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3901B1 -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3901B1
KR100733901B1 KR1020050129170A KR20050129170A KR100733901B1 KR 100733901 B1 KR100733901 B1 KR 100733901B1 KR 1020050129170 A KR1020050129170 A KR 1020050129170A KR 20050129170 A KR20050129170 A KR 20050129170A KR 100733901 B1 KR100733901 B1 KR 100733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walk
crosswalk
boundary
traffic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9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7580A (ko
Inventor
문봉철
김경희
Original Assignee
문봉철
김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봉철, 김경희 filed Critical 문봉철
Priority to KR1020050129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3901B1/ko
Publication of KR20070067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7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2Raised kerbs, e.g. for sidewalks ; Integrated or portable means for facilitating ascent or des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6Installations on the floor, e.g. special surfaces, to guide blin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01C11/26Permanently installed heating or blowing devices ; Mounting thereof
    • E01C11/265Embedded electrical heating elements ; Mount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횡단보도 진입부에서 자동차 교통과 보행자 통행을 구조적으로 분리시켜 교통사고의 발생요인을 근원적으로 제거하고, 보행 교통 약자가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하며, 경사 보도판의 중앙부에 설치된 유도 및 정지 점자블록으로 시각장애인의 통행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자동차가 보도에 진입할 수 없도록 하여 횡단보도에서 보행자를 교통사고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로시설에 사용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한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은 보도와 횡단보도가 접속되는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일정구간이 경사면을 이루고, 표면에 정지 및 유도 점자블록이 부착된 경사 보도판과; 상기 경사 보도판의 외측면에 설치됨과 동시에 경계를 이루는 보도판 경계턱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 시공방법은 지면에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보도블록을 소정의 폭과 너비를 가지며 일정한 방향으로 설치하여 보도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도의 외측에 위치된 블록의 외측으로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계석을 설치하여 보도와 차도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차도의 횡단보도와 접속되는 보도의 부분에 청구항 1의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을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 징으로 한다.
경사 보도판, 경계석, 유도 점자블록, 정지 점자블록, 횡단보도

Description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 및 이의 시공방법{The disabled person passing inclination footpath plate for pedestrian crossing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is}
도 1은 보도의 다방향에서 진입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보도의 다방향에서 진입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보도의 다방향에서 진입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보도의 다방향에서 진입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보도의 일방향에서 진입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보도의 일방향에서 진입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을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보도의 일방향에서 진입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보도의 일방향에서 진입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폭이 좁은 보도에 설치되는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폭이 좁은 보도에 설치되는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을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폭이 좁은 보도에 설치되는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폭이 좁은 보도에서 진입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에 열선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보도 2: 횡단보도
3: 보도블록 5: 차도
10: 경사 보도판 11: 경사면
20: 보도판 경계턱 30: 정지 점자블록
40: 유도 점자블록 50: 보차도 경계석
51: 낮춤 보차도 경계석 60: 열선
B: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
본 발명은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애인 편의시설로 휠체어를 이용하는 보행장애인과 시각장애인, 노약자 임산부 등 보행 교통 약자가 횡단보도를 안전하게 진, 출입할 수 있도록 하고, 횡단보도 부근에서 자동차가 보도로 진입할 수 없는 횡단보도 구조를 이루어 횡단보도에서 신호대기중인 보행자 모두를 자동차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횡단보도에서 휠체어를 이용하는 보행장애인과 시각장애인, 노약자 임산부 등 보행 교통 약자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자동차의 교통으로부터 보호되고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이용할 수 있는 교통시설이 요구된다.
여기서, 상기한 종래의 교통시설은 횡단보도와 접한 보도의 횡단보도폭 전체에 해당되는 보차도 경계석을 낮추어 차도와 보도와의 턱을 없애고 보도면 전체를 경사 구조로 하여 보행장애인의 휠체어가 통행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구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보행장애인 편의시설은 보도의 횡단보도 폭이 너무 넓어 자동차가 쉽게 보도로 진입할 수 있는 구조적 취약성으로 인하여 보행자는 항시 횡단보도에서 자동차 교통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보행장애인 편의시설의 구조적 취약성으로 인하여 자동차가 보도 로 진입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보도의 진입부에 볼라드(표석의 교통장애물)와 구조물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볼라드는 대부분이 법적 기준 없이 마구잡이식으로 설치되므로 인하여 일반 보행자의 통행에 걸림돌이 될 뿐만 아니라 노약자나 시각장애인의 통행에 위협이 되고, 또한 도시미관을 해치고 나아가서는 볼라드의 설치로 인하여 필요 이상으로 재정이 낭비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횡단보도 진입부는 보행자의 통행과 자동차의 교통이 상충되어 교통사고의 취약지점으로 상존하는데, 보도와 차도를 구분하는 보차도 경계석을 횡단보도 폭과 동일한 폭으로 낮추어 설치하는 기존의 보행장애인 편의시설은 보도와 차도의 경계가 불명확하기 때문에 보행자가 보도에서 보행신호를 기다리지 않고, 차도를 침범하여 보행신호를 기다리게 되어 자동차로부터의 교통사고의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횡단보도 진입부에서 자동차 교통과 보행자 통행을 구조적으로 분리시켜 교통사고의 발생요인을 근원적으로 제거하고, 보행 교통 약자가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하며, 경사 보도판의 중앙부에 설치된 유도 및 정지 점자블록으로 시각장애인의 통행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자동차가 보도로 진입할 수 없도록 하여 횡단보도에서 보행자를 교통사고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로시설에 사용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한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은 보도와 횡단보도가 접속되는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일정구간이 경사면을 이루고, 표면에 정지 및 유도 점자블록이 부착된 경사 보도판과; 상기 경사 보도판의 외측면에 설치됨과 동시에 경계를 이루는 보도판 경계턱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 시공방법은 지면에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보도블록을 소정의 폭과 너비를 가지며 일정한 방향으로 설치하여 보도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도의 외측에 위치된 블록의 외측으로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계석을 설치하여 보도와 차도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차도의 횡단보도와 접속되는 보도의 부분에 청구항 1의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을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B)은 보도(1)와 횡단보도(2)가 접속되는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일정구간이 경사면(11)을 이루고, 표면에 정지 및 유도 점자블록(30, 40)이 부착된 경사 보도판(10)과; 상기 경사 보도판(10)의 외측면에 설치됨과 동시에 경계를 이루는 보도판 경계턱(2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 보도판(10)과 횡단보도(2)가 접하는 부분만 차도(5)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진 낮춤 보차도 경계석(51)이 설치되고, 상기 낮춤 보차도 경계석(51)을 제외한 나머지 경사 보도판(10) 부분은 보차도 경계석(50)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보도판 경계턱(20)이 설치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보도판 경계턱(20)은 경사 보도판(10)의 좌우에 테두리를 이루고, 보도판 경계턱(20)의 상단부는 보도(1)의 표면과 일치되고, 보도판 경계턱(20)의 하단부는 경사 보도판(10)의 경사면(11)과 동일한 경사를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경사 보도판(10)과 보도판 경계턱(20)은 하나의 일체화된 구조체로 형성되거나 각각 분리 형성된 구조이다.
한편, 상기 경사 보도판(10)에는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 열선(70)이 고정 설치된 구조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B)은 유도점자블록(40)과 정지점자블록(30)이 부착된 경사 보도판(10)과 상기 경사 보도판(10)의 경계를 이루는 보도판 경계턱(2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 보도판(10)은 보도(1)와 횡단보도(2)가 접하는 위치에 일정구간이 경사면(11)을 이루어 휠체어 이용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상기 경사 보도판(10)에 부착된 유도점자블록(40)은 시각장애인이 편리하게 횡단보도(2)로 접근할 수 있는 유도기능을 하고, 상기 정지점자블록(30)은 보행신호 대기장소에 도착한 시각장애인이 안전하게 정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보도판 경계턱(20)은 경사 보도판(10)의 좌우에 테두리를 이루고 보도판 경계턱(20)의 상단부는 보도(1) 표면과 일치되고, 보도판 경계턱(20)의 하단부는 경사 보도판(10)의 경사면(11)과 동일한 경사를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다.
특히, 상기 경사 보도판(10)과 보도판 경계턱(20)은 하나의 일체화된 구조체로 제작하거나 여러 조각으로 분리 제작하여 설치장소에서 조립하여 하나의 구조체가 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한편, 상기 경사 보도판(10)내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겨울철 강설로 인하여 경사 보도판(10)이 동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선(60)을 설치하여, 열선(60)의 발열로 인하여 강설된 눈이 제설되도록 하여 보행 교통약자의 통행상 불편함을 없애서 편리한 통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 시공방법은 지면에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보도블록(3)을 소정의 폭과 너비를 가지며 일정한 방향으로 설치하여 보도(1)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도(1)의 외측에 위치된 보도블록(3)의 외측으로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계석을 설치하여 보도(1)와 차도(5)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차도(5)의 횡단보도(2)가 접속되는 보도(1)의 부분에 청구항 1의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B)을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다양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보도의 다방향에서 진입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 도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보도의 다방향에서 진입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보도의 다방향에서 진입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보도의 다방향에서 진입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B)은 보도(1)의 폭(3m 이상)이 넓어 휠체어가 여러 방향에서 자유롭게 횡단보도(2)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한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B)은 경사 보도판(10)과 보도판 경계턱(20)을 하나의 구조체로 제작하여 설치하거나, 여러 조각으로 분리 제작하여 설치장소에서 조립하여 완성된 구조체가 되도록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한 경사 보도판(10)에 부착되는 유도점자블록(40)과 정지점자블록(30)은 "장애인ㆍ노약자ㆍ임산부등의편의증진에관한법률"의 규정에 적합한 규격의 점자블록(30, 40)이나 다양한 재료로 제작하는데, 경사 보도판(10)에 결속용 부재로 유도점자블록(40)과 정지점자블록(30)을 결속하거나 접착제로 부착하는 방식으로 설치한다.
도 5는 보도의 일방향에서 진입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보도의 일방향에서 진입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보도의 일방향에서 진입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보 도의 일방향에서 진입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B)은 대로변 보도(1)에서 골목길을 횡단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또 다른 횡단보도 휠체어 경사 보도판(B)의 설치예를 나타내는데 대로변 보도(1)에서 골목길을 횡단하여 건너편 보도(1)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특징으로 하고, 제작 및 설치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9는 폭이 좁은 보도에 설치되는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폭이 좁은 보도에 설치되는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1은 폭이 좁은 보도에 설치되는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2는 폭이 좁은 보도에서 진입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B)은 보도(1)의 폭(3m 이하)이 좁은 도로에 횡단보도(2)가 있는 경우에는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B)의 설치에 많은 보도(1) 면적이 필요하므로 보도(1)를 따라 보행하는 보행자의 통행지장을 없애기 위해 설치되는 또 다른 횡단보도(2) 휠체어 경사 보도판(B)의 설치예를 나타내는데, 보도(1)의 종방향을 따라 보행하는 보행자와 횡단보도(2)를 이용하려는 휠체어를 이용하는 보행장애인, 시각장애인, 노약자, 임산부 등 보행 교통약자와 일반인의 편리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고, 제작 및 설치는 상술한 바와 같다.
도 4와 도 8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보도판(10)이 설치되는 부분만 차도(5) 높이와 같은 높이로 낮춤 보차도 경계석(50)을 설치하고, 상기 낮춤 보차도 경계석(50)을 제외한 나머지 경사 보도판(10) 부분은 보차도 경계석(50)의 높이만큼의 턱을 유지하도록 설치하여 자동차가 보도(1)로 진입할 수 없는 구조로 만들어져 횡단보도(2)에서 보행자 신호를 기다리는 보행자의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작용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실시예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 및 이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휠체어를 이용하는 보행장애인과 시각장애인, 노약자, 임산부 등 보행 교통약자와 일반인 모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횡단보도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횡단보도 경사 보도판이 설치되는 부분만 차도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낮춤보차도 경계석을 설치하고, 상기 낮춤보차도 경계석을 제외한 나머지 경사 보도판 부분은 보차도 경계석 높이만큼의 턱을 유지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자동차가 보도로 진입할 수 없는 구조로 만들어져 자동차 장애물인 볼라드(표석으로 된 장애물)를 제거할 수 있어 볼라드 설치에 따른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횡단보도에서 보행자신호를 기다리는 보행자 모두를 자동차 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여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보도(1)와 횡단보도(2)가 접속되는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일정구간이 경사면(11)을 이루고, 표면에 정지 및 유도 점자블록(30, 40)이 부착된 경사 보도판(10)과; 상기 경사 보도판(10)의 외측면에 설치됨과 동시에 경계를 이루는 보도판 경계턱(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보도판(10)에는 횡단보도(2)에 설치되는 부분만 차도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진 낮춤 보차도 경계석(51)이 설치되고, 상기 낮춤 보차도 경계석(51)을 제외한 경사 보도판(10) 부분은 보차도 경계석(50)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보차도 경계턱(2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도판 경계턱(20)은 경사 보도판(10)의 좌우에 테두리를 이루고, 보도판 경계턱(20)의 상단부는 보도(1)의 표면과 일치되고, 보도판 경계턱(20)의 하단부는 경사 보도판(10)의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를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보도판(10)과 보도판 경계턱(20)은 하나의 일체화된 구조체로 형성되거나 각각 분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보도판(10)에는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 열선(70)이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
  6. 지면에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보도블록(3)을 소정의 폭과 너비를 가지며 일정한 방향으로 설치하여 보도(1)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도(1)의 외측에 위치된 블록(3)의 외측으로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계석을 설치하여 보도(1)와 차도(5)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차도(5)의 횡단보도(2)가 접속되는 보도(1)의 부분에 청구항 1의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B)을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 시공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보도판(10)에는 횡단보도(2)에 설치되는 부분만 차도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진 낮춤 보차도 경계석(51)을 설치하고, 상기 낮춤 보차도 경계석(51)을 제외한 나머지 경사 보도판(10) 부분은 보차도 경계석(50)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보차도 경계턱(20)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 시공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도판 경계턱(20)은 경사 보도판(10)의 좌우에 테두리를 이루고, 보도판 경계턱(20)의 상단부는 보도(1)의 표면과 일치하고, 보도판 경계턱(20)의 하단부는 경사 보도판(10)의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를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 시공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보도판(10)과 보도판 경계턱(20)은 하나의 일체화된 구조체로 형성하거나 각각 분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 시공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보도판(10)에는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 열선(70)을 고정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 시공방법.
KR1020050129170A 2005-12-24 2005-12-24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33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170A KR100733901B1 (ko) 2005-12-24 2005-12-24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170A KR100733901B1 (ko) 2005-12-24 2005-12-24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 및 이의 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254U Division KR200410712Y1 (ko) 2005-12-24 2005-12-24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7580A KR20070067580A (ko) 2007-06-28
KR100733901B1 true KR100733901B1 (ko) 2007-07-03

Family

ID=38366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9170A KR100733901B1 (ko) 2005-12-24 2005-12-24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39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983B1 (ko) 2009-12-10 2010-08-05 강문규 카 스토퍼 기능이 구비된 점자블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222B1 (ko) * 2020-05-15 2022-01-10 대한민국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6807A (ja) * 1993-04-26 1994-11-01 Ikeguchi Kogyo Kk 歩道ブロック
JP2002250016A (ja) * 2001-02-23 2002-09-06 Yutaka Seisakusho:Kk ヒータ付き点字ブロッ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6807A (ja) * 1993-04-26 1994-11-01 Ikeguchi Kogyo Kk 歩道ブロック
JP2002250016A (ja) * 2001-02-23 2002-09-06 Yutaka Seisakusho:Kk ヒータ付き点字ブロッ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983B1 (ko) 2009-12-10 2010-08-05 강문규 카 스토퍼 기능이 구비된 점자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7580A (ko) 200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ntzen et al. Detectable warnings: Synthesis of US and international practice
KR101259520B1 (ko) 주·정차 금지구역 안내장치
KR100733901B1 (ko)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10712Y1 (ko)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
WO2000001889A1 (en) Intersection with unhindered traffic flow
KR100820732B1 (ko)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조립식 경사 보도판 및 이의시공방법
Chin et al. Transport accessibility and infrastructure in Singapore–pedestrian facilities
CN102031739A (zh) 城市道路高架式人行道
KR100820733B1 (ko)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조립식 경사 보도판 및 이의시공방법
WO2001057341A1 (en) Detectable warning and wayfinding syste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KR20090012917A (ko) 장애인 통로가 구비된 횡단보도
KR101843988B1 (ko) 횡단보도 진출입로의 도로경계석
CN212925821U (zh) 一种行人二次过街安全岛
Pietrucha et al. Safe accommodation of pedestrians at intersections
CN102226327B (zh) 城市高架式行人通道
US2636424A (en) Parking system for automobiles
Gil-Mastalerczyk et al. Traffic zones accessible for all users. Design solutions and material recommendations for outdoor traffic zone pavements
Emerson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in the United States and Internationally
CN220952746U (zh) 一种道路出入口无障碍结构
JP3905857B2 (ja) 歩道・車道境界区分装置及び縁石ガイドブロック体
KR100202458B1 (ko) 자전거전용도로시스템 및 자전거전용도로 구축용블록
JP4648374B2 (ja) 横断歩道口
ES1072508U (es) Vado peatonal ceramico inteligente.
Dhingra Planning for Pedestrian Oriented city, a case of Amritsar
Bentzen Making the environment accessible to pedestrians who are visually impaired: policy resear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