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8595B1 - 광반사 구조체를 구비하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반사 구조체를 구비하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8595B1
KR101048595B1 KR1020080118281A KR20080118281A KR101048595B1 KR 101048595 B1 KR101048595 B1 KR 101048595B1 KR 1020080118281 A KR1020080118281 A KR 1020080118281A KR 20080118281 A KR20080118281 A KR 20080118281A KR 101048595 B1 KR101048595 B1 KR 101048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emitting
light
pattern
light r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9492A (ko
Inventor
김상묵
백종협
강정인
김강호
이승재
이진홍
오화섭
이상헌
탁 정
진정근
전성란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080118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8595B1/ko
Publication of KR20100059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9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59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Led Devices (AREA)

Abstract

발광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발광 다이오드는 제1 클래드층, 활성층 및 제2 클래드층을 구비하는 발광 구조체 및 상기 발광 구조체의 적어도 일측면과 이격하여 배치된 광반사 구조체를 포함한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은 기판 상에 제1 클래드층, 활성층 및 제2 클래드층을 구비하는 발광 구조체 및 상기 발광 구조체의 적어도 일측면과 이격하여 배치된 광반사 베이스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광반사 베이스 구조체의 측면을 덮는 광반사층을 형성하여 광반사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발광다이오드, 광반사 구조체, 광출력 효율, 광 직진성

Description

광반사 구조체를 구비하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방법{Light emitting diode including light reflec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반사 구조체를 구비하는 발광 다이오드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는 화합물 반도체의 PN 접합 다이오드에 순방향 전류가 흐를 때 빛을 발하는 현상을 이용한 소자로서, 디스플레이 소자의 광원으로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발광다이오드는 전구와 같은 필라멘트가 요구되지 않으며, 진동에 강하고, 긴 수명을 가지고 있으며, 반응속도가 빠른 등의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발광다이오드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방출되는 광은 한 방향으로 진행되지 않고, 여러 방향으로 분산되어 진행되므로, 광 직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분산되는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광반사 구조체를 구비하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제1 클래드층, 활성층 및 제2 클래드층을 구비하는 발광 구조체 및 상기 발광 구조체의 적어도 일측면과 이격하여 배치된 광반사 구조체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제공한다.
상기 광반사 구조체는 상기 발광 구조체의 모든 측면과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반사 구조체는 상부 방향으로 폭이 점차 감소할 수 있다. 상기 광반사 구조체는 광반사 베이스 구조체 및 상기 광반사 베이스 구조체의 측면을 덮는 광반사층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광반사층은 상기 광반사 베이스 구조체의 상부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광반사층은 Al층, Ag층 또는 그의 합금층일 수 있다. 상기 광반사 베이스 구조체는 제1 클래드층, 활성층 및 제2 클래드층을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2 수단은 기판 상에 제1 클래드층, 활성층 및 제2 클래드층을 구비하는 발광 구조체 및 상기 발광 구조체의 적어도 일측면과 이격하여 배치된 광반사 베이스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광반사 베이스 구조체의 측면을 덮는 광반사층을 형성하여 광반사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 는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 클래드층, 활성층 및 제2 클래드층은 MOCVD 또는 MBE 기술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광반사 구조체는 상기 발광 구조체의 모든 측면과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 구조체 및 상기 광반사 베이스 구조체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기판 상에 제1 클래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클래드층 상에 절연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절연막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제1 클래드층 상에 활성층 및 제2 클래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 구조체 및 상기 광반사 베이스 구조체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기판 상에 제1 클래드층, 활성층 및 제2 클래드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클래드층, 활성층 및 제1 클래드층을 차례로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클래드층, 활성층 및 제1 클래드층을 패터닝하는 것은 하프톤 마스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광반사 베이스 구조체는 상부방향으로 폭이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광반사층은 Al층, Ag층 또는 그의 합금층일 수 있다. 상기 발광 구조체의 제1 클래드층 및 제2 클래드층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상기 광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클래드층, 활성층 및 제2 클래드층을 구비하는 발광 구조체 및 상기 발광 구조체의 적어도 일측면과 이격하여 배치된 광반사 베이스 구 조체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제조하였다. 그런 후, 상기 광반사 베이스 구조체의 측면을 덮는 광반사층을 형성하여 광반사 구조체를 형성하였다.
그 결과, 상기 광반사 구조체가 소자 내부로부터 외부로 광이 방출될 때 여러 방향으로 분산되는 광을 반사시킴으로써, 광 직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 내지 도 1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나타낸 레이아웃도이다. 또한, 도 1f에 도시된 발광다이오드의 단면은 도 2의 절단선 I-I'를 따라 취해진 단면에 대응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기판(10) 상에 제1 클래드층(1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은 Al2O3(사파이어), SiC, ZnO, Si, GaAs, LiAl2O3, InP, BN, AlN 또는 GaN 기판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판(10)은 Al2O3 기판일 수 있다.
상기 제1 클래드층(12)은 제1형 불순물 예를들어, n형 불순물이 주입된 반도체층일 수 있다. 상기 n형 반도체층은 Al, Ga 또는 In등의 불순물이 주입된 질화물계 반도체층 또는 산화아연계 반도체층일 수 있다.
상기 제1 클래드층(12) 상에 활성층(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활성층은(14) 질화물계층 또는 산화아연계층일 수 있다. 상기 활성층(14)이 질화물계층인 경우에 상기 질화물계층은 InGaN층 또는/및 GaN층일 수 있으며, 상기 활성층(14)인 산화아연계층인 경우에 상기 산화아연계층은 ZnMgO층 또는 ZnCdO층일 수 있다.
상기 활성층(14) 상에 제2 클래드층(16)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클래드층(16)은 제2형 불순물 즉, p형 불순물이 주입된 반도체층일 수 있다. 상기 p형 반도체층은 P, Re, Li, Na, K, Cs, Sb 또는 Pb등의 p형 불순물이 주입된 질화물계 반도체층 또는 산화아연계 반도체층일 수 있다.
상기 제1 클래드층(12), 상기 활성층(14) 및 상기 제2 클래드층(16)은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기술 또는 MBE(Molecular Beam Epitaxy) 기술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클래드층(12) 상에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여 포토레지스트막을 형성하고, 이를 패터닝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17)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17)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제2 클래드층(16) 및 상기 활성층(14)을 차례로 식각함으로써 광반사 베이스 구조체(21) 및 발광 구조체(3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클래드층(12) 일부 또한 식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구조체들(21, 30)의 양측벽과 상기 제1 클래드층(12)의 상부는 노출될 수 있다.
도 1d를 참조하면, 상기 광반사 베이스 구조체들(21)의 측면을 덮는 광반사층(22)을 형성하여 광반사 구조체(2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광반사층(22)은 상기 광반사 베이스 구조체(21)의 상부면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광반사층(22)은 이빔증발기(e-beam evaporator), 스퍼터(Sputter), 열증발기(Thermal evaporator)를 사용하여 형성하되, 새도우 마스크(shadow mask)를 사용하여 상기 광반사 베이스 구조체들(21)의 상부 및 측면 상에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광반사층(22)은 Al, Ag 또는 그의 합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1e를 참조하면, 상기 발광 구조체(30)의 노출된 제1 클래드층(12) 및 제2 클래드층(16)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전극(18) 및 제2 전극(19)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극들(18, 19)은 Al 및/또는 Ag를 함유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전극들(18, 19)은 Ti/Al 또는 NiO/Au일 수 있다.
상기 전극들(18, 19) 및 상기 광반사층(22)은 동일단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전극들(18, 19) 및 상기 광반사층(22)을 동일단계에 형성하는 경우, 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노출된 제1 클래드층(12), 전극들(18, 19), 광반사 구조체들(20), 및 상기 발광 구조체들(30) 상에 봉지층(24)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봉지층(24)은 실 리콘 고분자(silicone polymer)막, 또는 에폭시 수지(epoxy resin)막일 수 있다. 상기 봉지층(24)은 단위 발광다이오드들을 형성하기 위한 소잉(sowing) 과정에서 상기 제1 클래드층(12), 전극들(18, 19), 광반사 베이스 구조체들(20), 및 발광 구조체들(30)이 오염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f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스크라이브 레인(SL)을 따라 봉지층(24), 광반사 구조체(20), 제1 클래드층(12) 및 기판(10)을 절단하여 상기 단위 발광다이오드들(UC1)을 서로 분리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발광다이오드(UC1)는 기판(10) 상에 제1 클래드층(22), 활성층(24) 및 제2 클래드층(26)을 구비하는 발광 구조체(30), 상기 발광 구조체(30)의 적어도 일측면과 이격하여 배치된 광반사 구조체(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반사 구조체(20)는 상기 발광 구조체(30)의 모든 측면과 이격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반사 구조체가 구비된 발광다이오드는 소자 내부로부터 외부로 광이 방출될 때 여러 방향으로 분산되는 광을 반사시킴으로써, 광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 출력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에 서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도 1a 내지 도 1f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발광다이오드를 제조하였다.
도 3a를 참조하면, 기판(10) 상에 하부 제1 클래드층(12a)을 형성할 수 있 다. 상기 하부 제1 클래드층(12a) 상에 절연막 패턴(1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절연막 패턴(13)은 SiO2 또는 Si3N4의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절연막 패턴(13)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하부 제1 클래드층(12a) 상에 차례로 상부 제1 클래드층(12b), 활성층(14) 및 제2 클래드층(16)을 성장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클래드층(12)은 하부 제1 클래드층(12a) 및 상부 제1 클래드층(12b)을 개별 공정으로 형성하지 않고, 상기 기판(10) 상에 제1 클래드층(12)을 형성한 후에 상기 절연막 패턴(13)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절연막 패턴(13)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제1 클래드층(12) 상에 차례로 활성층(14) 및 제2 클래드층(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막 패턴(13)은 상기 상부 제1 클래드층(12b) 또는 활성층(14)을 형성하기 위한 씨드 생성이 어렵기 때문에 상기 절연막 패턴(13) 상에는 상기 상부 제1 클래드층(12b) 또는 활성층(14)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제1 클래드층(12b) 또는 활성층(14)은 상기 절연막 패턴(13)이 배치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클래드층(12), 활성층(14) 및 제2 클래드층(16)을 구비하는 발광구조체(30) 및 상기 발광 구조체(30)의 적어도 일측면과 이격하여 배치된 광반사 베이스 구조체(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제1 클래드층(12a), 상부 제1 클래드층(12b), 상기 활성층(14) 및 상기 제2 클래드층(16)은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기술 또는 MBE(Molecular Beam Epitaxy) 기술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절연막 패턴(13)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절연막 패턴(13)은 식각제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절연막이 SiO2인 경우에 상기 식각제는 불산(HF) 용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절연막이 Si3N4인 경우에 상기 식각제는 인산(H3PO4)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광반사 베이스 구조체들(21)의 측면을 덮는 광반사층(22)을 형성하여 광반사 구조체(2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광반사층(22)은 상기 광반사 베이스 구조체(21)의 상부면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광반사층(22)은 이빔증발기(e-beam evaporator), 스퍼터(Sputter), 열증발기(Thermal evaporator)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Al, Ag 또는 그의 합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발광 구조체(30)의 제1 클래드층(12) 및 제2 클래드층(16)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전극(18) 및 제2 전극(19)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극들(18, 19)은 Al 및/또는 Ag를 함유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전극들(18, 19)은 Ti/Al 또는 NiO/Au일 수 있다.
상기 광반사층(22) 및 상기 전극들(18, 19)은 동일단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에 서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도 1a 내지 도 1f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발광다이오드를 제조하였다.
도 4a를 참조하면, 기판(10) 상에 차례로 제1 클래드층(12), 활성층(14) 및 제2 클래드층(16)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클래드층(16) 상에 포토레지스트층(1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클래드층(12), 상기 활성층(14) 및 상기 제2 클래드층(16)은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기술 또는 MBE(Molecular Beam Epitaxy) 기술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포토레지스트층(15)은 스핀코팅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포토레지스트층(15) 상에 마스크(40)를 배치시킬 수 있다. 상기 마스크(40)를 사용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17)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40)는 광투과정도가 영역별로 조절된 하프톤 마스크(half tone mask)일 수 있다. 상기 하프톤 마스크는 광차단부(40a), 광투과부(40b) 및 광반투과부(40c)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광반투과부(40c)는 광투과 정도가 부분별로 조절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포토레지스트층(15)은 광차단부(40a), 광투과부(40b) 및 광반투과부(40c)를 투과한 광에 노출되어 식각정도가 서로 다른 각각의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17a),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17b), 및 제3 포토레지스트 패턴(17c)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17a)은 식각되지 않은 상태의 패턴을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17b)은 식각되어 제거된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3 포토레지스트 패턴(17c)은 일부가 식각되어 제거된 패턴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3 포토레지스트 패턴(17c)은 상부 방향으로 폭이 점차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들(도 4b의 17)을 마스크로 하여 패터닝함으로써 제1 클래드층(12), 활성층(14) 및 제2 클래드층(16)을 구비하는 발광구조체(30) 및 상기 발광 구조체(30)의 적어도 일측면과 이격하여 배치된 광반사 베이스 구조체(2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반사 베이스 구조체(21)는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17b)의 형상에 따라 상부 방향으로 폭이 점차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발광구조체(30) 및 상기 광반사 베이스 구조체(21)는 건식식각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건식식각에 사용되는 식각가스는 CF4, CH4, C2 또는 F6등일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상기 광반사 베이스 구조체(21)의 측면을 덮는 광반사층(22)을 형성하여 광반사 구조체(2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 구조체(30)의 제1 클래드층(12) 및 제2 클래드층(16)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전극(18) 및 제2 전극(19)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광반사층(22) 및 상기 전극들(18, 19)은 동일 공정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상부 방향으로 폭이 점차 감소하는 광반사 구조체를 구비하는 발광 다이오드는 분산되는 광의 수용면적을 넓히고, 반사되는 양을 증가시킬 수 있 다. 따라서, 광 직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나타낸 레이아웃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기판 12: 제1 클래드층
14: 활성층 16: 제2 클래드층
18: 제1 전극 19: 제2 전극
20: 광반사 구조체 21: 광반사 베이스 구조체
22: 광반사층 24: 봉지층
30: 발광 구조체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기판 상에 제1 클래드 패턴, 활성 패턴 및 제2 클래드 패턴을 구비하는 발광 구조체, 및 상기 발광 구조체의 적어도 일측면과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클래드 패턴과 연결된 제1 패턴, 상기 활성 패턴과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는 제2 패턴, 및 상기 제2 클래드 패턴과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는 제3 패턴을 구비하는 광반사 베이스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반사 베이스 구조체의 측면을 덮어 상기 제1 패턴의 측면 및 상기 제3 패턴의 측면에 접하는 광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발광 구조체 및 상기 광반사 베이스 구조체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기판 상에 하부 제1 클래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 제1 클래드층 상에 절연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절연막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하부 제1 클래드층 상에 활성층 및 제2 클래드층을 형성하여, 상기 제1 클래드 패턴, 상기 활성 패턴, 상기 제2 클래드 패턴, 상기 제1 패턴, 상기 제2 패턴 및 상기 제3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 베이스 구조체는 상기 발광 구조체의 모든 측면과 이격하여 배치된 발광다이오드의 제조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층은 Al층, Ag층 또는 그의 합금층인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구조체의 상기 제1 클래드 패턴 및 상기 제2 클래드 패턴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상기 광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형성되는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KR1020080118281A 2008-11-26 2008-11-26 광반사 구조체를 구비하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48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281A KR101048595B1 (ko) 2008-11-26 2008-11-26 광반사 구조체를 구비하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281A KR101048595B1 (ko) 2008-11-26 2008-11-26 광반사 구조체를 구비하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492A KR20100059492A (ko) 2010-06-04
KR101048595B1 true KR101048595B1 (ko) 2011-07-12

Family

ID=42360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281A KR101048595B1 (ko) 2008-11-26 2008-11-26 광반사 구조체를 구비하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85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6207B1 (ko) * 2016-12-30 2024-05-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결 클래드 전극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2760A (ja) * 2000-05-25 2001-11-30 Toyoda Gosei Co Ltd Iii族窒化物系化合物半導体発光素子
KR20060057090A (ko) * 2004-11-23 2006-05-26 삼성전기주식회사 GaN 계 화합물 반도체 발광소자
KR100635208B1 (ko) * 2005-03-30 2006-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집광형 발광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2760A (ja) * 2000-05-25 2001-11-30 Toyoda Gosei Co Ltd Iii族窒化物系化合物半導体発光素子
KR20060057090A (ko) * 2004-11-23 2006-05-26 삼성전기주식회사 GaN 계 화합물 반도체 발광소자
KR100635208B1 (ko) * 2005-03-30 2006-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집광형 발광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6207B1 (ko) * 2016-12-30 2024-05-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결 클래드 전극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492A (ko) 201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0088B2 (en) Nitride based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EP2156478B1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80233B1 (ko) 다중 패턴 구조를 지닌 반도체 발광 소자
JP3863569B2 (ja) Movpe層の列を有する半導体基体の製造方法
US8410506B2 (en) High efficiency light emitting diode
KR20120092326A (ko) 광 결정 구조를 갖는 비극성 발광 다이오드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JPH11150303A (ja) 発光部品
KR20120092325A (ko) 광 결정 구조를 갖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US7572653B2 (en) Method of fabricating light emitting diode
KR20090076163A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KR101048595B1 (ko) 광반사 구조체를 구비하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89345B1 (ko) 구조화된 기판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JP2008047850A (ja) 窒化物半導体発光ダイオード素子
KR100813196B1 (ko) 발광 칩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KR20060134490A (ko) 플립 칩 질화물반도체 발광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381984B1 (ko) 발광 다이오드 칩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발광다이오드 칩
KR20080081620A (ko) 수직형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CN106030831A (zh) 用于制造半导体层序列的方法和光电子半导体器件
KR20180004457A (ko) 콘택층들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KR101012638B1 (ko) 수직형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101021398B1 (ko) 발광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90002161A (ko) 반도체 발광소자 및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JP2008047854A (ja) 窒化物半導体発光ダイオード素子
KR20230172543A (ko) 복사-방출 반도체 칩 및 복사-방출 반도체 칩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1542912B1 (ko) 개선된 반사 구조를 갖는 발광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