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640B1 - 마황과 마우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전성이개선된 항비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마황과 마우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전성이개선된 항비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640B1
KR101045640B1 KR1020080059161A KR20080059161A KR101045640B1 KR 101045640 B1 KR101045640 B1 KR 101045640B1 KR 1020080059161 A KR1020080059161 A KR 1020080059161A KR 20080059161 A KR20080059161 A KR 20080059161A KR 101045640 B1 KR101045640 B1 KR 101045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esity
ephedra
mixture
pharmaceutical composition
ggex55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9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2948A (ko
Inventor
신순식
원찬욱
윤미정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동의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동의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동의학원
Priority to KR1020080059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640B1/ko
Publication of KR20090132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2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7Gnetophyta, e.g. Ephedraceae (Mormon-te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8Araceae (Arum family), e.g. caladium, calla lily or skunk cabb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황과 마우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전성이 개선된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황과 마우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마황의 독성이 제거되어 안전성이 개선되고 비만개선효과는 더욱 향상된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마황, 마우, 곤약, Ephedra sinica Stapf, Amorphophallus rivieri Durieu, A. Konjac K. Koch, 체중감량, 비만개선, 항비만, 식품, 약학적 조성물, 독성

Description

마황과 마우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전성이 개선된 항비만용 조성물{Anti-obesity composition improved safety comprising a mixture of Ephedra sinica Stapf and Amorphophallus rivieri Durieu as an effe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마황과 마우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전성이 개선된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황과 마우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마황의 독성이 제거되어 안전성이 개선되고 비만개선효과는 더욱 향상된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마황(麻黃)은 마황과의 다년생 관목식물로 그 초질경을 말려 약용하는 것으로 용사, 비염, 비상이라고도 하며, 발한해표(發汗解表), 선폐평천(宣肺平喘), 이수소종(利水消腫)의 작용을 하여 풍한표실증, 악한발열, 무한, 두통신동, 해수기천, 풍수종, 소변부리, 풍습비통, 기부부인, 풍진소양, 음저담핵 등을 치료하는데 주로 이용하였다(국가중의약관리국중화본초편위회 편. 중화본초(2책). 제1판 제1차인쇄. 상해: 상해과학기술출판사, 1999: 349-354). 최근 들어 마황은 비만개선효과가 있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그 이용이 활발해졌다(임경아 외, 대한한의학회지 2001 22(3): 74-80; 신동준 외, 사상의학회지 2001 13(1): 79-87; van der Hooft CS et al., Ned Tijdschr Geneeskd. 2002 Jul 13, 146(28): 1335-1336, Dutch.; Shekelle PG et al., JAMA. 2003 Mar 26, 289(12): 1537-1545, Epub 2003 Mar 10.; Greenway FL et al., Obes Res . 2004 Jul, 12(7): 1152-1157; 이영준 외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5, 15(3): 99-111).
마황에는 교감신경흥분제인 에페드린 알카로이드(ephedrine alkaloids)가 함유되어 있어 가슴두근거림, 불면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 단기적이든 장기적이든 이를 단독으로 사용하는데는 한의사의 전문적인 관리가 요구된다(Food and Drug Administration(FDA),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HHS). Final Rule Declaring Dietary Supplements Containing Ephedrine Alkaloids Adulterated Because They Present an Unreasonable Risk. 2004: 4-17).
마우(魔芋)는 천남성과의 다년생초본으로 그 괴경을 말려 약용하는 것으로 곤약 또는 구약이라고도 하며, 화담소적(化痰消積), 해독산결(解毒散結), 행어지통(行瘀止痛)의 작용을 하여 담수, 적체, 학질, 라력, 징하, 질타손상, 옹종, 정창, 단독, 탕화상 등을 주로 치료하여 왔다(국가중의약관리국중화본초편위회 편. 중화본초(8책). 제1판 제1차인쇄. 상해: 상해과학기술출판사, 1999: 482-484). 최근 들어 마우의 주성분인 글루코만난(glucomannan)에는 비만과 고지혈증의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Keithley J et al., Altern Ther Health Med. 2005 Nov-Dec, 11(6): 30-34; Cairella M et al., Clin Ter. 1995 Apr, 146(4): 269-274; Vita PM et al., Minerva Med. 1992 Mar, 83(3): 135-139; Walsh DE et al., Int J Obes . 1984, 8(4): 289-293).
마황은 비만개선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가슴두근거림, 불면 등의 부작용이 있어 단독으로 사용하는데 여러 가지 어려움이 뒤따른다. 마우는 고지혈증을 개선하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작용이 완만하여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마황에 관한 특허문헌으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0-0024542호에 마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B형 간염 치료제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120302호에는 밀가루, 강낭콩, 복분자, 호장근, 마황, 계피 및 녹차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식품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마우에 관한 특허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55975호에 구약감자 글루코만난 효소가수분해물을 이용한 식이섬유강화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33984호에는 하수오, 택사, 오미자, 결명자, 차조기, 산수유, 산사자, 강황, 휘첨, 반하, 익지, 도인 및 방기로 이루어진 한약재를 추출한 추출물과 곤약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치료 및 예방용 약제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마황의 독성을 제거하고 비만개선 효과를 더욱 상승시키기 위하여 마우를 사용할 수 있음을 개시한 문헌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연구한 결과, 비만개선효과가 우수한 마황과 고지혈증 개선효과가 있는 마우를 단독 또는 혼합한 뒤 이를 8주령의 고지방식이 유발 수컷 마우스 비만모델에 섭취시켜 이들의 투여가 체중증가 량, 식이효율, 혈중 비만조절관련 지표와 독성지표, 지방조직의 무게 및 마우스의 지방면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비만개선효과를 평가함으로써 마황과 마우를 혼합할 경우 마황의 부작용을 줄이면서도 비만개선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황과 마우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전성이 개선된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마황과 마우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전성이 개선된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마황과 마우는 추출물, 생즙, 건조분말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추출물의 형태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에탄올, 메탄올과 같은 저급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로 추출한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에는,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이들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 중 어느 하나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마황과 마우는 본 발명의 상승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어떤 혼합비로도 포함될 수 있으나,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0:1,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5 내지 5:1,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1:1의 혼합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혼합비 범위를 벗어나서 마황이 지나치게 많으면 독성이 강하게 되고 마우가 지나치게 많으면 비만개선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항비만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항비만용 조성물은 식품의 주, 부원료 및 식품첨가제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마황과 마우의 혼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음료, 정제, 환, 캡슐, 껌, 차,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식품 중의 상기 마황과 마우의 혼합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 중량으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항비만용 식품이 음료의 형태인 경우,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항비만용 조성물을 유 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마황과 마우의 혼합물을 0.02 ~ 9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경구형 제형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중 상기 추출물의 사용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0.1 내지 100m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또한 그 추출물의 투여량은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값은 평균 ± 표준편차 (SD)으로 표시하며, OriginLab Version 7.5 (OriginLab Corporation, MA, USA)의 ANOVA one way를 이용하여 통계 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마황(GGEx55)과, 마황 및 마우의 혼합물(GGEx62)을 이용하여 항비만 효과 특히 체중, 체지방및 혈중 지질 함량 감소 효과를 입증하였는데, 마황 단독소재보다 마우와의 혼합물이 더 효과적인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는 특징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 GGEx55군과 GGEx62군은 비만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체중증가량이 감소하였고, 식이효율은 낮게 나타났고, 직장체온은 높게 나타났으며, 그 효과는 GGEx62 처리가 GGEx55 처리 보다 더 현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서, 혈중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의 농도가 GGEx55 처리에서는 비만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GGEx62 처리에서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서, Micro-CT 촬영에서 피하지방, 내장지방, 갈색지방과 전체지방의 면적은 GGEx55 처리와 GGEx62 처리에서 비만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효과는 GGEx62 처리가 GGEx55 처리 보다 더 현저하였다.
본 발명에서, 부고환 지방조직, 후복막 지방조직, 서혜부 지방조직, 갈색 지방조직의 무게는 GGEx55 처리와 GGEx62 처리에서 비만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서, 혈중 GOT, GPT의 농도가 GGEx55 처리에서는 비만대조군에 비하 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GGEx55는 안전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마황을 단독으로 사용할 때와 마황에 마우를 배합했을 때 둘 다 체중감소가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고, 마황을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는 마우를 배합하여 사용할 때가 더 체중감량 효과가 뛰어나고 안전성도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 마황과 마우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전성이 개선된 항비만용 조성물은 마황과 마우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마황의 독성이 제거되어 안전성이 개선되고 비만개선효과는 더욱 향상된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를 가진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기재일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소재 및 실험동물 준비
실험물질로 마황(GGEx55), 마우(GGEx61)와 마황 + 마우(GGEx62)를 사용하였고, 대조물질은 autoclaved water (멸균수)를 사용하였다. 마황과 마우는 화림제약 (Busan, South Korea)에서 구입하고,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실에서 정선 한 뒤 분말하고 이 분말을 물추출한 뒤에 동결건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표 1 내지 표 3).
공시동물로서는 중앙실험동물 (Seoul, South Korea)에서 공급한 8주령의 고지방식이 수컷 마우스 30마리를 사용하였다. 각 군 당 6마리를 체중범위에 따른 무작위법에 의하여 군 분리를 실시하고, 이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사육환경은 온도 21±2 ℃, 습도 55±5 %, 환기 횟수 15~17 회/hour, 조도 150~300 lux, 그리고 조명은 12시간 명암 (점등: 06:00, 소등: 18:00)으로 조정하여 실험 기간동안 일정하게 SPF (specific pathogen free) 상태로 유지하였다. 고형사료 (Harlan, USA)와 물은 자유 급이와 급수를 시켰다.
군당 6마리 수컷을 공시하였으며, GGEx55, GGEx61, GGEx62는 각각 1217㎎/㎏의 용량으로 8주간 사료에 혼합하여 투여하였다(표 4).
GGEx55의 조성
한약명 학명 사용량(중량%)
마황(麻黃) Ephedra sinica Stapf 100
  총량(%) 100
GGEx61의 조성
한약명 학명 사용량(중량%)
마우(魔芋) Amorphophallus rivieri Durieu[A. Konjac K. Koch ] 100
  총량 100
GGEx62의 조성
한약명 학명 사용량(중량%)
마황 Ephedra sinica Stapf 50
마우 Amorphophallus rivieri Durieu[A. Konjac K. Koch ] 50
  총량 100
실험군 및 투여방법
수(Number) 성별 투여량(Dose)(㎎/㎏ BW)
정상대조군(normal control) 6 수컷 0
고지방식이 유발
마우스 비만모델
vehicle 6 수컷 0
GGEx55 6 수컷 1217㎎/㎏
GGEx61 6 수컷 1217㎎/㎏
GGEx62 6 수컷 1217㎎/㎏
실시예 2: 본 발명의 조성물이 체중증가량에 미치는 영향 조사
투여약물 (GGEx55, GGEx61, GGEx62)이 체중증가량에는 어떤 변화를 주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매주 2회 체중을 재고, 이를 근거로 하여 체중증가량을 계산하였다.
GGEx55와 GGEx62 처리가 비만대조군인 vehicle 군에 비하여 22일째부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체중증가량이 감소하였다. 체중증가량이 GGEx55는 44일째에 현저하게 감소하다가 50일째에 더욱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GGEx62는 39일째부터 더욱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GGEx62가 GGEx55보다 더 현저하게 체중증가량의 감소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GGEx61은 비만대조군인 vehicle 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1).
실시예 3: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이효율에 미치는 영향 조사
투여약물 (GGEx55, GGEx61, GGEx62)이 식욕과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체중과 사료섭취량의 변화를 매주 2회 관찰하였고, 이를 근거로 하여 식이효율을 측정하였다.
식이효율은 하기의 수학식에 대입시켜 최종 체중증가량을 총 사료섭취량으로 나누어 산출하고 통계처리하였다(오창호. 『비만억제자인 α-MSH 유사체의 합성 및 약효분석』(신약개발연구개발사업 최종보고서). 서울: 보건복지부, 2003: 21; Garrido-Polonio C et al., Br J Nutr . 2004 Aug, 92(2): 257-65).
식이효율 (feeding efficiency ratio: FER%) = 체중증가량 (g)/사료섭취량 (g)×100
식이효율의 수학식에서 의미하는 바와 같이 사료를 섭취하는 양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체중의 증가가 적다는 것은 비만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식이효율은 비만을 나타내는 하나의 척도로 사용할 수 있고, 식이효율의 수치가 적을수록 비만조절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식이효율은 비만대조군인 vehicle 군에 비하여 GGEx55와 GGEx62 처리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효과는 GGEx62가 GGEx55보다 더 현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GGEx61은 비만대조군인 vehicle 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2).
사료를 섭취하는 양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체중의 증가가 작다는 것은 비만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식이효율은 비만을 나타내는 하나의 척도로 사용할 수 있고, 식이효율의 수치가 작을수록 비만조절효과가 더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GGEx55와 GGEx62 처리가 다른 군에 비하여 식이효율도 낮고, 정상대조군과 유사하고 비만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체중증가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GGEx55와 GGEx62는 식이조절을 통하여 체중감량효과를 나타낸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 효과는 GGEx62가 GGEx55보다 더 우수하였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조성물이 직장체온에 미치는 영향 조사
투여약물(GGEx55, GGEx61, GGEx62)이 체내의 열생산으로 인한 에너지소모와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직장체온을 매주 1회 측정하였다.
GGEx55는 15일째와 22일째에 직장체온이 비만대조군인 vehicle 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가, 그 이후 50일째 이전까지는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다시 50일째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GGEx62는 15일째에 직장체온이 비만대조군인 vehicle 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가, 그 이후 29일째 이전까지는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다시 29일째부터 계속하여 마지막까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GGEx62가 GGEx55보다 현저하였다.
GGEx55 및 GGEx62와는 반대로 GGEx61은 1일째와 8일째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가, 그 이후 36일째 이전까지는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 며, 다시 36일째부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도 3).
따라서 GGEx55와 GGEx62의 체중감량효과가 체온증가의 열발생으로 인한 에너지소모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고, GGEx61은 체중감량효과가 없는 것과 일치하게 체온증가의 열발생으로 인한 에너지소모와 관련이 없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조성물이 혈액생화학에 미치는 영향 조사
혈액 채취는 12시간 절식 후 diethyl ether로 마취한 다음 개복하여 복대정맥에서 혈액 1㎖을 채취하였으며, 고속원심분리기 (Micro 12, Hanil, South Korea)를 이용하여 13,0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분리된 혈장은 냉동고 (-20℃)에 보관하고 혈액생화학분석기(Selectra 2, Vitalab, Netherlands)를 사용하여 글루타믹 옥살로아세틱 트랜스아미나제(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OT), 글루타믹 피루빅 트랜스아미나제(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GPT),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TG),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TC),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콜레스테롤), 유리지방산(free fatty acid) (FFA), 글루코즈(glucose), 인슐린(insulin), 렙틴(leptin) 등을 각각 측정하였다.
실험시작 8주 후 혈장 내 GOT의 양을 측정한 결과, 그 값이 GGEx55는 비만대조군인 vehicle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GGEx6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GGEx62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 4).
실험시작 8주 후 혈장 내 GPT의 양을 측정한 결과, 그 값이 GGEx55는 비만대조군인 vehicle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GGEx6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GGEx62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 5).
실험시작 8주 후 혈장 내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양을 측정한 결과, 그 값이 GGEx55, GGEx61와 GGEx62의 모두는 비만대조군인 vehicle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GGEx55는 높게 나타났고, GGEx61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GGEx62는 높게 나타났다 (도 6).
실험시작 8주 후 혈장 내 총 콜레스테롤의 양을 측정한 결과, 그 값이 GGEx55는 비만대조군인 vehicle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GGEx6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GGEx62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 7).
실험시작 8주 후 혈장 내 HDL-콜레스테롤의 양을 측정한 결과, 그 값이 GGEx55, GGEx61와 GGEx62의 모두는 비만대조군인 vehicle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GGEx55는 높게 나타났고, GGEx61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GGEx62는 높게 나타났다 (도 8).
실험시작 8주 후 혈장 내 LDL-콜레스테롤의 양을 측정한 결과, 그 값이 GGEx55는 비만대조군인 vehicle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GGEx6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GGEx62는 통계 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 9).
실험시작 8주 후 혈장 내 유리지방산의 양을 측정한 결과, 그 값이 GGEx55, GGEx61와 GGEx62의 모두는 비만대조군인 vehicle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GGEx55는 낮게 나타났고, GGEx61과 GGEx62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도 10).
실험시작 8주 후 혈장 내 글루코즈의 양을 측정한 결과, 그 값이 GGEx55, GGEx61와 GGEx62의 모두는 비만대조군인 vehicle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GGEx55는 낮게 나타났고, GGEx61과 GGEx62는 약간 높게 나타났다 (도 11).
실험시작 8주 후 혈장 내 인슐린의 양을 측정한 결과, 그 값이 GGEx55, GGEx61와 GGEx62의 모두는 비만대조군인 vehicle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GGEx55는 낮게 나타났고, GGEx61과 GGEx62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도 12).
실험시작 8주 후 혈장 내 렙틴의 양을 측정한 결과, 그 값이 GGEx55, GGEx61와 GGEx62의 모두는 비만대조군인 vehicle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GGEx55는 높게 나타났고, GGEx61과 GGEx62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도 13).
상기와 같이, GGEx55, GGEx61 및 GGEx62의 처리에 따른 혈중 간장독성지표인 GOT, GPT와 체중조절과 관련된 지표인 트리글리세라이드,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유리지방산, 글루코즈, 인슐린, 렙틴의 농도를 조사하였 다. 이는 GGEx55, GGEx61과 GGEx62의 비만조절효과가 약리작용에 의한 경우도 있지만 이의 독성으로도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상기와 같이 GGEx55 처리 이외의 다른 군에서 GOT, GPT의 값은 생리적인 범위 안에 있고, 군 사이에 GOT, GPT의 값과 장기무게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간장 독성으로부터는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GGEx62 처리는 비만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나 안전성을 확보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GGEx55 처리에서 GOT, GPT의 값은 생리적인 범위를 벗어나 있고, 다른 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안전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황이 심각한 간독성을 유발한다는 보고도 이를 뒷받침한다(Neff GW et al., J Hepatol . 2004 Dec, 41(6): 1062-1064).
GGEx55군은 비만대조군에 비하여 혈중 트리글리세라이드, 총 콜렛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렙틴의 농도값은 높고, 유리지방산, 글루코즈, 인슐린의 농도값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지표는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뿐이었다. GGEx61군은 비만대조군에 비하여 혈중 비만조절과 관련된 지표들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을 찾을 수 없었다. GGEx62군은 비만대조군에 비하여 혈중 트리글리세라이드, HDL-콜레스테롤, 글루코즈의 농도값은 높고,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인슐린의 농도값은 낮았으며, 유리지방산, 렙틴의 농도값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지표는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뿐이었다. 따라서 GGEx55는 체중감량효과와 불일치하게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의 농도값이 높게 나타났음을 보여준 반면에 GGEx62는 체중감량효과와 일치하게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의 농도값이 낮게 나타났음을 보여주고 있어 GGEx62 처리의 실질적인 체중증가둔화효과가 혈중 체중감량지표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소동물용 전산화단층촬영 ( micro - CT )을 이용한 지방면적 측정
16주 된 실험대상 마우스 모두에게 소동물용 전산화단층촬영 (micro-computerized axial tomography, micro-CT)을 시행하였다. 선정된 마우스를 100 Series Vaporizer (Smiths Medical - SurgiVet, USA) 흡입마취기가 연결된 마취통에 넣고 O2 flowmeter 0.3㏄, N2O flowmeter 0.6㏄가 되도록 가스통을 연 뒤 Vaporizer의 다이얼을 5로 맞추어 Isoflurane (AErane, 일성제약)이 마취통으로 들어 가도록 하였다. 마우스가 전신마취되면 Vaporizer의 다이얼을 1~1.5로 맞추고 흡입 마취기가 연결된 CT bed에 마우스를 눕히고 소동물용 전산화단층촬영장치 (FLEX for flatform X-O, GMI, USA)를 이용하여 전신촬영을 하였다.
촬영시 Mode는 Fly mode, X-Ray Tube는 75kV / 240uA, X-Ray Detector는 Det-COR 64 ㎜, Projections 수는 256 slices 조건으로 scan 하였다. Image Reconstruction은 Pixel size 340, Matrix size 256의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전신촬영 후 Amira (GMI,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영상을 display하고, 분석하고자 하는 횡격막 아래 부분의 위치를 선택한 뒤 Threshold 값을 최대 1050, 최소 850으로 지정하여 얻고자 하는 위치의 피하지방, 내장지방과 갈색지방의 면적을 산출하였다.
마우스의 전신에 소동물용 전산화단층촬영 (micro-computerized axial tomography, micro-CT)을 한 뒤에 피하지방 (subcutaneous fat), 내장지방 (visceral fat), 갈색지방 (brown fat)과 전체지방 (total fat)의 면적을 측정한 결과, 비만대조군인 vehicle 군에 비하여 GGEx55와 GGEx62의 처리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정도는 GGEx62이 GGEx55보다 더 현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GGEx61은 비만대조군인 vehicle 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14).
실시예 7: 지방 및 장기의 무게 측정
실험종료 후 부검시 부고환 지방조직(epididymal adipose tissue) (EAT), 후복막 지방조직(retroperitoneal adipose tissue) (RAT), 서혜부 지방조직(inguinal adipose tissue) (IAT), 갈색 지방조직(brown adipose tissue) (BAT)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 비만대조군인 vehicle 군에 비하여 GGEx55와 GGEx62의 처리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GGEx61은 비만대조군인 vehicle 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15). 이러한 결과는 GGEx55와 GGEx62가 체중감량효과와 일치하게 복부지방 뿐만이 아니고 지방량을 전반적으로 개선시킨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 효과는 GGEx62에서 더 뚜렷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종료 후 부검시 간장 (liver), 심장 (heart), 비장 (spleen), 신장 (kidney), 췌장 (pancreas)의 무게를 잰 결과, GGEx55, GGEx61와 GGEx62의 모두는 비만대조군인 vehicle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16).
이상 상기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마황과 마우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전성이 개선된 항비만용 조성물은 마황에 마우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더 체중감량 효과가 뛰어나고 안전성도 문제가 없는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를 가지므로 식품 및 의약품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마황, 마우 및 이들의 혼합물 투여에 따른 체중 증가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때 모든 값은 평균 ± 표준편차로 표현하였으며, vehicle 군 대비 *는 p<0.05, **는 p<0.01, ***는 p<0.001임을 나타낸다.
도 2는 마황, 마우 및 이들의 혼합물 투여에 따른 식이효율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때 모든 값은 평균 ± 표준편차로 표현하였으며, vehicle 군 대비 *는 p<0.05, **는 p<0.01, ***는 p<0.001임을 나타낸다.
도 3은 마황, 마우 및 이들의 혼합물 투여에 따른 직장체온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때 모든 값은 평균 ± 표준편차로 표현하였으며, vehicle 군 대비 *는 p<0.05, **는 p<0.01, ***는 p<0.001임을 나타낸다.
도 4는 마황, 마우 및 이들의 혼합물 투여시 혈장 내 GOT의 수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때 모든 값은 평균 ± 표준편차로 표현하였으며, vehicle 군 대비 *는 p<0.05, **는 p<0.01임을 나타낸다.
도 5는 마황, 마우 및 이들의 혼합물 투여시 혈장 내 GPT의 수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때 모든 값은 평균 ± 표준편차로 표현하였으며, vehicle 군 대비 *는 p<0.05, **는 p<0.01임을 나타낸다.
도 6은 마황, 마우 및 이들의 혼합물 투여시 혈장 내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수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때 모든 값은 평균 ± 표준편차로 표현하였으며, vehicle 군 대비 *는 p<0.05임을 나타낸다.
도 7은 마황, 마우 및 이들의 혼합물 투여시 혈장 내 총 콜레스테롤의 수준 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때 모든 값은 평균 ± 표준편차로 표현하였으며, vehicle 군 대비 *는 p<0.05임을 나타낸다.
도 8은 마황, 마우 및 이들의 혼합물 투여시 혈장 내 HDL-콜레스테롤의 수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때 모든 값은 평균 ± 표준편차로 표현하였으며, vehicle 군 대비 *는 p<0.05임을 나타낸다.
도 9는 마황, 마우 및 이들의 혼합물 투여시 혈장 내 LDL-콜레스테롤의 수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때 모든 값은 평균 ± 표준편차로 표현하였으며, vehicle 군 대비 *는 p<0.05, **는 p<0.01, ***는 p<0.001임을 나타낸다.
도 10은 마황, 마우 및 이들의 혼합물 투여시 혈장 내 유리지방산의 수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때 모든 값은 평균 ± 표준편차로 표현하였으며, vehicle 군 대비 *는 p<0.05임을 나타낸다.
도 11은 마황, 마우 및 이들의 혼합물 투여시 혈장 내 글루코즈의 수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때 모든 값은 평균 ± 표준편차로 표현하였으며, vehicle 군 대비 *는 p<0.05임을 나타낸다.
도 12는 마황, 마우 및 이들의 혼합물 투여시 혈장 내 인슐린의 수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때 모든 값은 평균 ± 표준편차로 표현하였으며, vehicle 군 대비 *는 p<0.05임을 나타낸다.
도 13은 마황, 마우 및 이들의 혼합물 투여시 혈장 내 렙틴의 수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때 모든 값은 평균 ± 표준편차로 표현하였으며, vehicle 군 대비 *는 p<0.05임을 나타낸다.
도 14는 마황, 마우 및 이들의 혼합물 투여 후 소동물용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하여 각 지방 면적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때 모든 값은 평균 ± 표준편차로 표현하였으며, vehicle 군 대비 *는 p<0.05, **는 p<0.01, ***는 p<0.001임을 나타낸다.
도 15는 마황, 마우 및 이들의 혼합물 투여 실험 종료 후 부검시 지방 무게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때 모든 값은 평균 ± 표준편차로 표현하였으며, vehicle 군 대비 *는 p<0.05, **는 p<0.01, ***는 p<0.001임을 나타낸다.
도 16은 마황, 마우 및 이들의 혼합물 투여 실험 종료 후 부검시 장기 무게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때 모든 값은 평균 ± 표준편차로 표현하였으며, vehicle 군 대비 *는 p<0.05임을 나타낸다.

Claims (10)

  1. 마황(Ephedra sinica Stapf)과 마우(Amorphophallus rivieri Durieu)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전성이 개선된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황과 마우의 혼합비는 중량을 기준으로 1:10 내지 1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황과 마우의 혼합물은 추출물, 생즙 또는 건조분말의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에탄올, 메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처리하여 얻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5. 마황(Ephedra sinica Stapf)과 마우(Amorphophallus rivieri Durieu)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식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음료, 정제, 환, 캡슐, 껌, 차 또는 비타민 복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식품.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중의 혼합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식품.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 중의 혼합물의 양은 전체 약학적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2 ~ 9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또는 시럽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080059161A 2008-06-23 2008-06-23 마황과 마우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전성이개선된 항비만용 조성물 KR101045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161A KR101045640B1 (ko) 2008-06-23 2008-06-23 마황과 마우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전성이개선된 항비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161A KR101045640B1 (ko) 2008-06-23 2008-06-23 마황과 마우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전성이개선된 항비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948A KR20090132948A (ko) 2009-12-31
KR101045640B1 true KR101045640B1 (ko) 2011-06-30

Family

ID=41691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9161A KR101045640B1 (ko) 2008-06-23 2008-06-23 마황과 마우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전성이개선된 항비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6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333B1 (ko) * 2011-02-10 2013-08-01 한국식품연구원 토란을 포함하는 지방간 예방 및 치료 조성물
KR102232077B1 (ko) * 2017-12-29 2021-03-25 주식회사 누베베 사상의학에 따라 처방가능한 한약 비만치료 타블릿 제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700A (ko) * 1993-09-01 1995-04-15 송영관 곤약만난 및 올리고당을 주재로 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100601390B1 (ko) 2002-12-27 2006-07-13 한국 한의학 연구원 혼합 생약재를 이용한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100733984B1 (ko) * 2004-07-19 2007-06-29 이동웅 한약재와 곤약을 이용한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치료 및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700A (ko) * 1993-09-01 1995-04-15 송영관 곤약만난 및 올리고당을 주재로 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100601390B1 (ko) 2002-12-27 2006-07-13 한국 한의학 연구원 혼합 생약재를 이용한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100733984B1 (ko) * 2004-07-19 2007-06-29 이동웅 한약재와 곤약을 이용한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치료 및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Am J Clin Nut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948A (ko) 2009-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202634A (ja) 生薬含有組成物及びその利用
CN101365465A (zh) 用于预防和治疗肝病的含有甘草素的组合物
KR101045640B1 (ko) 마황과 마우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전성이개선된 항비만용 조성물
JP5725638B2 (ja) 体熱産生促進剤
JP4397663B2 (ja) 筋肉量増加剤
EP1583547B1 (en) Anti-obesity ingredients from medicinal plants and their composition
JP2008533113A (ja) 体重増調整組成物の製造におけるタマネギ抽出物の使用
KR20160056554A (ko) Compound K 성분이 강화된 홍삼농축액을 함유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 식품
KR101511364B1 (ko) 복합 생약재를 이용한 비만 및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JP2004149471A (ja) 血糖低下剤
KR101289018B1 (ko) 육계를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KR102470155B1 (ko) 용쑥 및 서양민들레를 포함하는 체중 또는 체지방 감소용 경구용 조성물
KR101032685B1 (ko) 항비만용 조성물
AU2018313435A1 (en) Blood flow improver
KR101895972B1 (ko) 번행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9481515B (zh) 一种促消化功能的固体分散体泡腾片
JP6076003B2 (ja) 経口用脂肪量低減剤、経口用アディポネクチン産生促進剤および脂肪滴蓄積抑制剤
JP6255432B2 (ja) 肥満や糖尿病を治療するため及び筋肉量を増加して運動能力を向上させるための組成物であって、有効成分としてヒハツモドキ果実(piperretrofractumvahl.fruits)の抽出成分を含む組成物
Nesari et al. Fenugreek (Methika): Traditional Wisdom and Research Evidences
CN108125237A (zh) 一种镇咳祛痰抗炎的保健品及其制备工艺
JPS6279754A (ja) 麦門冬抽出糖類含有低カロリ−食品
KR100727369B1 (ko) 울금, 둥굴레 및 말토덱스트린을 이용한 건강기능성식품조성물
Faqih et al. The immediate glycemic response to four herbal teas in healthy adults
KR20180052790A (ko) 반하,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희렴 및 황련을 혼합한 약재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타틴으로 인한 부작용 억제용 조성물
JP2007126435A (ja) 生薬配合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