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242B1 - 필터 장치 - Google Patents

필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242B1
KR101616242B1 KR1020150104316A KR20150104316A KR101616242B1 KR 101616242 B1 KR101616242 B1 KR 101616242B1 KR 1020150104316 A KR1020150104316 A KR 1020150104316A KR 20150104316 A KR20150104316 A KR 20150104316A KR 101616242 B1 KR101616242 B1 KR 101616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element
filter
washing water
cleaning means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4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세
한진영
전보현
Original Assignee
김창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세 filed Critical 김창세
Priority to KR1020150104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242B1/ko
Priority to CN201520998963.5U priority patent/CN205199077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07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brushes
    • B01D29/6415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brushes with a rota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76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 B01D29/7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for wash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필터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염된 원수(原水)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필터링된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오염된 원수를 필터링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 엘리먼트;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 엘리먼트 각각에 대하여 연결구를 통하여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 엘리먼트 각각을 세척하는 세척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 수단은, 세척 대상인 필터 엘리먼트의 개구부로 상기 오염된 원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하는, 필터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필터 장치{FILTERING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필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를 이용한 장치는 유체의 순도를 고순도로 유지해야 해당 장치의 효율성 및 유지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유체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필터 장치는 유체에 부유하는 불순물을 걸러주기 위해서 내부에 필터 엘리먼트가 포함되며, 필터 엘리먼트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터를 교체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교체에 따른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필터를 세척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종래의 필터 장치는, 유체가 유출입되는 유입구 및 유출구를 구비한 하우징, 하우징 내에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각각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상판 및 하판, 상하 개방된 원통형을 이루고 양단이 각각 상단과 하판의 관통공에 결합되어 상하로 연통시키는 복수개의 필터 드럼, 각각 필터 드럼에 수용되어 유입된 유체를 필터링하는 필터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필터링 수단, 상판과 하판의 중심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공급관, 유체를 가압하여 공급관의 하부로 유체를 공급하는 실린더, 필터 드럼의 상부에 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공급관과 연통된 분사로가 형성된 상부 브랜치, 필터 드럼의 하부에 상부 브랜치와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토출로가 형성되는 하부 브랜치를 포함하는 필터 세척수단을 포함한다.
필터장치 내의 압력을 이용하여 세척수를 역류시켜서 필터 엘리먼트에 부착된 오염물을 세척하는 방식인 역세척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 역세척수 배출용 연결관들은 회전축에 연결되어 필터 엘리먼트의 상부 또는 하부를 회전하면서 복수개의 필터 엘리먼트의 오염물을 제거한다. 그런데, 세척수단의 회전 중 배출용 연결관 유입구가 필터 엘리먼트로 유입되는 원수(여과되기 전의 유체)를 완전히 차단하기 전에는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원수와 필터 엘리먼트를 세척하기 위한 역세척수(여과된 여과수)의 충돌로 인하여 역세척수의 세척 효율이 저하되어 필터 엘리먼트의 오염물 제거 작업이 효율적으로 진행되지 않는다.
또한, 여과되기 위하여 필터 엘리먼트로 유입되는 원수가 해당 필터 엘리먼트의 세척 운전 중 배출되는 세척수와 함께 배출용 연결관으로 배출됨으로써 필터 장치의 시간당 운전처리 용량이 감소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98693호(2013.09.05)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필터 엘리먼트의 세척 효율이 증가되는 필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필터링 효율이 증가되는 필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필터 엘리먼트가 균일하게 세척될 수 있는 필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오염도가 높은 원수에 대해서도 필터의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필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염된 원수(原水)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필터링된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오염된 원수를 필터링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 엘리먼트;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 엘리먼트 각각에 대하여 연결구를 통하여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 엘리먼트 각각을 세척하는 세척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 수단은, 세척 대상인 필터 엘리먼트의 개구부로 상기 오염된 원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하는, 필터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연결구의 주위에 형성되고, 세척 대상인 필터 엘리먼트에 인접한 필터 엘리먼트의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가 차단되는 크기이며,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 엘리먼트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하나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연결구의 주위에 형성되고, 세척 대상인 필터 엘리먼트에 인접한 필터 엘리먼트의 개구부의 외주에 접하는 크기이며,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 엘리먼트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하나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세척 수단은, 세척 대상인 필터 엘리먼트 내에 세척수를 가압 공급하거나, 상기 세척 수단은 세척 대상인 필터 엘리먼트 내에 배압을 형성하여 세척수를 역류시킬 수 있다.
상기 세척 수단은, 상기 필터 엘리먼트를 통하여 역류한 세척수를 배출하는 세척수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엘리먼트는, 상기 유체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브러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엘리먼트는 역류된 세척수의 압력을 감소시키고, 상기 필터 엘리먼트의 상기 개구부 측에 배치되는 유속 감소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속 감소 부재가 복수 개 배치되는 경우, 최하측의 유속 감소 부재 이외의 유속 감소 부재를 통과하는 세척수가 지나는 중공관이 필터 엘리먼트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엘리먼트는, 원기둥형, 타원기둥형, 원뿔형, 역원뿔형, 원뿔대형, 역원뿔대형, 및 직선과 곡선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단면을 포함하는 기둥형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세척 수단에 차단 부재가 형성됨으로써, 세척수가 필터 엘리먼트로 유입되는 오염수와 충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필터 엘리먼트 내의 세척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필터링이 필요한 오염수가 필터 엘리먼트를 거치지 않고 세척수와 함께 세척수 배출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필터 장치의 필터링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필터 엘리먼트의 상측과 하측 간의 유속의 차이를 줄임으로써 필터 엘리먼트 전체에 대해서 균일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필터 엘리먼트 내에 회전 수단 및 브러쉬가 형성됨으로써, 오염도가 높은 오염수에 대해서도 필터 엘리먼트의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필터 장치에서의 세척 수단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 수단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 수단의 저면도 및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엘리먼트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엘리먼트의 개구부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의 역세척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엘리먼트의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필터 장치는 유체가 유출입되는 유입구(110) 및 유출구(120)를 포함하는 하우징(100), 하우징(100) 내에서 유체를 필터링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 엘리먼트(200), 적어도 하나의 필터 엘리먼트(200) 각각에 대하여 연결구(320a)를 통하여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필터 엘리먼트(200) 각각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 수단(320)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110)를 통하여 유입된 오염된 유체(원수)는 하우징(100) 내부에 마련된 필터 엘리먼트(200)를 통하여 필터링(filtering)된 후 유출구(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필터 엘리먼트(200)는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우징(100) 내부에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필터 엘리먼트(200)는 하우징(100)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서로 기결정된 간격을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필터 엘리먼트(200)는 하우징(100) 내부를 상하로 구획되도록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고, 필터 엘리먼트(200)에 의해 구획된 하우징(100)의 하부공간은 유입구(110)와 연통되고, 하우징(100)의 상부공간은 유출구(120)와 연통될 수 있다.
세척 수단(320)은 필터 엘리먼트(200) 각각을 순차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세척 수단(320)의 세척 방식은 필터 엘리먼트(200) 내에 세척수를 가압 공급하는 방식인 가압 방식 및 필터 엘리먼트(200) 내에 배압을 형성하여 필터 엘리먼트(200)에 의해 필터링된 유체가 필터 엘리먼트(200) 내로 역류하도록 하는 역세척 방식 중 하나에 의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세척 수단(320)의 방식 중 역세척 방식에 따른 세척 수단(320)을 도시한다.
세척 수단(320)은 상기 필터 엘리먼트(200)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하나에서 회전할 수 있다. 세척 수단(320)은 회전 샤프트(310)에 연결되고 회전 샤프트(310)는 모터(M)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회전하는 세척 수단(320)은 연결구(320a)를 통해 각각의 필터 엘리먼트(200)와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세척 수단(320)은 필터 엘리먼트(200)를 역세척한 후에 오염물을 함유한 역세척수를 배출하는 세척수 배출부(33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가압 방식인 경우에는 필터 엘리먼트(200)의 상측 또는 하측 중 일측에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 및 필터 엘리먼트(200)의 상측 또는 하측 중 타측에서 세척수를 배출하는 세척수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종래의 필터 장치에서의 세척 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 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필터 장치(도 2)에 있어서는, 세척 수단(320)의 연결구(320a) 주변(340)이 연결구(320a)에 근접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세척 수단(320)의 연결구(320a)는 세척 수단(320)이 회전하는 중에 필터 엘리먼트(200)의 개구부(240) 중 일부(240a) 만이 소통된다. 이 경우, 세척 수단(320)의 연결구(320a)와 소통되지 않는 나머지(240b)에는 필터 엘리먼트(200)의 원래 동작인 필터링 동작에 의해 오염된 원수가 유입된다. 따라서, 개구부(240)의 일부(240a)를 통해서는 필터 엘리먼트(200)에 대한 세척수가 배출되고, 나머지(240b)를 통해서는 필터 엘리먼트(200) 내부로 원수가 유입된다. 이에 의해서, 필터 엘리먼트(200)의 개구부(240) 측에서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세척수와 원수가 충돌하여 필터 엘리먼트(200)의 세척 효율이 저하되어, 필터 엘리먼트(200)의 오염 물질 제거가 효율적으로 진행되지 않는다.
그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도 3)에 있어서는, 세척 수단(320)에 세척 대상인 필터 엘리먼트(200)의 개구부(240)로 세척수 이외의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 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 부재(350)는 연결구(320a)의 주위에 형성되고, 세척 대상인 필터 엘리먼트(200)에 인접한 필터 엘리먼트(200)의 개구부(240)의 적어도 일부가 차단되는 크기일 수 있다.
회전하는 세척 수단(320)에 의해서, 세척 대상인 필터 엘리먼트(200)의 개구부(240) 중 일부(240a)만 연결구(320a)와 소통하는 경우에, 개구부(240)의 나머지(240b)는 차단 부재(350)에 의해서 필터 엘리먼트(200)의 외부와의 소통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차단 부재(350)는 세척수 이외의 유체가 필터 엘리먼트(2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차단 부재(350)는 여과가 필요한 오염수가 개구부(240)의 나머지(240b)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필터 엘리먼트(200)의 세척수가 오염수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필터 엘리먼트(200)의 세척수가 빠르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반대의 관점에서 보면, 여과가 필요한 오염수가 필터 엘리먼트(200)를 거치지 않고 필터 엘리먼트(200)의 세척수와 함께 세척 수단(320)을 통해 세척수 배출부(330)로 빠져나가는 것도 방지할 수 있어서, 필터 장치의 필터링 효율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 수단(320)의 저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세척 수단(320)은 회전 샤프트(31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차단 부재(350)는 세척 수단(320)의 연결구(320a)의 주위에 형성되며, 회전 샤프트(310)를 중심으로 한 회전 방향에 따라서 기결정된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세척 대상인 필터 엘리먼트(200)에 인접한 필터 엘리먼트(200)의 개구부(240)의 적어도 일부가 차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엘리먼트(200)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필터 엘리먼트(200)는 그 내부에 유체의 흐름에 의해서 회전하는 회전 부재(230) 및 회전 부재(230)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브러쉬(22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부재(230)의 일단에는 프로펠러(230a)가 부착되어서, 유체가 필터 엘리먼트(200)의 내부로/내부에서 유출입되는 경우에 회전 부재(230)가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부재(230)에는 복수개의 브러쉬(220)가 부착되어서, 회전 부재(23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복수개의 브러쉬(220)는 유체가 이동하는 경우에 필터 엘리먼트(200)의 내면에 부착된 오염물을 박리할 수 있다. 필터 엘리먼트(200) 내의 회전 부재(230) 및 브러쉬(220)에 의해서, 세척 수단(320)이 필터 엘리먼트(200)를 세척할 때 세척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다. 특히, 원수가 극히 오염된 경우에는 단시간에 필터 엘리먼트(200)의 중공구조를 막을 수 있는데, 브러쉬(220)에 의해서 필터 엘리먼트(200)의 중공구조가 막혀서 필터링 효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엘리먼트(200)의 개구부(240)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개구부(240) 측에는 필터 엘리먼트(200) 내부로/내부에서 유출입되는 유체가 흐르는 방향을 조절하는 보조 부재(240a)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부재(240a)는 수직으로 형성되는 개구부(240)에 대해서 기울어진 각도를 가지는 판상 부재일 수 있다. 보조 부재(240a)에 의해서 필터 엘리먼트(200)에서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부드럽게 할 수 있고, 특히 필터 엘리먼트(200) 내의 회전 부재(230)가 지속적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의 역세척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A는 필터 장치의 필터링 동작을 설명하는 부분이고, B는 필터 장치의 역세척 동작을 설명하는 부분이다. 즉, 필터링 동작시에는 필터 엘리먼트(200)의 개구부(240)로부터 유입된 원수가 필터 엘리먼트(200)를 거쳐서 필터 엘리먼트(200)의 측면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그에 반해, 역세척 동작시에는 필터 엘리먼트(200)의 개구부(240)가 세척 수단(320)과 연결됨으로써 필터 엘리먼트(200) 내에 배압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필터 엘리먼트(200)의 측면을 통해 세척수가 필터 엘리먼트(200) 내부로 유입되고, 이 과정에서 필터 엘리먼트(200)의 측면에 부착된 오염물이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오염물을 포함한 세척수는 필터 엘리먼트(200)의 개구부(240)를 거쳐서 세척수 배출부(3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엘리먼트(200)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필터 엘리먼트(200)는 유속 감소 부재(250, 260)를 포함할 수 있다. 역세척 방식에 의해서 필터 엘리먼트(200)를 세척하는 경우에, 필터 엘리먼트(20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진입하는 세척수는 개구부(240)에 가까운 측이 그 유속이 빠르며 개구부(240)에서 멀어질수록 유속이 느려질 수 있다. 따라서, 필터 엘리먼트(200)의 상부 측의 세척 효율은 낮아질 수 있다. 유속 감소 부재(250)는 개구부(240)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유속 감소 부재(250)는 복수의 공극(250a)을 가짐으로써 발생되는 저항에 의하여 설치된 부위의 세척수의 유속을 감소시켜서 상대적으로 필터 엘리먼트(200)의 상측의 유속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필터 엘리먼트(200)의 전장길이가 길어지는 경우에, 필터 엘리먼트(200) 상측의 유속 상승 효과를 부각시키기 위하여 필터 엘리먼트(200)의 상부 중 개구부(240)에 가까운 측(즉, 필터 엘리먼트(200)의 중간부)에도 유속 감소 부재(260)가 설치될 수 있다. 유속 감소 부재(260)도 복수의 공극(260a)을 가질 수 있다. 유속 감소 부재(260)의 설치를 위하여 걸림부재(265)가 필터 엘리먼트(20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부재(265)의 내부는 관통되도록 하며, 그 입구는 경사(tapered)지게 형성되어서 세척수의 유입시 저항이 감소되어 유속을 빠르게 한 상태로 세척수가 개구부로 향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 엘리먼트(200) 상측에서 유입된 세척수를 필터 엘리먼트(200)의 하측인 개구부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해서 중공관(270)이 유속 감소 부재(260)에 연결될 수 있다. 중공관(270) 중 유속 감소 부재(260)와 연결된 측은 앞서 걸림부재(265)와 마찬가지로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유입된 세척수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 엘리먼트(200)가 원기둥형인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필터 엘리먼트(200)는 타원기둥형, 원뿔형, 역원뿔형, 원뿔대형, 역원뿔대형, 및 직선과 곡선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단면을 포함하는 기둥형 중 하나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는 필터 엘리먼트(200)로 유입되는 원수를 차단하여 세척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며, 세척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필터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소형화가 가능하여 선박의 작은 면적에 대해서도 설치가 가능하다.
도 9는 종래의 필터 장치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의 필터 엘리먼트와 그 주변에서의 유체 속도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종래의 필터 장치(도 9(a))의 경우에는, 필터 엘리먼트(200)의 개구부와 세척 수단(320)의 연결구가 완전히 대응되지 않는 때에는, 유입구(110)로 유입된 유체가 필터 엘리먼트(200)의 개구부 측으로 유입된다. 이와 더불어서, 세척 수단(320)의 연결구를 통해 배출되려는 필터 엘리먼트(200) 내부로부터의 세척수도 필터 엘리먼트(200)의 개구부 측으로 흐르기 때문에, 필터 엘리먼트(200)의 개구부와 세척 수단(320)의 연결구 측에서 유체 저항이 심한 것(붉은 색)을 나타내고 있다.
그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도 9(b))의 경우에는, 차단 부재(350)에 의해서 유입구9100)로 유입된 유체가 필터 엘리먼트(200)의 개구부 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기 때문에, 종래의 필터 장치에 비해서 유체 저항이 낮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종래의 필터 장치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의 필터 엘리먼트와 그 주변에서의 유체의 흐름을 벡터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종래의 필터 장치(도 10(a))의 경우에는, 필터 엘리먼트(200)의 개구부와 세척 수단(320)의 연결구가 완전히 대응되지 않는 때, 필터 엘리먼트(200) 내부로부터의 세척수가 세척 수단(320)의 연결구를 통해 배출되지 못하고 유입구(110)로부터의 오염된 원수의 압력에 의해서 필터 엘리먼트(200) 내부로 오히려 역류하여 오염된 원수의 오염물이 필터 엘리먼트(200) 내측에 부착되게 된다.
그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도 10(b))의 경우에는, 필터 엘리먼트(200) 내부로부터의 세척수가 세척 수단(320)의 연결구를 통해 배출되는 흐름을 나타내고 있고, 유입구(100)로부터의 유입되는 오염된 원수의 방해가 없어서 세척수가 빠르게 필터 엘리먼트(200)를 통과하여 세척 수단(320)의 연결구로 향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하우징
110 : 유입구
120 : 유출구
200 : 필터 엘리먼트
220 : 브러쉬
230 : 회전 부재
230a : 프로펠러
240 : 개구부
240a : 개구부의 일부
240b : 개구부의 나머지
250 : 유속 감소 부재
250a : 공극
260 : 유속 감소 부재
260a : 공극
265 : 걸림부재
270 : 중공관
310 : 회전 샤프트
320 : 세척 수단
320a : 연결구
330 : 세척수 배출부
340 : 연결구 주변
350 : 차단 부재

Claims (9)

  1. 오염된 원수(原水)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필터링된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오염된 원수를 필터링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 엘리먼트;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 엘리먼트 각각에 대하여 연결구를 통하여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 엘리먼트 각각을 세척하는 세척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 수단은,
    역세척을 위해 회전하는 상기 연결구와 상기 유입구가 완전히 일치하기 전의 위치에서도, 세척 대상인 필터 엘리먼트의 개구부로 상기 오염된 원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하는, 필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연결구의 주위에 형성되고, 세척 대상인 필터 엘리먼트에 인접한 필터 엘리먼트의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가 차단되는 크기이며,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 엘리먼트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하나에서 회전하는, 필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연결구의 주위에 형성되고, 세척 대상인 필터 엘리먼트에 인접한 필터 엘리먼트의 개구부의 외주에 접하는 크기이며,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 엘리먼트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하나에서 회전하는, 필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척 수단은,
    세척 대상인 필터 엘리먼트 내에 세척수를 가압 공급하거나, 상기 세척 수단은 세척 대상인 필터 엘리먼트 내에 배압을 형성하여 세척수를 역류시키는, 필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세척 수단은,
    상기 필터 엘리먼트를 통하여 역류한 세척수를 배출하는 세척수 배출부를 포함하는, 필터 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 엘리먼트는 역류된 세척수의 압력을 감소시키고, 상기 필터 엘리먼트의 상기 개구부 측에 배치되는 유속 감소 부재를 포함하는, 필터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속 감소 부재가 복수 개 배치되는 경우, 최하측의 유속 감소 부재 이외의 유속 감소 부재를 통과하는 세척수가 지나는 중공관이 필터 엘리먼트 내에 배치되는, 필터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 엘리먼트는,
    원기둥형, 타원기둥형, 원뿔형, 역원뿔형, 원뿔대형, 역원뿔대형, 및 직선과 곡선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단면을 포함하는 기둥형 중 하나인, 필터 장치.
KR1020150104316A 2015-07-23 2015-07-23 필터 장치 KR101616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316A KR101616242B1 (ko) 2015-07-23 2015-07-23 필터 장치
CN201520998963.5U CN205199077U (zh) 2015-07-23 2015-12-04 过滤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316A KR101616242B1 (ko) 2015-07-23 2015-07-23 필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6242B1 true KR101616242B1 (ko) 2016-04-28

Family

ID=55836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4316A KR101616242B1 (ko) 2015-07-23 2015-07-23 필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16242B1 (ko)
CN (1) CN205199077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511B1 (ko) * 2016-02-18 2016-12-16 (주)한양에프앤이 자동 여과장치의 역세척 배출관
WO2020242031A1 (ko) * 2019-05-27 2020-12-03 주식회사 미드니 원심 분리와 캔들형 막여과를 융합한 자동 역세필터 시스템
CN112076511A (zh) * 2020-08-10 2020-12-15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远洋客船用水处理装置
CN113509774A (zh) * 2021-04-30 2021-10-19 南通航海机械集团有限公司 一种高压海水净化系统及其工作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004661A1 (de) * 2017-05-08 2018-11-08 Hydac Process Technology Gmbh Filtervorrichtung
CN109052722B (zh) * 2018-09-05 2021-06-01 江苏五水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1278A (ko) * 2009-05-08 2010-11-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여과장치
KR20120072873A (ko) * 2010-12-24 2012-07-04 최쌍석 자동 부분 역세척이 가능한 미립자 여과장치
KR20130098693A (ko) 2012-02-28 2013-09-05 주식회사고려필터 필터장치의 필터 엘리먼트
KR20130107907A (ko) * 2012-03-23 2013-10-02 (주)광산 회전 날개로 구동되는 세척 브러쉬를 가지는 필터 엘리먼트 및 그를 포함하는 여과장치
KR20150059233A (ko) * 2013-11-21 2015-06-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역세척유체 배수장치 및 필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1278A (ko) * 2009-05-08 2010-11-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여과장치
KR20120072873A (ko) * 2010-12-24 2012-07-04 최쌍석 자동 부분 역세척이 가능한 미립자 여과장치
KR20130098693A (ko) 2012-02-28 2013-09-05 주식회사고려필터 필터장치의 필터 엘리먼트
KR20130107907A (ko) * 2012-03-23 2013-10-02 (주)광산 회전 날개로 구동되는 세척 브러쉬를 가지는 필터 엘리먼트 및 그를 포함하는 여과장치
KR20150059233A (ko) * 2013-11-21 2015-06-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역세척유체 배수장치 및 필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511B1 (ko) * 2016-02-18 2016-12-16 (주)한양에프앤이 자동 여과장치의 역세척 배출관
WO2020242031A1 (ko) * 2019-05-27 2020-12-03 주식회사 미드니 원심 분리와 캔들형 막여과를 융합한 자동 역세필터 시스템
CN112076511A (zh) * 2020-08-10 2020-12-15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远洋客船用水处理装置
CN113509774A (zh) * 2021-04-30 2021-10-19 南通航海机械集团有限公司 一种高压海水净化系统及其工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5199077U (zh) 201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6242B1 (ko) 필터 장치
JP5866876B2 (ja) バラスト水の処理装置およびバラスト水の処理方法
CN102430339B (zh) 自清洗过滤膜装置
JP6158581B2 (ja) 濾過装置
US9422738B2 (en) Filter apparatus with filter cleaning arrangement
KR100328545B1 (ko) 액체 여과용 필터의 연속 세척 장치
KR100630372B1 (ko) 여과장치
KR101777063B1 (ko) 와류현상을 이용한 역세척 기능을 갖는 여과기
KR101689695B1 (ko) 선박 평형수 처리용 필터 장치
KR101657139B1 (ko) 무동력 역세필터 장치
JP6608631B2 (ja) 濾過装置及び濾過装置のフィルター洗浄方法
KR101468655B1 (ko) 수처리용 여과장치
KR101845006B1 (ko) 중앙 집중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
JP2015003321A (ja) ストレーナーアセンブリ
JP2013188689A (ja) フィルタエレメント及び濾過装置
KR100257861B1 (ko) 자동여과장치
KR101454103B1 (ko)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용 필터
KR101889073B1 (ko) 연속 자세식 스트레이너
KR101258440B1 (ko) 역세척이 필요없는 여과형 수처리장치
KR20170127850A (ko) 유체 필터 장치
KR101472852B1 (ko) 해수용 필터장치
KR101745340B1 (ko) 유체 필터 장치
JP6964866B2 (ja) 連続ろ過装置
TWM594989U (zh) 具噴流式逆洗效果的過濾器
BRPI0805796A2 (pt) método e sistema para retrolavagem de filtr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