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891B1 -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 - Google Patents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891B1
KR101047891B1 KR1020080096523A KR20080096523A KR101047891B1 KR 101047891 B1 KR101047891 B1 KR 101047891B1 KR 1020080096523 A KR1020080096523 A KR 1020080096523A KR 20080096523 A KR20080096523 A KR 20080096523A KR 101047891 B1 KR101047891 B1 KR 101047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housing
edge
driving motor
cutting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6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7281A (ko
Inventor
김정민
이상범
강계형
홍진철
박희환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6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891B1/ko
Publication of KR20100037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7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metal, e.g. skate bl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면에 다수의 가이드부쉬가 돌출된 제1바디하우징과; 제1바디하우징의 타측면을 밀폐하는 제1바디커버와; 제1바디하우징과 제1바디커버 사이에 설치되는 제1구동모터와; 제1구동모터와 기어결합하여 회전되면서 부재의 일측 모서리를 절삭하는 제1절삭날과; 가이드부쉬가 끼워지도록 일측면에 다수의 가이드샤프트가 형성된 제2바디하우징과; 제2바디하우징의 타측면을 밀폐하는 제2바디커버와; 제2바디하우징과 제2바디커버 사이에 설치되는 제2구동모터와; 제2구동모터와 기어결합하여 회전되면서 부재의 타측 모서리를 절삭하는 제2절삭날과; 제2바디하우징의 일측면에 고정된 주행모터와; 제1,2바디하우징의 일측면 선,후에 부재의 측면과 접촉되게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는 주행모터와 연결설치된 제1,2주행륜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H형 빔의 모서리 양면 사상작업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작업 품질이 향상되며, 작업속도 및 절삭날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하고 미세한 사상 작업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소음이 거의 없어 작업환경 개선에도 일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부재, H-beam, H형 빔, 사상, 모서리, 자동, 양면

Description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AUTOMATIC EDGE GRINDING APPARATUS}
본 발명은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건조용 또는 각종 구조물에 사용되는 H형 빔과 같은 부재의 모서리 부분을 사상할 때 사상 품질과 작업 속도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건조용 혹은 각종 구조물에 사용되는 H형 빔(H-beam)은 도장공정후 날카로운 모서리의 도막이 쉽게 벗겨지는 문제를 안고 있다.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장 공정전에 모서리를 그라인딩하는 사상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사상작업은 보통 공압면취기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H형 빔의 한 변당 모서리는 2개가 존재하므로 작업자는 공압면취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먼저 H형 빔의 일측 변중 한쪽 모서리를 따라 이동하면서 H형 빔의 길이 처음부터 끝까지 사상작업한 다음 동일 변의 다른 쪽 모서리를 길이 처음부터 끝까지 다시 사상작업하는 형태가 그것이다.
따라서,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생산성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은 물론이고, 무거운 공압면취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장시간 작업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 등 병리적인 현상도 초래되는 등 많은 문제가 내재되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공압면취기는 소음이 크기 때문에 작업자의 청력 저하를 초래하기도 하며, 나아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사상품질의 차이 커 품질편차(모서리 사상부의 불균일)에 따른 후속 작업의 불량률도 높아지는 단점도 있었다.
또한, 모서리 사상을 위해 사용되는 공압면취기는 사상 작업중 공기압력의 저하시 구동토크를 떨어뜨려 절삭날이 정지함으로써 사상작업 불량률이 매우 높다는 단점도 상시 존재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H형 빔의 한 변당 존재하는 2개의 모서리를 동시에 사상작업할 수 있어 작업시간이 단축됨은 물론 자동화된 기기를 사용함으로써 사상 품질이 균일하며, 작업자의 안전 확보는 물론 근,골격계 질환 발생률을 급격히 낮추고, 공기압이 아닌 모터와 기어 결합을 이용한 동력전달수단을 활용함으로써 작업중 구동토크의 저하가 없어 절삭날이 멈출 염려도 없으며, 작고 경량이어서 휴대가 용이하고, 속도 조절도 가능하며, 소음이 거의 없어 작업환경도 우수한 새로운 형태의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해결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측면에 다수의 가이드부쉬가 돌출된 제1바디하우징과; 제1바디하우징의 타측면을 밀폐하는 제1바디커버와; 제1바디하우징과 제1바디커버 사이에 설치되는 제1구동모터와; 제1구동모터와 기어결합하여 회전되면서 부재의 일측 모서리를 절삭하는 제1절삭날과; 가이드부쉬가 끼워지도록 일측면에 다수의 가이드샤프트가 형성된 제2바디하우징과; 제2바디하우징의 타측면을 밀폐하는 제2바디커버와; 제2바디하우징과 제2바디커버 사이에 설치되는 제2구동모터와; 제2구동모터와 기어결합하여 회전되면서 부재의 타측 모서리를 절삭하는 제2절삭날과; 제2바디하우징의 일측면에 고정된 주행모터와; 제1,2바디하우징의 일측면 선,후에 부재의 측면과 접촉되게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는 주행모터와 연결설치된 제1,2주행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구동모터와 제1절삭날, 상기 제2구동모터와 제2절삭날은 각각 베벨기어로 동력전달되게 연결 설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제1바디하우징의 일측면 선단에는 상기 주행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근접센서가 더 설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2바디하우징의 일측면에는 부재의 상면과 접촉되는 수직가이드롤이 더 설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제1,2바디하우징의 상면에는 손잡이가 더 설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주행모터와 제2주행륜은 평기어, 제1,2타이밍벨트, 웜기어로 순차 연결되어 감속가능하게 설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절삭날은 제1바디하우징에 설치된 슬라이딩판 및 스프링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바디하우징과 제2바디하우징 사이에는 수평스프링이 더 설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제2바디하우징에는 조절핸들에 의해 스크류방식으로 인출입되면서 제1바디하우징과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샤프트가 더 설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나아가, 상기 제2바디하우징에는 상기 조절샤프트를 위치고정하는 고정나사 가 더 설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제2바디하우징에는 상기 조절샤프트의 인출입길이를 통해 부재의 두께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가 더 설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H형 빔의 모서리 사상작업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작업 품질이 향상되며, 작업속도 및 절삭날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하고 미세한 사상 작업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소음이 거의 없어 작업환경 개선에도 일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의 예시적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를 구성하는 제1작동바디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를 반대방향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를 구성하는 제2작동바디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을 반대방향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9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1) 는 제1작동바디(3)와, 제2작동바디(4)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작동바디(3)와 제2작동바디(4)는 서로 결속되어 하나의 작동체, 즉 본 발명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1)를 구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건조용 혹은 각종 구조물에 사용되는 부재(2), 특히 H형 빔에 거친된 후 상기 H형 빔의 모서리 사상작업에 사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작동바디(3)와 제2작동바디(4)는 서로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결속되기 때문에 부재(2)의 두께가 변하더라도 그에 맞춰 쉽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설치가 용이하고 두께 변화에 따른 끼임 방지는 물론 사상 품질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작동바디(3)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일정공간을 갖는 대략 사각프레임 형태의 제1바디하우징(15)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바디하우징(15)의 일측면에는 제1바디커버(16)가 씌워진다.
이때, 상기 제1바디하우징(15)과 제1바디커버(16) 사이에는 제1구동모터(6)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제1바디하우징(15)의 상면에는 휴대 이동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7)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바디하우징(15)의 상면 일측단에는 조작패널(18)이 설치되며, 상기 조작패널(18)을 통해 제1구동모터(6)의 전원인가 및 본 발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바디하우징(15)의 일측면에는 중앙에 설치공(14-2)이 천공된 슬라이딩판(14-1)이 설치된다.
특히, 상기 슬라이딩판(14-1)은 스프링(8)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완충가능하게 설치되며, 나아가 다수의 가이드부쉬(11)중 어느 하나에 끼워져 이를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세팅레버(14)와 연결되어 본 발명 장치를 부재(2)에 초기 설치시 제1절삭날(5)이 부재(2)와의 접촉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상기 세팅레버(14)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향이동되게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구동모터(6)의 회전축에는 구동베벨기어(7-1)가 고정되고, 상기 구동베벨기어(7-1)에는 종동베벨기어(7-2)가 치결합되어 회전운동의 방향을 90°전환시켜 동력전달 가능한 구조를 갖게 된다.
이때, 상기 종동베벨기어(7-2)는 상기 설치공(14-2)을 관통하여 상기 구동베벨기어(7-1)에 치결합되며, 상기 종동베벨기어(7-2)의 회전축은 고정브라켓(5-1)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베어링결합된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브라켓(5-1)은 대략 사각편상의 부재로서 상기 종동베벨기어(7-2)의 회전축이 관통된 지점을 기준으로 그 양측에 한쌍의 수직가이드롤(9)이 자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종동베벨기어(7-2)의 회전축상에는 제1절삭날(5)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1구동모터(6)가 회전되게 되면 그 회동력은 구동베벨기어(7-1), 종동베벨기어(7-2)를 거쳐 제1절삭날(5)로 전달되며, 이를 통해 상기 제1절삭날(5)이 회전구동되게 된다.
덧붙여, 상기 제1바디하우징(15)의 일측, 다시 말해 상기 제1바디커버(16) 대향면 선,후단에는 각각 제1주행륜(10)이 설치되며, 상기 제1주행륜(10)은 부재(2)의 모서리 직하방 위치인 측면(즉, 변)과 구름접촉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바디하우징(15)의 진행방향쪽 선단, 즉 상기 제1주행륜(10) 보다 앞선 위치에는 근접센서(13)가 설치되어 부재(2)의 끝을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감지신호는 조작패널(18)로 전달되어 장치의 구동을 자동 정지시키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바디하우징(15)의 상단면 길이 중앙부에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평스프링(12)이 설치되어 본 발명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1)를 구성하는 제1작동바디(3)와 제2작동바디(4)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재(2)의 두께 변화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특히 바람직하다.
다음, 제2작동바디(4)도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프레임 형상의 제2바디하우징(3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바디하우징(32)의 일측면은 제2바디커버(33)에 의해 밀폐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2바디하우징(32)과 제2바디커버(33) 사이에는 제2구동모터(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구동모터(20)의 회전축에는 앞서 설명한 제1작동바디(3)의 구성과 동일한 구동베벨기어(7-1)가 고정되고, 상기 구동베벨기어(7-1)에는 종동베벨기어(7-2)가 치결합된다.
여기에서, 상기 종동베벨기어(7-2)는 고정브라켓(19-1)에 축고정된 상태로 제2바디하우징(32)에 천공된 설치공(32-1)을 관통한 다음 상기 구동베벨기어(7-1)에 치결합되며, 상기 고정브라켓(19-1)은 상기 제2바디하우징(32)에 고정되고, 그 축상에는 제2절삭날(19)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2절삭날(19)은 상기 제2구동모터(20)의 회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절삭날(19)이 설치되는 제2바디하우징(32)의 면상에는 도 7,8에 예시된 가이드부쉬(11)에 삽입되어 조립되는 다수의 가이드샤프트(27)가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샤프트(27)중 어느 하나는 조절샤프트(28)로 구성되는데, 상기 조절샤프트(28)는 상기 제2바디하우징(32)에 스크류 형태로 관통체결되고, 그 후단에 조절핸들(29)을 고정하여 이를 회전시킴으로써 간격조절(제1작동바디와 제2작동바디간의 간격)이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조절샤프트(28)에는 고정나사(31)를 구비하여 상기 조절핸들(29)을 통해 조절샤프트(28)로 간격을 조절한 후에는 그 간격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상기 고정나사(31)를 회전시켜 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조절핸들(29)과 고정나사(31) 주변에는 인디케이터(30)가 더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인디케이터(30)는 디지털 게이지의 일종으로서 앞서 조절된 간격 정보를 토대로 가공대상 부재(2)의 두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2바디하우징(32)의 하단부 선,후단에는 앞서 설명한 제1주행륜(10)과 마찬가지의 제2주행륜(26)이 설치되고, 수직가이드롤(9)도 설치된다.
다만, 상기 제2주행륜(26)은 구동력이 없는 제1주행륜(10)과 달리 자체 구동력을 갖는 주행륜으로서 이를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2바디하우징(32)의 일측면에는 주행모터(21)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주행모터(21)의 회전축에는 상기 제2바디하우징(32)을 관통한 다음 평기어(22) 고정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주행륜(26)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전달은 도 7 내지 도 11에 나타난 것처럼, 평기어(22), 제1타이밍벨트(23), 제2타이밍벨트(24), 위엄기어(25)를 통해 제1,2,3차에 걸쳐 감속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본 발명 장치의 보다 안전하고 안정적인 동작이 유도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보다 큰 내구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 장치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사용될 수 있다.
먼저, 부재(2), 즉 H형 빔의 일측 변 모서리 사상작업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1)를 가공 시작 부위에 올려 놓는다.
그러면, 수직가이드롤(9)은 도 4 및 도 5, 도 8, 도 11에서와 같이, 부재(2)의 일측 변 상면에 접촉배치되고, 제1,2절삭날(5,19)은 상기 일측 변 상면 양쪽에 형성된 모서리와 각각 접촉배치되며, 제1,2주행륜(10,26)은 부재(2)의 일측 변 양측면에 접촉배치된다.
이때, 세팅레버(14)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제1,2절삭날(5,19)이 약간 들려지게 함으로써 초기 설치시 부재(2)의 모서리와 제1,2절삭날(5,19)이 강하게 접촉되면서 그 접촉 충격에 의해 제1,2절삭날(5,19)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부재(2)의 일측 변 두께를 고려하여 정확한 세팅이 이루어지도록 조절핸들(29)을 조작하여 제1절삭날(5) 및 제2절삭날(19)이 정확히 모서리에 위치될 수 있도록 제1작동바디(3)와 제2작동바디(4)간의 간격을 조정한 다음 고정나사(31)로 견고히 고정한다.
이어, 조작패널(18)에 구비된 주행시작버튼을 눌러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제1,2구동모터(6,20)가 동시에 동일한 토크로 회전되면서 제1,2절삭날(5,19)을 회전시키게 된다.
동시에, 주행모터(21)도 구동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주행모터(21)와 평기어(22), 제1타이밍벨트(23), 제2타이밍벨트(24), 웜기어(25)로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된 구동륜이 제2주행륜(26)이 회전되면서 부재(2)의 일측 변 양측면을 밀게 되고 그 반발력으로 본 발명 장치가 이동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 장치가 이동되면서 제1,2절삭날(5,19)은 양쪽 모서리를 동시에 한꺼번에 사상작업하게 된다.
즉, 기존에는 일측 모서리를 사상한 후에 다시 타측 모서리를 사상하는 형태로 부재(2)의 일변당 2회의 작업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적어도 2개의 변을 갖는 H형 빔 부재(2)에 대하여 사상작업을 수행하려면 총 4회의 사상작업을 수행하여야 하였 지만 본 발명에서는 1회 작업시 일변의 양쪽 모서리를 동시에 사상작업하기 때문에 총 2회의 작업만으로도 모서리 사상작업을 모두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의 예시적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를 구성하는 제1작동바디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를 반대방향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를 구성하는 제2작동바디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을 반대방향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의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A-A선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제1작동바디 4....제2작동바디
5....제1절삭날 6....제1구동모터
15....제1바디하우징 16....제1바디커버
19....제2절삭날 20....제2구동모터
32....제2바디하우징 33....제2바디커버

Claims (11)

  1. 일측면에 다수의 가이드부쉬(11)가 돌출된 제1바디하우징(15)과;
    제1바디하우징(15)의 타측면을 밀폐하는 제1바디커버(16)와;
    제1바디하우징(15)과 제1바디커버(16) 사이에 설치되는 제1구동모터(6)와;
    제1구동모터(6)와 기어결합하여 회전되면서 부재(2)의 일측 모서리를 절삭하는 제1절삭날(5)과;
    가이드부쉬(11)가 끼워지도록 일측면에 다수의 가이드샤프트(27)가 형성된 제2바디하우징(32)과;
    제2바디하우징(32)의 타측면을 밀폐하는 제2바디커버(33)와;
    제2바디하우징(32)과 제2바디커버(33) 사이에 설치되는 제2구동모터(20)와;
    제2구동모터(20)와 기어결합하여 회전되면서 부재(2)의 타측 모서리를 절삭하는 제2절삭날(19)과;
    제2바디하우징(32)의 일측면에 고정된 주행모터(21)와;
    제1,2바디하우징(15,32)의 일측면 선,후에 부재(2)의 측면과 접촉되게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는 주행모터(21)와 연결설치된 제1,2주행륜(10,2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모터(6)와 제1절삭날(5), 상기 제2구동모터(20)와 제2절삭 날(19)은 각각 베벨기어로 동력전달되게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하우징(15)의 일측면 선단에는 상기 주행모터(21)의 구동을 제어하는 근접센서(13)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바디하우징(15,32)의 일측면에는 부재(2)의 상면과 접촉되는 수직가이드롤(9)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바디하우징(15,32)의 상면에는 손잡이(17)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모터(21)와 제2주행륜(26)은 평기어(22), 제1,2타이밍벨트(23,24), 웜기어(25)로 순차 연결되어 감속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삭날(5)은 제1바디하우징(15)에 설치된 슬라이딩판(14-1) 및 스프링(8)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하우징(15)과 제2바디하우징(32) 사이에는 수평스프링(12)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하우징(32)에는 조절핸들(29)에 의해 스크류방식으로 인출입되면서 제1바디하우징(15)과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샤프트(28)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하우징(32)에는 상기 조절샤프트(28)를 위치고정하는 고정나사(31)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하우징(32)에는 상기 조절샤프트(28)의 인출입길이를 통해 부 재(2)의 두께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30)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
KR1020080096523A 2008-10-01 2008-10-01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 KR101047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523A KR101047891B1 (ko) 2008-10-01 2008-10-01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523A KR101047891B1 (ko) 2008-10-01 2008-10-01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281A KR20100037281A (ko) 2010-04-09
KR101047891B1 true KR101047891B1 (ko) 2011-07-08

Family

ID=42214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6523A KR101047891B1 (ko) 2008-10-01 2008-10-01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8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108B1 (ko) * 2013-02-27 2013-08-27 기득산업(주) 형강 모서리 성형용 롤러와, 그 롤러를 포함하는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KR20180059298A (ko) 2016-11-25 2018-06-04 기득산업 주식회사 평철 모서리 가공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9657A (ja) 1984-11-02 1986-05-28 Mitsubishi Heavy Ind Ltd 鉄構部材面取装置
KR20060102734A (ko) * 2005-03-24 2006-09-28 송창섭 양면 동시 가공할 수 있는 연삭공구
KR100819335B1 (ko) * 2007-01-09 2008-04-03 에스티엑스조선주식회사 선체 외판 전처리 로봇
KR20090011384A (ko) * 2007-07-26 2009-02-02 안병권 용접 비드 및 유사 돌기부와 굴곡면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9657A (ja) 1984-11-02 1986-05-28 Mitsubishi Heavy Ind Ltd 鉄構部材面取装置
KR20060102734A (ko) * 2005-03-24 2006-09-28 송창섭 양면 동시 가공할 수 있는 연삭공구
KR100819335B1 (ko) * 2007-01-09 2008-04-03 에스티엑스조선주식회사 선체 외판 전처리 로봇
KR20090011384A (ko) * 2007-07-26 2009-02-02 안병권 용접 비드 및 유사 돌기부와 굴곡면 가공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108B1 (ko) * 2013-02-27 2013-08-27 기득산업(주) 형강 모서리 성형용 롤러와, 그 롤러를 포함하는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KR20180059298A (ko) 2016-11-25 2018-06-04 기득산업 주식회사 평철 모서리 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281A (ko) 2010-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0124B2 (en) Eyeglass lens processing apparatus
US10793463B2 (en) Glass plate scribing apparatus
EP2014623B1 (en) Glass plate cutter
US6942542B2 (en) Eyeglass lens processing apparatus
KR100953503B1 (ko) 양면 에지 가공 포터블 장치
KR101047891B1 (ko) 모서리 자동 사상장치
JP2006305702A (ja) 眼鏡レンズ周縁加工装置
KR200232774Y1 (ko) 브이컷팅용 바이트의 연삭부 가공장치
CN102699686A (zh) 一种开槽弯字机
CN111054956B (zh) 一种焊缝清根加工设备
JP2007152439A (ja) 眼鏡レンズ加工装置
JP2564758B2 (ja) 切断材の面取り装置
JPH0760626A (ja) ガラス板の加工装置
CN213258613U (zh) 一种基于伺服控制的玻璃磨边机磨轮驱动结构
KR101581351B1 (ko) 면취기
JPH08336746A (ja) ガラス板の数値制御研削機械
CN205889582U (zh) 切割机构以及手动瓷砖切割机
US20060249001A1 (en) Device for processing the side edges of sheet materials or a sheet shaped component
CN210677856U (zh) 一种建筑板材切割用的夹持装置
KR20230066269A (ko)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20130063291A (ko) 사이드 트리머 판압축롤 자동 조정 장치
CN220481276U (zh) 一种磨砂机用多向调节磨砂机构
CN219882581U (zh) 一种切割装置
CN220051942U (zh) 一种玻璃修边器
KR101304507B1 (ko) 철판 자동면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