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8936B1 - 제빵기의 밀가루 반죽 자동 투입장치 - Google Patents

제빵기의 밀가루 반죽 자동 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8936B1
KR101048936B1 KR1020090010733A KR20090010733A KR101048936B1 KR 101048936 B1 KR101048936 B1 KR 101048936B1 KR 1020090010733 A KR1020090010733 A KR 1020090010733A KR 20090010733 A KR20090010733 A KR 20090010733A KR 101048936 B1 KR101048936 B1 KR 101048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dough
opening
closing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0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1511A (ko
Inventor
장성욱
Original Assignee
장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욱 filed Critical 장성욱
Priority to KR1020090010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8936B1/ko
Publication of KR20100091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5/00Dough-dividing machines
    • A21C5/006Dough-dividing machines for dispensing liquid or semi-liquid dough, e.g. batter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3/00Machines or apparatus for shaping batches of dough before subdivision
    • A21C3/04Dough-extruding machines ; Hoppers with moving elements, e.g. rollers or belts as wall elements for drawing the dough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9/00Other apparatus for handling dough or dough pieces
    • A21C9/08Depositing, arranging and conveying apparatus for handling pieces, e.g. sheets of doug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제빵기(호두과자, 호빵, 풀빵, 붕어빵 등은 연속·자동으로 구워내는 빵제조기)의 레일 상에서 연속순환되는 빵틀에 요구되는 일정량의 밀가루반죽재료를 보다 신속 간편하면서도 자동 연속으로 투입할 수 있는 고효율 반죽재료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빵틀(210)의 연속 선회운동이 가능한 궤도형 레일이 설치된 지지프레임(200) 위에 제빵기 자체 구동축(210)의 회전에 따라 상,하 작동되는 작동로드(110)가 결합된 밸브설치판(100)을 구비시킨 것과; 상기 밸브설치판(100)에는 상단 걸림레버(125)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하측 배출구(123)로의 밀가루 반죽 배출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반죽밸브(120)를 설치한 것과; 상기 반죽밸브(120)의 일측에는 상기 밸브설치판(100)과 반죽밸브(120) 하강시 그 밸브(120)의 상측 걸림레버(125)에 걸리면서 상방 푸시 작동해 밸브(120)의 개방이 자동 허용될 수 있도록 하는 밸브 자동개폐장치(130)를 설치한 것; 을 포함하는 것이다.
밸브설치판, 배출구, 반죽밸브, 걸림레버, 자동개폐장치

Description

제빵기의 밀가루 반죽 자동 투입장치{An input device automatic dough of Re-bread machine}
본 발명은 자동 제빵기(호두과자, 호빵, 풀빵, 붕어빵 등은 연속·자동으로 구워내는 빵제조기)의 레일 상에서 연속순환되는빵틀에 요구되는 일정량의 밀가루반죽재료를 보다 신속 간편하면서도 자동 연속으로 투입할 수 있는 고효율 반죽재료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호두과자, 호빵, 풀빵, 붕어빵 등을 구워내는 제빵기의 경우 하부 지지프레임 위에 연속 선회운동이 가능한 궤도형 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레일상에는 굽고자 하는 빵의 모양에 맞는 빵틀을 연속으로 정렬 배치한 다음 별도의 구동수단을 이용해 상기 빵틀을 매 1 피치씩 연속/반복으로 이동시켜 가열공정, 재료투입, 빵틀뒤집기, 구워진 빵 배출공정 등을 거침으로써 빵굽기를 완성할 수 있도록하는 기구다.
한편, 제빵기의 밀가루 반죽 자동 투입장치는 제빵기 위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매 1 피치씩 선회운동하는 다수의 빵틀내에 준비된 밀가루 반죽을 그 빵틀의 이송시 마다 정해진 일정량씩 자동 투입시키는 밀가루반죽 투입수단으로서 제빵기의 파트별 장치 중 상당히 중요한 부분에 속한다.
그러나 종래의 밀가루 반죽 자동 투입장치는 밀가루 반죽이 투입되어야 할 지점에 뚜껑이 오픈된 빵틀이 위치하면 일정량의 밀가루 반죽의 배출을 허용해 낙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그 하측의 빵틀내에 반죽의 용이한 투입이 가능토록 하는 반면, 상기 반죽투입의 동작이 완료되면 즉시 뒤따르는 다른 후속 빵틀이 위치할 때까지 반죽의 배출을 자동 차단하는 요소인 반죽자동개폐밸브의 구조와 이를 제어하는 구동시스템이 매우 불합리하게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밀가루 반죽의 투입시 매 투입시 마다 동일한 정량의 투입이 사실상 어려웠던 문제점이 있는 동시에 사용 중 누수발생, 상당한 전력 에너지 소모는 물론, 사용 중 고장이 잦아 수리에 따른 인적 물적 손실 또한 상당했던 문제점이 있었다.
즉, 밀가루 반죽 자동 투입장치에 설치되는 종래 반죽개폐용밸브는 스프링에 의해 상방향 밀림력을 가진 구형볼이 반죽이 유입되는 상부 유입구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 반죽의 압력에 따라 상,하 유동하면서 반죽의 유입허용 또는 차단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데, 이러한 밸브구조는 밀가루 반죽의 펌핑압력을 높일때 그 상승압력에 의해 볼이 아래로 밀리면서 배출허용되는 것이고, 펌핑 압력을 낮추면 다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부 유입구를 막아 차단하는 것임에 따라, 반죽의 펌핑압력의 정확한 제어가 중요하다.
그러나 반죽의 펌핑압력제어는 물론, 센서와 연계된 펌프구동모터의 정확한 컨트롤제어를 통한 전자적인 기본제어는 가능할지 모르나 그 제어된 펌핑압력이 볼에 영향을 주기까지의 미세 압력변화 또는 사용 중 수반되는 볼 하단의 스프링 탄성력변화 또는 펌프구동모터와 연계된 센서들의 오작동 등과 같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일정한 등간격으로 연속이동대응하는 모든 빵틀에 대하여 정확한 타임간격과 정량으로 배출한다는 것은 사실상 어려워 구워진 빵의 품질이나 크기의 균일상태를 유지하지 못했던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특히, 종래의 밸브는 반죽 유입구를 막을 때, 미는 힘에 한계성을 가질수 밖에 없는 볼 하측의 스프링 탄성력에 전적으로 의존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 사용 중 볼과 유입구 사이에 이물질이 누적 끼이고 쌓일 경우 누수가 발생되고, 만약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내부의 스프링을 보다 높은 압축력의 스프링으로 교체할 경우에는 밀가루 반죽의 유입압력 또한 그 만큼 높여야 함으로 이에 따른 전력(에너지)소모는 차치하더라도 펌프, 펌프구동모터, 밸브 등의 기계에 상당한 무리를 가하여 고장율 상승, 기계수명축 등의 문제점까지 있었다.
나아가, 종래의 상기 밸브는 앞선 문제점 외에도 볼 작동에 따른 개폐제어구 조임에 따라 반죽이 유입되는 상부 유입구와 하측 배출구까지의 배출통로 거리가 상당히 길게 주어져 있어 그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의 배출통로내에 반죽 잔류분이 항시 존재할 수 밖에 없고, 이 잔류분의 량은 다양한 조건(밀가루 반죽의 묽음 정도, 점성상태 등)에 따라 일정하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배출구의 하방으로 낙하는 최종 배출분의 량이 항시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고 불규칙하여 더욱 더 정량의 반죽 투입이 불가능했던 문제점이 함게 존재하고,
게다가, 상기한 밸브의 작동구조는 일정한 용량의 펌프구동방식에 의한 밸브동작시스템임에 따라 밀가루 반죽 배출시 상당한 전력낭비가 불가피했던 문제점까지 야기하는 바, 이에 대한 새로운 대안이 절실하다 하겠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밀가루 반죽의 자동 배출시 기존과 같이 별도의 동력은 사용하지 않고 제빵기 자체의 회전동력을 활용해 에너지 낭비의 최소화는 물론 반죽 배출공정과 연계된 다른 공정(빵틀이동, 빵틀 뒤집기, 빵틀 뚜껑 열고 닫기, 속 안꼬 넣기 등)간 정밀한 연동관계를 보장할 뿐 아니라 특히, 압력제어에 의한 개폐동작인 기존과는 달리 항시 동일한 배출 결과물을 보장하면서도 반영구적인 순수 기계식 밸브구조를 제시하고, 나아가 밸브의 내부의 이물질 끼임현상이나 반죽 잔류분 적체현상 등의 최소화를 통해 반죽의 누수현상방지 및 정량배출을 정립한 새로운 반죽배출시스템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속 선회운동이 가능한 궤도형 레일이 설치된 지지프레임 위에는 제빵기 자체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상,하 작동되는 작동로드가 결합된 밸브설치판을 구비시킨 것과; 상기 설치판에는 상단 걸림레버의 상,하 동작에 따라 하측 배출구로의 반죽 배출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반죽밸브를 설치한 것과; 상기 반죽밸브의 일측에는 상기 설치판과 밸브의 하강시 그 밸브의 상측 걸림레버를 걸리면서 상방 푸시작동해 밸브의 개방이 자동 허용될 수 있도록 하는 밸브 자동개폐장치를 설치한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빵기 밀가루 반죽 자동 투입장치는 제빵기에 요구되는 밀가루 반죽의 투입시 연속 다단 이송되는 빵틀에 매 투입시 마다 보다 정확한 량으로 투입(정량투입)이 가능할 뿐 아니라 밸브 작동시 빵틀 자체의 동력을 활용하는 동시에 반죽 투입시 수반되는 밸브의 상,하 작동시 자동으로 온/오프 작동이 이루어짐으로 반죽투입을 위한 별도의 조작이나 동력이 없이 적은 비용과 에너지로 동작가능하고, 나아가 사용 중 반죽 누수현상이나 이물질 끼임 현상 또한 완벽히 방지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빵기의 밀가루 반죽 자동 투입장치는, 빵틀(210)의 연속 선회운동이 가능한 궤도형 레일이 설치된 지지프레임(200) 위에 제빵기 자체 구동축(210)의 회전에 따라 상,하 작동되는 작동로드(110)가 결합된 밸브설치판(100)을 구비시킨 것과;
상기 밸브설치판(100)에는 상단 걸림레버(125)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하측 배출구(123)로의 밀가루 반죽 배출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반죽밸브(120)를 설치한 것과;
상기 반죽밸브(120)의 일측에는 상기 밸브설치판(100)과 반죽밸브(120) 하강시 그 밸브(120)의 상측 걸림레버(125)에 걸리면서 상방 푸시 작동해 밸브(120)의 개방이 자동 허용될 수 있도록 하는 밸브 자동개폐장치(130)를 설치한 것; 을 그 구조적인 특징으로 하였다.
상기한 구성요소 중 밸브설치판(100)과 결합되는 상,하 작동로드(110)의 하측 끝에는 회전롤러(111)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롤러(111)의 하단 일측에는 제빵기 자체 구동축(210)에 캠(220)을 축삽 설치한 후 상호 맞물림 구성시켜, 상기 캠(220)의 편심 회전운동에 따라 작동로드(110)와 밸브설치판(100)이 상,하 동시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설치판(100)의 상,측 또는 하측에 상기 작동로드(110)의 작동에 따라 밸브설치판(100)이 상승하였을 때, 기본적으로는 자중에 의한 하방작용은 일어나지만 보다 확실하고 정밀한 하강 작용을 위한 별도의 하방 가압용 스프링(101)을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하방 가압용 스프링(101)은 지지프레임(200)에 고정될 수 있는 별도의 고정수단에 설치하여도 무방하지만, 밸브 설치판에 요구되는 가이드봉(102)의 상측에 설치할 경우 보다 용이하다.
또한, 밸브설치판(100)에 구비하는 반죽밸브(120)는 그 몸체(121)의 내부에 일정한 크기와 직경의 개폐홈(122)을 형성하되, 상기 개폐홈(122)의 하측끝 중심에는 소구경의 배출구(123)를 형성하고, 하부 측면에는 반죽 유입구(124)를 천공시키는 한편, 상기 개폐홈(122) 내에는 하강시 상기 배출구(123)를 막아 밀가루반죽의 배출을 제한하는 반면 승강시에는 막았던 배출구(123)를 열어 밀가루반죽의 하방 배출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하부 끝이 뽀쪽한 개폐부(126a)가 형성되고 상측 끝에는 걸림레버(125)가 구비된 개폐로드(126)가 삽입 구성되고, 상기 개폐로드(126)의 상측부 일단과 몸체(121) 사이에는 상기 개폐로드(126)의 승강 후 요구되는 하강작용을 위한 강압 스프링(127)을 내장시킨 구조를 갖는다.
또, 상기 반죽밸브(120)의 일측에 설치되는 상기 밸브자동개폐장치(130)는 상기 밸브설치판(100)에 관통되는 일정한 크기의 하우징(131)을 구비시킨 후 그 하우징(131)의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131) 내에서 상,하 유동이 가능한 개폐봉(132) 을 설치하되, 상기 개폐봉(132)의 상단 끝에는 반죽밸브(120)의 상측 걸림레버(125)와 걸림 상태에서 설치판의 계속되는 하강작동에 따라 걸림레버(125)를 상방향 밀어올려 반죽밸브(120)의 개방작동이 가능토록 하는 밸브개폐판(134)이 구비되고, 하측 끝단에는 하강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볼트(135)를 고정하며, 상기 상기 개폐봉(132) 중 하우징(131)의 아래 지점에는 상부의 밸브개폐판(134)의 최대 작동거리에 해당하는 만큼 상기 하우징(131)의 하측끝단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스토퍼(136)를 구성시켜, 상기 밸브설치판(100) 및 반죽밸브(120)의 하강작동 중 일정한 위치(개폐봉 하측 끝단이 프레임의 상면에 닿는 위치)에서 상기 밸브개폐판(134)이 일정한 상방 높이로 이격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밸브개폐판(134)과 걸림상태인 반죽밸브(120)측 걸림레버(125) 및 반죽밸브(120)의 자동 개폐작동이 가능토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반죽밸브(120)의 하부측면 반죽유입구(124) 외측에는 펌핑 유입되는 일정한 압력의 반죽 공급용 호스(141)가 결합되고, 상기 반죽밸브(120)의 몸체(121) 외측에는 상기 밸브설치판(100)의 견고한 결합성을 위해 걸림턱(128)이 형성되는 동시에 결합볼트(128-1)가 조임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반죽밸브(120)의 몸체(121) 상측에는 강압 스프링(127) 내장설치의 용이성을 고려한 상부캡(128-2)을 나사 결합되는 한편, 상기 밸브 자동개폐장치(130)의 개폐봉(132)은 제작의 편의성과 구조의 견고성을 고려해 그 하측의 스토퍼(136)를 기준으로 상,하 구분하여결합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제빵기 밀가루 반죽 자동 투입장치는 위 전술된 바와 같이,
제빵기에 구비되어 있는 자체 구동축의 회전동력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하부 빵틀과의 가까운 위치에서의 반죽 투입을 위한 밸브의 필연적 하강시 자동으로 밸브가 열리고 승강시에는 자동으로 닫할 수 있기 때문에 반죽밸브의 자동 개폐작동을 위한 별도의 동력이나 전력(에너지) 낭비를 배제할 수 있는 상당한 장점이 주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밸브의 내부 구조 또한 일측 유입구에서 유입된 반죽의 하방 배출시 하측의 배출구를 통해 즉각적인 배출이 이루어져 배출과정에서의 반죽 잔류분과 이물질 끼임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특히, 반죽밸브의 개방시 상기 밸브 자동개폐장치 개폐편의 자동 이격동작에 따른 기계적 열림수단에 의한 동작임에 따라 매 개폐동작시 마다 정밀하고 동일한 개폐결과를 얻을 수 있음에 따라,
빵틀(210)에 대한 밀가루 반죽 투입시 요구되는 일정한 타임간격으로 항시 정량의 반죽투입이 가능한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제빵기에 설치된 상태 평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제빵기에 설치된 정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반죽밸브와 자동개폐장치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반죽밸브와 자동개폐장치의 또 다른 실시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반죽밸브 작동실시 상태를 나타낸 측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반죽밸브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반죽밸브 분해 단면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 밸브설치판 101: 스프링
102: 가이드봉 111: 회전롤러
210: 빵틀 200: 지지프레임
210: 구동축 110: 작동로드
120: 반죽밸브 121: 몸체
122: 개폐홈 123: 배출구
124: 유입구 125: 걸림레버
126: 개폐로드 126a: 개폐부
127: 스프링 128: 걸림턱
128-1: 결합볼트 128-2: 상부캡
130: 자동개폐장치 131: 하우징
132: 개폐봉 134: 밸브개폐판
135: 조절볼트 136: 스토퍼
141: 호스 210: 빵틀
220: 캠

Claims (4)

  1. 빵틀(210)의 연속 선회운동이 가능한 궤도형 레일이 설치된 지지프레임(200) 위에 제빵기 자체 구동축(210)의 회전에 따라 상,하 작동되는 작동로드(110)가 결합된 밸브설치판(100)을 구비시킨 것과;
    상기 밸브설치판(100)에는 상단 걸림레버(125)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하측 배출구(123)로의 밀가루 반죽 배출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반죽밸브(120)를 설치한 것과;
    상기 반죽밸브(120)의 일측에는 상기 밸브설치판(100)과 반죽밸브(120) 하강시 그 밸브(120)의 상측 걸림레버(125)에 걸리면서 상방 푸시 작동해 밸브(120)의 개방이 자동 허용될 수 있도록 하는 밸브 자동개폐장치(13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제빵기 밀가루 반죽 자동 투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설치판(100)과 결합되는 상,하 작동로드(110)의 하측 끝에는 회전롤러(111)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롤러(111)의 하단 일측에는 제빵기 자체 구동축(210)에 캠(220)을 축삽 설치한 후 상호 맞물림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 제빵기 밀가루 반죽 자동 투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설치판(100)에 구비하는 반죽밸브(120)는 그 몸체(121)의 내부에 일정한 크기와 직경의 개폐홈(122)을 형성하되, 상기 개폐홈(122)의 하측끝 중심에는 소구경의 배출구(123)를 형성하고, 하부 측면에는 반죽 유입구(124)를 천공시키는 한편, 상기 개폐홈(122) 내에는 하강시 상기 배출구(123)를 막아 밀가루반죽의 배출을 제한하는 반면 승강시에는 막았던 배출구(123)를 열어 밀가루반죽의 하방 배출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하부 끝이 뽀쪽한 개폐부(126a)가 형성되고 상측 끝에는 걸림레버(125)가 구비된 개폐로드(126)가 삽입 구성되고, 상기 개폐로드(126)의 상측부 일단과 몸체(121) 사이에는 상기 개폐로드(126)의 승강 후 요구되는 하강작용을 위한 강압 스프링(127)을 내장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제빵기 밀가루 반죽 자동 투입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자동개폐장치(130)는 상기 밸브설치판(100)에 관통되는 일정한 크기의 하우징(131)을 구비시킨 후 그 하우징(131)의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131) 내에서 상,하 유동이 가능한 개폐봉(132)을 설치하되, 상기 개폐봉(132)의 상단 끝에는 반죽밸브(120)의 상측 걸림레버(125)와 걸림 상태에서 설치판의 계속되는 하강작동에 따라 걸림레버(125)를 상방향 밀어올려 반죽밸브(120)의 개방작동이 가능토 록 하는 밸브개폐판(134)이 구비되고, 하측 끝단에는 하강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볼트(135)를 고정하며, 상기 상기 개폐봉(132) 중 하우징(131)의 아래 지점에는 상부의 밸브개폐판(134)의 최대 작동거리에 해당하는 만큼 상기 하우징(131)의 하측끝단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스토퍼(136)를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 제빵기 밀가루 반죽 자동 투입장치.
KR1020090010733A 2009-02-10 2009-02-10 제빵기의 밀가루 반죽 자동 투입장치 KR101048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733A KR101048936B1 (ko) 2009-02-10 2009-02-10 제빵기의 밀가루 반죽 자동 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733A KR101048936B1 (ko) 2009-02-10 2009-02-10 제빵기의 밀가루 반죽 자동 투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511A KR20100091511A (ko) 2010-08-19
KR101048936B1 true KR101048936B1 (ko) 2011-07-12

Family

ID=42756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0733A KR101048936B1 (ko) 2009-02-10 2009-02-10 제빵기의 밀가루 반죽 자동 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89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423B1 (ko) 2016-06-13 2016-11-10 세 교 정 제과용 디포지터
KR20190070895A (ko) 2019-01-17 2019-06-21 최종갑 반죽물 공급 장치
KR20200031228A (ko) 2018-09-14 2020-03-24 최종갑 반죽물 자동 토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532B1 (ko) * 2011-11-08 2014-02-25 김영희 제빵원료 자동 공급장치
KR102249611B1 (ko) 2019-12-17 2021-05-07 고병기 반죽 물 자동 공급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073U (ko) * 1988-06-15 1990-01-07 윤해옥 제빵기의 내용물 정량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073U (ko) * 1988-06-15 1990-01-07 윤해옥 제빵기의 내용물 정량공급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423B1 (ko) 2016-06-13 2016-11-10 세 교 정 제과용 디포지터
KR20200031228A (ko) 2018-09-14 2020-03-24 최종갑 반죽물 자동 토출장치
KR20190070895A (ko) 2019-01-17 2019-06-21 최종갑 반죽물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511A (ko) 201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8936B1 (ko) 제빵기의 밀가루 반죽 자동 투입장치
EP2781839B1 (de) Gargerät mit Reinigungsvorrichtung
RU96112125A (ru) Автономный обжарочный аппарат
WO2006076976A1 (de) Eisbereiter
CN106665721B (zh) 一种自动面包机
WO2014059739A1 (zh) 一种咖啡冲泡装置
US20070248711A1 (en) Portioning unit
WO1990011689A1 (de) Vorrichtung zum portionieren von teig
WO2006076980A1 (de) Eisbereiter
CN109250774A (zh) 一种工业循环水处理装置
EP2545823A1 (en) Brewing unit for brewed beverage-making machines
EP2662634B1 (de) Gargerät
KR100852852B1 (ko) 제빵기의 내용물 정량 공급장치
CN106419611A (zh) 家用自动烤饼机
DE102018204906B3 (de)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mit Restwasserdrainage
CN204426616U (zh) 一种全自动葡萄出汁机
CN108940049B (zh) 一种园林用植物防虫农药稀释设备
US10260652B2 (en) Automatic water shut-off device
EP2573288A1 (de) Abwasserhebeanlage
KR200249865Y1 (ko) 내용물의 공급기능과 빵 분리기능을 향상시킨 제빵기
CN107041394B (zh) 豆干生产用油炸装置
CN218981547U (zh) 一种可定时投药的农药生产用反应釜
KR950008961Y1 (ko) 제빵기의 내용물막힘 방지장치
KR200409051Y1 (ko) 액상물 정량 토출기
CN210227763U (zh) 一种缓冲片松紧调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