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622B1 - 편광판 공급장치용 카세트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 공급장치용 카세트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622B1
KR101045622B1 KR1020090041909A KR20090041909A KR101045622B1 KR 101045622 B1 KR101045622 B1 KR 101045622B1 KR 1020090041909 A KR1020090041909 A KR 1020090041909A KR 20090041909 A KR20090041909 A KR 20090041909A KR 101045622 B1 KR101045622 B1 KR 101045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lifter
cassette
base
sta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2815A (ko
Inventor
조현우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1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622B1/ko
Publication of KR20100122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65D2585/8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for electrical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광판 공급 장치용 카세트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복수개의 편광판이 적재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카세트, 상기 적재된 편광판의 하면 일부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리프터, 그리고, 상기 카세트 내측에 적재된 편광판을 수취하여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편광판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편광판 부착장치로 낱장의 편광판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한 바, 복수장의 편광판이 유입되어 편광판 부착 공정시 발생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편광판 공급장치용 카세트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공급장치{A CASSETTE OF APPARATUS FOR SUPPLYING POLORIZERS AND APPARATUS FOR SUPPLYING POLORIZERS COMPRISING THE CASSETTE}
본 발명은 편광판 공급 장치용 카세트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편광판 부착장치로 하나의 편광판을 분리하여 공급할 수 있는 편광판 공급 장치용 카세트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정보 표시 장치 중에서, 액정 표시 장치는 그 화질이 선명하고 구동 전력이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소형 정보 기기에도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장점으로 인하여, 그 필요성이 크게 증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전기적인 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액정 패널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액정 패널의 외면에는 편광판이 부착되어 전체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을 특정 방향으로만 진동하는 빛으로 편광시켜 원하는 영상이 구현되도록 한다.
따라서, 액정 패널의 외면에 편광판을 부착하기 위하여, 편광판을 낱장 단위 로 공급해주는 편광판 공급장치와 공급되는 편광판을 액정 패널의 외면에 부착하는 편광판 부착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편광판 부착장치는 매우 짧은 공정시간동안 액정패널의 외면에 편광판을 부착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편광판 공급장치는 상기 편광판 부착장치로 낱장의 편광판을 공급해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다만, 종래의 편광판 공급장치는 편광판 사이의 정전기 또는 가장자리의 접착물질 등으로 인하여 편광판들이 1장씩 낱장으로 분리되지 않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다. 따라서, 편광판 부착장치에 여러 장의 편광판이 공급됨으로서 공정상의 오류가 발생하거나 편광판 부착장차의 고장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적재된 편광판 중에서 낱장의 편광판만을 수취 및 수송하여, 편광판 부착장치로 공급할 수 있는 편광판 공급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하나의 편광판만을 분리하는 공정의 소요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편광판 공급장치 및 편광판 공급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개의 편광판이 적재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카세트, 상기 적재된 편광판의 하면 일부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리프터, 그리고, 상기 카세트 내측에 적재된 편광판을 수취하여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편광판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리프터는 상기 적재된 편광판이 곡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편광판의 하면 일부를 선택적으로 승강시켜, 상기 각 편광판의 테두리를 인접한 편광판의 테두리로부터 격리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카세트는 상기 편광판이 적재되는 베이스 및 상기 적재되는 편광판의 외측변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측벽으로 구성되며, 상기 리프터는 상기 베이스의 내측에 설치되는 구동부에 의해, 상기 베이스의 상면으로 선택적으로 승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리프터는 상기 베이스 상면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 나 이상의 바 또는 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는 상기 인접한 베이스의 상면과 선택적으로 단차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측벽은 상기 리프터의 승강시, 상기 편광판의 외측변를 지속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카세트는 상기 적재된 편광판에 진동을 가할 수 있는 바이브레이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편광판이 적재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되는 편광판의 외측변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측벽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된 편광판의 하면 일부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리프터를 포함하는 편광판 공급장치용 카세트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프터는 상기 베이스의 내측에 구비되는 구동부에 의해 상기 베이스의 상면으로 선택적으로 승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벽은 상기 리프터 승강시, 상기 편광판의 외측변을 지속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편광판 부착장치로 낱장의 편광판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한 바, 복수장의 편광판이 유입되어 편광판 부착 공정시 발생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공급장치와 편광판 부착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편광판 공급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 공급장치(10)는 편광판 부착장치(20)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공정 중에 편광판(P)을 편광판 부착장치(2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편광판 공급장치(10)는 상기 편광판(P)이 적재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카세트(100) 및 상기 적재된 편광판(P)을 수취한 후 이를 부착장치(20)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카세트(100)는 베이스(110) 및 그리고 상기 베이스(110) 상면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측벽(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110)는 카세트(100)의 하부 구조를 형성하며, 상측으로 복수개의 편광판(P)이 적재된다. 한편, 측벽(120)은 상기 베이스(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로 구비된다. 그리고, 적재된 편광판(P)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편광판(P)의 외측변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송유닛(200)은 카세트(100)에 적재되는 편광판(P)을 수취할 수 있도록 상기 카세트(100)의 상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이송유닛(200)은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편광판(P)을 수취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흡착 방식을 이용하여 편광판(P)을 수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유닛(200)의 하단에는 편광판(P)을 흡착하여 수취하는 흡착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흡착부(210)는 진공펌프(미도시)와 연결되는 유로(미도시)를 구비하며, 유로의 단부는 흡착부(210) 하측 단부에 형성되는 흡착공(211)과 연결된다. 따라서, 적재된 편광판(P)의 상면에 흡착부(210)를 안착시켜, 흡착공(211)의 흡착력을 이용하여 편광판(P)을 수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착부(210)는 흡착시 편광판(P)과의 밀착을 유도함과 동시에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고무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흡착부(210)가 편광판(P)과 접촉할 때 편광판(P)에 긁힘 등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송유닛(200)은 흡착부(210)와 연결되어 이를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부(220)를 더 구비한다. 이때, 이송부(220)는 흡착부(210)가 편광판(P)을 흡착하면 이를 편광판 부착장치(20)로 수송한 후, 다음 편광판(P)을 공급하기 위해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흡착부(21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편광판 상면의 여러 지점을 흡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편광판(P)을 안정적으로 흡착하며, 기울어진 상태로 편광판 부착장치(20)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흡착부(210)는 각각의 이송부(220)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나, 본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구동축(221)에 모두 연결되어, 하나의 이송부(220)에 의해 일괄적으로 이동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송부(220)는 상기 흡착부(210)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고, 또한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이송부(220)가 수직 액추에이터(222)를 구비하여 흡착부(210)를 승강시키며, 수평 액추에이터(223)에 의해 수평방향 가이드(224)를 따라 왕복운동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이송유닛(200)은 흡착부(210)를 카세트(100) 내측으로 하강시켜 편광판(P)을 흡착한 후, 다시 흡착부(210)를 상승시켜 편광판 부착장치(20)로 편광판을 수송할 수 있도록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얇은 필름 형상으로 구성되는 복수개의 편광판(P)은 카세트 내측의 베이스(110) 상면에 적재된다. 이때, 각각의 편광판(P)은 인접한 편광판과 소정의 접착력을 갖고 밀착된 상태로 적재될 수 있다. 편광판(P)의 재질 특성에 의해 정전력이 발생하기 쉬우며, 특히 절단 또는 포장 등의 선행 공정이 이루어지면서 압력 또는 열에 의해 인접한 편광판(P)의 테두리와 각각 접착되면서 접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편광판 부착장치(20)로 복수개의 편광판(P)이 동시에 공급되어 공정 오류가 발생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카세트(100)는 편광판(P)이 안착되는 베이스(110)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판(P)이 베이스(110)의 상측에 적재되면, 베이스(110)의 굴곡에 의하여 평면 형태가 아닌 곡면을 형성하면서 적재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편광판(P)이 곡면을 형성함에 따라 각 편광판(P)의 테두리 부분이 인접한 편광판(P)의 테두리 부분으로부터 이격되어, 편광판(P)의 낱장 분리가 용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전의 평탄한 평면으로 구성되는 베이스가 아닌, 돌기, 단차 또는 경사면 등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을 형성하는 베이스(110)를 구비하는 카세트(100)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에서 카세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카세트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공급장치의 카세트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카세트(100)는, 상면으로 복수개의 편광판이 적재되는 베이스(110) 및 상기 베이스(110)의 가장자리 부근에 설치되어 상기 편광판의 외측을 지지하는 측벽(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110) 상면에 형성되는 굴곡은 베이스 내측에 설치되는 리프터(130)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리프터(130)는 베이스(110) 내측에 설치되어 베이스(110) 상면으로 선택적으로 승강할 수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리프터(130)가 베이스(110) 상면에서 승강이 이루어짐에 따라, 베이스(110) 상에 적재된 편광판(P)의 하면을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베이스(110)는 카세 트(100)의 하부 구조를 구성하며, 내측에는 리프터(13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리프터(130)는 베이스(110)의 내측에 설치되는 구동부(140)에 의해 베이스(110) 상면으로 승강하면서, 편광판(P)의 하면 일부를 들어올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프터(130)는 베이스(110) 상면에 개구된 부분을 통해 승강이 가능하며, 이때 편광판(P) 하면의 일부를 지지하면서 승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리프터(130)가 베이스(110) 상면으로 상승하면 적재된 편광판(P)은 곡면을 형성하게 되고, 이에 의해 각 편광판의 테두리 또한 비스듬한 경사면을 형성하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편광판 테두리는 인접한 편광판의 테두리로부터 격리되어 소정 간격 단차진 형상을 이룬다. 이처럼, 나란하게 정렬되어 있던 편광판의 테두리부에 이격이 발생하면서, 이전 공정에서 열 또는 압력 등에 의해 접착된 상태가 해제되면서 낱장으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는 하나의 바(bar) 형 부재를 이용하여 리프터(130)를 구성하고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개의 바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 등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편광판(P) 하면의 일부와 직접 접하는 리프터(130)의 상측은 편광판(P)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구동부(140)는 베이스(110)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리프터(130)의 하측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리프터(130)를 승강시킨다. 이때, 구동 부(140)는 액추에이터 또는 실린더 등의 구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는 리프터(130)의 형상 또는 개수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140)는 복수개의 편광판(P)이 카세트(100)에 적재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터를 베이스(110) 상측으로 상승시킨다. 따라서, 리프터(130)는 베이스(110) 상면에서 적재된 편광판(P)의 일부를 들어올려 각 편광판 테두리부의 접착상태를 해제시킨다. 그리고, 리프터(130)의 동작에 의해 적재된 편광판이 낱장으로 분리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40)는 다시 리프터(13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그리고 이후, 이송유닛(200)에 의해 편광판(P)을 수취하여 편광판 부착장치(20)로 편광판(P)을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프터(130)가 베이스(110)의 상면으로 선택적으로 출몰하여 굴곡을 형성하도록 구성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별도의 구동부를 구비하지 않고 베이스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소정 형상의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편광판(P)이 곡면을 형상으로 적재되어 있는 경우, 이송유닛(200)이 곡면 상의 편광판(P)을 흡착하면 진공압의 누수가 발생하여 편광판(P)의 수취가 불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선택적으로 굴곡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동부(140)와 연결되는 리프터(130)를 이용하여, 편광판 흡착시에는 평면 형태로 편광판(P)을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카세트에 적재된 편광판(P)은 리프터(130)의 구동 시 상기 리프터(130)에 의해 하면의 일부가 들리면서 곡면의 형상을 이루고, 편광판(P)의 테두리는 최초의 위치에 비해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리프터(130) 승강 시 편광판이 측벽에 의해 지지되지 않으면서 흐트러질 우려가 있다. 이 경우, 리프터가 원위치로 복귀시키더라도, 편광판이 흐트러진 상태로 적재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리프터(130) 승강시에도 카세트(100)의 측벽(120)이 편광판(P)의 외측변을 지속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측벽을 이동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측벽은 상기 구동부(140)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100)의 측벽(120)은 하측으로 베이스(110) 내부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140)는, 베이스 내벽과 상기 측벽(120)을 연결하는 액추에이터 등의 구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터(130)가 구동하여 편광판의 테두리가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측벽(120) 또한 중심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를 지지하여 편광판(P)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리프터(130)가 초기위치로 복귀하는 경우, 측벽(120) 또한 원위치로 복귀하여 편광판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하나의 구동부(140)에서 리프터(130) 및 측벽(120)의 구동이 동시에 가능한 바, 측벽(120)의 위치 제어가 더욱 용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카세트(100)는 내측에 적재되는 편광판(P)에 진동을 전달 하는 바이브레이터(1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바이브레이터(150)는 모터 등의 동력을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110) 내측에 구동부(140)와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바이브레이터(150)는 베이스(110) 또는 측벽(120)에 진동을 가하여, 적재된 편광판(P)으로 진동을 전달하고, 상기 진동이 편광판의 테두리로 전달되어 떨림이 발생하는 바, 인접한 테두리와의 접착 상태를 효과적으로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편광판 공급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편광판 공급장치의 카세트에 복수개의 편광판이 적재될 수 있다. 이때, 이전의 공정에서 발생되는 열 또는 압력에 의해 상기 편광판은 테두리 부분이 접착된 상태로 적재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송 유닛을 이용하여 편광판을 편광판 부착 유닛에 공급하기에 앞서, 적재된 각각의 편광판이 인접한 편광판과의 접착된 상태를 해제시키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카세트는 구동부를 이용하여 리프터를 베이스 상면의 상측으로 상승시킨다. 이때 리프터는 적재된 편광판 하면의 일부를 지지하면서 들어올린다. 그 결과, 편광판은 리프터에 지지되지 않은 부분이 처지면서 곡면 형상을 이루고, 나란하게 적재되어 있던 각 편광판의 테두리는 단부가 단차진 형태로 이격되면서 격리된다.
이때, 편광판 소정 부위가 리프터에 들리면서 편광판 테두리는 내측으로 위치가 이동한다. 이때, 구동부는 편광판이 측벽으로 이탈되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측벽의 위치를 제어하여 지속적으로 편광판 외측벽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바이브레이터를 구동하여 편광판에 진동을 전달하여 편광판을 낱장으로 분리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공정이 종료되면, 구동부는 리프터와 측벽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 그리고, 편광판은 베이스 상면에 평면 형태로 다시 적재된다. 이때, 각각의 편광판은 이전 단계를 통하여 인접한 편광판으로부터 분리가 이루어진 상태이다.
이때, 카세트 상측에서 이송유닛이 하강하여 한 장의 편광판을 흡착한 후, 이를 편광판 부착장치로 공급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상면 중심측에 구비되는 하나의 바형 리프터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 공급장치를 구성하였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로서, 리프터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리프터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바형 리프터(130)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각각의 리프터(130)는 베이스의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리프터 상승시 적대된 편광판은 하측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면서 테두리부 의 접착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또는 도 7 또는 도 8과 같이, 베이스 상면의 일부가 하측의 구동부(140)에 의해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승강 가능한 베이스 상면은 리프터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인접한 베이스 상면과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상면에 적재된 편광판은 상기 단차부에 의해 곡면을 형성하며 테두리의 접착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 이외의 다른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 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카세트 내측에 편광판이 적재되면서 테두리의 접착상태가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게 하기 위함으로서, 베이스 상면에 굴곡 등을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을 이용하여 변형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공급장치와 편광판 부착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편광판 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카세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카세트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각각 서로 다른 실시예들의 카세트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Claims (14)

  1. 복수개의 편광판이 적재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카세트;
    상기 적재되는 편광판의 하면 일부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리프터; 그리고
    상기 카세트 내측에 적재된 편광판을 수취하여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각 편광판의 테두리를 인접한 편광판의 테두리로부터 격리시키기 위해, 상기 리프터는 상기 카세트 내측에 적재되는 편광판이 곡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편광판의 하면 일부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공급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는 상기 편광판이 적재되는 베이스 및 상기 적재되는 편광판의 외측변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측벽으로 구성되며,
    상기 리프터는 상기 베이스의 내측에 설치되는 구동부에 의해, 상기 베이스의 상면으로 선택적으로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상기 베이스 상면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 의 바 또는 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공급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상기 인접한 베이스의 상면과 선택적으로 단차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공급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리프터의 승강시, 상기 편광판의 외측변을 지속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공급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는 상기 적재된 편광판에 진동을 가할 수 있는 바이브레이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공급장치.
  8. 복수개의 편광판이 적재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되는 편광판의 외측변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측벽;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된 편광판의 하면 일부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리프터;를 포함하고,
    상기 각 편광판의 테두리를 인접한 편광판의 테두리로부터 격리시키기 위해, 상기 리프터는 상기 편광판이 곡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편광판의 하면 일부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공급장치용 카세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상기 베이스의 내측에 구비되는 구동부에 의해 상기 베이스의 상면으로 선택적으로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공급장치용 카세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리프터 승강시, 상기 편광판의 외측변을 지속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공급장치용 카세트.
  11. 카세트 내측에 복수개의 편광판이 적재되면,
    리프터를 구동하여 상기 적재된 편광판의 하면 일부를 승강시키고,
    상기 승강시킨 편광판을 원위치로 복귀시킨 후 이송유닛을 이용하여 편광판 부착장치로 편광판을 공급하고,
    상기 적재된 편광판의 하면의 일부가 승강하면, 상기 적재된 편광판은 곡면을 형성하면서 각 편광판의 테두리가 인접한 편광판 테두리로부터 격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공급장치의 제어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된 편광판의 외측변을 지지하는 측벽은, 상기 리프터 구동시 상기 편광판의 외측변을 지속적으로 지지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공급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된 편광판의 하면 일부가 승강하면, 상기 카세트의 바이브레이터를 구동시켜 상기 적재된 편광판으로 진동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공급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90041909A 2009-05-13 2009-05-13 편광판 공급장치용 카세트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공급장치 KR101045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909A KR101045622B1 (ko) 2009-05-13 2009-05-13 편광판 공급장치용 카세트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909A KR101045622B1 (ko) 2009-05-13 2009-05-13 편광판 공급장치용 카세트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815A KR20100122815A (ko) 2010-11-23
KR101045622B1 true KR101045622B1 (ko) 2011-06-30

Family

ID=43407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909A KR101045622B1 (ko) 2009-05-13 2009-05-13 편광판 공급장치용 카세트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6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72747A1 (fr) * 2019-08-05 2021-02-10 Trixell Outil de positionne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1416A (ja) * 2002-11-12 2004-06-10 Konica Minolta Holdings Inc シート状被搬送体のレジスト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821184B1 (ko) * 2006-06-21 2008-04-1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편광판 공급 장치 및 편광판 공급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1416A (ja) * 2002-11-12 2004-06-10 Konica Minolta Holdings Inc シート状被搬送体のレジスト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821184B1 (ko) * 2006-06-21 2008-04-1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편광판 공급 장치 및 편광판 공급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72747A1 (fr) * 2019-08-05 2021-02-10 Trixell Outil de positionnement
FR3099847A1 (fr) * 2019-08-05 2021-02-12 Trixell Outil de positionnement
EP3772747B1 (fr) * 2019-08-05 2023-09-13 Trixell Outil de positionn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815A (ko) 2010-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6154A (ko) 접합 장치
JP4249155B2 (ja) 基板移送装置
JP4758432B2 (ja) ワーク収納装置
JP2005033180A (ja) ガラス基板収納用のカセット
KR20140103707A (ko) 기판 수납 장치
US9378919B2 (en) Bon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090039792A (ko) 기판 반송 장치 및 기판 반송 방법
KR101651544B1 (ko) 기판 지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KR101368819B1 (ko) 기판 이송장치
KR101045622B1 (ko) 편광판 공급장치용 카세트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공급장치
JP2008162783A (ja) 吸着保持装置および吸着保持方法
KR20140114931A (ko) 기판보관 챔버용 카세트 이송장치
EP3239065A1 (en) Pallet for transferring glass plate
KR100898807B1 (ko) 기판이송장치
JPH0922933A (ja) 基板搬送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8118014A (ja) 基板収容カセット
KR101060655B1 (ko) 편광판 공급장치용 카세트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공급장치
WO2017202097A1 (zh) 支撑设备及支撑方法
JP4689116B2 (ja) 基板固定装置
KR101034041B1 (ko) 기판 정렬장치
KR101651545B1 (ko) 기판 지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KR20080062398A (ko) 기판 이송용 카세트
KR200469263Y1 (ko) 유리 기판 운송 장치
KR102052984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장치
JP2005119808A (ja) 板状部材搬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