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1542A -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1542A
KR20180021542A KR1020160106251A KR20160106251A KR20180021542A KR 20180021542 A KR20180021542 A KR 20180021542A KR 1020160106251 A KR1020160106251 A KR 1020160106251A KR 20160106251 A KR20160106251 A KR 20160106251A KR 20180021542 A KR20180021542 A KR 20180021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water
housing
water
unit
purifi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상욱
Original Assignee
문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상욱 filed Critical 문상욱
Priority to KR1020160106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1542A/ko
Publication of KR20180021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5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02A20/131Reverse-osmo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는, 원수탱크와 역삼투막 장치를 연결하며, 원수탱크로부터 원수가 유입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설치되며,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원수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와,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원수에 의해 회전하도록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원수를 필터부로 이송시키며, 필터부에 의해 발생하는 슬러지를 하측으로 이송시키는 회전브러쉬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수의 유입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브러쉬부를 이용하여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제거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무동력으로 백워시(Backwash)를 진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FILTERING APPARATUS FOR SEAWATER DESALINATION SYSTEM}
본 발명은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수의 유입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브러쉬부를 이용하여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제거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무동력으로 백워시(Backwash)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 온난화 등에 의해 비가 국소적으로 또는 단시간에 내려서 수자원이 지리적 또는 시간적으로 편재하는 것과, 임업 쇠퇴나 삼림 벌채 등에 의해 산간부의 보수력(保水力)이 저하되는 것으로 인하여, 수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이에 수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바닷물을 담수화하는 여러가지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식수 및 생활용수로 직접 사용하기 힘든 바닷물로부터 염분을 포함한 용해물질을 제거하여 순도 높은 음용수 및 생활용수를 얻어내는 해수담수화 방식으로는 해수를 증발시켜 염분과 수증기를 분리하는 증발법과 해수를 반투막으로 통과시켜 담수를 생산하는 역삼투방식 및 이온교환막 처리를 응용한 전기여과막 분리방식 등이 있다.
즉, 해수 담수화 장치는 물이 부족한 지역에서 인공적으로 담수를 생산하여 식수나 농업용수 및 공업용수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해수에서 담수를 분리해 내는 방법에 따라 증발법, 역삼투압법, 전기투석막법, 냉동법 등 다양한 방법 및 그에 따른 해수 담수화 장치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또한, 해수담수화로 바닷물의 염분과 유기물질 등을 제거해 생활용수로 제공되는 담수화의 실행과 추진은 석회질성분(CaCO3)이 많은 중동지역을 비롯한 유럽, 남미, 아세아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특히, 해상운송을 장기간 운항해야 하는 항선 등은 육지로부터 수돗물을 공급받아 생활용수로 이를 다시 정수여과막을 이용하여 식수로 사용하고 있으나, 탱크에 저장한 물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산화력 상승으로 물의 장기보존이 불가능하여 탁도로 인한 세균문제와 활성화 효소결핍으로 건강에 많은 저해요인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대형 항선에서도 삼투현상을 역으로 이용하여 해수를 반투막으로 통과시켜 담수를 생산하는 역삼투방식을 시설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역삼투압의 원리를 이용하여 염수를 삼투압보다 높은 압력(50∼60㎏/㎠)을 가하여 겹겹으로 말린극미세 멤브레인 필터막을 통과시켜 얻어지는 담수방식으로서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무기질)마저 걸러내는 불합리한 초순수를 남기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역삼투방식을 이용한 해수처리 시스템은 역삼투막 장치로 유입되는 원수를 필터만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므로, 이물질의 제거율이 저하되고, 필터의 청소를 위한 백워시를 진행할 때 별도의 압축펌프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38344호(등록일:2010년01월14일)에는 "막여과장치 및 역삼투막장치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방법"가 개시되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2345호(등록일:2014년05월26일)에는 "고효율 역삼투 해수담수화 시스템"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원수의 유입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브러쉬부를 이용하여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제거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수를 필터링할 때 발생하는 압력을 이용하여 이물질 세척부의 압력을 상승시킨 후, 세척부의 압력을 이용하여 백워시(Backwash)가 가능하도록 하여 별도의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무동력으로 백워시를 진행할 수 있는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는, 원수탱크와 역삼투막 장치를 연결하며, 상기 원수탱크로부터 정수를 위한 원수가 유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상기 원수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와,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상기 원수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원수를 상기 필터부로 이송시키며, 상기 필터부에 의해 발생하는 슬러지를 하측으로 이송시키는 회전브러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원수탱크의 원수공급라인과 연결되는 원수유입부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정수가 배수되는 정수배출부를 포함하며, 내부에 상기 필터부가 결합되는 정수탱크와, 상기 필터부와 상기 정수탱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정수탱크에 결합되며, 상기 필터부에 의해 필터링되는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이물질배출부를 구비하는 타공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브러쉬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부재와, 상기 회전축부재에 나선 형태로 구비되는 브러쉬부재와, 상기 브러쉬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축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상기 원수를 상기 회전브러쉬부의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유체이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는, 상기 하우징에서 배출되는 정수 중 일부가 유입되도록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고, 상기 정수의 유입에 따라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서 세척수가 충진되며, 상기 세척수를 상기 하우징에 선택적으로 역류시켜 상기 하우징을 세척하는 이물질 세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물질 세척부는, 내부에 탄성을 가지는 세척수 수용튜브를 구비하는 역세탱크와, 상기 역세탱크에 충진된 상기 세척수를 상기 하우징으로 배출하도록 상기 세척수 수용튜브와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며, 세척수 개폐밸브를 구비하는 백워시라인과, 상기 백워시라인에서 분기되어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며, 정수유입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정수유입라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원수의 유입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브러쉬부를 이용하여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제거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원수를 필터링할 때 발생하는 압력을 이용하여 이물질 세척부의 압력을 상승시킨 후, 세척부의 압력을 이용하여 백워시(Backwash)가 가능하도록 하여 별도의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무동력으로 백워시를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 담수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를 나타낸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과 필터부와 회전브러쉬부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브러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럼으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 담수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를 나타낸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과 필터부와 회전브러쉬부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브러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100)는 원수(해수)를 역삼투막 장치(10)를 이용하여 처리하기 전에 원수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100)는 원수탱크(20)와 역삼투막 장치(10) 사이에 위치하며, 역삼투막 장치(10)를 통해 정수처리되는 담수는 담수탱크(30)에 저장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100)는 원수공급라인(21)을 통해 원수탱크(20)와 연결되고, 정수배출라인(11)을 통해 역삼투막 장치(10)와 연결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100)는 원수에 포함되는 유기물, 무기물, 중금속 등과 같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우징(110)과, 필터부(120)와, 회전브러쉬부(130)를 포함한다.
더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100)는 하우징(110)과, 필터부(120) 및 회전브러쉬부(130)를 무동력으로 역세할 수 있도록 이물질 세척부(140)를 더 포함한다.
또한,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100)는 필터부(120) 및 회전브러쉬부(130)에 의해 포집되는 이물질이 하우징(110)과 연결되는 드레인라인(40)을 통해 제거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에에 따른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100)는 원수탱크(20)에서 공급되는 원수를 필터부(120) 및 회전브러쉬부(130)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역삼투막 장치(10)로 배출하므로, 원수의 정화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하우징(110)은 원수공급라인(21) 및 정수배출라인(11)과 각각 연결되며, 내부에 필터부(120)가 설치된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내부에 회전브러쉬부(1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정수탱크(111)와, 필터부(120)와 정수탱크(111) 사이에 구비되는 타공케이스(113)를 포함한다.
정수탱크(111)는 상단부 일측에 원수공급라인(21)과 연결되는 원수유입부(111a)가 구비되고, 하단부 일측에 정수배출라인(11)과 연결되는 정수배출부(111b)가 구비된다. 이때, 원수공급라인(21)에는 원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원수 체크밸브(23)가 구비되고, 정수배출라인(11)에는 정수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정수 개폐밸브(13)가 구비된다. 정수 개폐밸브(13)는 원수를 여과할 때는 개방되고, 여과장치(100)를 백워시할 때에는 밀폐된다.
타공케이스(113)는 필터부(120)와 정수탱크(111) 사이에 위치하도록 정수탱크(111)에 결합되며, 필터부(120)에 의해 여과되는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이물질배출부(113b)를 구비한다. 또한, 타공케이스(113)는 필터부(120)를 통과한 정수가 필터부(12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정수가 일정한 압력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타공케이스(113)는 회전브러쉬부(130)의 회전을 지지하는 축지지부재(113a)를 구비한다.
이물질배출부(113b)는 회전브러쉬부(130)의 중심선상에 위치하도록 타공케이스(113)에 하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역류하는 것이 최소화되도록 확장공간부(113c)를 구비한다. 이러한 이물질배출부(113b)는 드레인라인(40)과 연결되고, 드레인라인(40)에 드레인 개폐밸브(41)가 구비된다. 드레인 개폐밸브(41)는 정수시에 밀폐되고, 백워시시에 개방된다.
필터부(120)는 타공케이스(113)와 회전브러쉬부(130) 사이에 위치하도록 타공케이스(113)에 결합되며, 정수탱크(111)로 유입되는 원수의 이물질을 필터링한다. 이러한 필터부(120)는 금속판에 복수의 미세구멍이 형성되어 제작되며, 미세구멍이 10μ이하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20)에 의해 필터링되는 이물질은 회전브러쉬부(130)에 의해 타공케이스(113)의 이물질배출부(113b)로 이송되며, 필터부(120)의 미세구멍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면 이물질 세척부(140)를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회전브러쉬부(130)는 하우징(110)으로 유입되는 원수에 의해 회전하도록 하우징(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회전브러쉬부(130)는 하우징(110)으로 유입되는 원수에 의해 회전되면서 원수를 필터부(120)로 이송시키면서 필터부(120)에 의해 필터링되는 이물질인 슬러지를 이물질배출부(113b)측으로 이송시킨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브러쉬부(130)는 하우징(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부재(131)와, 회전축부재(131)에 결합되는 브러쉬부재(133)와, 브러쉬부재(133)의 상측에 위치하는 유체이송부재(135)를 포함한다.
회전축부재(131)는 필터부(120)의 중심선상에 위치하도록 상단부 및 하단부가 정수탱크(111) 및 축지지부재(113a)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브러쉬부재(133)는 원수의 유입에 따라 회전하도록 회전축부재(131)에 나선 형태로 구비되어 원수유입부(111a)로 유입되는 원수를 필터부(120)로 이송시킨다. 이러한 브러쉬부재(133)는 미세철선이 회전축부재(131)에 나선 형태로 결합되어 형성되며, 필터부(120)로 유입되는 원수를 필터부(120)의 내부에서 보다 오래 시간 체류시킴은 물론 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통해 원수를 필터부(120)측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더하여 브러쉬부재(133)는 미세철선에 의해 형성되는 나선 구조를 통해 필터링되는 이물질을 이물질배출부(113b)로 이송시키면서 미세철선 사이에 이물질을 포집하게 된다.
유체이송부재(135)는 원수의 흐름에 의해 회전축부재(131) 및 브러쉬부재(133)가 용이하고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브러쉬부재(133)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유체이송부재(135)는 브러쉬부재(133)와 이격되게 회전축부재(131)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원수유입부(111a)로 유입되는 원수에 의해 회전하면서 원수의 흐름을 브러쉬부재(133)로 전환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부재(135)는 프로펠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물질 세척부(140)는 별도의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무동력으로 백워시가 가능하도록 하우징(110)의 원수공급라인(21) 및 정수배출부(111b)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세척부(140)는 정수배출라인(11)으로 배출되는 정수 중 일부가 유입됨에 따라 내부 압력이 증가하고, 필터부(120) 및 회전브러쉬부(130)의 세척시 세척수를 하우징(110)의 내부로 역류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세척부(140)는 정수의 유입에 따라 세척수가 추진되는 역세탱크(141)와, 역세탱크(141)와 하우징(110)을 연결하는 백워시라인(143)과, 역세탱크(141)와 하우징(110)을 연결하는 정수유입라인(145)을 포함한다.
역세탱크(141)는 내부에 탄성을 가지는 세척수 수용튜브(145a)를 구비하며, 세척수 수용튜브(145a)에 백워시라인(143)이 연결된다. 세척수 수용튜브(145a)는 정수유입라인(145)을 통해 이송되는 정수의 유입에 따라 팽창하면서 내부에 세척수가 충진되어 저장되며, 백워시라인(143)의 개방시 팽창압력에 의해 내부에 충진된 세척수를 고압으로 배출시킨다.
또한, 역세탱크(141)는 세척수 수용튜브(145a)가 과도하게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며, 세척수 수용튜브(145a)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안전밸브를 구비한다.
백워시라인(143)은 원수공급라인(21) 또는 원수유입부(111a)에 연결되며, 세척수 수용튜브(145a)에 충진된 고압의 세척수를 정수탱크(111)의 내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백워시라인(143)은 고압의 세척수를 정수탱크(111)에 선택적으로 배출함은 물론 원수의 필터링시 원수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세척수 개폐밸브(143a)를 구비한다. 세척수 개폐밸브(143a)는 원수의 필터링시에는 밀폐되고, 백워시를 진행할 때 개방된다.
정수유입라인(145)은 백워시라인(143)에서 분기되어 정수배출라인(11) 또는 정수탱크(111)의 정수배출부(111b)에 연결된다. 이러한 정수유입라인(145)은 세척수 수용튜브(145a)로 정수의 충진만이 가능하도록 정수유입 체크밸브(145a)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이물질 세척부(140)는 원수를 필터링할 때 정수유입라인(145)을 통해 유입되는 정수가 세척수 수용튜브(145a)로 유입되어 충진되면서 세척수 수용튜브(145a)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백워시를 위하여 백워시라인(143)의 세척수 개폐밸브(143a)가 개방되면 세척수 수용튜브(145a)에 충진된 세척수가 고압으로 배출되면서 필터부(120) 및 회전브러쉬부(130)를 세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수를 필터링할 때 정수의 일부가 이물질 세척부(140)로 유입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원수를 필터링할 때 정수 개폐밸브(13)를 밀폐시킨 상태에서 세척수 수용튜브(145a)를 완전하게 충진시킨 후 필터링 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정수 개폐밸브(13)를 개방한 상태에서 원수공급라인(21)으로 원수를 공급하면 정수탱크(111)의 원수유입부(111a)로 원수가 공급된다. 이때, 드레인 개폐밸브(41)와 세척수 개폐밸브(143a)는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원수유입부(111a)로 공급되는 원수의 유속으로 인하여 회전브러쉬부(130)가 회전하면서 원수를 필터부(120)측으로 이송시킴은 물론 필터부(120)에 의해 필터링되는 이물질을 이물질배출부(113b)측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원수유입부(111a)로 공급되는 원수가 유체이송부재(135)에 의해 브러쉬부재(133)로 원활하게 이송된다.
이후 원수가 회전브러쉬부(130)에 의해 필터부(120)로 유도되어 필터링되고, 필터링되는 정수가 정수배출부(111b)를 통해 역삼투막 장치(10)로 공급되어 후처리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정수배출부(111b)를 통해 정수배출라인(11)으로 배출되는 정수의 일부가 정수유입라인(145)을 통해 역세탱크(141)의 세척수 수용튜브(145a)로 유입되면서 세척수 수용튜브(145a)가 팽창하게 된다. 또한, 정수유입라인(145)으로 이송되는 정수는 정수유입 체크밸브(145a)에 의해 반대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100)를 역세할 때에는 원수의 공급을 중지한 상태에서 정수 개폐밸브(13)를 밀폐하고, 드레인 개폐밸브(41)를 개방시킨다. 이후 세척수 개폐밸브(143a)를 개방하면 팽창되었던 세척수 수용튜브(145a)가 수축되면서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세척수가 백워시라인(143)을 통해 고압으로 배출된다. 이로 인하여 필터부(120), 회전브러쉬부(130), 하우징(110)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드레인라인(40)을 통해 제거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100)는 원수공급라인(21)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브러쉬부(130)의 회전을 통해 원수를 필터부(120)로 원활하게 이송시킴은 물론 브러쉬부재(133)에 의해 이물질이 포집되므로,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제거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100)는 원수를 필터링할 때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정수의 일부가 세척수 수용튜브(145a)로 유입되어 세척수 수용튜브(145a)를 팽창시킨 후, 백워시시 세척수 수용튜브(145a)가 압축되면서 세척수를 배출하게 되므로, 별도의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무동력으로 백워시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100)는 원수를 역삼투막 장치(10)를 이용하여 처리하기 전에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므로, 원수의 이물질 필터링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100)는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의 유속을 이용하여 회전브러쉬부(130)를 회전시키므로, 회전브러쉬부(130)의 작동을 위한 별도의 구동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역삼투막 장치 20 : 원수탱크
30 : 담수탱크 40 : 드레인라인
100 :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 110 : 하우징
111 : 정수탱크 113 : 타공케이스
120 : 필터부 130 : 회전브러쉬부
131 : 회전축부재 133 : 브러쉬부재
135 : 유체이송부재 140 : 이물질 세척부
141 : 역세탱크 141a : 세척수 수용튜브
143 : 백워시라인 145 : 정수유입라인

Claims (5)

  1. 원수탱크와 역삼투막 장치를 연결하며, 상기 원수탱크로부터 원수가 유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상기 원수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상기 원수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원수를 상기 필터부로 이송시키며, 상기 필터부에 의해 발생하는 슬러지를 하측으로 이송시키는 회전브러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원수탱크의 원수공급라인과 연결되는 원수유입부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정수가 배수되는 정수배출부를 포함하며, 내부에 상기 회전브러쉬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정수탱크; 및
    상기 필터부와 상기 정수탱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정수탱크에 결합되며, 상기 필터부에 의해 필터링되는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이물질배출부를 구비하는 타공케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러쉬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부재;
    상기 회전축부재에 나선 형태로 구비되는 브러쉬부재; 및
    상기 브러쉬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축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상기 원수를 상기 회전브러쉬부의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유체이송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서 배출되는 정수 중 일부가 유입되도록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고, 상기 정수의 유입에 따라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서 세척수가 충진되며, 상기 세척수를 상기 하우징에 선택적으로 역류시켜 상기 하우징을 세척하는 이물질 세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세척부는,
    내부에 탄성을 가지는 세척수 수용튜브를 구비하는 역세탱크;
    상기 역세탱크에 충진된 상기 세척수를 상기 하우징으로 배출하도록 상기 세척수 수용튜브와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며, 세척수 개폐밸브를 구비하는 백워시라인; 및
    상기 백워시라인에서 분기되어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며, 정수유입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정수유입라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
KR1020160106251A 2016-08-22 2016-08-22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 KR201800215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251A KR20180021542A (ko) 2016-08-22 2016-08-22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251A KR20180021542A (ko) 2016-08-22 2016-08-22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542A true KR20180021542A (ko) 2018-03-05

Family

ID=61727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251A KR20180021542A (ko) 2016-08-22 2016-08-22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15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292B1 (ko) * 2018-08-21 2019-06-05 주식회사 에스케이에프엠 필터 자동 클리닝 기능을 갖는 정수장치
KR20220021316A (ko) * 2020-08-13 2022-02-2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식물공장 및 재배기 전용 순환식 수경재배 양액 전처리 정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292B1 (ko) * 2018-08-21 2019-06-05 주식회사 에스케이에프엠 필터 자동 클리닝 기능을 갖는 정수장치
KR20220021316A (ko) * 2020-08-13 2022-02-2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식물공장 및 재배기 전용 순환식 수경재배 양액 전처리 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3113B2 (ja) 水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ES2316986T3 (es) Aparato y procedimiento para el tratamiento de un fluido de inyeccion.
WO2014103854A1 (ja) バラスト水処理装置およびバラスト水処理装置の逆洗浄方法
JP7093202B2 (ja) 水処理システム
KR101666338B1 (ko)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필터링 장치
US20150375174A1 (en) Integrated ultrafiltration and reverse osmosis desalination systems
WO2013140848A1 (ja) 海水淡水化装置
JPWO2006059800A1 (ja) 五方弁
KR20240009538A (ko) 중공사막 모듈의 세정 방법 및 중공사막 여과 장치
KR100583005B1 (ko) 상하수용 고도 정수처리시스템 및 정수처리방법
CN104755156B (zh) 除污膜组件的运转方法
KR20180021542A (ko)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
JP4303779B1 (ja) 水回路の洗浄システム
KR101769609B1 (ko) 양방향 멤브레인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역삼투압 정수 시스템
JP2012110815A (ja) 排水の処理方法および排水の処理装置
RU2112747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воды и мембран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2011041907A (ja) 水処理システム
JP6530931B2 (ja) 脱塩方法、脱塩装置の洗浄方法及び脱塩装置
JP4454922B2 (ja) 中空糸型分離膜を用いた濾過装置の制御方法
JP2005046762A (ja) 水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2003251115A (ja) 固液分離装置
KR101708119B1 (ko) 해양구조물용 미네랄 첨가형 필터장치
KR20150106500A (ko) 담수를 원수로 이용할 수 있는 해수 담수화 장치
CN211813733U (zh) 一种反渗透直饮净水器
CN216639072U (zh) 一种水路系统以及净水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