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1184B1 - 편광판 공급 장치 및 편광판 공급 방법 - Google Patents

편광판 공급 장치 및 편광판 공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1184B1
KR100821184B1 KR1020060055838A KR20060055838A KR100821184B1 KR 100821184 B1 KR100821184 B1 KR 100821184B1 KR 1020060055838 A KR1020060055838 A KR 1020060055838A KR 20060055838 A KR20060055838 A KR 20060055838A KR 100821184 B1 KR100821184 B1 KR 100821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adsorption
polarizing
unit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5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21150A (ko
Inventor
함민수
방신한
김성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060055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1184B1/ko
Publication of KR20070121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1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1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1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1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the work being fed round the roll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00Details of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or of ion trap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3/04Ion gu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편광판 공급 장치 및 편광판 공급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편광판 공급 장치는, 다수 장의 편광판들이 적층 가능한 편광판 적층 유닛; 편광판의 부분 흡착을 위하여, 편광판 적층 유닛에 적층된 편광판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된 편심 영역을 흡착하는 흡착 유닛; 및 흡착 유닛을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편광판의 편심 영역만을 흡착함으로써, 적층된 편광판들 중에서 하나의 편광판만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편광판 부착장치로 공급할 수 있어, 종래 발생하던 여러 장의 편광판이 공급되는 공급 에러와, 이로 인한 공정상 오류 및 편광판 부착 장치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편광판, 공급, 분리, 정전기, 액정 표시 장치, 액정 패널

Description

편광판 공급 장치 및 편광판 공급 방법{Device for supplying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supplying polarizing plat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편광판 공급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편광판 공급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편광판 공급 장치에 구비된 흡착 유닛이 편광판의 편심 단부를 흡착하는 작용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1의 편광판 공급 장치에 구비된 다수개의 흡착 유닛이 상호 교번하여 진동하는 작용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1의 편광판 공급 장치에 구비된 이온 건의 개략적 모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작동 몸체 120 : 수평 가이드
130 : 수직 가이드 140 : 흡착 유닛
141 : 연결 부재 142 : 흡착 실린더
143 : 흡착 패드 144 : 진동 액추에이터
145 : 진공관 150 : 편광판 적층 유닛
160 : 지지 부재 170 : 이온 건
본 발명은 편광판 공급 장치 및 편광판 공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층된 편광판들 중에서 하나의 편광판만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편광판 부착장치로 공급할 수 있는 편광판 공급 장치 및 편광판 공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정보 표시 장치 중에서, 액정 표시 장치는 그 화질이 선명하고 구동 전력이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소형 정보 기기에도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장점으로 인하여, 그 필요성이 크게 증대되고 있다.
특히, 고화질 TV(HDTV : High Definition Television)용 방송 송출이 본격화됨에 따라, 선명한 화질을 시청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한 연구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전기적인 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액정 패널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액정 패널의 외면에는 편광판이 부착되어 전체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을 특정 방향으로만 진동하는 빛으로 편광시켜 원하는 영상이 구현되도록 한다.
따라서, 액정 패널의 외면에 편광판을 부착하기 위하여, 편광판을 낱장 단위로 공급해주는 편광판 공급 장치와, 공급된 편광판을 액정 패널의 외면에 부착하는 편광판 부착 장치가 요구된다.
그런데, 편광판 부착 장치는 매우 짧은 공정 시간 동안 자동적으로 액정 패널의 외면에 편광판을 부착해야하기 때문에, 1장씩 낱장으로 분리된 편광판을 공급 해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종래의 편광판 공급 장치는 편광판 사이의 정전기 또는 이물질 등에 의하여 편광판들이 1장씩 낱장으로 분리되지 않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여, 편광판 부착 장치에 여러 장의 편광판들이 공급됨으로써 공정상 오류가 발생하거나 편광판 부착 장치의 고장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층된 편광판들 중에서 하나의 편광판만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편광판 부착장치로 공급할 수 있어, 종래 발생하던 여러 장의 편광판이 공급되는 공급 에러와, 이로 인한 공정상 오류 및 편광판 부착 장치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편광판 공급 장치 및 편광판 공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다수 장의 편광판들이 적층 가능한 편광판 적층 유닛; 편광판의 부분 흡착을 위하여, 편광판 적층 유닛에 적층된 편광판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된 편심 영역을 흡착하는 흡착 유닛; 및 흡착 유닛을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공급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흡착 유닛은 다수 개 마련되되 편심 영역에서 좌우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실질적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흡착 유닛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 액추에이터; 및 흡착 유닛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착 유닛의 단부에는 편광판의 편심 영역을 흡착하는 흡착 패드가 결합되며, 편광판 공급 장치는 다수 개의 편광판이 공급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하여 흡착 패드를 진동시키는 진동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진동 액추에이터는 다수 개의 흡착 유닛 각각에 마련되어 다수 개의 흡착 유닛 중 상호 인접한 각각의 흡착 유닛의 흡착 패드가 상호 반대 방향으로 진동되도록 다수 개의 흡착 유닛의 흡착 패드를 상호 교번적으로 진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편광판 공급 장치는, 다수 개의 편광판이 공급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흡착 유닛이 흡착한 편광판의 측면에 이온을 분사하는 이온 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광판 공급 장치는, 흡착 유닛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편광판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되되 편심 영역에 인접한 영역을 흡착하는 보조 흡착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적층되어 제공 가능한 편광판의 부분 흡착을 위하여, 편광판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된 편심 영역을 흡착하는 단계; 및 흡착된 편광판을 이동시켜, 액정 패널에 편광판을 부착시키는 편광판 부착 장치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공급 방법에 의하여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편광판의 편심 영역을 흡착하는 단계는, 편심 영역에서 좌우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실질적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흡착 유닛에 의하여 흡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흡착 유닛의 각 단부에는 편광판의 편심 영역을 흡착하는 흡착 패드가 각각 결합되며, 편광판의 편심 영역을 흡착하는 단계 후에, 다수 개의 편광판이 공급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흡착 패드를 진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흡착 패드를 진동시키는 단계는, 다수 개의 흡착 유닛 중 상호 인접한 각각의 흡착 유닛의 흡착 패드가 상호 반대 방향으로 진동되도록 다수 개의 흡착 유닛의 흡착 패드를 상호 교번적으로 진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편광판의 편심 영역을 흡착하는 단계 후에, 다수 개의 편광판이 공급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흡착 유닛이 흡착한 편광판의 측면에 이온을 분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편광판 공급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편광판 공급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편광판 공급 장치에 구비된 흡착 유닛이 편광판의 편심 단부를 흡착하는 작용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4는 도 1의 편광판 공급 장치에 구비된 다수개의 흡착 유닛이 상호 교번하여 진동하는 작용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5는 도 1의 편광판 공급 장치에 구비된 이온 건의 개략적 모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편광판 공급 장치(100)는, 작동 몸체(110)와, 작동 몸체(110)가 지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작동 몸체(110)에 결합되어 작동 몸체(110)를 수평 방향으로 안내하는 수평 가이드(120)와, 작동 몸체(110)와 결합된 수평 가이드(120)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수평 가이드(120)에 결합되어 수평 가이드(120)를 수직 방향으로 안내하는 수직 가이드(130)와, 작동 몸체(110)에 연결되어 편광판(101)을 흡착하는 흡착 유닛(140)과, 다수 장의 편광판(101)들을 적층하여 흡착 유닛(140)에 편광판(101)을 제공하는 편광판 적층 유닛(150)을 구비한다.
작동 몸체(110)는, 후술할 바와 같은 흡착 유닛(140)을 지지하여 흡착 유닛(140)을 수평 또는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구성 요소이다. 작동 몸체(110)의 배면 상단부 및 하단부 각각에는 수평 가이드(120)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수평가이드 돌기(111)가 형성된다. 작동 몸체(110)의 저면에는 후술할 바와 같은 지지 부재(160)에 의하여 흡착 유닛(140)이 고정 결합된다.
도 2에서는 작동 몸체(110)의 측단면이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는, 구조적인 측면에서 작동 몸체(110)의 강도를 고려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작동 몸체(110)가 흡착 유닛(140)을 지지하고 수평 가이드(120)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작동 몸체(110)의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어 작동 몸체를 이동시키는 액 추에이터, 편광판 공급 장치(100)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콘트롤러 및 소정의 전기 부품들이 탑재되는 회로 기판 등이 설치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수평 가이드(120)는, 작동 몸체(110)가 수평 가이드(120)에 의하여 안내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작동 몸체(110)에 결합된다. 또한, 수평 가이드(120)는 수직 가이드(130)에 의하여 안내되어 수직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수직 가이드(130)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작동 몸체(110)에 결합된 흡착 유닛(140)들이 수평 및/또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 몸체(110)의 배면 상단부 및 하단부 각각에는 수평 가이드(120)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수평 가이드 돌기(111)가 형성되며, 수평 가이드(120)의 전면 상단부 및 하단부 각각에는 작동 몸체(110)의 배면에 형성된 수평 가이드 돌기(111)와 상호 교합되도록 수평 가이드 홈(121)이 형성된다. 또한, 수평 가이드(120)의 배면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 각각에는 수직 가이드(130)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수직 가이드 홈(122)이 형성된다.
한편, 수직 가이드(130)는, 작동 몸체(110)와 결합된 수평 가이드(120)가 수직 가이드(130)에 의하여 안내되어 지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수평 가이드(120)와 결합된다. 수평 가이드(120)가 수직 가이드(13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상대 이동함으로써, 작동 몸체(110)에 결합된 흡착 유닛(140)들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평 가이드(120)의 배면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 각각에는 수직 가이드(130)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수직 가이드 홈(122)이 형성되며, 수직 가이드(130)의 전면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 각각에는 수평 가이드(120)의 배면에 형성된 수직 가이드 홈(122)과 상호 교합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수직 가이드 레일(131)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 몸체(110)는 수평 가이드(120)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수평 가이드(120)는 수직 가이드(130)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작동 몸체(110)를 수평 가이드(120)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액추에이터(미도시)와, 수평 가이드(120)를 수직 가이드(13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 액추에이터(미도시)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수평 액추에이터 및 수직 액추에이터는 일반적인 공압 액추에이터, 유압 액추에이터 또는 전기 모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지만, 액정 표시 장치의 생산 공정은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고도의 정밀성 및 화학적 청결성이 보장되는 클린 룸(clean room)으로 유지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전기 모터 특히, 직선 방향으로 왕복 구동력을 제공하는 리니어 모터(Linear Motor)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 액추에이터는 작동 몸체(110)의 내부에 내장될 수도 있고, 수평 가이드(120)에 탑재될 수도 있다. 즉, 수평 액추에이터는, 작동 몸체(110)를 수평 가이드(120)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만 있다면, 그 종류와 설치 위치 등은 자유롭게 구현될 수 있다 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수직 액추에이터는, 수평 가이드(120)에 탑재될 수도 있고, 수직 가이드(130)에 탑재될 수도 있다. 즉, 수직 액추에이터는, 작동 몸체(110)가 결합된 수평 가이드(120)를 수직 가이드(130)를 따 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만 있다면, 그 종류와 설치 위치 등은 자유롭게 구현될 수 있다.
흡착 유닛(140)은, 작동 몸체(110)의 하단에 결합되는 막대 형상의 지지 부재(160)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141)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후술할 바와 같은 진동 액추에이터(144) 및 진공관(145) 등이 배치되는 흡착 실린더(142)와, 흡착 실린더(142)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진공압으로 편광판(101)을 흡착하는 흡착 패드(143)와, 흡착 실린더(142)의 내부 중공부에 배치되어 흡착 패드(143)를 진동시키는 진동 액추에이터(144)와, 흡착 실린더(142)의 내부 중공부를 관통하여 흡착 패드(143)와 진공 펌프(미도시)를 연통시키는 진공관(145)을 구비한다.
흡착 유닛(140)은 5개가 마련되어 막대 형상의 지지 부재(1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상호 이격되어 일렬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흡착 유닛(140)이 구비될 경우, 편광판(101) 흡착시 편광판(101)과의 흡착력이 더욱 커지며, 후술할 바와 같이 상호 인접한 흡착 유닛(140)들에 구비된 진동 액추에이터(144)들이 각각의 흡착 패드(143)를 상호 반대 방향으로 진동시킴으로써 정전기 및 이물질 등에 의하여 동시에 흡착된 다수 장의 편광판(101)들을 더욱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흡착 유닛(1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후방에 보조 흡착 유닛(140a)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보조 흡착 유닛(140)의 구성은 흡착 유닛(14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다만 흡착 유닛(140)의 후방에 배치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보조 흡착 유닛(140a)은 복수개의 흡착 유닛(140)의 각각에 모 두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일부의 흡착 유닛(140)의 후방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보조 흡착 유닛(140a)이 구비될 경우, 전방의 흡착 유닛(140)에 구비된 진동 액추에이터(144)와 후방의 보조 흡착 유닛(140a)에 구비된 진동 액추에이터(144)가 각각의 흡착 패드(143)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진동시킴으로써, 동시에 흡착된 다수 장의 편광판(101)들을 더욱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다.
지지 부재(160)는 흡착 유닛(140)을 작동 몸체(110)에 연결시킨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 유닛(140)들이 작동 몸체(110)의 전방 하단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흡착 유닛(140)들이 편광판(101)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된 편심 영역을 흡착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작동 몸체(110)의 중심(G1)과 편광판(101)의 중심(G2)을 동일 수직축선(V)상에 배치시키고, 흡착 유닛(140)들은 작동 몸체(110)의 전방 하단부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흡착 유닛(140)들이 자연스럽게 편광판(101)의 중심(G2)으로부터 전방으로 편심된 편심 영역을 흡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흡착 유닛(140)이 편광판(101)의 부분 흡착을 위하여 편광판(101)의 편심 영역을 흡착할 경우, 편광판(101)들 사이의 정전기가 방전되면서 다수 장의 편광판(101)들이 낱장으로 분리될 수 있다. 즉, 편광판(101)의 전면(全面)을 흡착할 경우, 각 편광판(101) 사이에 정전기가 발생하여 다수 장의 편광판(101)이 동시에 공급되는 공급 에러가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편광판(101)의 편심 영역(도 2에서는 전단부로 도시됨)만을 흡착하여 정전기 발생이 종래보다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연결 부재(141)는 볼트, 너트, 리벳, 용접 및 접착 등의 공지의 결합 수단에 의하여 흡착 실린더(142)를 지지 부재(160)의 하단부에 결합시킨다.
흡착 실린더(142)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그 중공부에 진동 액추에이터(144) 및 진공관(145) 등이 배치된다.
흡착 패드(143)는 흡착 실린더(142)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편광판(101)을 진공압으로 흡착하는 구성 요소이다. 따라서, 흡착 패드(143)의 중앙에는 진공관(145)을 통하여 진공 펌프와 연통되는 흡착공(143a)이 형성된다. 또한, 흡착 패드(143)의 측면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길이 가변될 수 있도록 주름면(143b)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흡착 패드(143)의 측면이 주름면(143b)으로 형성될 경우, 흡착 패드(143)가 편광판(101)을 흡착할 때 주름면(143b)의 신축에 의하여 흡착 패드(143)의 내부 압력이 낮아지게 되어 진공압이 더욱 커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편광판(101)이 흡착 유닛(140)에 정확히 직교가 되지 아니하더라도, 흡착 패드(143)의 주름면(143b)이 적절히 신축됨으로써 흡착 패드(143)는 언제나 편광판(101)의 면에 밀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편광판(101)과 흡착 유닛(140)의 흡착력이 저하되지 않는다.
진동 액추에이터(144)는, 흡착 실린더(142)의 내부 중공부에 구비되며 진동 액추에이터(144)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 즉, 진동은 흡착 패드(143)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진동 액추에이터(144)는 공기압 또는 유압을 이용하여 흡착 패드(143)를 수직 방향으로 진동시키는 공유압 액추에이터나, 전기력을 이용하여 전기 신호에 따라 흡착 패드(143)를 소정 변위만큼 진동시키는 스테퍼 모터(Stepper Motor) 또 는 전기력으로 직선 변위를 왕복 구동시키는 리니어 모터(Linear Motor) 등의 공지의 구동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액정 표시 장치의 생산 공정은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고도의 정밀성 및 화학적 청결성이 보장되는 클린 룸(clean room)으로 유지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리니어 모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 액추에이터(144)는, 흡착 유닛(140)들 각각에 하나씩 마련되어 흡착 패드(143)들을 수직 방향으로 진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흡착 패드(143)에 흡착된 편광판(101)들도 같이 진동하게 됨으로써, 정전기나 이물질 등에 의하여 상호 부착되어 동시에 흡착된 여러 장의 편광판(101)들 중에서 하부에 위치한 편광판(101)들은 진동 액추에이터(144)의 진동에 의하여 흡착 패드(143)에 직접 흡착된 최상부의 편광판(101)과 분리되어 낙하하게 된다. 예를 들어서, 흡착 패드(143)에 동시에 5장의 편광판(101)들이 흡착된 경우, 진동 액추에이터(144)가 흡착 패드(143)를 수직 방향으로 진동시키면 5장의 편광판(101)들도 같이 진동하게 되는데, 다수 장의 흡착 패드(143) 상호간의 부착력(정전기나 이물질 등에 의해 상호 부착된 힘) 보다 진동 액추에이터(144)의 진동에 의한 관성력(옷이나 양탄자의 먼지를 떨어주는 원리와 같은 작용 원리임)이 더 크기 때문에, 4장의 편광판(101)들은 최상부의 1장의 편광판(101)과 분리되어 하방향으로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 유닛(140)들 중에서 상호 인접한 각각의 흡착 유닛(140)들에 마련된 진동 액추에이터(144)들은 각각의 흡착 패드(143)를 상호 반대 방향으로 진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나의 흡착 패 드(143)가 상방향으로 올라가면, 그 옆의 흡착 패드(143)는 하방향으로 내려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각각의 흡착 패드(143)가 상호 반대 방향으로 진동하게 되면, 흡착 패드(143)에 동시에 흡착된 다수 장의 편광판(101)들이 더욱 용이하고 확실하게 최상부의 편광판(101)과 분리될 수 있다.
진공관(145)은, 흡착 실린더(142)의 내부 중공부에 배치되며, 일단은 진공 호스(145a)를 통하여 진공 펌프에 연결되고, 타단은 흡착 패드(143)의 흡착공(143a)에 연결된다. 따라서, 흡착 패드(143)가 편광판(101)을 흡착할 경우, 진공 펌프로부터 발생된 진공압은 진공 호스(145a)와 진공관(145)을 통하여 흡착공(143a)으로 전해짐으로써, 흡착 패드(143)가 진공압을 이용하여 편광판(101)을 흡착하게 되는 것이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 유닛(140)의 측면에는 흡착 유닛(140)에 의하여 흡착된 편광판(101)들을 향하여 이온들을 분사하는 이온 건(17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온 건(170)은 다수 장의 편광판들 사이의 정전기를 방전시켜 제거하도록 음전하의 이온들을 분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온들을 분사하는 이온 건(170)을 추가로 구비할 경우, 흡착 유닛(140)으로 편광판(101)의 편심 영역을 흡착하고 진동 액추에이터(144)로 진동시킴으로써 다수 장의 편광판(101)들을 낱장으로 분리하는 효과에 더하여, 다수 장의 편광판(101)들을 더욱 확실하게 낱장으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정전기를 제거하는 효과를 위하여 다수 장의 편광판(101)들 사이에 이온 건(170)으로 이온을 분사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소정 크기 의 풍압을 발생시키는 공기 분사 건으로 다수 장의 편광판(101)들 사이에 공기를 분사할 수도 있다. 즉, 다수 장의 편광판(101)들의 측면에 소정 크기의 풍압을 가지는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편광판(101)들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편광판(101)들의 분리를 도울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편광판 공급 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편광판 공급 장치(100)에 전원을 인가하면, 흡착 유닛(140)들이 편광판 적층 유닛(150)의 상부로서 편광판(101)의 중심(G2)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된 편심 영역의 상부에 배치되고, 진공 펌프로부터 생성된 진공압이 진공 호스(145a)와 진공관(145)을 통하여 흡착 패드(143)로 전달된다.
흡착 패드(143)는 편광판(101)의 편심 영역에 밀착되고, 흡착 패드(143)의 흡착공(143a)으로 전달된 진공압에 의하여 편광판(101)을 진공 흡착하게 된다(S1). 그러면, 수직 액추에이터는 작동 몸체(110)가 결합된 수평 가이드(120)를 수직 방향으로 상승시키게 된다.
이 경우, 다수 장의 편광판(101)들 사이의 정전기 또는 이물질 등으로 인하여, 다수 장의 편광판(101)들이 동시에 흡착 패드(143)에 의하여 흡착되어 상승될 수 있다. 그런데, 흡착 유닛(140)들은 편광판(101)의 편심 영역에 부분 흡착되어 있기 때문에, 다수 장의 편광판(101)들 사이의 정전기가 제거되어 다수 장의 편광판(101)들이 낱장으로 분리된다. 또한, 흡착 유닛(140)들은 편광판(101)의 전단부에만 흡착되어 있기 때문에, 흡착 유닛(140)이 흡착된 편심 영역의 반대편인 후단 부는 중력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처지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판(101)의 편심 영역의 반대편이 하방향으로 처지면서 동시에 흡착된 다수 장의 편광판(101)들이 낱장으로 분리된다.
여기에 더하여, 흡착 유닛(140)들 각각에 마련된 진동 액추에이터(144)들이 흡착 패드(143)를 수직 방향으로 진동시킴(S2)으로써 하부의 편광판(101)들을 관성력 및/또는 중력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낙하시키고 최상부의 편광판(101)만이 흡착되어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진동 액추에이터(144)로 흡착 패드(143)를 진동시킬 경우에, 상호 인접한 흡착 유닛(140)에 마련된 진동 액추에이터(144)들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흡착 패드(143)를 진동시켜서, 편광판(101)들의 분리를 더욱 촉진시킬 수 있다.
그리고, 흡착 패드(143)를 진동시키는 동시에 또는 진동시킨 후에, 흡착 패드(143)에 흡착된 편광판(101)들의 측면에서 이온 건(170)으로 이온을 분사함으로써 편광판(101)들의 사이에 음전하 이온을 가하여 편광판(101)들 사이의 정전기를 방전시킴으로써 부착된 다수 장의 편광판(101)들을 낱장으로 분리시킨다.
다수 장의 편광판(101)들이 완전히 분리되면, 흡착 패드(143)에는 최상부의 편광판(101)만이 흡착된 상태로 남아있게 된다. 그러면, 수평 액추에이터는 작동 몸체(110)를 수평 가이드(120)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시켜 편광판(101)을 흡착한 흡착 유닛(140)을 편광판 부착 장치(미도시)로 이송시킨다.
흡착 유닛(140)이 편광판 부착 장치에 이르게 되면, 흡착 패드(143)에 가해지던 진공압을 제거하여 흡착 패드(143)에 흡착된 편광판(101)을 편광판 부착 장치 에 공급한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작동 몸체(110)가 수평 가이드(120)에 결합되고 수평 가이드(120)가 수직 가이드(130)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공지의 적절한 가이드 수단을 이용하여 작동 몸체(110)가 수평 및/또는 수직으로 이동할 수만 있다면 그 작동 몸체(110)의 이동을 위하여 어떠한 가이드 수단 및 결합 수단으로 구성되더라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와 같은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편광판의 편심 영역만을 흡착함으로써, 적층된 편광판들 중에서 하나의 편광판만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편광판 부착장치로 공급할 수 있어, 종래 발생하던 여러 장의 편광판이 공급되는 공급 에러와, 이로 인한 공정상 오류 및 편광판 공급 장치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2)

  1. 다수 장의 편광판들이 적층 가능한 편광판 적층 유닛;
    상기 편광판의 부분 흡착을 위하여, 상기 편광판 적층 유닛에 적층된 상기 편광판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된 편심 영역을 흡착하는 흡착 패드가 단부에 결합되는 흡착 유닛;
    상기 흡착 유닛을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 및
    다수 개의 편광판이 공급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하여 상기 흡착 패드를 진동시키는 진동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공급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유닛은 다수 개 마련되되 상기 편심 영역에서 좌우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실질적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공급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흡착 유닛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 액추에이터; 및
    상기 흡착 유닛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공급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유닛은 다수 개 마련되되 상기 편심 영역에서 좌우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실질적으로 일렬로 배치되며,
    상기 진동 액추에이터는 상기 다수 개의 흡착 유닛 각각에 마련되어 상기 다수 개의 흡착 유닛 중 상호 인접한 각각의 흡착 유닛의 상기 흡착 패드가 상호 반대 방향으로 진동되도록 상기 다수 개의 흡착 유닛의 상기 흡착 패드를 상호 교번적으로 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공급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 공급 장치는,
    다수 개의 편광판이 공급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상기 흡착 유닛이 흡착한 상기 편광판의 측면에 이온을 분사하는 이온 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공급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 공급 장치는,
    상기 흡착 유닛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편광판의 중 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되되 상기 편심 영역에 인접한 영역을 흡착하는 보조 흡착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공급 장치.
  8. 적층되어 제공 가능한 편광판의 부분 흡착을 위하여, 상기 편광판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된 편심 영역에서 좌우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실질적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흡착 유닛의 각 단부에 결합되는 흡착 패드에 의하여 상기 편심 영역을 흡착하는 단계;
    다수 개의 편광판이 공급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상기 흡착 패드를 진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흡착된 상기 편광판을 이동시켜, 액정 패널에 상기 편광판을 부착시키는 편광판 부착 장치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공급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패드를 진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다수 개의 흡착 유닛 중 상호 인접한 각각의 흡착 유닛의 상기 흡착 패드가 상호 반대 방향으로 진동되도록 상기 다수 개의 흡착 유닛의 상기 흡착 패드를 상호 교번적으로 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공급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의 편심 영역을 흡착하는 단계 후에,
    상기 다수 개의 편광판이 공급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상기 흡착 유닛이 흡착한 상기 편광판의 측면에 이온을 분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공급 방법.
KR1020060055838A 2006-06-21 2006-06-21 편광판 공급 장치 및 편광판 공급 방법 KR100821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838A KR100821184B1 (ko) 2006-06-21 2006-06-21 편광판 공급 장치 및 편광판 공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838A KR100821184B1 (ko) 2006-06-21 2006-06-21 편광판 공급 장치 및 편광판 공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150A KR20070121150A (ko) 2007-12-27
KR100821184B1 true KR100821184B1 (ko) 2008-04-11

Family

ID=39138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5838A KR100821184B1 (ko) 2006-06-21 2006-06-21 편광판 공급 장치 및 편광판 공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11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622B1 (ko) * 2009-05-13 2011-06-30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편광판 공급장치용 카세트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949B1 (ko) * 2007-09-11 2009-05-25 주식회사 엔씨비네트웍스 편광필름 업다운 장치
KR101066400B1 (ko) * 2009-01-29 2011-09-21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편광판 공급장치 및 편광판 공급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5925A (ko) * 2004-03-29 2005-10-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편광판 반송 장비
KR100548962B1 (ko) * 2005-02-05 2006-02-02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편광판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5925A (ko) * 2004-03-29 2005-10-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편광판 반송 장비
KR100548962B1 (ko) * 2005-02-05 2006-02-02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편광판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622B1 (ko) * 2009-05-13 2011-06-30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편광판 공급장치용 카세트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150A (ko) 200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0158B2 (ja) 支持構造、支持構造を用いたナノファイバー製造装置、および支持構造を用いたナノファイバー製造方法
KR100821184B1 (ko) 편광판 공급 장치 및 편광판 공급 방법
KR20060027853A (ko) 정전 흡착 장치 및 접합 장치
CN103647018B (zh) 一种层叠式pvdf作动器及主被动混合隔振器
CN110508584A (zh) 一种清洁装置
JP5263837B2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位置合わせ方法
CN111358385A (zh) 一种双单元振动清洁器
CN110723557A (zh) 一种托盘回收装置
CN100504522C (zh) 基板装配机
CN100517003C (zh) 立式偏光板连接设备
JP4379509B2 (ja) キャッピング治具
CN203187086U (zh) 电池极片的取料装置
CN104868688A (zh) 一种水平振动线性电机
KR101167076B1 (ko) 기판 이송장치
US20090244115A1 (en) Droplet discharge apparatus
US20100044413A1 (en) Minute ball array apparatus
US8657406B2 (en) Liquid jetting apparatus
KR100806224B1 (ko) 세정장치
KR101060655B1 (ko) 편광판 공급장치용 카세트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공급장치
KR101066400B1 (ko) 편광판 공급장치 및 편광판 공급방법
CN1701150A (zh) 用于造纸厂的粗帆布清洗装置
CN220763602U (zh) 一种防静电的广告牌覆膜机
JP2009136773A (ja) パターン形成装置
CN218753835U (zh) 一种软质膜材防重粘取料机构
KR101649857B1 (ko) 노즐 세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11