 및 하부 회전암(41,43)은 필터 케이싱(20)의 중앙을 관통하는 회전축(42)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축(42)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구동원(50)은 연속적 방향 전환 또는 단계적 방향전환을 구현할 수 있는 모터 또는 스텝모터로 이루어져 유로형성부재(40)를 회전시키도록 본체(1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회전암(41,43)은 그 내부에 유체가 흐르는 유로를 갖는 중공의 관 형태로 마련되고, 복수의 필터 장착홀(2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단을 밀폐함으로써 필터(30)의 세척을 위한 역세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부 회전암(41)은 회수장치(60)의 회수배관(61)과 연통하는 상부유로(44)를 형성하도록 상단이 구동원(50)의 축에 결합되는 수직부(41a)와, 수직부(41a)에서 분기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 장착홀(21)의 상단 개구부와 접속하는 분기부(41b)를 포함한다.
회수배관(61)을 통해 전달된 유체는 수직부(41a)의 일측에 형성되는 유입홀(41c)을 통해 상부유로(44)에 유입된 후 상부 회전암(41)에 의해 선택되는 필터 장착홀(21)의 내부로 공급되게 된다.
하부 회전암(43)은 후술하는 드레인 배관(70)과 연통하는 하부유로(45)를 형성하도록 상단이 회전축(42)에 결합되며 하단이 드레인 배관(7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직부(43a)와, 상부 회전암(41)의 분기부(41b)와 대응하도록 수직부(43a)에서 분기되는 분기부(43b)를 포함한다.
상부유로(44)를 통해 선택된 필터 장착홀(21)의 내부로 공급되어 필터(30)를 세척한 유체는 하부유로(45)에 유입되게 되고, 하부유로(45)에 유입된 유체는 드레인 배관(70)을 통해 본체(11)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상부 및 하부 회전암(41,43)에 각각 형성되는 분기부(41b,43b)는 필터 케이싱(2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필터 장착홀(21a) 및 제2필터 장착홀(21b) 중 각각 하나를 밀폐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한 쌍을 구비할 수 있다.
회수장치(60)는 필터(30)에 의해 정화된 후 유출구(13)를 통해 토출되는 유체를 회수하여 유로형성부재(40)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이 유출구(13)의 출구측과 연통되고 타단이 상부 회전암(41)의 유입홀(41c)과 연통하는 회수배관(61)과, 회수배관(61)상에 마련되어 유출구(13)의 출구측 유체를 펌핑하기 위한 역세펌프(65)와, 회수배관(61)으로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역세밸브(63)를 포함한다.
회수장치(60)에 의해 공급되는 유체는 필터(3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정화된 상태로 유로형성부재(40)의 상부 회전암(41)에 공급되게 되므로 필터(30)의 세척 효율은 향상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세척을 위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설비는 필요치 않게 된다.
회수장치(60)에 의해 유로형성부재(40)의 상부 회전암(41)에 공급된 유체는 유로형성부재(40)에 의해 선택된 필터 장착홀(21)에 유입되어 필터(30)를 세척한 후 하부 회전암(43)에 집수되게 된다. 하부 회전암(43)에 집수된 유체는 드레인 배관(70)을 통해 본체(11) 외부로 배출된다.
드레인배관(70)은 하부 회전암(43)의 하부유로(45)와 연통하도록 마련되고, 드레인배관(70) 상에는 드레인배관(70)에 흐르는 유체를 펌핑하기 위한 드레인펌프(71)와, 드레인배관(70)에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드레인밸브(73)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의 유체여과장치(10)는 회수장치(60)에 의해 유로형성부재(40)에 공급되는 유체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장치(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공기공급장치(80)는 회수배관(61)을 통해 유로형성부재(40)에 공급되는 유체에 고압의 공기 방울을 공급하여 필터(30)의 세척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유체와 혼합된 공기방울은 파열시 발생하는 팽창압에 의하여 유체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필터(30)에 끼워진 이물질의 제거를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공기공급장치(80)는 고압의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펌프 또는 압축기와 연결되는 공기배관(81)과, 공기배관(81)으로부터 회수배관(61)으로의 공기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공기밸브(83)를 구비할 수 있다.
공기배관(81)은 일단이 공기를 공급하는 펌프 또는 압축기와 같은 장치와 연결되거나, 유체여과장치(10)를 선박에서 적용하는 경우에는 선박에 통상적으로 구비된 압축공기라인과 연결되고, 타단은 유로형성부재(40)의 유입홀(41c)과 인접한 회수배관(61)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의 유체여과장치(10)는 필터(30)의 막힘에 의해 유출구(13)를 통해 유출되는 유체의 유량이 부족한 경우 회수배관(61)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체공급배관(9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유체공급배관(90)은 역세펌프(65)와 역세밸브(63) 사이의 회수배관(61)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은 유체를 공급하는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 예의 유체여과장치(10)를 선박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유체를 공급하는 장치는 청수공급배관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유체공급배관(90)에는 회수배관(61)으로의 유체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유체공급밸브(91)가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유체여과장치의 필터 세척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유체여과장치의 역세 작동을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유체여과장치(10)는 제1압력센서(110), 제2압력센서(120), 유량감지센서(130) 및 제어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압력센서(110)는 유체여과장치(10)의 유입구(12)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유입구(12)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압력센서(110)는 유입구(12)에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값은 제어부(100)로 전송한다.
제2압력센서(120)는 유체여과장치(10)의 유출구(13)에서 토출되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유출구(13)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압력센서(120)는 유출구(13)에서 토출되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값은 제어부(100)로 전송한다.
유량감지센서(130)는 유체여과장치(10)의 유출구(13)에서 토출되는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유출구(13)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유량감지센서(130)는 유출구(13)에서 토출되는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유량값은 제어부(100)로 전송한다.
제어부(100)는 유체여과장치(10)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다수의 컴퓨터 명령을 실행하는 CPU를 구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00)는 제1압력센서(110)와 제2압력센서(120)에 의해 계측된 유체의 압력값을 입력받아 두 센서(110,120)에 의해 계측된 압력의 차이값을 계산하고, 압력의 차이값이 설정압력(예:0.5bar) 이상인 경우에는 유체여과장치(10)가 역세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종 장치를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여과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유체여과장치의 역세 작동의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여과장치의 여과 작용시 유체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여과장치의 역세 작용시 유체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여과장치의 역세 작용시 공기 방울을 공급하는 경우의 유체 흐름을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여과장치의 유출구에서 토출되는 유량이 부족한 경우의 유체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체여과장치(10)의 여과 작용시 본체(11) 하부의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되는 오염된 유체는 복수의 필터 장착홀(21)에 각각 설치된 필터(30)에 의해 여과된 후 본체(11) 상부의 유출구(13)를 통해 유출된다.
이때, 복수의 필터 장착홀(21) 중 유로형성부재(40)에 의해 선택된 필터 장착홀(21)은 양단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유로형성부재(40)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복수의 필터 장착홀(21)에 설치된 필터(30)에 의하여 여과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유체여과장치(10)의 여과 작용시 유입구(12) 및 유출구(13) 근방에 각각 설치된 제1압력센서(110) 및 제2압력센서(120)는 유체의 압력을 계측하고 계측된 압력값을 제어부(100)에 전송한다.
제어부(1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센서(110,120)에 의해 계측된 압력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두 압력값의 차이를 계산한다(S10).
그리고, 수신된 두 압력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설정압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유체여과장치(10)의 역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부(100)는 역세밸브(63)를 개방하고 역세펌프(65)를 동작시킨다(S20). 또 제어부(100)는 드레인밸브(73)를 개방한 후 드레인펌프(71)를 동작시킨다(S30).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되어 필터(20)에 의해 정화된 후 유출구(13)를 통해 토출되는 유체는 역세펌프(65)의 흡입력에 의하여 회수배관(61)으로 회수되고, 회수배관(61)에 유입된 유체는 유로형성부재(40)를 통해 선택된 필터 장착홀(21)의 내부로 토출되어 필터(30)의 세척을 수행한 후 드레인배관(7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한번의 역세 작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유체여과장치(10)는 유로형성부재(40)에 의해 선택된 필터(30)의 세척 중에도 선택되지 않은 다른 필터(30)는 오염된 유체의 여과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역세 작동시에도 유체여과장치(10)의 여과 작동은 지속되게 된다.
또한, 제어부(100)는 유체여과장치(10)의 여과 작동시 구동원(50)을 통해 유로형성부재(40)를 360도 회전시킴에 의하여 복수의 필터 장착홀(21) 내에 설치된 각 필터(30)의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00)는 두 압력센서(110,120)에 의해 수신된 압력값의 차이가 설정압력 이내인 경우 또는 유로형성부재(40)의 일회전에 의해 복수의 필터 장착홀(21) 내에 설치된 각 필터(30)의 세척이 전부 완료된 경우에는 역세밸브(63) 및 드레인밸브(73)를 폐쇄하고, 역세펌프(65) 및 드레인펌프(71)의 동작을 정지시켜 역세 작동을 완료시킨다(S50).
이러한 역세 작동 과정에서 제어부(100)는 추가적으로 공기공급장치(80)의 공기밸브(83)를 개방하여 고압의 공기방울을 회수배관(61)에 공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전술한 한번의 역세 작동이 완료된 경우 역세 작동의 횟수를 카운트 하고, 소정의 시간 동안에 역세 작동의 횟수가 설정횟수(예로서 3회)를 초과한 경우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공급장치(80)의 공기밸브(83)를 개방하여 회수배관(61)에 공기방울을 공급하고, 공기방울과 함께 필터(30)의 세척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S60).
여기서 역세 작동 횟수의 카운트는 역세펌프(65)의 온/오프(ON/OFF)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역세펌프(65)가 작동되어 역세 작동이 이루어진 후 역세펌프(65)의 운전이 정지될 때 한번의 역세 작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역세 작동 횟수는 일 예에 불과하며 역세밸브(63), 드레인밸브(73) 또는 드레인펌프(71)의 온/오프 동작을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러한 역세 과정 중에서 제어부(100)는 유량감지센서(130)로부터 유출구(13)를 통해 유출되는 유체의 유량값을 수신받고, 유체의 유량값이 설정 유량값 이하로 판단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공급밸브(91)를 개방하여 유량공급배관(90)으로부터 회수배관(61)으로 유체의 공급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유체여과장치, 11: 본체,
12: 유입구, 13: 유출구,
20: 필터 케이싱, 21: 필터 장착홀,
30: 필터, 40: 유로형성부재,
41: 상부 회전암, 43: 하부 회전암,
50: 구동원, 60: 회수장치,
61: 회수배관, 63: 역세밸브,
65: 역세펌프, 70: 드레인배관,
71: 드레인펌프, 73: 드레인밸브,
80: 공기공급장치, 81: 공기배관,
83: 공기밸브, 90: 유체공급배관,
91: 유체밸브, 100: 제어부,
110: 제1압력센서, 120: 제2압력센서,
130: 유량감지센서.

Claims (15)

  1. 유입구, 유출구 및 내부에 필터가 장착되는 복수의 필터 장착홀이 형성된 필터 케이싱을 갖는 본체;
    상기 필터 케이싱 상부 및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필터 장착홀 중 적어도 하나의 필터 장착홀 양단을 밀폐하여 역세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형성부재; 및
    상기 필터에 의해 정화된 후 상기 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유체를 회수하여 상기 유로형성부재에 전달하는 회수장치; 및
    상기 회수장치에 의해 상기 유로형성부재에 공급되는 유체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회수장치는 일측이 상기 유출구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유로형성부재측에 연결되는 회수배관과, 상기 회수배관상에 마련되는 역세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에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과 상기 유출구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압력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설정압력보다 높은 경우 상기 역세펌프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체여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필터 장착홀 중 상기 유로형성부재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필터 장착홀에 장착된 필터는 상기 회수장치를 통해 회수된 유체에 의해 세척되고, 상기 복수의 필터 장착홀 중 나머지 필터 장착홀에 장착된 필터들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체의 여과를 수행하는 유체여과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형성부재는
    상기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필터 장착홀 중 적어도 하나의 필터 장착홀 상단을 밀폐하며 상기 회수배관으로부터 전달된 유체를 공급받는 상부유로를 형성하는 상부 회전암과,
    상기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 회전암에 의해 밀폐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 장착홀 하단을 밀폐하며 상기 필터를 세정한 유체가 전달되는 하부유로를 형성하는 하부 회전암과,
    상기 하부 회전암의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하부유로에 흐르는 유체를 전달받아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배관을 포함하는 유체여과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배관에 흐르는 유체를 펌핑하기 위한 드레인펌프와, 상기 드레인배관에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드레인밸브를 더 포함하는 유체여과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장착홀은 상기 필터 케이싱의 중앙부 주위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1필터 장착홀과, 상기 필터 케이싱의 가장자리 근방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필터 장착홀을 포함하는 유체여과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하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마련되는 유체여과장치.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배관에 상기 필터의 세척을 위한 유체를 공급하도록 상기 회수배관과 연결되는 유체공급배관을 더 포함하는 유체여과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차이값이 설정압력에 도달된 경우에는 상기 드레인 펌프 및 상기 드레인 밸브를 작동시키는 유체여과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역세 작동의 횟수가 미리 설정된 설정횟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공기공급장치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유체여과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에서 토출되는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감지센서와, 상기 회수배관에 유체를 공급하도록 상기 회수배관에 연결되는 유체공급배관과, 상기 유체공급배관상에 마련되어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유체밸브를 더 포함하는 유체여과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량감지센서에 의해 계측된 유량값을 수신하고, 상기 유량값이 설정유량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유체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회수배관에 유체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유체여과장치.
KR1020140118857A 2014-09-05 2014-09-05 유체여과장치 KR101617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8857A KR101617024B1 (ko) 2014-09-05 2014-09-05 유체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8857A KR101617024B1 (ko) 2014-09-05 2014-09-05 유체여과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4107A Division KR20130141034A (ko) 2012-06-15 2012-06-15 유체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046A KR20140116046A (ko) 2014-10-01
KR101617024B1 true KR101617024B1 (ko) 2016-05-13

Family

ID=51990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8857A KR101617024B1 (ko) 2014-09-05 2014-09-05 유체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70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4137A1 (ko) * 2016-09-05 2018-03-08 (주) 테크로스 역세척 필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9296A1 (ko) * 2015-10-19 2017-04-27 주식회사 고려필터 유체가압기가 구비된 역세척 방식의 필터장치
KR101951521B1 (ko) * 2016-10-31 2019-02-25 박상일 여과와 세척의 동시 수행이 가능한 여과기
KR102444478B1 (ko) * 2021-03-26 2022-09-19 제이에스이엔지(주) 롤 필터 프레스
KR102357123B1 (ko) * 2021-06-18 2022-02-08 이에스피 주식회사 연속 역세기능을 구비하는 판상형 적층여과기 및 이를 구비하는 여과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118Y1 (ko) * 1999-08-25 2000-03-15 서황석 자동 여과장치
KR101054236B1 (ko) * 2010-05-19 2011-08-08 박병근 자동 세척되는 필터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118Y1 (ko) * 1999-08-25 2000-03-15 서황석 자동 여과장치
KR101054236B1 (ko) * 2010-05-19 2011-08-08 박병근 자동 세척되는 필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4137A1 (ko) * 2016-09-05 2018-03-08 (주) 테크로스 역세척 필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046A (ko) 201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7024B1 (ko) 유체여과장치
KR20130141034A (ko) 유체여과장치
EP2922606B1 (en) Backwashing fluid filtering system
KR101169436B1 (ko) 필터 드럼에 의한 가압 역세척 방식의 필터장치
US8518274B2 (en) Filter device operating method
DK2756874T3 (en) A filter device
KR20170046495A (ko) 정수처리 시스템 및 그것의 역세척 모듈 제어방법
KR20060083306A (ko) 작동중 역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역세척방법
KR100630372B1 (ko) 여과장치
WO2009136448A9 (ja) 水回路の洗浄機構及びこの洗浄機構に用いられる濾過器
KR101499781B1 (ko) 오토 스트레이너
KR20120136179A (ko) 자동 세척되는 필터 장치
KR101741153B1 (ko) 컴팩트하고 운용성을 높이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CN216259530U (zh) 一种具有反冲洗功能的原水过滤装置
CN216418503U (zh) 一种带反冲清洗的反向过滤器和中药提取设备
KR101473429B1 (ko) 선택적 역세정이 가능한 선박 평형수 처리용 필터어셈블리
CN203303723U (zh) 手动反冲洗过滤器
KR101741156B1 (ko) 배압형성을 방지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CN107050981B (zh) 一种循环清洗的过滤设备
KR20180021542A (ko)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
JP4765874B2 (ja) 膜モジュールの洗浄方法
US20130180908A1 (en) Filter Backflush System for Entrained Filtration Elements
KR20070025918A (ko) 여과장치
KR101748744B1 (ko) 역세척라인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KR200476522Y1 (ko) 오토 스트레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