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906B1 -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906B1
KR101045906B1 KR1020090054380A KR20090054380A KR101045906B1 KR 101045906 B1 KR101045906 B1 KR 101045906B1 KR 1020090054380 A KR1020090054380 A KR 1020090054380A KR 20090054380 A KR20090054380 A KR 20090054380A KR 101045906 B1 KR101045906 B1 KR 101045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ually impaired
crosswalk
groove line
distance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4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6161A (ko
Inventor
장창문
장지웅
Original Assignee
장지웅
장창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지웅, 장창문 filed Critical 장지웅
Priority to KR1020090054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906B1/ko
Publication of KR20100136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6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6Installations on the floor, e.g. special surfaces, to guide blin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8Sticks for blin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06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characterised by the road surface marking material, e.g. comprising additives for improving friction or reflectivity; Methods of forming, installing or applying markings in, on or to road surfaces
    • E01F9/524Refl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incorporation in or application to road surface mark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2Traffic lines illumin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을 위한 안전시설로서 차도를 가로지르는 횡단보도를 건너는 시각장애인으로 하여금 시각장애인지팡이를 이용하여 횡단보도의 방향과 거리를 스스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전하게 횡단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각장애인이 시각장애인지팡이를 이용하여 정확한 방향을 인지하고, 스스로 횡단보도의 폭을 가름하면서 보다 안전하고 정확하게 횡단보도를 건널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로, 횡단보도, 방향표시요홈선, 거리감지안내요홈선, 간격, 야광페인트

Description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 안전장치{SAFETY DEVICE OF PEDESTRIAN IN CROSSWALK FOR BLIND PERSON}
본 발명은 장애인을 위한 안전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도를 가로지르는 횡단보도를 건너는 시각장애인으로 하여금 맹인용 지팡이를 이용하여 횡단보도의 방향과 거리를 스스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전하게 횡단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횡단보도는 차량이 통행하는 차도에 가로질러 보행자가 횡단하여 건너가도록 도색된 선으로 구비된 구역을 말한다.
원래 도로는 차량 통행 이전에 사람이 통행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였으나, 점차 통행하는 차량이 증가하여 결국 보행자의 보행을 안전하게 확보하기 위하여, 차로와 보도를 구분하였다. 이에 결국 보행자는 차로에 대해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차로를 가로질러 갈 수 밖에 없고, 안전하게 가로질러 보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횡단보도를 설치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횡단보도는 차량이 운행하는 방향으로 여러개의 선을 도색하여, 보행자의 보행에 도움이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사람은 진행방향으로 도색된 선분을 따라 이동하는 습성이 있으나, 종래의 횡단보도는 차량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횡단보도가 도색되어 있어, 결국 차량은 횡단보도 도색을 따라 진행함을 유도하며, 또한 보행자에게는 횡단보도가 보행을 가로 막는 방향으로 도색된 것으로, 차량 운전자는 빠르게 운행하라는 의미를 주며, 보행자에게는 보행을 막는 의미의 도색이 된 것이다. 또한 시각 장애지 등이 용이하게 횡단하기 위한 시설이 전무하여, 시각 장애자의 보행에 곤란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로서 공개특허 10-2007-0081955호(안전횡단을 위한 횡단보도)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공개특허 10-2007-0081955호는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통행하는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의 도로(2)에 대해 보행자가 횡단하도록 하는 횡단보도에 대한 것으로, 특히 보행자가 보행하며 진행하는 방향으로 상기 도로(2)와 구별되는 다수의 안내선(11)으로 횡단보도(10)가 표시된 것으로, 상기 안내선(11)은 일측 도로(2)의 끝단(3) 부근으로부터 타측 도로의 끝단(4) 부근으로 연속되어 이어져 도색되어 안내선(11)을 따라 보행자 또는 맹인이 안전하게 횡단하도록 구비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맹인의 경우 안내봉을 연속하여 도로(2) 부딪히면서 걷게 되면, 안내선(11) 위를 치면 도료의 탄성에 의해 보행 방향을 알 수 있으며, 방향을 잘못 선택하여 안내선(11) 밖의 도로(2) 위를 두드리면 안내선(11)과 도로(2)의 타격감 이 다르기 때문에 안전하게 보행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기 때문에, 안내선(11)을 맹인봉으로 찾아 다시 안전하게 횡단보도(10)를 횡단할 수 있도록 구비한 것으로, 상기 안내선(11)(12) 및 정지선(13) 등은 황색, 백색 또는 빨강색 등으로 구비되도록 하였다.
상기 안내선(11)은 도로의 차량이 진입하는 측으로 1개 또는 3개 이상의 안내선(14)을 더 추가되어 구비함이 바람직하며, 특히 도로(2)의 차량이 진입하는 측의 1개 내지 4개의 안내선(14)은 황색으로 도색되도록하고, 이후의 안내선(11)은 백색으로 도색되어 구비하여, 차량 운행자로 하여금 횡단보도에서 보행자를 보호하는 것을 유도하도록 구비하였다.
따라서 차량 운전자는 서로 다르게 도색된 안내선(11)(14)의 황색 및 백색의 채색에 의해 더욱 보행자 보호에 신경을 쓰도록 하며, 상기 안내선(11) 및 상기 정지선(13) 등은, 1차 도색 또는 복수회 도색으로 도색하여, 안내선(11) 및 정지선(13)의 도색된 높이가 노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되도록 구비한 것이다.
특히 이와 같은 상기 안내선(11) 및 상기 정지선(13)은, 노면으로부터의 높이가 0.5mm 내지 20mm의 높이로 도색되어, 차량이 과속을 방지하거나 또는 보행자 또는 맹인의 안내봉으로 도로 횡단을 용이하게 안내하도록 구비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앞을 보지 못하는 시각장애인에게는 안전시설로서 특별한 의미를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시각장애인들은 앞을 전혀 보지 못하므로 도로위에 색상을 갖는 페인트를 사용하여 도색작업으로 색상의 차별화함은 시각장애인들에게는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하며, 또한 도로면 위에 도색한 페인트는 장시간 차량의 운행으로 훼손될 경우 전혀 표시기능을 상실하게 되므로 오히려 시각장애인들에게는 새로운 위험요소가 될 수도 있다.
특히, 앞을 볼 수 없는 시각장애인의 경우 횡단보도를 건너감에 있어 건너야 할 남은 거리를 가름할 수 없어 시각장애인에게 있어서 불안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들이 의지하는 시각장애인지팡이를 활용하여 횡단보도를 건너감에 있어 정확한 진행방향을 확인하고. 아울러 건너가는 과정에서 잔여 거리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횡단보도를 건널 수 있도록 한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를 가로질 러 안전하게 건널 수 있도록 도로면에 설치되어 보행자가 신호등의 보행신호 주기동안 안전하게 건널 수 있도록 하는 횡단보도에 있어서, 상기 횡단보도는 양측에 각각 쌍을 이루어 설치되는 것으로, 시각장애인이 안전하게 대기하도록 출발점이 표시된 시각장애인대기부와; 상기 시각장애인대기부로 부터 출발하여 도로면에 시각장애인이 시각장애인지팡이를 이용하여 정확한 방향을 인지하도록 일정폭과 깊이로 도로면을 가로질러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방향표시요홈선과; 상기 방향표시요홈선의 일측에 비스듬히 경사각을 이루어 설치되며, 건넌거리(또는 남은거리)를 시각장애인이 시각장애인지팡이를 이용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진행방향으로 점점 간격이 일정한 비율로 변하도록 형성되며 일정폭과 깊이를 가진 거리감지안내요홈선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거리감지안내요홈선은 상기 방향표시요홈선의 왼쪽에 위치하도록 하며, 건넌거리(또는 남은거리)를 시각장애인이 시각장애인지팡이를 이용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진행방향으로 점점 좁아지는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향표시요홈선과 거리감지안내요홈선의 사이의 출발선에는 차도의 폭을 가늠할 수 있도록 차선을 인지하도록 하는 차선표시요홈선이 출발지점에 일정 길이로 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향표시요홈선과 거리감지안내요홈선을 형성하는 요홈의 내측벽에는 야간에 발광기능을 갖는 야광페인트가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 안전장치.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이 시각장애인지팡이를 이용하여 정확한 방향을 인지하고, 스스로 횡단보도의 폭을 가름하면서 보다 안전하고 정확하게 횡단보도를 건널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횡단보도가 도로상에 설치된 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200)를 가로질러 안전하게 건널 수 있도록 도로면에 설치되어 보행자가 신호등(210)의 보행신호 주기동안 시각장애인이 안전하게 건널 수 있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100)를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횡단보도(100)는 양측에 각각 쌍을 이루어 설치되는 것으로 방향표시요홈선(110)과 거리감지안내요홈선(120)과 차선표시요홈선(115) 및 시각장애인대기부(130)로 이루어져 있다.
시각장애인대기부(130)는 시각장애인이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건너기 위해 대기하도록 출발점이 표시된 것으로 반드시 보도상에 설치되어야 한다.
상기 방향표시요홈선(110)은 상기 시각장애인대기부(130)로 부터 출발하여 도로(200)면에 일정폭과 깊이로 도로면을 가로질러 형성된 것으로 시각장애인이 시각장애인지팡이(300)를 이용하여 건너가야 할 정확한 방향을 인지하도록 하는 것이 다.
상기 거리감지안내요홈선(120)은 상기 방향표시요홈선(1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왼쪽에 형성되며, 건넌거리(또는 남은거리)를 시각장애인이 시각장애인지팡이(300)를 이용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진행방향으로 점점 간격이 일정한 비율로 변하도록 형성되며, 일정폭과 깊이를 가진다.
즉, 상기 거리감지안내요홈선(120)은 상기 방향표시요홈선(110)의 외쪽 형성된 것으로 건넌거리(또는 남은거리)를 시각장애인이 시각장애인지팡이(300)를 이용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진행방향으로 점점 좁아지는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시각장애인이 시각장애인지팡이(300)를 이용하여 방향표시요홈선(110)과 함께 거리감지안내요홈선(120)의 간격이 점점 좁아짐을 감지하게 되므로 건너간 거리나 잔여거리를 시각장애인이 직접 확인하면서 도로를 횡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방향표시요홈선(110)과 거리감지안내요홈선(120)의 사이에는 차도의 폭을 가늠할 수 있도록 차선을 인지하도록 하는 차선표시요홈선(115)이 출발지점에 일정 길이로 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차선표시요홈선(115)은 차선의 수에 따라 다르게 표시된 것으로 차선이 많을 수록(즉, 차도의 폭이 넓을 수록) 상기 차선표시요홈선(115)의 갯수가 증가하도록 하여 시각장애인이 출발과 동시에 차도의 폭을 미리 가늠하여 횡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미설명 부호 220은 도로(200)의 중앙차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이 시각장애인지팡이(300)를 이용하여 가고자하는 정확한 방향(횡단보도 직선거리)을 확인하도록 하며, 아울러 건넌거리(또는 남은거리)를 가름하여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즉, 횡단보도(100)를 건너가면서 시각장애인지팡이(300)를 도로면에 접촉하여 좌/우로 저어가면 상기 시각장애인지팡이(300)의 끝단부가 상기 방향표시요홈선(110)을 포함한 거리감지안내요홈선(120)을 스치면서 해당간격의 접촉음을 발생하거나 시각장애인의 손에 감각적으로 전달되어 건넌거리(또는 남은거리)를 가름하여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점점 간격이 줄어들어가는 상태를 감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2단 구조의 횡단보도가 도로상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의 구조로도 설치할 경우 거리감지안내요홈선(120)의 간격변화를 보다 크게 감지할 수 있기는 하나 안전성을 감안할 때에는 도 1과 같은 1단의 구조가 더 바람직하다.
또한 시력을 완전히 상실하지 않고 희미하게 감지하는 시각장애인(약시)의 경우 시각장애인지팡이(3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시각장애인이 야간에 희미한 야광불빛에 의해 감지하여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횡단할 수 있도록 상기 방향표시요홈선(110)과 거리감지안내요홈선(120)을 형성하는 요홈의 내측벽에는 야간에 발광기능을 갖는 야광페인트가 도포할 수도 있다.
상기 야광페인트는 홈을 형성하는 측벽면에 도포함으로써 먼지나 이물질에 의해 가려짐이 방지되어 야간에 차량의 불빛 등에 반사되어 선명하게 요홈선을 나타내게 되므로 시력을 완전히 상실하지 않고 희미하게 감지하는 시각장애인(약시)이 시각장애인지팡이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안전하게 횡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들에게 스스로 전확한 횡단방향을 인지하여 신속하게 횡단이 가능하도록 하며, 특히 잔여거리를 인지할 수 있는 매우 특징적인 기술로서 시각장애인들에게 매우 유용한 기술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횡단보도가 도로상에 설치된 상태도.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횡단보도가 도로상에 설치된 상태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횡단보도의 설치 상태도.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횡단보도 110: 방향표시요홈선
115: 차선표시요홈선 120: 거리감지안내요홈선
130: 시각장애인대기부 200: 도로
210: 신호등 220: 중앙차선
300: 시각장애인지팡이

Claims (4)

  1.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200)를 가로질러 안전하게 건널 수 있도록 도로면에 설치되어 보행자가 신호등(210)의 보행신호 주기동안 안전하게 건널 수 있도록 하는 횡단보도(100)에 있어서,
    상기 횡단보도(100)는 양측에 각각 쌍을 이루어 설치되는 것으로,
    시각장애인이 안전하게 대기하도록 출발점이 표시된 시각장애인대기부(130)와;
    상기 시각장애인대기부(130)로 부터 출발하여 도로(200)면에 시각장애인이 시각장애인지팡이(300)를 이용하여 정확한 방향을 인지하도록 일정폭과 깊이로 도로면을 가로질러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방향표시요홈선(110)과;
    상기 방향표시요홈선(110)의 일측에 비스듬히 경사각을 이루어 설치되며, 건넌거리(또는 남은거리)를 시각장애인이 시각장애인지팡이(300)를 이용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진행방향으로 점점 간격이 일정한 비율로 변하도록 형성되며 일정폭과 깊이를 가진 거리감지안내요홈선(120)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 안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감지안내요홈선(120)은
    상기 방향표시요홈선(110)의 왼쪽에 위치하도록 하며, 건넌거리(또는 남은거리)를 시각장애인이 시각장애인지팡이(300)를 이용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진행방향으로 점점 좁아지는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 안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표시요홈선(110)과 거리감지안내요홈선(120)의 사이에는 차도의 폭을 가늠할 수 있도록 차선을 인지하도록 하는 차선표시요홈선(115)이 출발지점에 일정 길이로 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 안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표시요홈선(110)과 거리감지안내요홈선(120)을 형성하는 요홈의 내측벽에는 야간에 발광기능을 갖는 야광페인트가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 안전장치.
KR1020090054380A 2009-06-18 2009-06-18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 안전장치 KR101045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380A KR101045906B1 (ko) 2009-06-18 2009-06-18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380A KR101045906B1 (ko) 2009-06-18 2009-06-18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161A KR20100136161A (ko) 2010-12-28
KR101045906B1 true KR101045906B1 (ko) 2011-07-01

Family

ID=43510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4380A KR101045906B1 (ko) 2009-06-18 2009-06-18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9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58458A (zh) * 2013-05-31 2013-08-21 北京沃通开成文化传媒有限公司 交通标示标线强化认知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1524A (ja) 2004-12-05 2006-06-22 Shunichi Yoshizawa 横断歩道における視覚障害者用誘導帯
KR20090012917A (ko) * 2007-07-31 2009-02-04 (주)호서코퍼레이션 장애인 통로가 구비된 횡단보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1524A (ja) 2004-12-05 2006-06-22 Shunichi Yoshizawa 横断歩道における視覚障害者用誘導帯
KR20090012917A (ko) * 2007-07-31 2009-02-04 (주)호서코퍼레이션 장애인 통로가 구비된 횡단보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161A (ko) 2010-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4762B1 (ko) 우회전 진입경고신호를 표시하는 보행자 신호등
KR102006626B1 (ko) 횡단보도 보행자 보호를 위한 교통신호 연장신호 생성장치 및 방법
KR101661237B1 (ko) 횡단보도의 교통신호안전시스템
KR101674443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횡단 보도 안전시스템
KR102290649B1 (ko) 횡단보도 진입 안내용 차량 보조신호등
KR102129105B1 (ko) 교차로 차선 가이드라인 장치 및 그 방법
US20080107481A1 (en) Tactile directional tiles for pedestrians
KR20200082970A (ko) 복합 신호등 장치
CN106758920A (zh) 一种智能斑马线
KR101438876B1 (ko) 차량용 협로주행 안전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045906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 안전장치
KR100647060B1 (ko) 건축단지 내 조명수단을 구비한 횡단보도용 볼라드
KR20150009157A (ko) 위험구간 led시선유도등 제어방법
KR101174696B1 (ko) 시각장애인 안내형 횡단보도
KR20210061975A (ko) 보행 편리 증진을 위한 사회적 약자 횡단보도 무빙워크
KR20130083285A (ko) 엘이디를 이용한 횡단보도 안전 대기 시스템
KR100981466B1 (ko) 도로 표면에 설치한 신호등에 의한 교통 제어 방법
KR102089431B1 (ko) 안전 유도장치
KR20140005469A (ko)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및 조명방법
KR20070081955A (ko) 안전횡단을 위한 횡단보도
KR20150137355A (ko) 보행자 신호 연동형 횡단보도 안전 유도시스템
KR200222327Y1 (ko) 횡단보도 노면 표시구조
KR20210125720A (ko) 스마트 횡단보도 시스템
KR101804885B1 (ko) 도로경계석
KR200457361Y1 (ko) 교차로 보행신호 안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