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917A - 장애인 통로가 구비된 횡단보도 - Google Patents

장애인 통로가 구비된 횡단보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917A
KR20090012917A KR1020070077150A KR20070077150A KR20090012917A KR 20090012917 A KR20090012917 A KR 20090012917A KR 1020070077150 A KR1020070077150 A KR 1020070077150A KR 20070077150 A KR20070077150 A KR 20070077150A KR 20090012917 A KR20090012917 A KR 20090012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walk
passage
disabled
sidewalk
road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7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호
Original Assignee
(주)호서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호서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호서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070077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2917A/ko
Publication of KR20090012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9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2Raised kerbs, e.g. for sidewalks ; Integrated or portable means for facilitating ascent or desc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 통로가 구비된 횡단보도에 관한 것으로서, 보도와 차도가 경계석으로 구분되어 있고, 차도를 횡단하는 횡단보도가 표시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 횡단보도(100)와 접한 보도(10)는 경계석(30)에 의해 단턱(40)이 형성되어 구분되어 있고, 횡단보도(100)와 접한 경계석(30)의 내측 보도(10)에는 장애인용 점자블럭(60)이 배치되어 있으며, 횡단보도(100)와 접하는 보도(10)의 일측으로 경사면(51)으로 이루어진 장애인 통로(50)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 장애인 통로(50)에는 경계석(30)의 단턱(40)이 없도록 함으로서 그 단부가 차도(20)와 동일한 면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횡단보도 구간 내에서 보도와 차도가 단차를 이루고 있어서 차량이 보도위로 진입하지 못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비장애인과 시각장애인 및 신체장애인의 통행 영역을 명확히 구분하여 통행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안전하고 편리하게 횡단보도를 통행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더불어, 장애인 통로를 이용하여 일반인들도 소형 이동 수단들을 이용하여 함께 횡단보도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장애인, 횡단보도, 통로, 경계석, 점자 및 선형블럭, 휠체어 전용도로

Description

장애인 통로가 구비된 횡단보도{A crosswalk having the disabled a passageway}
본 발명은 횡단보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횡단보도 구간 내에서 차도로부터 차량의 진입을 방지하도록 하고, 일반인과 장애인을 구분하여 통행할 수 있는 통로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일반인과 장애인 모두가 횡단보도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장애인 통로가 구비된 횡단보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도와 차도는 도로 경계석을 기준으로 하여 구분되어 지고, 특히, 보도는 차도의 지면으로부터 단차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차량이 보도 위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횡단보도상 보행자 보호의무를 법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다만, 현재의 횡단보도는 그 구간 내 보도면 전체에 경사를 주고, 그 위에 점자블록을 설치하였고 보도와 차도 사이는 2cm 단차를 형성하여 만들어져 있으며, 보도와 차도의 경계 부분에 볼라드를 설치한 복합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보행자 중 휠체어등을 이용하는 지제장애자나 유모차등을 동반한 보행자등이 보도와 차도의 단차로 인한 이동의 어려움이 있으므로 경사로를 두어 횡단보도 내 보도구간과 차도구간 양방향에서의 이동을 보다 수월하게 하기 위함이다.
둘째, 횡단보도의 보도구간과 차도구간의 단차를 완전하게 없애는 것이 휠체어등을 이용하는 지제장애자나 유모차등을 동반한 보행자등에 가장 좋은 것이겠으나 이는 시각장애인으로 하여금 횡단보도 내 보도구간과 차도구간의 구분을 인지하지 못하게 하므로 이들을 위하여 횡단보도 내 보도구간과 차도구간의 단차를 최소 2cm로 규정하여 휠체어등을 이용하는 지체장애인등과 시각장애인등의 입장을 모두 고려해 절충하여 형성한 것이다.
셋째, 보도 위 유도블록을 따라 온 시각장애인 또는 여타의 시각장애인들로 하여금 현 위치 이 후 변화가 있음을 인지시켜 경계심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점자블록을 설치하였다.
넷째, 횡단보도 내 보도구간과 차도구간의 단차가 2cm에 불과하므로 횡단보도 내 보도구간으로의 차량진입이 용이하여 횡단보도 내 보도구간의 모든 보행자의 안전을 고려 차량진입 방지용 볼라드를 횡단보도 내 보도구간과 차도구간의 경계지점에 설치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복합적인 구조가 된 것은 횡단보도의 모든 보행자의 입장을 고려한 것임에 틀림이 없겠으나 이로써 안전하고 편안하게 횡단보도를 이용해야 하는 모든 보행자들이 오히려 불편과 어려움을 갖고 특히 차량으로 인한 위험은 제외하더라도 또 다른 사고의 위험에 노출될 수밖에 없는 구조가 된 것이다.
이러한 복합구조의 횡단보도 결과에 의하면,
첫째, 지체장애인의 경우 휠체어를 타고 횡단보도를 이용하게 되는데 횡단보도의 보도구간에 설치한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으로 인하여 바닥이 고르지 못하므로 이동의 어려움이 있고 - 이 부분은 지체장애인 뿐만 아니라 유모차나 손수레 등을 동반한 일반 보행자들은 물론 인라인스케이트, 퀵보드, 자전거 등을 이용하는 모든 일반 보행자들이 느끼는 어려움이다
둘째, 횡단보도 보도구간 전체가 경사져 있으므로 이 위에 정지하고 있기가 수월치 않아 횡단보도의 한편 평탄한 곳에 대기하고 있다가 횡단보도를 건너려 하기 때문에 신호등 점등 시간 내에 횡단보도를 건너기가 쉽지 않다.
셋째, 비록 작은 단차라고는 하나 2cm의 단차가, 휠체어등이 횡단보도 내 보도구간과 차도구간 사이를 이용 시, 차도구간으로 진입 시에는 떨어지는 충격을 보도구간으로 올라갈 때는, 휠체어등의 앞바퀴 크기가 단차 2cm를 무리 없이 넘어가기 수월치 않으므로 시간이 다소 지체될 수밖에 없어 차량에 의한 사고에 보다 현저히 노출될 수밖에 없다.
넷째, 시각장애인의 경우 횡단보도 내 보도와 차도를 인지할 수 있는 수단으로 점자블록에 이은 보도경계석의 단차를 이용하게 되는데 횡단보도 내 보도구간의 경사로로 인하여 이에 대한 인지가 일반 평탄한 길의 점자블록에서의 인지와 같이 쉽지 않으며 보도경계석의 단차가 2cm에 불과하여 횡단보도가 아닌 일반도로에서의 보도구간과 차도구간의 경계석인 일반 경계석과 같이 용이하게 구분하기 어려워 차도 쪽으로 더 나아가 보행신호를 기다리는 형국이 되어 횡단보도상에서의 장애인 교통사고를 유발시키고 있다.
다섯째, 횡단보도 내 보도구간과 차도구간의 단차가 낮아 차량 진입이 용이하여 횡단보도 내 보도구간 위 모든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치한 볼라드는 휠체어등을 이용하는 지체장애인을 포함 유모차, 손수레 등을 동반한 일반 보행자들로 하여금 이를 피해 다녀야 하는 통행에 불변을 주고 있으며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모든 보행자들이 자칫 잘못하여 걸려 넘어지거나 쓰러졌을 경우 볼라드로 인하여 입은 손상으로 뇌진탕 등 목숨을 잃을 수 있는 대형 사고로 발전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여섯째, 이 볼라드는 시각장애인들에 있어서는 보도 위의 지뢰라고 표현하리만큼 무척 위험한 존재로 이미 일반인을 비롯 수만은 시각장애인이 이에 대해 피해를 보고 있다.
이에 이런 복합구조의 횡단보도의 형태 중에서 특히 볼라드는 모두 철거 또는 제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지자체를 비롯 국회에서까지 주창되고는 있으나 이를 제거 후 횡단보도의 보도구간으로의 차량진입에 대한 위험성을 줄이거나 없앨 수 있는 마땅한 대안을 찾지 못하여 어쩔 수 없이 현상황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볼라드와 같은 차량 진입 방지물을 설치하지 않으면서도 횡단보도 진입부를 통하여 차량이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도록 하고, 시각장애인과 신체장애인의 통행로를 구분하여 통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장애인 통로를 이용하여 일반 인들이 이용하는 소형 이동 수단들도 함께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장애인 통로가 구비된 횡단보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횡단보도의 전체 구간에 비례하여 횡단보도와 접하는 보도의 경계면 양측으로 장애인 통로를 각각 형성하도록 하여 횡단보도 통행에 있어 비장애인과 장애인이 서로 혼잡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장애인 통로가 구비된 횡단보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애인 통로를 형성함에 있어 횡단보도 구간의 차량 정지선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확보하도록 하고, 횡단보도를 지나는 경로를 최단 경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장애인 통행상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보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장애인 통로가 구비된 횡단보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애인 통로의 진입각을 넓게 형성하여 보도에서 장애인 통로로 진입하는 통로 접근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 장애인 통로가 구비된 횡단보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각장애인들이 점자블럭과 선형블럭을 인지함에 있어서 횡단보도 구간 내에서의 보도와 차도를 명확히 인지하여 구분할 수 있도록 시각 장애인 유도수단을 가지는 장애인 통로가 구비된 횡단보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도와 차도가 경계석으로 구분되어 있고, 차도를 횡단하는 횡단보도가 표 시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 횡단보도와 접한 보도는 경계석에 의해 단턱이 형성되어 구분되어 있고, 횡단보도와 접한 경계석의 내측 보도에는 장애인용 점자블럭이 배치되어 있으며, 횡단보도와 접하는 보도의 일측으로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장애인 통로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 장애인 통로에는 경계석의 단턱이 없도록 함으로서 그 단부가 차도와 동일한 면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장애인 통로는 그 폭이 90㎝ ~ 1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장애인 통로는 상기 횡단보도와 접하는 보도의 경계면 양측으로 각각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두 개의 장애인 통로를 이용하여 각자의 보행 방향으로부터 최단거리로서 다음 횡단보도를 편리하게 통행할 수 있어 횡단보도 이용에 혼잡한 문제를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장애인 통로는 횡단보도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정지선으로 부터 장애인 통로를 일정 거리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횡단보도 정지 위반 차량에 의한 장애인 통행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며, 횡단보도를 지나는 경로를 최단 경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장애인 통행상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횡단보도에는 상기 장애인 통로를 연결하는 휠체어 전용도로가 표시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장애인 휠체어 전용도로 표시는 장애인 통로와 연결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비장애인들이 이를 인식하여 휠체어 통행에 방해를 주지 않고 다른 통로로 통행하게 되고, 휠체어는 전용도로를 따라 휠체어 전용도로 표시구간을 이용하여 편 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장애인 통로의 경사면과 보도와의 접촉부위는 원형으로 나타나도록 형성됨으로써 보도로부터 장애인 통로에의 접근 진입각을 넓게 형성하여 장애인 통로 접근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와 접하는 보도에서 점자블럭의 내측으로는 선형블럭이 연결되어 보도를 통행하는 시각장애인이 횡단보도 위치를 쉽게 인식하여 점자블럭 쪽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되므로 안전하게 보도 위에서 보행신호를 대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횡단보도 구간 내에서 보도와 차도가 단차를 이루고 있어서 차량이 보도위로 진입하지 못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비장애인과 시각장애인 및 신체장애인의 통행 영역을 명확히 구분하여 통행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안전하고 편리하게 횡단보도를 통행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더불어, 장애인 통로를 이용하여 일반인들도 소형 이동 수단들을 이용하여 함께 횡단보도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통로가 구비된 횡단보도는 보도와 차도의 상황에 맞게 횡단보도와 접하는 보도의 경계면 양측 또는 중앙으로 장애인 통로를 각각 형성할 수 있어서 횡단보도 통행에 있어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서로 혼잡하지 않게안전을 확보하면서 횡단 보도를 통행할 수 있게 되는 특유의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그리고, 장애인 통로의 진입각을 넓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장애인들의 통로 접근 효율을 높일 수 있어 특히,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의 경우 횡단보도 진입이 용이해지며, 시각장애인의 경우에는 장애인 통로 일측에 마련된 점자블럭과 선형블럭을 인지하여 횡단보도 구간내에서의 보도와 차도를 명확히 구분할 수 있게 되므로써, 종래와 같이 횡단 보도 신호 대기중 차도 진입으로 인한 교통사고의 발생이 방지되는 등의 특유의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본 발명을 나타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통로가 구비된 횡단보도의 기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통로의 구성을 나타낸 요부확대도이다.
여기에서 참조 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먼저, 종래와 같이 횡단보도의 진,출입부에 볼라드와 같은 차량 진입 방지물을 설치하지 않으면서도 보도 위로 차량이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보도(10)와 차도(20)가 경계석(30)으로 구분되도록 구성하되, 보행자가 차도(10)를 통행하는 횡단보도(100) 구간에는 상기 횡단보도(100)와 접한 보도(10) 구간에 경계석(30)을 설치하여 차도(20)의 지면과 보도(10)의 지면이 서로 단차를 이루도록 단턱(40)이 형성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보도(10)와 차도(20)가 단차를 두고 형성된 횡단보도(100) 구간에는 횡단보도(100)와 접하는 보도(10)의 일측으로 장애인 통로(5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장애인 통로(50)는 차도(20)로부터 보도(10) 쪽으로 경사면(51)으로 이루어지며, 그 통로(50) 입구는 경계석(30)을 낮게 설치하고, 그 양측의 경계석(30)은 서로 내측으로 경사지게 주변의 경계석과 연결되도록 설치한다.
따라서, 통로(50)에는 단턱(40)이 없도록 하여 그 단부가 차도(20)와 동일한 면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경사면(51)의 양측에는 보도(10)와 각 경계석(30)과 일체로 연결되기 위한 보조경사면(52)이 각각 형성되어 보도(10)와 차도(20) 사이를 진,출입할 때 장애인 통로(50) 양측 방향에서 휠체어 진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장애인 통로(50)는 휠체어가 여유 있게 통행할 수 있는 폭을 도록 형성되는데, 그 폭이 90㎝ ~ 120㎝ 인 것이 바람직하며, 횡단보도(100)의 도로 상황에 따라 적절한 폭을 유지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여 횡단보도(100)를 이용하는 비장애인은 차도(20)와 보도(10)에 단턱(40)이 있는 구간을 이용하여 차도(10)를 횡단하도록 구분되는 것이며, 휠체어를 타고 다니는 신체장애인의 경우 장애인 통로(50)를 이용하여 비장애인과 서로 방해받지 않게 통행로를 구분하여 통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장애인 통로(50)는 휠체어를 타고 다니는 신체장애인이 이용하지 않을 때에는 일반인들이 이용하는 소형 이동 수단 예를 들면, 자전거, 손수레, 유모차, 인라인 스케이트 및 킥보드를 타고서 장애인 통로(50)를 이용하여 차도(20)를 안전하게 건너 다닐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시각장애인을 위한 구성으로서 횡단보도(100)와 접한 경계석(30)의 내측 보도(10)에는 장애인용 점자블럭(60)이 배치되어 구성되는데, 주지된 바와 같이 점자블럭(60)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유도블럭 중의 하나로서 점자블럭(60)에서는 보행 중 정지함을 의미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100)의 보도(10)단부에 설치되는 점자블럭(60)에 의해 횡단보도(100)를 건너기 직전에 정지하여 신호 대기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점자블럭(60)의 내측으로는 보도(10)를 따라 보행을 하는 시각장애인을 횡단보도(100)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선형블럭(70)이 추가로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선형블럭(70)은 상기 장애인 통로(50)와 겹치지 않고 구분되게 배치되도록 하여 시각장애인이 장애인통로(50) 측으로 안내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시각장애인들이 보행 중에 장애인 통로(50)의 경사면(51)을 만나게 되면 당황하여 중심을 잃어 넘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실제로 시각장애인들은 보행 중에 계단 형태의 단턱(40)을 인지하는 능력이 탁월하고, 경사면(51)을 인지하는 능력은 떨어지기 때문에 평편한 보도(10) 위를 보행하다가 경사면(51)을 만나게 되는 경우 당황하여 넘어지거나 방향을 혼동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통로(50)가 구비된 횡단보도(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시각장애인들은 일반인들과 함께 횡단보도(100) 구간의 보도(10)의 단부쪽으로 유도하여 통행을 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횡단보도(100) 구간에서 장애인 통로(50)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므로, 각 장애인 통로(50) 사이에는 상기 횡단보도(100)의 일측에 상기 장애인 통로(50)를 구간을 연결하여 표시하기 위한 휠체어 전용도로(80)가 표시되어 구성된다.
상기 휠체어 전용도로(80) 표시는 장애인 통로(50)와 연결되므로 비장애인들이 이를 인식하여 휠체어 전용도로(80) 구간을 침범하여 통행하지 않도록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신체장애자의 휠체어 통행에 방해를 주지 않고 다른 통로로 통행하게 됨에 따라 휠체어는 휠체어 전용도로(80) 표시 구간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횡단보도(100)를 통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 구성에 의한 장애인 통로가 구비된 횡단보도를 도로 구조에 따른 적용 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두 횡단보도(100)의 간격이 넓은 경우 장애인 통로(50)가 구비된 횡단보도(100)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는 교차로나 삼거리 등에 적합한 구성으로서 일반인들은 횡단보도(100)의 중앙으로 통행을 하도록 되어 있고, 장애인 통로(50)는 길을 건너와서 다시 길을 건널 때 최단 거리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각 횡단보도(100)의 내측으로 배치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행자의 통행량이 많은 횡단보도의 경우에 서로 인접해 있는 횡단보도(100)의 장애인 통로(50) 외에 횡단보도(100)와 접하는 보도(10)의 경계면 양측으로 두 개의 장애인 통로(50)가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반대쪽 횡단보도(100)에서 길을 건너온 장애인이 제차 대각선 방향으로 길을 연속하여 건널 때에는 그와 인접한 일측의 장애인 통로(50)를 이용하여 최단거리로서 다음 횡단보도(100)를 곧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반대 방향에서 길을 건너려는 장애인은 횡단보도(100) 타측에 구비된 장애인 통로(50)를 이용하여 길을 건너도록 하도록 하여 길을 건너온 장애인과 서로 부딪쳐서 혼잡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각 방향에서 진입한 장애인이 서로 다른 장애인 통로를 통하여 편리하게 횡단보도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횡단보도(100)와 접한 경계석(30)의 보도 내측으로는 점자블럭(60)과 선형블럭(70)이 서로 연결되어 배치되어 있으므로 시각장애인이 보도를 보행하다가 선형블럭(70)을 인지하여 횡단보도(100) 측으로 방향 전환을 하여 점자블럭(60)을 인지함과 동시에 경계석(30)에 의한 단턱(40)을 인지하게 되어 차도(20)로 내려와 진입하지 않고 정지한 상태로 신호등의 보행 신호를 대기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시각장애인은 종래와 같이 차도(20) 위로 걸어나가지 않게 되고 보도(10) 위에서 안전하게 대기하게 되므로 횡단보도(100) 대기 중 시각장애인이 차로(20)로 진입하여 발생되는 교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장애인 통로(50)가 횡단보도(100)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통섬(90)에서 장애인 통로(50)가 구비된 횡단보도(100)의 설치 상태를 적용한 것이다.
즉, 교통섬(90)의 형태는 입체적인 삼거리 도로 등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보행자가 도로 한가운데 마련된 교통섬(90)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길을 건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비장애인들은 횡단보도(100)의 양측 장애인 통로(50)를 이용하여 교통섬(90)의 가장자리 쪽을 거쳐서 최단거리로 다음 횡단보도(100)를 통해 길을 건너게 되는 것이며, 신체장애인의 경우 횡단보도(100)의 중앙에 마련된 장애인 통로(50)를 이용하여 교통섬(90)의 중앙 쪽으로 진입한 뒤 곧바로 건너고자 하는 방향의 횡단보도(100) 중앙에 마련된 장애인 통로(50)를 이용하여 곧바로 건너편으로 길을 건널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양방향 횡단보도(100)가 일직선상에 배치되기 어려운 도로인 경우나, 또는 버스 중앙차로가 시행되고 있는 도로 중앙에 버스 정류장 등의 승객 대기 안전지대가 마련된 경우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장애인 통로(50)가 구비된 횡단보도(100)에 적용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즉, 양측의 보도(10)와 중앙의 안전지대(110) 각 중앙에는 횡단보도(100) 구 간이 형성되고 각 횡단보도(100) 일측으로는 장애인 통로(50)가 형성된 구성이다.
장애인 통로(50)는 중앙의 안전지대(110)를 통하여 길을 건넌 다음에 "ㄱ" 형태로 진행 방향을 바꾸어 제차 길을 건널 때에 최단거리로 건널 수 있도록 장애인 통로(50)가 "ㄱ" 형 경로 상으로 서로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안전지대(110) 중앙에는 시각장애인들의 진행 방향을 유도하기 위한 점자블럭(60) 및 선형블럭(70)이 장애인 통로(50) 구간에 겹치지 않는 통행 경로를 따라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 것이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횡단보도(100)의 세로 폭이 좁은 경우 장애인 통로(50)가 구비된 횡단보도(100) 설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횡단보도(100)의 세로 폭이 비좁아 두 개의 장애인 통로(50) 입구가 서로 붙는 형태가 되는 경우에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면(51)을 만들지 않고 차도(20)의 지면과 장애인통로(50)의 면을 서로 평면으로 유지하여 설치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그리고, 장애인 통로(50)와 인접한 안전지대(110)와 보도(10) 사이에 형성된 단차에는 보조경사면(52)을 형성하여 비장애인들의 통행에 걸리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로 폭이 넓은 횡단보도(100) 중앙에 보행자 안전 지대(110)의 폭이 좁은 경우 장애인 통로(50) 진행 방향으로 경사면(51)을 형성하지 않고서 차로(20)와 동일한 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장애인들이 휠체어를 타고 편리하 게 횡단보도(100)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통로(5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장애인 통로(50)의 경사면(51)과 보도(10)와 이루는 접촉부위를 직선 형태로 하지 않고 원형 형태로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보도(10)로 부터 장애인이 휠체어를 타고 장애인 통로(50)로 진입하고자 할 때, 경사면(51)의 진입 영역이 원형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서 접근각은 대략 180도 이상을 이루게 됨으로써 거의 모든 방향에서 장애인 통로(50)로 접근하게 되고, 경사면(51) 양측의 보조경사면(52)의 경사 각도도 완만한 형태를 이루게 되므로 장애인 통로(50) 진입에 보다 안전성과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일반인들이 유모차나 손수레 자전거 들을 타고 이용할 때에도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통로가 구비된 횡단보도의 기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통로의 구성을 나타낸 요부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로서 두 횡단보도의 간격이 넓은 경우 장애인 통로가 구비된 횡단보도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로서 교통섬 횡단보도의 경우 장애인 통로가 구비된 횡단보도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로서 양 방향 횡단보도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경우 장애인 통로가 구비된 횡단보도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4실시예로서 횡단보도의 세로 폭이 좁은 경우 장애인 통로가 구비된 횡단보도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통로의 다른 형태가 적용된 장애인 통로가 구비된 횡단보도를 나타낸 사시도.
도 9은 도 8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보도 20: 차도
30: 경계석 40: 단턱
50: 장애인 통로 51: 경사면
52: 보조경사면 60: 점자블럭
70: 선형블럭 80:휠체어 전용도로
90: 교통섬 100: 횡단보도
110: 안전지대

Claims (7)

  1. 보도와 차도가 경계석으로 구분되어 있고, 차도를 횡단하는 횡단보도가 표시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
    횡단보도(100)와 접한 보도(10)는 경계석(30)에 의해 단턱(40)이 형성되어 구분되어 있고, 횡단보도(100)와 접한 경계석(30)의 내측 보도(10)에는 장애인용 점자블럭(60)이 배치되어 있으며, 횡단보도(100)와 접하는 보도(10)의 일측으로 경사면(51)으로 이루어진 장애인 통로(50)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 장애인 통로(50)에는 경계석(30)의 단턱(40)이 없도록 함으로서 그 단부가 차도(20)와 동일한 면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통로가 구비된 횡단보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인 통로(50)는 그 폭이 90㎝ ~ 1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통로가 구비된 횡단보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인 통로(50)는 상기 횡단보도(100)와 접하는 보도(10)의 경계면 양 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통로가 구비된 횡단보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인 통로(50)는 횡단보도(100)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통로가 구비된 횡단보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보도(100)에는 상기 장애인 통로(50)를 연결하는 휠체어 전용도로(80)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통로가 구비된 횡단보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인 통로(50)의 경사면(51)과 보도(10)와의 접촉부위는 원형으로 나타나도록 함으로써 보도(10)로부터 장애인 통로(50)에의 접근각을 최대화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통로가 구비된 횡단보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도(10)에서 상기 점자블럭(60)의 내측으로는 선형블럭(70)이 연결되 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통로가 구비된 횡단보도.
KR1020070077150A 2007-07-31 2007-07-31 장애인 통로가 구비된 횡단보도 KR200900129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150A KR20090012917A (ko) 2007-07-31 2007-07-31 장애인 통로가 구비된 횡단보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150A KR20090012917A (ko) 2007-07-31 2007-07-31 장애인 통로가 구비된 횡단보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917A true KR20090012917A (ko) 2009-02-04

Family

ID=40683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7150A KR20090012917A (ko) 2007-07-31 2007-07-31 장애인 통로가 구비된 횡단보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29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906B1 (ko) * 2009-06-18 2011-07-01 장지웅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 안전장치
KR102156552B1 (ko) 2019-12-06 2020-09-17 송건용 보차도 시각장애인용 점자패턴 형성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906B1 (ko) * 2009-06-18 2011-07-01 장지웅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 안전장치
KR102156552B1 (ko) 2019-12-06 2020-09-17 송건용 보차도 시각장애인용 점자패턴 형성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ational Association of City Transportation Officials Urban bikeway design guide
KR101259520B1 (ko) 주·정차 금지구역 안내장치
Baranowski Pedestrian crosswalk signals at roundabouts: where are they applicable?
Mizuno et al. Installation errors and corrections in tactile ground surface indicators in Europe, America, Oceania and Asia
KR20090012917A (ko) 장애인 통로가 구비된 횡단보도
KR100733901B1 (ko)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 및 이의 시공방법
Noyce et al. Best practices synthesis and guidance in at-grade trail-crossing treatments
KR100820733B1 (ko)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조립식 경사 보도판 및 이의시공방법
Novales et al. LRT urban insertion and safety: European experiences
JP4648374B2 (ja) 横断歩道口
Pietrucha et al. Safe accommodation of pedestrians at intersections
Qiu et al. Improvement of pedestrian crossing safety on urban roads
Mittal Pedestrian safety at urban intersections in Delhi, India
TOKUDA Road transport barriers encountered by people with travel difficulties in Japan
JP3905857B2 (ja) 歩道・車道境界区分装置及び縁石ガイドブロック体
KR100202458B1 (ko) 자전거전용도로시스템 및 자전거전용도로 구축용블록
CN114960319B (zh) 一种用于城市道路交叉口的盲道
Zegeer Feasibility of roadway countermeasures for pedestrian accident experience
CN212925821U (zh) 一种行人二次过街安全岛
KR20120035774A (ko)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Gil-Mastalerczyk et al. Traffic zones accessible for all users. Design solutions and material recommendations for outdoor traffic zone pavements
Fessl Urban Space and Design for the Pedestrians
Dhingra Planning for Pedestrian Oriented city, a case of Amritsar
CN210976394U (zh) 一种具有无障碍标识的公共场所扶手装置
KR20070081955A (ko) 안전횡단을 위한 횡단보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