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6034B1 - 복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복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6034B1
KR101046034B1 KR1020040083928A KR20040083928A KR101046034B1 KR 101046034 B1 KR101046034 B1 KR 101046034B1 KR 1020040083928 A KR1020040083928 A KR 1020040083928A KR 20040083928 A KR20040083928 A KR 20040083928A KR 101046034 B1 KR101046034 B1 KR 101046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date
program
memory
firmware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7977A (ko
Inventor
후카미요이치
오노요시마사
Original Assignee
산요 테크노사운드 가부시키가이샤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 테크노사운드 가부시키가이샤,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테크노사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7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7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6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6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46Horizontal data movement in storage systems, i.e. moving data in between storage devices or systems
    • G06F3/0652Erasing, e.g. deleting, data cleaning, moving of data to a wastebask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83Plurality of storage devices
    • G06F3/0688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ar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선두 코드가 "0"을 나타내는 펌업 파일이 플래쉬 메모리(16)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키 입력 장치(30)에 의한 펌업 조작에 대응하여 펌 프로그램이 갱신된다. 펌업 처리가 적절하게 실행되면, 펌업 파일이 플래쉬 메모리(16)로부터 삭제된다. 그러나, 갱신 도중의 전원 차단 등에 의하여 펌업 처리가 적절하게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펌업 파일은 삭제되지 않고 플래쉬 메모리(16)에 남는다. 펌업 조작에 대응한 선두 코드의 개서 처리에 의하여, 이 펌업 파일에 할당된 선두 코드는 "1" 을 나타낸다. 따라서, 전원이 재차 투입될 때, 펌업 처리는 펌업 명령을 기다리지 않고 실행된다. 오퍼레이터는 단순한 조작으로 펌 프로그램을 갱신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처리 장치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LEX PROGRAM AND PROGRAM PROCESSING DEVICE}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 는 도 1 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CPU 동작의 일부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3 은 도 1 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CPU 동작의 다른 일부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4 는 도 1 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레지스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IC 레코더 14 : CPU
16, 18 : 플래쉬 메모리 20 : LCD
24 : DSP
본 발명은 복합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를 들면 펌 웨어와 같은 프로그램을 갱신하기 위한 복합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프로그램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를 들면 상술한 복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 그램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런 종류의 장치에서 펌 웨어를 갱신함에 있어서는, 장치를 케이블 등에서 PC(Personal Computer)와 접속하고, PC측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조작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펌 웨어를 PC 에서 장치로 전송하는 도중에, PC 가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 웨어의 영향으로 행업하거나 장치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거나 하면, 펌 웨어의 갱신에 실패하게 된다. 이 경우, 오퍼레이터는 펌 웨어의 갱신 조작을 최초부터 다시 할 필요가 있어, 시간이 걸린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간단한 조작으로 프로그램을 올바르게 갱신할 수 있는 복합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 의 발명에 따른 복합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갖는 프로그램 처리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복합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복합 프로그램은 제 1 프로그램 및 상기 메모리에 격납된 갱신 데이터에 의하여 갱신되는 제 2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프로그램은, 상기 제 2 프로그램을 상기 갱신 데이터에 기초하여 갱신하는 갱신 스텝; 상기 갱신 데이터에 할당된 수치 정보가 제 1 수치를 나타내는 경우 갱신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갱신 스텝을 능동화하고, 상기 수치 정보가 제 2 수치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갱신 명령을 기다리지 않고 상기 갱신 스텝을 능동화하는 능동화 스텝; 및 상기 갱신 스텝에 의한 갱신이 완료된 후에 상 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갱신 데이터를 삭제하는 삭제 스텝을 상기 프로세서에 실행시키며, 상기 제 2 프로그램은, 갱신 조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갱신 명령을 발행하는 발행 스텝; 및 상기 갱신 조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수치 정보를 상기 제 1 수치로부터 상기 제 2 수치로 변경하는 변경 스텝을 상기 프로세서에 실행시킨다.
복합 프로그램은 제 1 프로그램 및 제 2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구비한 프로그램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된다. 제 2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격납된 갱신 데이터에 의해 갱신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프로그램은 갱신 스텝, 제 1 능동화 스텝 및 삭제 스텝을 포함하며, 제 2 프로그램은 제 1 발행 스텝 및 변경 스텝을 포함한다.
갱신 조작이 이루어지면, 갱신 명령이 제 1 발행 스텝에서 발행되고, 갱신 데이터에 할당된 수치 정보가 변경 스텝에서 제 1 수치로부터 제 2 수치로 변경된다. 제 1 능동화 스텝은 갱신 데이터에 할당된 수치 정보가 제 1 수치를 나타내는 경우 갱신 명령에 응답하여 갱신 스텝을 능동화하고, 수치 정보가 제 2 수치를 나타내는 경우 갱신 명령을 기다리지 않고 갱신 스텝을 능동화한다. 갱신 데이터에 기초한 제 2 프로그램의 갱신은 갱신 스텝에서 실행된다. 갱신이 완료되면, 제 2 메모리에 격납된 갱신 데이터가 삭제 스텝에서 삭제된다.
따라서, 제 1 수치를 나타내는 수치 정보가 할당된 갱신 데이터가 메모리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갱신 조작에 응답하여 제 2 프로그램이 갱신된다. 갱신 처리가 적절히 실행되면 갱신 데이터가 메모리로부터 삭제된다. 그러나, 갱신 도중의 전원 차단 등에 의해 갱신 처리가 적절히 실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갱신 데이터는 삭제되지 않고 메모리에 남는다. 이 갱신 데이터에 할당된 수치 정보는 제 2 수치를 나타낸다. 전원이 다시 투입되면, 갱신 처리는 갱신 명령을 기다리지 않고 실행된다. 이로써, 오퍼레이터는 간단한 조작으로 제 2 프로그램을 갱신할 수 있다.
청구항 2 의 발명에 따른 복합 프로그램은, 청구항 1 에 종속되며, 상기 제 2 프로그램은 상기 갱신 조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갱신 데이터가 정당한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스텝을 상기 프로세서에 더 실행시키고, 상기 발행 스텝은 상기 판별 스텝의 판별 결과가 긍적적인 경우 상기 갱신 명령을 발행하며, 상기 갱신 스텝은 상기 판별 스텝의 판별 결과가 긍정적인 경우 상기 수치 정보를 변경한다.
즉, 메모리에 격납된 갱신 데이터가 정당한 데이터인 경우, 갱신 명령이 발행되고 수치 정보가 제 1 수치로부터 제 2 수치로 변경된다. 환언하면, 갱신 데이터가 부당한 경우 갱신 명령의 발행이나 수치 정보의 변경은 실행되지 않는다. 이로써, 부당한 갱신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 2 프로그램이 갱신되어 버리는 사태를 피할 수 있다.
청구항 3 의 발명에 따른 복합 프로그램은, 청구항 2 에 종속되며, 상기 제 1 프로그램은 상기 판별 스텝의 판별 결과가 부정적인 경우 상기 갱신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삭제하는 삭제 스텝을 상기 프로세서에 더 실행시킨다. 이로써, 부당한 갱신 데이터가 메모리에 남는 상태를 피할 수 있다.
청구항 4 의 발명에 따른 복합 프로그램은, 청구항 3 에 종속되며, 상기 제 1 프로그램은 삭제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삭제 스텝을 능동화하는 제 2 능동화 스텝을 상기 프로세서에 더 실행시키고, 상기 제 2 프로그램은 상기 판별 스텝의 판별 결과가 부정적인 경우 메세지를 출력하는 출력 스텝 및 삭제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삭제 명령을 발행하는 제 2 발행 스텝을 상기 프로세서에 더 실행시킨다.
갱신 데이터가 부당한 데이터이면 메세지가 출력된다. 이 메세지를 받아서 오퍼레이터가 삭제 조작을 하면, 갱신 데이터가 메모리로부터 삭제된다.
청구항 5 의 발명에 따른 복합 프로그램은,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종속되며, 상기 수치 정보의 초기치는 상기 제 1 수치이다. 따라서, 제 2 프로그램의 최초의 갱신은 갱신 조작에 응답하여 실행된다.
청구항 6 의 발명에 따른 복합 프로그램은,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종속되며, 상기 프로그램 처리 장치는 복수의 메뉴 항목을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상기 갱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특정 항목을 상기 복수의 메뉴 항목에 추가하는 추가 스텝을 상기 프로세서에 더 실행시킨다.
따라서, 갱신 데이터가 메모리에 존재할 때에는, 특정 항목이 출력 수단에 의해 출력된다. 오퍼레이터는 갱신 데이터의 존재를 이 특정 항목의 출력에 의해 인식할 수 있다.
청구항 7 의 발명에 따른 복합 프로그램은,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종속되며, 상기 제 1 프로그램은 부트 프로그램이고, 상기 제 2 프로그램은 펌 프로그램이다. 제 2 프로그램은 제 1 프로그램에 의해 기동된다.른
청구항 8 의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처리 장치는, 제 1 프로그램 및 제 2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제 2 프로그램을 갱신하는 갱신 데이터를 격납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프로그램은, 상기 제 2 프로그램을 상기 갱신 데이터에 기초하여 갱신하는 갱신 스텝; 상기 갱신 스텝에 할당된 수치 정보가 제 1 수치를 나타내는 경우 갱신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갱신 스텝을 능동화하고, 상기 수치 정보가 제 2 수치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갱신 명령을 기다리지 않고 상기 갱신 스텝을 능동화하는 제 1 능동화 스텝; 및 상기 갱신 스텝에 의한 갱신이 완료된 후에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갱신 데이터를 삭제하는 삭제 스텝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프로그램은, 갱신 조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갱신 명령을 발행하는 제 1 발행 스텝; 및 상기 갱신 조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수치 정보를 상기 제 1 수치로부터 상기 제 2 수치로 변경하는 변경 스텝을 포함한다.
청구항 1 과 마찬가지로, 제 1 수치를 나타내는 수치 정보가 할당된 갱신 데이터가 메모리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갱신 조작에 응답하여 제 2 프로그램이 갱신된다. 갱신 처리가 적절히 실행되면, 갱신 데이터가 메모리로부터 삭제된다. 그러나, 갱신 도중의 전원 차단 등에 의해 갱신 처리가 적절히 실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갱신 데이터는 삭제되지 않고 메모리에 남는다. 이 갱신 데이터에 할당된 수치 정보는 제 2 수치를 나타낸다. 전원이 다시 투입되면, 갱신 처리는 갱신 명령을 기다리지 않고 실행된다. 이로써, 오퍼레이터는 간단한 조작으로 제 2 프로그램을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수치를 나타내는 수치 정보가 할당된 갱신 데이터가 메모리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갱신 조작에 응답하여 제 2 프로그램이 갱신된다. 갱신 처리가 적절히 실행되면 갱신 데이터가 메모리로부터 삭제된다. 그러나, 갱신 도중의 전원 차단 등에 의해 갱신 처리가 적절히 실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갱신 데이터는 삭제되지 않고 메모리에 남는다. 이 갱신 데이터에 할당된 수치 정보는 제 2 수치를 나타낸다. 전원이 다시 투입되면, 갱신 처리는 갱신 명령을 기다리지 않고 실행된다. 이로써, 오퍼레이터는 간단한 조작으로 제 2 프로그램을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그 외의 목적과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하는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한층 분명해진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IC 레코더(10)는 오디오 재생 기능, 오디오 기록 기능, 마이크로폰 기능 및 외부 스토리지(Storage) 기능을 갖는다. 오디오 재생 기능 및 오디오 기록 기능은 IC 레코더(10) 단독으로 실현되는 기능이며, 마이크로폰 기능 및 외부 스토리지 기능은 IC 레코더(10)와 PC(40)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이다.
키 입력 장치(30)에 의해 오디오 재생 기능이 선택되면, CPU(14)는 DSP(Digi tal Signal Processor: 24)를 재생 모드로 설정하고, NAND형 플래시 메모리(16)에 기억된 오디오 파일을 DSP(24)로 보낸다. DSP(24)는 보내어진 오디오 파일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복호화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26)로부터 출력한다.
키 입력 장치(30)에 의해 오디오 기록 기능이 선택되면, CPU(14)는 DSP(24) 를 기록 모드로 설정한다. DSP(24)는 마이크로폰(28)으로부터 받아들여진 오디오 신호를 부호화하여,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CPU(14)로 보낸다. CPU(14)는 보내어진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한 오디오 파일을 플래쉬 메모리(16) 상에 작성한다.
IC 레코더(10)가 USB 콘트롤러(12)로 PC(40)와 접속된 상태에서 키 입력 장치(30)에 의해 마이크로폰 기능이 선택되면, CPU(14)는 DSP(24)를 마이크로폰 모드로 설정한다. DSP(24)는 마이크로폰(28)으로부터 받아들여진 오디오 신호를 부호화하여,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CPU(14)로 보낸다. CPU(14)는 보내어진 오디오 데이터를 USB 콘트롤러(12)를 통해 PC(40)로 출력한다.
IC 레코더(10)가 USB 콘트롤러(12)로 PC(40)에 접속된 상태에서, 키 입력 장치(30)에 의해 외부 스토리지 기능이 선택되면, CPU(14)는 PC(40)로부터의 액세스 요구에 따라 플래쉬 메모리(16)에 액세스한다. 액세스 요구가 플래쉬 메모리(16)로의 파일의 기입을 요구하는 것이면, CPU(14)는 PC(40)로부터 동시에 주어지는 파일을 플래쉬 메모리(16)에 기입한다. 또, 액세스 요구가 플래쉬 메모리(16)로부터의 파일의 독출을 요구하는 것이면, CPU(14)는 플래쉬 메모리(16)로부터 원하는 파일을 독출하여, 독출된 파일을 PC(40)로 전송한다.
상술한 기능의 선택에 관계 없이, CPU(14)는 복수의 메뉴 항목을 램(22)에 형성된 레지스터(22r)에 도 2 에 나타낸 요령으로 설정한다. 도 2 에 의하면, "파일 분할", "녹음 모드", "녹음 감도", "BEEP 설정", "VAS 설정", "달력 설정", "타이머 설정", "USB 마이크 설정", "포맷" 및 "콘트라스트" 의 항목이 설정된다. CPU(14)는 이러한 메뉴 항목을 LCD(20)에 스크롤 표시한다.
또한, PC(40)로부터 플래쉬 메모리(16)에 전송되는 파일 1 개에 펌업 파일이 있다. 이 파일은, NOR형 플래쉬 메모리(18)의 펌 프로그램 영역(18fm)에 기억된 펌 프로그램(펌 웨어)을 갱신하기 위한 파일이다. 이 펌업 파일이 플래쉬 메모리(16)에 격납되어 있는 경우에는, 레지스터(22r)에 "펌업" 항목이 추가되어 이 항목도 또한 LCD(20)에 표시된다.
CPU(14)는, 전원이 투입된 경우, 플래쉬 메모리(18)의 부트 프로그램 영역(18bt)에 기억된 부트 프로그램에 따라 도 3 에 나타낸 순서도를 처리한다. 또, 이 부트 프로그램에 의해 펌 프로그램 영역(18fm)의 펌 프로그램이 기동될 때, 이 펌 프로그램에 따라 도 4 에 나타낸 순서도를 처리한다.
우선, 도 3 을 참조하면, 스텝 S1 에서는 펌업 파일이 플래쉬 메모리(16)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아니오' 이면, 스텝 S3 의 기동 처리를 거쳐 처리를 실행한다. '예' 이면 스텝 S5 로 진행하여 펌업 파일이 존재하는 취지를 통지하는 제 1 통지를 발행한다. 스텝 S7 에서는 펌업 파일의 선두 코드가 "1" 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예' 이면 스텝 S15 에서 펌업 처리를 실행한다. 이 결과, 펌 프로그램 영역(18fm)에 기억된 펌 프로그램이 펌업 파일에 격납된 펌 프로그램에 의해 갱신된다. 펌업 처리가 완료되면 플래쉬 메모리(16)에 기억된 펌업 파일을 스텝 S17 에서 삭제하고, 펌업 파일이 삭제된 취지의 통지인 제 2 통지를 발행한다. 처리는 제 2 통지의 발행 후에 종료한다.
스텝 S7 에서 '아니오' 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9 에서 기동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11 에서는 펌업 명령의 유무를 판단하고, 스텝 S13 에서는 삭제 명 령의 유무를 판단한다. 펌업 명령이 발행된 경우에는 스텝 S11 로부터 스텝 S15 로 진행하고, 삭제 명령이 발행된 경우에는 스텝 S13 으로부터 스텝 S17 로 진행한다. 어느 명령도 발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1 및 S13 의 처리를 반복한다.
펌 프로그램은 도 3 에 나타낸 스텝 S3 또는 S9 의 기동 처리에 의해 기동한다. 이로써, 도 4 에 나타낸 순서도에 따른 처리가 개시된다.
우선, 스텝 S21 에서 초기화 처리를 실행한다. 이로써, 도 2 에 나타낸 11 개의 메뉴 항목이 레지스터(22r)에 설정되고, 이 메뉴 항목이 LCD(20)에 표시된다. 스텝 S23 에서는 제 1 통지의 발행 유무를 판단한다. '아니오' 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직접 스텝 S27 로 진행하여, '예' 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25 의 처리를 거쳐 스텝 S27 로 진행한다. 스텝 S25 에서는, "펌업" 항목을 도 2 에 나타낸 요령으로 레지스터(22r)에 추가한다. 이 때문에, LCD(20)에 표시되는 메뉴 항목에도 "펌업" 이 추가된다.
스텝 S27 에서는, 레지스터(22r)의 "펌업" 을 선택하는 조작, 즉 펌업 조작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아니오' 라고 판단되면 스텝 S29 에서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레지스터(22r)에 설정된 "펌업" 이외의 항목이 선택된 경우에는,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처리가 여기에서 실행된다. 처리가 완료되면 스텝 S27 로 돌아온다.
펌업 실행 조작을 한 경우에는 스텝 S31 로 진행하여 플래쉬 메모리(16)로부터 펌업 파일의 헤더치를 검출한다. 스텝 S33 에서는 검출된 헤더치가 정당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정당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35 에서 펌업 명령을 발행하고 스텝 S37 에서 이 펌업 파일의 선두 코드를 "0" 으로부터 "1" 로 고쳐 기록한다. 한편, 헤더치가 부당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39 에서 에러 메세지를 출력한다. 이에 대하여 삭제 조작이 이루어지면, 스텝 S41 에서 '예' 라고 판단하고 스텝 S43 에서 삭제 명령을 발행한다.
스텝 S37 또는 S43 의 처리가 완료되면, 제 2 통지의 유무를 스텝 S45 에서 판단한다. '예' 라고 판단되면, 스텝 S47 에서 "펌업" 항목을 레지스터(22r)로부터 삭제하고, 그 후 스텝 S27 로 돌아온다. 스텝 S47 의 처리에 의해 LCD(20) 상의 "펌업" 항목도 삭제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선두 코드가 "0" 을 나타내는 펌업 파일이 플래쉬 메모리(16)에 존재할 때에는, 키 입력 장치(30)에 의한 펌업 조작에 응답하여 펌 프로그램이 갱신된다(S27, S35, S15). 갱신 처리, 즉 펌업 처리가 적절히 실행되면, 펌업 파일이 플래쉬 메모리(16)로부터 삭제된다(S17). 그러나, 갱신 도중의 전원 차단 등에 의해 펌업 처리가 적절히 실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펌업 파일은 삭제되지 않고 플래쉬 메모리(16)에 남는다. 펌업 조작에 응한 선두 코드의 개서 처리(S37)에 의해, 이 펌업 파일에 할당된 선두 코드는 "1" 을 나타낸다. 따라서, 전원이 다시 투입될 때, 펌업 처리는 펌업 명령을 기다리지 않고 실행된다(S7, S15). 이로써, 오퍼레이터는 간단한 조작으로 펌 프로그램을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조작으로 프로그램을 올바르게 갱신할 수 있는 복 합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처리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Claims (8)

  1. 소정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복수의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이 격납된 제1 메모리와,
    외부 장치로부터 출력되며, 상기 제1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소정 프로그램을 갱신하기 위한 갱신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갱신 파일이 격납된 제2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상기 소정 프로그램을, 상기 제2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상기 갱신 프로그램으로 갱신시키는 갱신 처리의 갱신 요구를 접수하는 갱신 요구 접수 수단과,
    기기 본체의 일부가 동작하지 않는 비작동 상태로부터 작동 상태로 당해 기기 본체를 이행시키는 이행 요구를 접수하는 이행 요구 접수 수단과,
    상기 갱신 요구 접수 수단에 의해 상기 갱신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갱신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제2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갱신 파일의 부가 정보 영역에 소정 데이터를 기입하는 제1 갱신 제어 수단과,
    상기 갱신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제2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갱신 파일을 삭제하고, 당해 갱신 처리가 정상으로 완료되기 전에 상기 기기 본체가 상기 작동 상태로부터 상기 비작동 상태로 이행하면 당해 갱신 파일을 유지하는 삭제 유지 제어 수단과,
    상기 비작동 상태 시에, 상기 이행 요구 접수 수단에 의해 상기 이행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제2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갱신 파일의 부가 정보 영역에 상기 소정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당해 소정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상기 갱신 요구를 접수하지 않더라도 상기 갱신 처리를 실행하는 제2 갱신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갱신 제어 수단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 영역에 상기 소정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고 또한 부당한 데이터가 검출되면, 판별 결과를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처리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40083928A 2003-10-20 2004-10-20 복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처리 장치 KR1010460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59448A JP4606009B2 (ja) 2003-10-20 2003-10-20 プログラム処理装置
JPJP-P-2003-00359448 2003-10-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7977A KR20050037977A (ko) 2005-04-25
KR101046034B1 true KR101046034B1 (ko) 2011-07-01

Family

ID=34615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928A KR101046034B1 (ko) 2003-10-20 2004-10-20 복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606009B2 (ko)
KR (1) KR101046034B1 (ko)
CN (1) CN10038201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7993A (ja) * 2005-08-09 2007-02-22 Rohm Co Ltd 制御回路、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およびファームウェアの更新方法
CN100430894C (zh) * 2005-10-28 2008-11-05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具有断电保护的电视系统软件更新方法
US7519754B2 (en) * 2005-12-28 2009-04-14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Hard disk drive cache memory and playback device
US7962801B2 (en) * 2008-10-15 2011-06-14 Silicon Motion, Inc. Link table recovery method
CN105700903A (zh) * 2014-11-28 2016-06-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用户终端的升级方法和用户终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296A (ja) * 1996-06-26 1998-01-16 Matsushita Graphic Commun Syst Inc 通信制御装置
JP2000137608A (ja) * 1998-08-28 2000-05-16 Canon Inc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更新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2002099441A (ja) * 2000-09-26 2002-04-05 Mitsubishi Electric Corp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端末装置の動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0418A (ja) * 1993-12-28 1995-08-04 Hitachi Maxell Ltd データ記憶装置ならびにその制御方法
US6470495B1 (en) * 1996-09-06 2002-10-22 Ncr Corporation Satellite control of electronic memory devices
US6594723B1 (en) * 1999-09-07 2003-07-15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data in nonvolatile memory
US6536038B1 (en) * 1999-11-29 2003-03-18 Intel Corporation Dynamic update of non-upgradeable memory
JP2002014833A (ja) * 2000-06-30 2002-01-18 Konica Corp フラッシュメモリの書き換え方式、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更新方式
JP2002041314A (ja) * 2000-07-25 2002-02-08 Ricoh Co Ltd プログラム書き換え装置
US7386846B2 (en) * 2001-07-26 2008-06-10 Kyocera Wireless Corp. System and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system software downloads in the field
US7299463B2 (en) * 2001-09-28 2007-11-20 Intel Corporation Method for atomically updating a plurality of fil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296A (ja) * 1996-06-26 1998-01-16 Matsushita Graphic Commun Syst Inc 通信制御装置
JP2000137608A (ja) * 1998-08-28 2000-05-16 Canon Inc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更新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2002099441A (ja) * 2000-09-26 2002-04-05 Mitsubishi Electric Corp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端末装置の動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82019C (zh) 2008-04-16
JP2005122623A (ja) 2005-05-12
CN1609798A (zh) 2005-04-27
KR20050037977A (ko) 2005-04-25
JP4606009B2 (ja) 201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8237B2 (ja) 携帯可能電子装置及び携帯可能電子装置の制御方法
US8302209B2 (en) Data processing methods and devices for reading from and writing to external storage devices
WO2023070823A1 (zh) 启动引导程序加载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及介质
JP3117668B2 (ja) 携帯型端末機器のメモリ管理方法
KR101046034B1 (ko) 복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처리 장치
JP2000308126A (ja) セキュリティ装置およびセキュリティ方法
CN111258613A (zh) 固件升级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JP5482786B2 (ja) 演算処理装置、プログラム、記憶媒体、および、遠隔操作システム
JP5217155B2 (ja) ファイル圧縮自動判定方式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7122772A (ja) 情報処理装置、データ記憶方法、およびデータ記憶プログラム
CN100492291C (zh) 具有即刻开启功能的电脑系统及其处理方法
CN105446835A (zh) 对系统文件进行修复的方法及装置
JP2008250992A (ja) 音データ処理装置
JP5369347B2 (ja) ファイル受信端末
JPH10333898A (ja)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CN101408845B (zh) 更新方法与相关的更新系统
US20070162633A1 (en) Computer peripheral device containing contents and method of outputting contents using the same
JP7400554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04280340A (ja) 無線基地局の起動システム
JP2003288213A (ja) ブートプログラム記憶装置、電子機器のブートプログラム記憶方法
KR100235325B1 (ko) 멀티미디어 컴퓨터를 이용한 전화 및 팩스테이타 자동수신 방법
JP2010128605A (ja) 情報記憶装置、データ記憶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112559B2 (ja) 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JP2009282810A (ja) 電子機器
JP200133132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