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761B1 - 반도체 발광소자 - Google Patents

반도체 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761B1
KR101047761B1 KR1020080134303A KR20080134303A KR101047761B1 KR 101047761 B1 KR101047761 B1 KR 101047761B1 KR 1020080134303 A KR1020080134303 A KR 1020080134303A KR 20080134303 A KR20080134303 A KR 20080134303A KR 101047761 B1 KR101047761 B1 KR 101047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emiconductor layer
conductive semiconductor
roughness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6297A (ko
Inventor
심상균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4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761B1/ko
Priority to US12/647,252 priority patent/US8110850B2/en
Priority to CN2009102611511A priority patent/CN101771123B/zh
Priority to AT09180801T priority patent/ATE499709T1/de
Priority to DE602009000785T priority patent/DE602009000785D1/de
Priority to EP09180801A priority patent/EP2202811B1/en
Publication of KR20100076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6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
    • H01L33/22Roughened surfaces, e.g. at the interface between epitaxial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H01L33/60Reflecti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실시 예는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는 제1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 위에 활성층; 상기 활성층 위에 제2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위에 사파이어 재질의 러프니스를 포함한다.
반도체, 발광소자, 러프니스

Description

반도체 발광소자{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Ⅲ-Ⅴ족 질화물 반도체(group Ⅲ-Ⅴ nitride semiconductor)는 물리적, 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발광 다이오드(LED)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LD) 등의 발광 소자의 핵심 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다. Ⅲ-Ⅴ족 질화물 반도체는 통상 InxAlyGa1-x-yN (0≤x≤1, 0≤y≤1, 0≤x+y≤1)의 조성식을 갖는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반도체 발광소자는 자외선, 청색 및 녹색 영역을 포괄하는 발광 영역을 가진다. 특히, GaN계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는 그 응용 분야에 있어서 청색/녹색 LED의 광소자 및 MESFET(Metal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HEMT (Hetero junction Field - Effect Transistors) 등의 고속 스위칭 소자, 고출력 소자에 응용되고 있다.
실시 예는 도전형 반도체층 위에 사파이어(Al2O3) 재질로 러프니스를 형성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실시 예는 투명전극층 위에 사파이어(Al2O3) 재질로 러프니스를 형성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는 제1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 위에 활성층; 상기 활성층 위에 제2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위에 사파이어 재질의 러프니스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은 제1도전형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 위에 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활성층 위에 제2도전형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위에 사파이어 파우더를 코팅하여 러프니스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는 광 추출 효과를 개선시켜 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각 층의 위 또는 아래에 대한 정의는 각 도면을 기준으로 설 명하기로 하며, 각 층의 두께는 일 예이며, 도면의 두께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1은 제1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를 나타낸 측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 발광소자(100)는 기판(110), 버퍼층(120), 언도프드 반도체층(130), 제1도전형 반도체층(140), 활성층(150) 및 제 2도전성 반도체층(160), 투명전극층(170) 및 러프니스(180)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110)은 사파이어(Al2O3),SiC, Si, GaAs, GaN, ZnO, GaP, InP, Ge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으며, 도전 특성을 갖는 기판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기판(110)의 위 또는/및 아래에는 요철 패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요철 패턴은 형상은 스트라이프 형태, 렌즈 형태, 기둥 형태, 뿔 형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10) 위에는 버퍼층(120)이 형성된다. 상기 버퍼층(120)은 GaN 재료와 기판 재료의 격자 부정합을 완화시켜 줄 수 있으며, GaN, InN, AlN, InGaN, AlGaN, InAlGaN, AlInN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120) 위에는 언도프드 반도체층(130)이 형성된다. 상기 언도프드 반도체층(130)은 제1도전형 도펀트 또는 제2도전형 도펀트를 첨가하지 않는 undoped GaN계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120) 및/또는 언도프드 반도체층(130)은 형성하지 않거나, 최종 소자에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140)은 상기 언도프드 반도체층(130) 위에 형성되며, 제1도전형 도펀트가 도핑된 적어도 한 층의 n형 반도체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 제1전극 접촉층으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140)은 GaN, InN, AlN, InGaN, AlGaN, InAlGaN, AlInN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도전형 도펀트는 n형 도펀트로서, Si, Ge, Sn , Se, Te를 포함한다.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140) 위에는 활성층(150)이 형성된다. 상기 활성층(150)은 단일 양자 우물 또는 다중 양자 우물(MQW) 구조로 형성되며, InGaN/GaN 또는 AlGaN/GaN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활성층(150)은 발광시키는 빛의 파장에 따른 밴드 캡 에너지를 갖는 재료로 선택되며, 예를 들면, 파장이 460~470nm의 청색 발광의 경우, InGaN 우물층/GaN 장벽층을 한 주기로 형성될 수 있는 데, 이러한 발광 파장에 따라 우물층/장벽층의 재료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140)과 활성층(150) 사이에는 도전형 AlGaN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형 AlGaN층은 n형 클래드층으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160)은 제2도전형 도펀트가 도핑된 p형 반도체층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p형 반도체층은 GaN, InN, AlN, InGaN, AlGaN, InAlGaN, AlInN 등과 같은 화합물 반도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도전형 도펀트는 p형 도펀트로서, Mg, Zn, Ca, Sr, Ba 등에서 적어도 하나를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160) 위에는 투명전극층(17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 전극층(170)은 ITO( 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IZTO( indium zinc tin oxide), IAZO( indium aluminum zinc oxide), IGZO( indium gallium zinc oxide), IGTO( indium gallium tin oxide), AZO( aluminium zinc oxide), ATO( antimony tin oxide), ZnO, IrOx, RuOx, NiO, Ni/Au의 물질 중에서 선택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160) 위에는 제3도전형 반도체층으로서, n형 반도체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투명전극층(170)은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160) 위에 형성되거나, 상기 제3도전형 반도체층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전극층(170) 위에는 러프니스(180)가 형성된다. 상기 러프니스(180)는 사파이어(Al2O3) 재질을 주 재료로 하여 형성되며, 상기 투명전극층(170)의 표면에 울퉁 불퉁한 패턴, 요철 패턴 등이 텍스쳐(texture) 형태로 증착되거나, 랜덤한 형태 또는 규칙적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140) 위에 제1전극(191)이 형성되고, 상기 러프니스(180) 위에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또는/및 상기 투명전극층(170)과 접촉되는 제2전극(193)이 형성된다.
상기 GaN계 반도체층(예: 제2도전형 반도체층)의 굴절률은 2.4이다. 상기 투명전극층(170)의 굴절률 예컨대, ITO 물질인 경우 예컨대, 2.1~1.17 굴절률로서 400~800nm 파장대에서는 예컨대, 1.8~2.1의 굴절률을 갖게 된다. 상기 사파이어 재질의 러프니스(180)의 굴절률은 예컨대, 1.76을 갖게 된다. 상기의 굴절률은 일 예이며, 상기 굴절률 값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광의 방출을 위해 제2도전형 반도체층(160), 상기 투명전극층(170) 및 상기 러프니스(180)의 순서로 굴절률이 낮아지도록 배치함으로써, 상기 활성층(150)에서 방출된 광은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160)을 통해 상기 투명전극층(170) 또는/및 상기 러프니스(180)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이때 상기 투명전극층(170)과 상기 러프니스(180) 사이의 계면에서는 광의 임계각이 변화되어, 광 추출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전극층(170)을 통해 광이 방출되거나, 상기 러프니스(180)을 통해 산란된 광이 방출될 수 있다.
도 2내지 도 5는 제1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판(110) 위에는 버퍼층(120), 언도프드 반도체층(130), 제1도전형 반도체층(140), 활성층(150) 및 제2도전형 반도체층(160)이 형성된다.
상기 기판(110)은 사파이어(Al2O3),SiC, Si, GaAs, GaN, ZnO, GaP, InP, Ge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으며, 도전 특성을 갖는 기판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기판(110) 위에는 질화물 반도체가 성장되는 데, 성장 장비는 전자빔 증착기, PVD(physical vapor deposition),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PLD(plasma laser deposition), 이중형의 열증착기(dual-type thermal evaporator) 스퍼터링(sputtering),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장비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기판(110) 위에는 버퍼층(120)이 형성된다. 상기 버퍼층(120)은 GaN, InN, AlN, InGaN, AlGaN, InAlGaN, AlInN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버퍼층(120) 위에는 언도프드 반도체층(130)이 형성된다. 상기 언도프드 반도체층(130)은 undoped GaN계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120) 및/또는 언도프 드 반도체층(130)은 형성하지 않거나, 최종 소자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140)은 상기 언도프드 반도체층(130) 위에 형성되며, 제1도전형 도펀트가 도핑된 적어도 한 층의 n형 반도체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 제1전극 접촉층으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140)은 GaN, InN, AlN, InGaN, AlGaN, InAlGaN, AlInN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도전형 도펀트는 n형 도펀트로서, Si, Ge, Sn , Se, Te를 포함한다.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140) 위에는 활성층(150)이 형성된다. 상기 활성층(150)은 단일 양자 우물 또는 다중 양자 우물(MQW) 구조로 형성되며, 예컨대, InGaN/GaN 또는 AlGaN/GaN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140)과 활성층(150) 사이에는 도전형 AlGaN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형 AlGaN층은 n형 클래드층으로 기능할 수 있으며, 상기 활성층(150) 위에는 p형 클래드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160)은 제2도전형 도펀트가 도핑된 p형 반도체층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p형 반도체층은 GaN, InN, AlN, InGaN, AlGaN, InAlGaN, AlInN 등과 같은 화합물 반도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p형 도펀트로서, Mg, Zn, Ca, Sr, Ba 등에서 적어도 하나를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160) 위에는 투명전극층(17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 전극층(170)은 ITO( 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IZTO( indium zinc tin oxide), IAZO( indium aluminum zinc oxide), IGZO( indium gallium zinc oxide), IGTO( indium gallium tin oxide), AZO( aluminium zinc oxide), ATO( antimony tin oxide), ZnO, IrOx, RuOx, NiO, Ni/Au의 물질 중에서 선택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전극층(170) 위에는 러프니스(180)가 형성된다. 상기 러프니스(180)는 사파이어(Al2O3) 재질을 주 재료로 하여 형성되며, 상기 투명전극층(170)의 표면에 울퉁 불퉁한 패턴, 요철 패턴 등이 텍스쳐(texture) 형태로 증착된다. 또한 상기 러프니스(180)는 상기 투명전극층(170)의 표면에 랜덤한 형태 또는 규칙적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러프니스(180)의 형성 방법은 사파이어 파우더와 중성 물(DI Water)을 혼합한 용액을 스핀 코팅 방식으로 상기 투명전극층(170)의 표면에 증착하게 된다. 상기 투명 전극층(170) 위에 상기 러프니스(180)가 증착되면, 소정의 가열 온도(예: 500~600℃)로 베이킹 처리를 진행하게 된다.
상기 러프니스(180)는 상기 투명전극층(170)의 표면에 울퉁 불퉁한 패턴, 요철 패턴 등이 텍스쳐(texture) 형태로 증착되거나, 랜덤한 형태 또는 규칙적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러프니스(180)가 형성되면, 메사 에칭을 수행하여 제1도전형 반도체층(140)의 일부를 노출시키고,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140) 위에 제1전극(191)을 형성하고, 상기 투명전극층(170) 또는/및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160)의 위에 제2전극(193)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투명전극층(170) 예컨대, ITO 물질의 굴절률은 2.1~1.17로서 400~800nm 파장대에서는 예컨대, 1.8~2.1의 굴절률을 갖게 된다. 상기 사파이어 재질의 러프 니스(180)의 굴절률은 예컨대, 1.76을 갖게 된다. 상기의 굴절률은 일 예이며, 상기 굴절률 값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광의 방출을 위해 제2도전형 반도체층(160), 상기 투명전극층(170) 및 상기 러프니스(180)의 순서로 굴절률이 낮아지도록 배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활성층(150)에서 방출된 광은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160)을 통해 상기 투명전극층(170) 또는/및 상기 러프니스(180)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이때 상기 투명전극층(170)과 상기 러프니스(180) 사이의 계면에서는 광의 임계각이 변화되어, 광 추출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전극층(170)을 통해 광이 방출되거나, 상기 러프니스(180)에 의해 산란된 광이 방출될 수 있다.
도 6은 제2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를 나타낸 측 단면도이다. 상기 제2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제1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로 처리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반도체 발광소자(101)는 기판(110), 버퍼층(120), 언도프드 반도체층(130), 제1도전형 반도체층(140), 활성층(150) 및 제 2도전성 반도체층(160),러프니스(180A)를 포함한다.
상기 러프니스(180A)는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160) 위에 형성되며, 그 형성 방법은 사파이어 파우더와 중성 물(DI Wafer)를 소정 비율로 혼합한 혼합 액을 스핀 코팅 방식으로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160) 표면에 증착하게 된다. 이후, 상기 러프니스(180A)는 소정의 가열 온도(예: 500~600℃)에서 베이킹 공정으로 처리된다.
상기 러프니스(180A)는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160)의 표면에 울퉁 불퉁한 패턴, 요철 패턴 등이 텍스쳐(texture) 형태로 증착되거나, 랜덤함 형태 또는 규칙적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160) 위에 제3도전형 반도체층으로서, n형 반도체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러프니스(180A)는 상기 제3도전형 반도체층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GaN계 반도체층(예: 제2도전형 반도체층)의 굴절률은 2.4이며, 상기 사파이어 재질의 러프니스(180A)의 굴절률은 1.76이므로, 광의 방출을 위해 제2도전형 반도체층(160), 상기 러프니스(180A)의 순서로 굴절률이 낮아지도록 배치함으로써, 상기 활성층(150)에서 방출된 광은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160) 또는/및 상기 러프니스(180A)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이때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670)과 상기 러프니스(180) 사이의 계면에서는 광의 임계각이 변화되어, 광 추출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도체 발광소자는 발광 구조물 위에 사파이어 재질을 이용한 러니프스를 형성시켜 줌으로써, 내부에서 발광된 광의 내부 전반사 비율을 감소시키고 발광 소자의 적출효율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위(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위(on)"와 "아래(under)"는 "directly"와 "indirectly"의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의 위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제1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의 측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제1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2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를 나타낸 측 단면도이다.

Claims (8)

  1. 제1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 위에 활성층;
    상기 활성층 위에 제2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위에 투명 전극층;
    상기 투명 전극층 위에 전극; 및
    상기 투명 전극층 위에 사파이어 재질의 러프니스를 포함하며,
    상기 사파이어 재질의 러프니스는 상기 투명 전극층의 굴절률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는 반도체 발광소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파이어 재질의 러프니스는 Al203 재질을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은 n형 반도체층 또는 p형 반도체층인 반도체 발광소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과 투명 전극층 사이에 제3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제3도전형 반도체층은 n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파이어 재질의 러프니스는 1.76의 굴절률을 갖고,
    상기 투명 전극층은 1.8~2.1의 굴절률을 갖는 반도체 발광소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파이어 재질의 러프니스는 울퉁 불퉁한 패턴 또는 요철 패턴을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 아래에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의 위 및 아래 중 적어도 하나에는 요철 패턴을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투명 전극층 및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에 접촉되는 반도체 발광소자.
KR1020080134303A 2008-12-26 2008-12-26 반도체 발광소자 KR101047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303A KR101047761B1 (ko) 2008-12-26 2008-12-26 반도체 발광소자
US12/647,252 US8110850B2 (en) 2008-12-26 2009-12-24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CN2009102611511A CN101771123B (zh) 2008-12-26 2009-12-28 半导体发光器件
AT09180801T ATE499709T1 (de) 2008-12-26 2009-12-28 Lichtemittierendes halbleiterbauelement
DE602009000785T DE602009000785D1 (de) 2008-12-26 2009-12-28 Lichtemittierendes Halbleiterbauelement
EP09180801A EP2202811B1 (en) 2008-12-26 2009-12-28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303A KR101047761B1 (ko) 2008-12-26 2008-12-26 반도체 발광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297A KR20100076297A (ko) 2010-07-06
KR101047761B1 true KR101047761B1 (ko) 2011-07-07

Family

ID=41652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303A KR101047761B1 (ko) 2008-12-26 2008-12-26 반도체 발광소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10850B2 (ko)
EP (1) EP2202811B1 (ko)
KR (1) KR101047761B1 (ko)
CN (1) CN101771123B (ko)
AT (1) ATE499709T1 (ko)
DE (1) DE602009000785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115B1 (ko) * 2011-02-28 2011-08-01 박건 결정성 및 휘도가 우수한 질화물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053114B1 (ko) * 2011-02-28 2011-08-01 박건 GaN 파우더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GaN 파우더를 이용한 질화물계 발광소자
KR101872735B1 (ko) * 2011-11-15 2018-08-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KR20150039518A (ko) 2013-10-02 2015-04-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CN103510059B (zh) * 2013-10-21 2016-08-17 研创应用材料(赣州)股份有限公司 一种制备新型铜合金保护层材料及薄膜迭层的方法
KR20150111550A (ko) 2014-03-25 2015-10-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CN112968100A (zh) * 2020-08-14 2021-06-15 重庆康佳光电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发光器件、制备方法及电子设备
TWI792283B (zh) 2021-04-27 2023-02-11 錼創顯示科技股份有限公司 微型發光二極體結構與使用其的微型發光二極體顯示面板
CN113193090B (zh) * 2021-04-27 2023-06-06 錼创显示科技股份有限公司 微型发光二极管结构与使用其的微型发光二极管显示面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288B1 (ko) * 2005-03-21 2006-08-31 주식회사 이츠웰 터널링 층위에 제1 오믹 전극을 형성한 질화물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KR20070011041A (ko) * 2005-07-19 2007-01-24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추출 효율을 높인 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62516B1 (ko) * 2005-06-02 2008-10-08 삼성전기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0905B2 (ja) 2003-10-31 2010-12-01 豊田合成株式会社 発光素子および発光装置
JP2005216598A (ja) 2004-01-28 2005-08-11 Nissan Motor Co Ltd 固体高分子膜型燃料電池セ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244201A (ja) 2004-01-28 2005-09-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4670489B2 (ja) 2005-06-06 2011-04-13 日立電線株式会社 発光ダイオ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70018186A1 (en) 2005-07-19 2007-01-25 Lg Chem, Ltd. Light emitting diode device having advanced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2007266356A (ja) 2006-03-29 2007-10-11 Kyocera Corp 発光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
US20080008964A1 (en) * 2006-07-05 2008-01-10 Chia-Hua Chan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of fabricating a nano/micro structure
KR100820546B1 (ko) * 2006-09-07 2008-04-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283261B1 (ko) 2007-05-21 2013-07-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TWI338387B (en) 2007-05-28 2011-03-01 Delta Electronics Inc Current spreading layer with micro/nano structure, light-emitting diode apparatu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288B1 (ko) * 2005-03-21 2006-08-31 주식회사 이츠웰 터널링 층위에 제1 오믹 전극을 형성한 질화물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KR100862516B1 (ko) * 2005-06-02 2008-10-08 삼성전기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KR20070011041A (ko) * 2005-07-19 2007-01-24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추출 효율을 높인 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499709T1 (de) 2011-03-15
EP2202811B1 (en) 2011-02-23
US20100163903A1 (en) 2010-07-01
DE602009000785D1 (de) 2011-04-07
EP2202811A1 (en) 2010-06-30
US8110850B2 (en) 2012-02-07
CN101771123B (zh) 2013-01-30
KR20100076297A (ko) 2010-07-06
CN101771123A (zh) 201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7761B1 (ko) 반도체 발광소자
JP5450399B2 (ja) 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8124990B2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n electron barrier layer between a plurality of active layers
KR20100055750A (ko)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8502249B2 (en)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having groove in P-type semiconductor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519412B2 (en)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1134732B1 (ko)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8053792B2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60103686A (ko)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발광 소자 패키지
KR20170109899A (ko) 발광소자 및 조명장치
KR101636140B1 (ko)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909437B1 (ko)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862407B1 (ko)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999695B1 (ko)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249630B1 (ko) 발광소자 및 조명시스템
KR102199997B1 (ko) 발광소자 및 발광 소자 패키지
KR20170004476A (ko) 자외선 발광소자 및 발광소자 패키지
KR20160086603A (ko) 발광 소자
KR102175346B1 (ko) 발광소자 및 발광 소자 패키지
KR100730755B1 (ko) 수직형 발광소자 제조 방법 및 그 수직형 발광소자
KR102200019B1 (ko) 발광소자 및 발광 소자 제조방법
KR102432015B1 (ko) 자외선 발광소자 및 발광소자 패키지
KR20170001138A (ko) 자외선 발광소자, 발광소자 패키지 및 조명장치
KR20090108506A (ko)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60666A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