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1949A - 직렬식 유로가 형성된 용수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직렬식 유로가 형성된 용수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1949A
KR20170011949A KR1020150150930A KR20150150930A KR20170011949A KR 20170011949 A KR20170011949 A KR 20170011949A KR 1020150150930 A KR1020150150930 A KR 1020150150930A KR 20150150930 A KR20150150930 A KR 20150150930A KR 20170011949 A KR20170011949 A KR 20170011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ackwash
screen
contaminated
fil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호
Original Assignee
(주) 코리아 인바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리아 인바이텍 filed Critical (주) 코리아 인바이텍
Publication of KR20170011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9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명칭에 직렬식 유로가 형성된 용수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용수의 이동방향과 일치하도록 배관을 직선상에서 용이하게 설치하고, 나아가 용수여과장치를 소형화한다.

Description

직렬식 유로가 형성된 용수여과장치{Auto strainer with series flow path}
본 발명은 직렬식 유로가 형성된 용수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용수의 이동방향과 일치하도록 배관을 직선상에서 용이하게 설치하고, 나아가 용수여과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직렬식 유로가 형성된 용수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이너(Strainer)라고 불리는 용수 여과기는 각종 설비 시스템에서 유입, 발생되는 유기적 부유물 등을 걸러내는 장치로써, 농업, 공업 용수 등을 정수시키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공장 등에서는 오염된 냉각수 등을 여과하는 용수 여과기가 배치되어 많은 양의 오염수를 여과하고 있으며, 여과된 여과수를 이용하여 철강 등의 제품을 식혀주는 데 사용하고 있다.
용수여과장치에서 오염수를 여과하기 위한 핵심 구성은 필터기능을 수행하는 스크린이다. 즉 이물질이 혼합된 오염수가 스크린을 통과하면 이물질은 스크린에서 걸러지고 여과수만 통과하여 배출되는 원리이다. 이 때 지속적으로 여과가 이루어지다 보면 스크린에 이물질이 많이 끼어 여과 효율이 떨어질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소정의 여과 과정 이후에는 스크린 하부에 역세암을 마주하게 함으로써 이물질을 포함하는 역세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세 과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기존의 용수여과장치에서는 스크린이나 필터가 용수의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용수가 배출되는 배관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았고, 또한 여과 후 특정위치의 스크린이나 필터가 용수의 이동을 방해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용수의 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해선 여과공간을 여유 있게 확보해야하므로 용수여과장치가 대형화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음으로, 용수여과장치에 관한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10358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용수를 원활히 배출하기 위해 직렬유로를 형성하고, 용수여과장치의 크기를 감소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수여과장치는 오염수가 유입되는 오염수유입구와, 상기 유입된 오염수에서 이물질이 걸러진 여과수를 배출하는 여과수배출구와, 이물질이 포함된 역세수를 배출하는 역세수배출챔버가 마련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측에서 상기 오염수유입구 안쪽에 설치되는 스크린장착부; 상기 스크린장착부에 설치되어 상기 오염수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오염수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크린; 및 상기 케이싱 내측에서 상기 스크린장착부 및 상기 오염수유입구 사이에 설치되고,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역세암을 가지며, 상기 역세암에 연결된 역세수유도부가 상기 스크린장착부를 통해 상기 스크린과 마주함으로써 이물질이 포함된 역세수를 상기 역세수배출챔버의 역세수배출구 측으로 유도하는 역세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의 연장방향은 상기 오염수가 이동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식 유로가 형성된 용수여과장치.
또한,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회전축은 상기 역세수단에 포함된 동력전달축과 직교하기 때문에 직렬유로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식 유로가 형성된 용수여과장치.
본 발명에 따른 직렬식 유로가 형성된 용수여과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배관의 설치가 용이하다. 본 발명에서는 용수여과장치의 내부 구성들이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즉, 오염수가 유입된 후 이동하여 배출되는 방향과 스크린이 연장되는 방향이 동일하다는 의미이다. 이에 따라 용수여과장치 내부의 구성들도 상당수 직렬로 배치되고 용수여과장치를 연결하는 배관 또한 직렬로 장착되기 때문에 세로로 장착하는 것에 비해 장착이 용이하고, 모터회전축이 역세암을 구동시키는 동력전달축과 수직으로 교차하여 배치되므로 여과공간이나 오염수유입구를 통과하여 모터를 배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직선유로가 가능해진다.
둘째, 용수여과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하여 설치가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용수여과장치는 직렬식 유로와 함께 스크린도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즉, 스크린의 연장방향과 여과수의 이동방향이 일치한다. 이러한 스크린의 직렬배치는 스크린에서 여과된 오염수, 즉 여과수가 여과수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때 여과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스크린이 종래와 같이 여과수의 이동방향과 수직이라면 원주상에 설치된 스크린들 중에 여과수가 배출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스크린은 여과수의 이동경로를 방해하게 될 것이다. 이는 스크린 내부에서 외부로 물이 배출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여과수의 이동방향과 스크린에서 분출되는 방향이 달라 충돌하여 저항이 생기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스크린이 여과수의 이동을 방해하는 일종의 장애물로 작용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과수가 이동하는 공간을 넓혀주어 여과수가 원활히 이동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여과공간이 넓어짐에 따라 용수여과장치의 크기는 증가할 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 선박의 내부 등에 용수여과장치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용수여과장치는 스크린의 연장방향과 여과수가 이동하여 배출되는 방향이 일치하여 스크린이 여과수의 이동경로를 방해하지 않으므로 여과공간을 작게 할 수 있고 이는 전체적인 용수여과장치의 크기 감소로 이어지기 때문에 용수여과장치의 설치가 용이하다.
셋째, 스크린이 설치된 공간의 단면적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열로 스크린이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스크린 사이에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단면적으로 보았을 때 스크린의 외부 면적은 모두 여과수가 지나갈 수 있는 통로가 되어 여과공간을 크게 하지 않더라도 여과수를 원활히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결국 용수여과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용수여과장치의 내부단면도.
도3은 종래의 용수여과장치와 본 발명에 따른 용수여과장치의 여과수 흐름을 비교하여 간략히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용수여과장치의 내부단면도이며, 도3은 종래의 용수여과장치와 본 발명에 따른 용수여과장치의 여과수 흐름을 비교하여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렬식 유로가 형성된 용수여과장치(이하 '용수여과장치'라 함)은 케이싱(110), 덮개부(120), 스크린(130a, 130b, 130c), 회전동력전달부(140), 역세수단(150) 및 스크린장착부(170) 등을 포함한다.
케이싱(110)은 용수여과장치(100)의 다른 구성들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덮개부(120)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또한 도면상에서 케이싱(110)의 대략 측면에는 오염수가 유입되는 오염수유입구(111)와, 유입된 오염수에서 이물질이 걸러진 여과수를 배출하는 여과수배출구(112)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싱(110)은 스크린장착부(170)에 의해 그 공간이 구획된다. 스크린장착부(170)는 케이싱(110) 내측에서 오염수유입구(111) 보다 좌측에 설치되어 고정되며, 스크린장착부(170)의 중심에서 같은 길이로 떨어진 위치에 스크린(130a, 130b, 130c)이 장착되는 스크린장착공(171)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스크린장착부(170)가 설치되면 그 좌측 부분이 여과공간(113)이 된다.
스크린(130a, 130b, 130c)은 여과공간(113)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오염수를 통과시키되 이물질은 걸러내기 위해 설치된다. 이러한 스크린(130a, 130b, 130c)은 스크린장착부(170)의 스크린장착공(171)에 장착된다. 이 때 스크린(130a, 130b, 130c)은 스크린장착부(170)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심원 상에 복수개가 설치된다. 또한 스크린(130a, 130b, 130c)의 하부는 스크린장착공(171)을 통해 스크린장착부(170)와 연통된 상태이다.
덮개부(120)는 별도의 결합수단을 통해 케이싱(110)에 결합되어 케이싱(110)의 공간을 폐쇄시키거나 개방시킨다. 통상적으로 여과과정이 이루어질 때에는 덮개부(120)가 폐쇄된 상태이며, 내부 구성들을 설치 및 분해할 시에는 덮개부(120)가 개방된다. 덮개부(120)를 개방하여 내부 부품들을 분해 및 조립할 수도 있다.
회전동력전달부(140)는 회전동력을 역세수단(150)에 전달시키기 위한 것으로 모터(141), 모터감속기(142), 모터회전축(143), 구동베벨기어(144)를 포함한다.
모터(141)는 역세과정에서 역세수단(150)에 필요한 동력을 공급한다.
모터감속기(142)는 모터(141)의 동력을 조절하여 모터(141)가 필요한 만큼의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모터회전축(143)은 모터(141)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고, 모터회전축(143)에 설치된 구동베벨기어(144)가 동력전달축(151)의 종동베벨기어(152)와 맞물려 역세수단(150)에 동력을 전달한다.
역세수단(150)은 회전동력전달부(14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스크린(130a, 130b, 130c)에 끼인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역세수단(150)은 역세본체(153), 역세암(154), 역세수배출챔버(160)를 포함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세본체(153) 및 역세암(154)은 서로 연결되어 역세수단(150)의 회전 중심상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역세본체(153)가 회전하면 역세암(154)도 회전하게 되며, 역세암(154)을 통해 유입된 역세수가 역세본체(153) 내로 취수될 수 있다. 이러한 역세본체(153)는 역세수배출챔버(160)가 외부에서 둘러싸고 있다.
도2상에서 역세본체(153)의 상단에 연결된 역세암(154)은 역세수를 역세본체(153) 측으로 유도하는 통로 역할의 역세수유도부(155a, 155b, 155c)를 중심으로 역세수유도부(155a, 155b, 155c)의 상부에 스크린(130a, 130b, 130c)과 순차적으로 마주하게 되는 역세수유입부(158)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역세수유입부(158)에는 상부로 밀착되는 밀착부(156)가 마련되어 있고, 밀착부(156) 내부에는 밀착스프링(157)이 설치되어 있다. 또, 역세본체(153)는 역세수배출관(162) 및 배출챔버(163)와 나사결합 되어 역세수단(150)이 역세과정에서 회전할 때 지지된다.
더불어 역세본체(153)에는 회전동력전달부(14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동력전달축(151)이 마련되어 있다. 동력전달축(151)은 회전동력전달부(140)의 동력을 전달받아 역세수단(150)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동력은 동력전달축(151)의 종동베벨기어(152)와 모터회전축(143)의 구동베벨기어(144)가 맞물려 연결되어 모터(141)의 동력이 역세수단(15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역세수배출부(160)는 케이싱(110) 내부에서 외부로 세로방향 연장되어 역세수를 배출하는 챔버로써, 역세본체(153)에서 흘러들어온 역세수가 역세수배출관(162)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 역세수배출구(161)가 형성되어 있고, 배출챔버(163)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출챔버(163)는 역세수배출관(162)에서 흐르는 역세수가 케이싱(110) 내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면서 외부로 빠져 나갈 수 있도록 일측을 차단하고, 역세본체(153)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역세수배출관(162)은 배출챔버(163)에 의해 케이싱(110) 내부와 완전히 차단되어 있다. 또한, 배출챔버(163)는 분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역세수배출관(162)에서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다. 역세수배출관(162)은 배출챔버(163)와 나사결합으로 결합되고, 역세본체(153)는 배출챔버(163)에 형성된 별도의 걸림턱(미도시)에 의해 배출챔버(163)와 걸려있어 역세수단(150)이 역세과정에서 필요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역세본체(153)와 역세수배출관(162) 및 배출챔버(163) 사이에는 누수방지를 위한 실링수단(미도시)이 더 장착될 수도 있다.
지지부(180)는 케이싱(110) 내부로 인입된 모터회전축(143)의 구동베벨기어(144)와 역세본체(153)와 연결된 동력전달축(151)의 종동베벨기어(152)가 안정적으로 맞물려 역세본체(153)로 전달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구성이다. 또한, 지지부(180)의 일측에는 지지날개(181)가 설치되어 동력전달축(151)의 일측을 함께 지지한다.
역세암지지축(182)은 역세암(154)를 스크린장착부(170)에 대하여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역세암지지축(182)에는 회전할 때 스크린장착부(170) 및 역세암지지축(182)이 마모되는 것과 누수를 방지를 위해 스크린장착부(170)의 중심공(172)에 밀폐부(173)와 더불어 축 실링수단(183)이 역세암지지축(182)의 끝단을 감싸면서 설치된다.
맨홀(190)은 용수여과장치(100)의 내부로 작업자가 들어가 수리를 하거나, 부품을 교체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된 통로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는 이하 작동과정에 대한 설명을 통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수여과장치(100)에서는 최초에 펌프(미도시)의 작동으로 인해 오염수가 오입수유입구(111)를 통해 화살표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케이싱(110) 내부로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오염수는 케이싱(110) 내부에서 스크린장착부(170)에 형성된 스크린장착공(171)을 통하여 여과공간(113)으로 유입된다. 이렇게 여과공간(113)으로 유입된 오염수는 펌프가 유입시키는 오염수의 압력에 의해 강한 압력으로 스크린(130a, 130b, 130c)을 통과하게 된다. 즉, 스크린장착공(171)의 크기는 한정되어 있고, 이에 따라 여과공간(113)으로 유입되는 오염수의 양은 정해져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스크린장착공(171)에는 펌프가 지속적으로 오염수를 유입시켜 높은 압력이 가해진다. 따라서 스크린장착공(171)을 통과한 오염수는 강한 압력으로 스크린(130a, 130b, 130c)을 통과하게 되고, 이에 따라 오염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효과적으로 여과될 수 있다. 이렇게 오염수가 스크린(130a, 130b, 130c)에 통과되어 이물질이 여과되고 나면, 여과된 오염수는 여과수배출구(1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130a, 130b, 130c)이 여과수의 이동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스크린(130a, 130b, 130c)에 여과된 오염수, 즉 여과수는 곧바로 여과수배출구(112)로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에서 설명한 스크린(130a, 130b, 130c)과는 반대로 스크린(130a, 130b, 130c)이 여과수의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어 설치된다면, 여과수는 다시 스크린(130a, 130b, 130c)과 마주치게 될 것이다. 즉, 도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수가 스크린(130a, 130b, 130c)을 지나치려 할 때 스크린(130a, 130b, 130c)에서 여과되어 나온 여과수와 또 다른 스크린(130a, 130b, 130c)에서 여과되어 나온 여과수가 부딪히면서 여과수의 배출이 원활히 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다. 즉, 나중에 마주치게 되는 스크린(130a, 130b, 130c)이 여과수 이동과 배출에 대한 일종의 장애물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여 여과수의 배출을 원활히 하기 위해 여과공간(113)을 늘릴 수밖에 없고, 결국 용수여과장치(100)의 크기는 증가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용수여과장치(100)에서는 도3의 (b)와 같이, 스크린(130a, 130b, 130c)이 여과수의 이동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여과수가 다시 스크린(130a, 130b, 130c)을 마주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여과공간(113)을 늘릴 필요가 없다. 즉, 스크린(130a, 130b, 130c)에서 여과된 여과수는 배출경로(A)에서 방해물과 마주치지 않으므로 원활하게 용수여과장치(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스크린장착부(170)에 설치된 스크린(130a, 130b, 130c)은 용수여과장치(100)에 따라 그 개수가 증감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동심원으로 3겹이 설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설치하기에 따라 그 이상 또는 이하가 될 수도 있다. 즉, 용수여과장치(100)가 설치되는 환경과 용도에 따라 필요한 용수여과장치(100)의 크기나 스펙이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제작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과정으로 스크린(130a, 130b, 130c)이 역세되고 역세수가 배출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과가 진행되는 동안 스크린(130a, 130b, 130c)에는 오염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다량으로 끼어있다. 따라서 스크린(130a, 130b, 130c)을 역세하여 이물질을 제거해야 추가적으로 오염수를 여과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역세과정에는 역세수단(150), 회전동력전달부(140) 및 역세수배출챔버(160)가 관여한다.
역세가 진행될 때 케이싱(110) 내부의 상황을 살펴보면, 회전동력전달부(140)의 모터(141)에 의해 회전동력이 생성되어 스크린(130a, 130b, 130c), 스크린장착부(170), 역세암(154) 및 역세본체(153)가 모두 역세수배출구(161)와 하나의 통로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진행된다.
먼저 모터(141)가 회전하여 케이싱(110) 외부에서 내부로 모터(141)와 연결된 모터회전축(143)이 회전된다면, 모터회전축(143)의 구동베벨기어(144) 또한 회전하게 되어 구동베벨기어(144)와 맞물린 종동베벨기어(152)의 회전으로 인해 동력전달축(151)이 회전된다. 그러므로 동력전달축(151)에 연결된 역세본체(153) 또한 회전하여 역세본체(153)에 연결된 역세암(154)도 마찬가지로 회전할 것이다. 이렇게 회전된 역세암(154)에는 역세수유도부(155a, 155b, 155c)가 연결되어 역세수유도부(155a, 155b, 155c) 또한 회전된다. 이렇게 역세수유도부(155a, 155b, 155c)가 회전하는 회전반경에는 동심원 상 3겹의 스크린(130a, 130b, 130c) 중 하나가 연결되어 역세수배출구(161)까지 단일통로를 이룰 것이다.
이상과 같이 단일통로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케이싱(110) 내부는 오염수의 유입에 따라 그 압력이 높은 상태이고, 케이싱(110) 외부는 대기압 상태이다. 따라서 스크린(130a, 130b, 130c) 외부의 여과수가 스크린(130a, 130b, 130c)의 표면을 관통하여 내측으로 유입될 것이다. 이렇게 세척된 역세수는 스크린장착공(171)과, 밀착스프링(157)에 의해 스크린장착부(170)에 밀착된 밀착부(156) 및 역세수유도부(155a, 155b, 155c)까지 연결된 통로를 따라 역세암(154)으로 이동하고, 이동된 역세수는 역세본체(153)를 거쳐 역세수배출구(162)을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면상에서 동심원으로 이루어진 3겹의 스크린(130a, 130b, 130c)이 설치된 것을 설명하였으므로, 역세수유도부(155a, 155b, 155c) 또한 3개가 각각 역세암(154)에 연결된다. 따라서 회전에 따라 각각의 스크린(130a, 130b, 130c)에 대응하는 역세수유도부(155a, 155b, 155c)로 역세수는 이동된다.
역세수단(150)은 별도의 제어부에 의해 작동될 수도 있다. 즉, 오염수유입구(111)와 여과수배출구(112) 상에 압력센서(미도시)를 각각 설치하고, 오염수유입구(111)의 압력과 여과수배출구(112)의 압력 차이가 일정 차이 이상이 되면 제어부가 스크린(130a, 130b, 130c)에 이물질이 많이 부착된 것으로 판단하고, 모터(141)를 작동시킴으로써 역세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 여과공정과 역세공정이 처음부터 함께 이루어지는 상세역세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수여과장치(100)는 배관의 설치가 용이하다. 본 발명에서는 용수여과장치(100)의 내부 구성들이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즉, 오염수가 유입된 후 이동하는 방향과 스크린(130a, 130b, 130c)이 설치되어 연장되는 방향이 동일하다는 의미이다. 이에 따라 용수여과장치(100) 내부의 구성들도 상당수 직렬로 배치되고 구성들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 또한 직렬로 장착되기 때문에 배관들 사이의 장착이 용이하다.
또한, 용수여과장치(100)의 크기를 소형화하여 설치가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용수여과장치(100)는 직렬식 유로와 함께 스크린(130a, 130b, 130c)도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즉, 스크린(130a, 130b, 130c)의 연장방향과 오염수의 이동방향이 일치한다. 이러한 스크린(130a, 130b, 130c)의 직렬배치는 스크린(130a, 130b, 130c)에서 여과수가 여과수배출구(1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때 여과공간(113)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스크린(130a, 130b, 130c)이 종래와 같이 여과수의 이동방향과 수직이라면 원주상에 설치된 스크린(130a, 130b, 130c)들 중에 여과수가 배출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스크린(130a, 130b, 130c)은 여과수의 이동경로를 방해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스크린(130a, 130b, 130c)이 여과수의 이동을 방해하는 일종의 장애물로 작용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과수가 이동하는 공간을 넓혀주어 여과수가 원활히 이동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여과공간(113)이 넓어짐에 따라 용수여과장치(100)의 크기는 증가할 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 선박의 내부 등에 용수여과장치(100)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용수여과장치(100)는 스크린(130a, 130b, 130c)의 연장방향과 여과수의 이동방향이 일치하여 스크린(130a, 130b, 130c)이 여과수의 이동경로를 방해하지 않으므로 여과공간(113)을 작게할 수 있고 이는 전체적인 용수여과장치(100)의 크기 감소로 이어지기 때문에 용수여과장치(100)의 설치가 용이하다.
또, 스크린(130a, 130b, 130c)이 설치된 공간의 단면적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열로 스크린(130a, 130b, 130c)이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스크린(130a, 130b, 130c) 사이에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단면적으로 보았을 때 스크린(130a, 130b, 130c)의 외부 면적은 모두 여과수가 지나갈 수 있는 통로가 되어 여과공간(113)을 크게 하지 않더라도 여과수를 원활히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결국 용수여과장치(100)의 크기를 소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동력전달부는 모터의 동력을 모터회전축의 베벨기어로 전달시키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실시하기에 따라 모터와 동력전달축 사이에 베벨기어를 대신해 스프로킷을 설치하고 체인으로 연결하여 동력이 전달될 수도 있고, 또한 모터와 동력전달축 사이에 풀리를 설치하고 벨트로 연결하여 동력이 전달될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용수여과장치
110 : 케이싱
111 : 오염수유입구
112 : 여과수배출구
113 : 여과공간
120 : 덮개부
130a, 130b, 130c : 스크린
140 : 회전동력전달부
141 : 모터
142 : 모터감속기
143 : 모터회전축
144 : 구동베벨기어
150 : 역세수단
151 : 동력전달축
152 : 종동베벨기어
153 : 역세본체
154 : 역세암
155a, 155b, 155c : 역세수유도부
156 : 밀착부
157 : 밀착스프링
158 : 역세수유입부
160 : 역세수배출부
161 : 역세수배출구
162 : 역세수배출관
163 : 배출챔버
170 : 스크린장착부
171 : 스크린장착공
172 : 중심공
173 : 밀폐부
180 : 지지부
181 : 지지날개
182 : 역세암지지축
183 : 축 실링수단
190 : 맨홀
A : 배출경로
<종래기술>
210 : 케이싱
230 : 스크린

Claims (3)

  1. 오염수가 유입되는 오염수유입구와, 상기 유입된 오염수에서 이물질이 걸러진 여과수를 배출하는 여과수배출구와, 이물질이 포함된 역세수를 배출하는 역세수배출챔버가 마련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측에서 상기 오염수유입구 안쪽에 설치되는 스크린장착부;
    상기 스크린장착부에 설치되어 상기 오염수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오염수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크린; 및
    상기 케이싱 내측에서 상기 스크린장착부 및 상기 오염수유입구 사이에 설치되고,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역세암을 가지며, 상기 역세암에 연결된 역세수유도부가 상기 스크린장착부를 통해 상기 스크린과 마주함으로써 이물질이 포함된 역세수를 상기 역세수배출챔버의 역세수배출구 측으로 유도하는 역세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식 유로가 형성된 용수여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연장방향은 상기 오염수가 이동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식 유로가 형성된 용수여과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회전축은 상기 역세수단에 포함된 동력전달축과 직교하기 때문에 직렬유로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식 유로가 형성된 용수여과장치.
KR1020150150930A 2015-07-20 2015-10-29 직렬식 유로가 형성된 용수여과장치 KR201700119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491 2015-07-20
KR20150102491 2015-07-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949A true KR20170011949A (ko) 2017-02-02

Family

ID=58151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930A KR20170011949A (ko) 2015-07-20 2015-10-29 직렬식 유로가 형성된 용수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19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053A (ko) 2018-11-19 2020-05-27 김진영 전자악기용 이펙터를 제어하는 무선 이펙터 셀렉터 및 컨트롤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053A (ko) 2018-11-19 2020-05-27 김진영 전자악기용 이펙터를 제어하는 무선 이펙터 셀렉터 및 컨트롤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14153C (en) Rotary disc filter
US9616364B2 (en) Filtering device for fluids
KR102244809B1 (ko) 우회수가 역세척에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우회수 제어 기능이 있는 프레임형 디스크 필터
CN202569766U (zh) 一种可在线更换滤芯的自清洗过滤器
KR200435974Y1 (ko) 무동력 자동 세척기능을 갖는 관로형 자외선 살균장치
CN102794044B (zh) 多滤筒自动反冲洗过滤装置
CN102921231A (zh) 全自动反冲洗式自清洗过滤器
CN2928197Y (zh) 一种具有反冲洗功能的过滤器
KR20170011949A (ko) 직렬식 유로가 형성된 용수여과장치
CN109139563B (zh) 潜污泵自降温装置
KR101085259B1 (ko) 폐액처리장치
CN104162305A (zh) 一种自动清洗污水过滤机构
KR101473429B1 (ko) 선택적 역세정이 가능한 선박 평형수 처리용 필터어셈블리
KR101109014B1 (ko) 자동역세척이 가능한 배관연결체
US10012319B1 (en) Piston valve with annular passages
CN108439503A (zh) 一种市政污水处理一体化装置
KR101711626B1 (ko) 스크린 분할형 용수여과장치
KR101653303B1 (ko) 스크린 분할형 용수여과장치
JP2016034628A (ja) 浄化装置
CN208193803U (zh) 一种液压马达驱动式自清滤器
KR101491004B1 (ko) 균일한 역세가 가능한 용수 여과 장치
KR20170030670A (ko) 스크린 분할형 용수여과장치
KR20150050282A (ko) 스크린 분할형 용수여과장치
KR101049285B1 (ko) 일정한 배출 유량을 갖는 여과 시스템
KR101745340B1 (ko) 유체 필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